1970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 개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 서울시내버스 노선번호는 1970년 4월 1일 개편되었으며, 민영 버스, 시영 버스, 추가 노선, 어린이대공원 경유 노선, 공항리무진 및 좌석 버스, 좌석 버스, 지하철 연계 노선, 심야 좌석 버스, 직행 좌석 버스 등 다양한 노선 번호 체계로 구성되었다. 민영 버스는 1번부터 170번까지, 시영 버스는 200번대로, 각 노선 번호와 운행 회사, 노선 정보가 배정되었다. 주요 업체로는 서울승합, 대진운수, 영신여객, 한성여객, 아진교통, 삼양교통, 덕성여객, 신진운수, 한남운수, 영등포합승자동차, 유진운수, 범양여객, 신성교통, 삼화교통 등이 있었다.
1970년 4월 1일, 서울시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버스 번호 체계가 대대적으로 변경되었다. 이때 만들어진 번호 체계는 다음과 같다.
2. 1970년대 노선 번호 체계
2. 1. 민간 업체 (1번~170번)
1970년 4월 1일에 개편된 민영 버스 업체의 노선 번호는 다음과 같다.
번호 | 회사명 | 행선지 및 경유지 |
---|---|---|
1 | 삼선합승(현 서울승합) | 정능 - 연희동 |
2 | 대진운수 | 정능 - 서강 |
3 | 동양교통(현 대진여객), 대창운수, 해창운수 | 정능 - 서강 |
7 | 영진교통 | 우이동 - 홍대앞 |
8 | 새한버스 | 우이동 - 망원동 |
9 | 영신여객자동차, 신원교통 | 우이동 - 서울역 |
13 | 한진버스(현 KD운송그룹) | 의정부 - 종로5가 |
14 | 동일여객자동차 | 의정부 - 종로5가 |
15 | 한성여객운수 | 도봉동 - 종로5가 |
18 | 한성여객운수 | 창동 - 후암동 |
19 | 아진교통 | 쌍문동 - 마포 |
20 | 아륙교통 | 쌍문동 - 서울역 |
23 | 삼양교통 | 삼양동 - 용산동 |
24 | 이화운수 | 삼양동 - 영등포 |
25 | 이화운수 | 미아국교 - 효창동 |
26 | 한성운수 | 삼양동 - 안양 |
27 | 화계운수 | 삼양동 - 서울역 |
31 | 세운교통 | 장위동 - 북아현동 |
32 | 삼화상운 | 장위동 - 후암동 |
33 | 한성여객운수 | 장위동 - 후암동 |
37 | 삼미운수 | 이문동 - 염리동 |
38 | 국성여객(현 진아교통), 삼성여객자동차 | 석관동 - 원효로 |
39 | 삼흥운수 | 경희대 - 서울역 |
43 | 덕성여객 | 상계동 - 서울역 |
45 | 덕성여객 | 불암동 - 청계5가 |
48 | 삼미운수 | 망우리 - 응암동 |
49 | 안성여객 | 중량교 - 문화촌 |
50 | 국성여객 | 면목동 - 연희동 |
51 | 안성여객 | 면목동 - 문화촌 |
54 | 혁성운수 | 전농동 - 마포 |
55 | 신화운수 | 답십리 - 봉천동 |
56 | 서진교통 | 답십리 - 이촌동 |
57 | 신흥교통 | 답십리 - 효창동 |
60 | 원효여객 | 마장동 - 구평동 |
62 | 삼흥운수 | 성수동 - 동교동 |
63 | 삼흥운수 | 경마장 - 효자동 |
64 | 서울승합 | 뚝섬 - 서울역 |
65 | 서울승합 | 뚝섬 - 서울역 |
68 | 동진상운 | 천호동 - 서울역 |
69 | 동진상운 | 천호동 - 서울역 |
70 | 한일교통 | 천호동 - 서울역 |
71 | 서울승합 | 천호동 - 서울역 |
74 | 신진운수 | 홍은동 - 옥수동 |
75 | 신진운수 | 갈현동 - 옥수동 |
76 | 대일교통 | 금호동 - 신길동 |
78 | 서울여객 | 잠원동 - 한남동 - 서울역 |
79 | 중앙교통 | 금호동 - 보광동 |
80 | 삼성여객자동차 | 서울역 - 보광동 |
81 | 삼성여객자동차 | 응봉동 - 보광동 |
84 | 동아운수 | 중대앞 - 경동중학교 |
85 | 신동아운수 | 동작동 - 성북동 |
86 | 대화여객 | 남성동 - 홍릉 |
87 | 일성교통, 우성교통 | 동작동 - 중화동 |
88 | 일성교통, 우성교통 | 동작동 - 중화동 |
89 | 범진여객 | 남성동 - 신흥사 |
92 | 신촌운수 | 상도동 - 창신동 |
95 | 한남운수 | 신림동 - 미아리 |
96 | 신촌교통 | 신림동 - 중앙청 |
98 | 일광운수 | 신길동 - 마장동 |
99 | 일광운수 | 신길동 - 농대(시립대) |
101 | 영등포합승자동차 | 대림동 - 독립문 |
103 | 삼양여객(현 안양교통→서울매일버스) | 안양 - 중앙청 |
104 | 유진운수 | 안양 - 삼청동 |
107 | 삼안운수 | 시흥 - 중앙청 |
109 | 상마운수 | 영등포구내 |
110 | 영등포합승자동차 | 양남동 - 청계6가 |
111 | 서울승합 | 양남동 - 중앙청 |
112 | 영등포합승자동차 | 문래동 - 을지6가 |
113 | 대륙교통 | 문래동 - 약수동 |
114 | 서울승합 | 문래동 - 서울역 |
118 | 영등포합승자동차(구로지사) | 구로동 - 을지6가 |
119 | 동화여객 | 구로동 - 중앙청 |
120 | 서울승합 | 구로동 - 중앙청 |
123 | 영등포합승자동차 | 오류동 - 청계6가 |
124 | 동화여객 | 오류동 - 중앙청 |
125 | 서울승합 | 오류동 - 중앙청 |
128 | 대륙교통 | 중곡동 - 화곡동 |
129 | 지성운수 | 김포 - 중앙청 |
130 | 대륙교통 | 김포 - 중앙청 |
132 | 서울승합(현 경성여객자동차) | 홍릉 - 합정동 |
133 | 서울승합 | 휘경동 - 노고산 |
135 | 유성운수, 서일운수 | 구평동 - 염리동 |
136 | 진화운수 | 서강 - 우이동 |
137 | 일진교통, 해창여객 | 서강 - 자유센터 - 잠원동 |
139 | 신촌운수(현 중부운수) | 봉원동 - 동대문 |
141 | 현대교통 | 남가좌동 - 마장동 |
142 | 신촌교통 | 남가좌동 - 상도동 |
145 | 범양여객운수 | 화전 - 서울역 |
146 | 범양여객운수 | 수색 - 이문동 |
147 | 한신운수, 동해운수 | 수색 - 서울역 |
150 | 신인운수 | 북가좌동 - 봉천동 |
152 | 신성교통 | 역촌동 - 서울역 |
155 | 제일여객자동차 | 갈현동 - 옥수동 |
156 | 제일여객자동차 | 구파발 - 서울역 |
157 | 신성교통 | 갈현동 - 답십리 |
158 | 신성교통 | 갈현동 - 서울역 |
161 | 삼화교통(현 삼화고속) | 문화촌 - 장위동 |
162 | 삼화교통 | 문화촌 - 우이동 |
164 | 서울승합 | 홍릉 - 퇴계원 - 장현 |
165 | 서울승합 | 홍릉 - 금곡리 |
2. 2. 시영 버스 (200번대)
1970년 4월 1일에 개편된 시영 버스 업체의 노선 번호이다.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
228 | 화곡동 | 용두동 | —영어 |
229 | 개화동 | 영등포구청 | —영어 |
203 | 시흥 | 시청 | —영어 |
243 | 상계동 | 서울역 | —영어 |
233 | 도봉동 | 서울역 | —영어 |
271 | 거여동 | 시청 | —영어 |
272 | 송파 | 서울역 | —영어 |
273 | 신장 | 을지5가 | —영어 |
274 | 하일동 | 서울역 | —영어 |
288 | 원지동 | 시청 | —영어 |
235 | 구평동 | 이촌동 공무원아파트 | —영어 |
209 | 영등포구청 | 한양대 | —영어 |
275 | 수진리 | 천호동 | —영어 |
2. 3. 추가 노선 (300번대)
1974년 8월 이후 기존 노선 번호 소진으로 인해 추가된 노선 번호이다.2. 4. 어린이대공원 경유 노선 (500번대)
1973년 5월 5일 어린이대공원 개장에 따라 기존 노선 번호를 변경하여 신설된 노선 번호이다.2. 5. 공항리무진 및 좌석 버스 (600번대)
1977년 이후 신설된 공항리무진 노선 번호 및 좌석 버스 노선 번호이다.3. 1980년대 이후 노선 번호 체계
- 1~170번 단위: 1970년 4월 1일 개편한 민영버스업체의 노선번호이다.
- 200번 단위: 1970년 4월 1일 개편한 시영버스업체의 노선번호이다.
- 300번 단위: 1974년 8월 이후 기존 노선번호 소진으로 인한 추가 노선번호이다.
- 400번 단위: 1995년 7월 1일 이후 지역순환버스 노선번호이다.
- 500번 단위: 1973년 5월 5일 어린이대공원 개장으로 인하여 기존 노선번호를 변경한 어린이대공원 경유 노선번호이다.
- 600번 단위: 1977년 이후 공항리무진 노선번호나 좌석버스 노선번호이다.
3. 1. 좌석 버스 (700번대)
1980년대에 신설된 좌석 버스 노선 번호이다.3. 2. 지하철 연계 노선 (800번대)
1985년 11월 이후 신설된 지하철 연계 노선 번호이다.3. 3. 심야 좌석 버스 (900번대)
1992년 12월 이후 신설된 심야 좌석 버스 노선 번호이다.3. 4. 직행 좌석 버스 (1000번대)
1993년 11월 직행좌석버스 노선번호가 신설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