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매일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매일버스는 1971년 삼양여객으로 설립되어, 2021년 대전광역시 소재 택시회사인 매일상운에 인수되어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23년 4월 기준, 간선버스 1개, 지선버스 3개, 광역버스 1개 노선을 운행하며, 현대자동차, 하이거, CRRC 등 다양한 제조사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페덱스
페덱스는 1971년 프레더릭 W. 스미스가 설립한 미국의 운송 회사로, 특급 배송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성장해왔다. - 197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중앙고속
중앙고속은 1971년 설립되어 경부선, 호남선, 영동선, 구마선 등 주요 노선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 기업이다. - 동안구 - 평촌신도시
평촌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주택난 해결을 위해 건설된 1기 신도시 중 하나로, '주택 200만 호 건설 계획'에 따라 안양시 일대에 조성되었으며, 수도권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사업의 중요한 부분이다. - 동안구 - 안양체육관
- 서울 구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구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서울매일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서울매일버스 주식회사 |
원어 | Seoulmaeil Bus Co., Ltd |
형태 | 중소기업 |
창립 | 1971년 4월 1일 |
이전 회사 | 삼양여객, 안양교통 (~2021.4.30)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452 (비산동) |
사업 지역 | 대화영업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로 217-59 (대화동)) |
인물 | 정평조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대표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1,628,200,000원 (2020.12) |
매출액 | 16,557,468,004원 (2020) |
영업이익 | 185,536,135원 (2020) |
순이익 | -24,397,557원 (2020) |
자산총액 | 9,056,529,017원 (2020.12) |
주주 | 정평조 : 60.0%, 정명희 : 28.0%, 대일개발 주식회사 : 9.0%, 정한재 : 3.0% |
종업원 | 208명 (2020.12) |
2. 연혁
1971년 3월 29일: 금호그룹 산하 삼양여객을 인수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 교북동에 면허등록지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에 주사무소를 두고 회사를 설립하였다.[1]
1980년 11월 21일: 도시형버스 103-1번(당시 안양시 ~ 개봉1동, 현 지선버스 5626번)을 신설하였다.[2]
1981년 6월: 좌석버스 703번(당시 안양시 ~ 광화문구간, 현 지선버스 5713번)을 신설하였다.[3]
1982년: 도시형버스 103-2번(안양시 ~ 영등포) 노선을 신설하였다.
1987년: 도시형버스 103-2번 노선을 구로공단역으로 단축하였다.
1990년: 주사무소를 만안구 안양6동에서 동안구 비산동 14-8번지로 이전하였다.
1991년: 도시형버스 103번 (안양시 비산동 ~ 광화문) 노선을 당산역으로 단축하였다.
1992년: 평촌신도시 입주대책에 의거 도시형버스 103-2번 노선을 평촌신도시로 변경하였다. 좌석버스 703번의 단축형 노선인 좌석버스 703-1번 (안양시 비산동 ~ 여의도) 노선을 신설하였으나 수요저조로 1993년에 폐선되었다.
1992년 10월 1일: 면허등록지를 종로구 교북동에서 서대문구 충정로 2가 113-1번지로 이전하였다.
1993년 3월 4일: 구로구 지역 마을버스를 오봉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
1993년 8월 10일: 도시형버스 103번 노선을 신촌역으로, 103-2번 노선을 당산역으로 일부구간 재연장하였다.
1996년 6월 5일: 도시형버스 103번 노선을 아현동으로 일부구간 재연장하였다. 잠시 후 도시형버스 103-2번 노선을 구로공단역으로 다시 단축하였다.
1997년 1월 1일: 당산철교 한시적 철거로 보영운수, 신촌운수와 공동으로 당산철교 셔틀버스 운행에 참여하였다. (안양교통은 3대만 운행)
1997년 12월 1일: 좌석버스 703번 노선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하고 광화문 회차에서 여의도회차로 단축하였다.
1998년 6월 10일: 도시형버스 103-2번 노선을 폐선하였다.
2000년 1월: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광명6동) 노선을 신설하였다. 도시형버스 703번 노선을 서강대교 경유 신촌역 회차로 연장하였다.
2001년 5월: 도시형버스 103-2번 노선을 폐선하였다. 도시형버스 703번 노선을 인덕원역경유로 연장하였다.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지선버스 3개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05년 9월: 서울시내버스 유상감차로 면허 일부가 말소되었고, 잉여 면허 1개를 양재운수에 매각하여 서초 08번에 증차시켰다.
2006년 8월: 지선버스 5713번 기점을 인덕원역에서 비산동으로 단축하였다.
2007년 7월: 지선버스 5626번 노선을 온수역으로 연장하여 온수동 주민 편의를 제공하게 되었다.
2014년 7월: 아현고가 철거로 지선버스 5713번 노선을 경의선 신촌역으로 단축하였다.
2015년 11월: 5626번 노선에 저상버스 운행을 개시하였다.
2021년 4월 27일: 대전광역시 소재 택시회사 매일상운이 인수하여 상호를 '''서울매일버스'''로 변경하였다.[1]
2021년 5월 1일: 신수교통의 9703번, 9711번 광역버스 노선 및 신성계열 일산 대화동차고지를 인수하였다.[2]
2023년 4월 27일: 9703번 광역버스를 703번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2. 1. 1970년대 ~ 1980년대
1971년 3월 29일: 금호그룹 산하 삼양여객을 인수하여 서울특별시 종로구 교북동에 면허등록지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6동에 주사무소를 두고 회사를 설립하였다.[1]1980년 11월 21일: 도시형버스 103-1번(당시 안양시 ~ 개봉1동, 현 지선버스 5626번)을 신설하였다.[2]
1981년 6월: 좌석버스 703번(당시 안양시 ~ 광화문구간, 현 지선버스 5713번)을 신설하였다.[3]
1982년: 도시형버스 103-2번(안양시 ~ 영등포) 노선을 신설하였다.
1987년: 도시형버스 103-2번(안양시 ~ 영등포) 노선을 구로공단역으로 단축하였다.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0년 주사무소를 만안구 안양6동에서 동안구 비산동 14-8번지로 이전하였다.
- 1991년 도시형버스 103번 (안양시 비산동 ~ 광화문) 노선을 당산역으로 단축하였다.
- 1992년 평촌신도시 입주대책에 의거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비산동 ~ 구로공단역) 노선을 평촌신도시로 변경하였다. 좌석버스 703번 (안양시 비산동 ~ 광화문) 노선의 단축형 노선인 좌석버스 703-1번 (안양시 비산동 ~ 여의도) 노선을 신설하였으나 수요저조로 1993년에 폐선되었다.
- 1992년 10월 1일 면허등록지를 종로구 교북동에서 서대문구 충정로 2가 113-1번지로 이전하였다.
- 1993년 3월 4일 구로구 지역 마을버스를 오봉운수로 분리독립시켰다.
- 1993년 8월 10일 도시형버스 103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당산역) 노선을 신촌역으로 일부구간 재연장하였다.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비산동 ~ 구로공단역) 노선을 당산역으로 일부구간 재연장하였다.
- 1996년 6월 5일 도시형버스 103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신촌역) 노선을 아현동으로 일부구간 재연장하였다. 잠시 후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당산역) 노선을 구로공단역으로 다시 단축하였다.
- 1997년 1월 1일 당산철교 한시적 철거로 보영운수와 신촌운수와 공동으로 당산철교 셔틀버스 운행에 참여하였다. 다만 안양교통은 3대만 운행하였다.
- 1997년 12월 1일 좌석버스 703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광화문) 노선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과 동시에 기존 광화문 회차에서 여의도회차로 단축하였다.
- 1998년 6월 10일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구로공단) 노선을 폐선하였다.
- 2000년 1월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광명6동) 노선을 신설하였다. 도시형버스 703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여의도) 노선을 기존 여의도 회차에서 서강대교 경유 신촌역 회차로 연장하였다.
- 2001년 5월 도시형버스 103-2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광명6동) 노선을 폐선하였다. 도시형버스 703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신촌역) 노선을 인덕원역경유로 연장하였다.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지선버스 3개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도시형버스 103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아현동) 노선을 영등포역으로 단축하여 지선버스 5625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영등포역)으로, 도시형버스 103-1번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개봉1동) 노선은 별다른 변경없이 존치되어 지선버스 5626번(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 개봉1동)으로, 도시형버스 703번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역 ~ 신촌역) 노선은 기존의 신촌역 회차에서 아현동 회차로 연장되어 지선버스 5713번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역 ~ 아현동)으로 재편되었다.2005년 9월 서울시내버스 유상감차로 면허 일부가 말소되었고, 잉여 면허 1개를 양재운수에 매각하여 서초 08번에 증차시켰다.
2006년 8월 지선버스 5713번 기점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인덕원역에서 비산동으로 단축하였다.
2007년 7월 지선버스 5626번 (안양시 비산동 ~ 개봉1동) 노선을 천연가스 충전 문제로 온수역으로 연장하여 온수동 주민 편의를 제공하게 되었다.
2014년 7월 아현고가 철거로 지선버스 5713번 (안양시 비산동 ~ 아현동) 노선을 경의선 신촌역으로 단축하였다.
2015년 11월 5626번 노선에 저상버스 운행을 개시하였다.
2021년 4월 27일 대전광역시 소재 택시회사 매일상운이 인수하여 상호를 '''서울매일버스'''로 변경하였다.[1]
2021년 5월 1일 신수교통의 9703번, 9711번 광역버스 노선 및 신성계열 일산 대화동차고지를 인수하였다.[2]
2023년 4월 27일 9703번 광역버스를 703번 간선버스로 전환하였다.
3. 운행 노선
신수교통에서 운행하던 703번과는 별개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