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7개 체급과 여자 시범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남자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여자 유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서울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8개국이 참가하여 예선,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소련이 금메달을, 브라질의 호마리우가 득점왕을 기록하며 개최되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88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서울 올림픽 시범 종목으로 8개국이 참가하여 예선,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16개국이 참가하여 소련이 금메달을, 브라질의 호마리우가 득점왕을 기록하며 개최되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유도
주관 기구IOC
대회 연도1988년
대회 종류하계 올림픽
유도 픽토그램
개최 장소장충체육관
개최 도시서울, 대한민국
대회 기간1988년 9월 25일 – 1988년 10월 1일
참가 선수119명
참가 국가62개국
세부 종목 - 남자
60 kg급60 kg
65 kg급65 kg
71 kg급71 kg
78 kg급78 kg
86 kg급86 kg
95 kg급95 kg
+95 kg급+95 kg

2. 경기장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렸다.

도시경기장비고
서울장충체육관전 경기


3. 세부 종목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경기는 남자 7체급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대회부터 무차별급은 폐지되고 95kg 초과급이 최고 중량급이 되었다.[2] 여자 유도는 시범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었다.


  • 남자 종목
  • * 60kg급
  • * 65kg급
  • * 71kg급
  • * 78kg급
  • * 86kg급
  • * 95kg급
  • * 95kg이상급

3. 1. 여자 (시범 종목)

李忠云|리중윈중국어에자키 후미코
江崎史子|에자키 후미코일본어조민선
趙敏善|조민선한국어
줄리 리던−52 kg샤론 렌들도미니크 브륀알레산드라 지운지
야마구치 가오리
山口香|야마구치 가오리일본어−56 kg수잔 윌리엄스류구이주
刘桂珠|류구이주중국어카트린 아르노
레기나 필립스−61 kg다이앤 벨린 로에트케보구스와바 올레흐노비치
모치다 노리코
持田典子|모치다 노리코일본어−66 kg사사키 히카리
佐々木光|사사키 히카리일본어브리지트 데이디에박지영
朴志暎|박지영한국어
로스비타 하르틀−72 kg잉그리드 베르그만스배미정
裵美貞|배미정한국어다나베 요코
田辺陽子|다나베 요코일본어
바바라 클라센+72 kg앙젤리크 세리세가오펑롄
高凤莲|가오펑롄중국어레기나 지그문트
마거릿 카스트로


4. 참가국

참가국참가 선수
알제리3
앙골라3
아르헨티나1
오스트레일리아2
오스트리아1
벨기에1
베냉1
볼리비아1
브라질3
불가리아2
캐나다3
중화인민공화국2
중화 타이베이3
콜롬비아1
코스타리카1
키프로스2
체코슬로바키아2
덴마크1
도미니카 공화국1
동독2
이집트1
엘살바도르1
프랑스3
영국3
1
홍콩3
헝가리3
아일랜드1
이탈리아2
일본3
케냐2
쿠웨이트2
리히텐슈타인2
레바논2
말리2
몰타2
멕시코2
모나코1
몽골3
모로코2
네팔2
네덜란드1
뉴질랜드1
나이지리아1
북예멘2
파라과이1
필리핀1
폴란드3
포르투갈2
푸에르토리코3
산마리노2
세네갈2
대한민국3
소련3
스페인2
수리남1
스웨덴2
터키3
미국3
서독3
유고슬라비아1
짐바브웨1


5. 메달리스트

자세히김재엽 (KOR)케빈 아사노 (USA)호소카와 신지 (JPN)
아미란 토티카슈빌리 (URS)남자 65kg급
자세히이경근 (KOR)야누슈 파브워프스키 (POL)브루노 카라베타 (FRA)
야마모토 요스케 (JPN)남자 71kg급
자세히마르크 알렉상드르 (FRA)스벤 롤 (GDR)마이크 스웨인 (USA)
게오르기 테나제 (URS)남자 78kg급
자세히발데마르 레기엔 (POL)프랑크 비네케 (FRG)토르스텐 브레쇼트 (GDR)
바시르 바라예프 (URS)남자 86kg급
자세히페터 자이젠바허 (AUT)블라디미르 셰스타코프 (URS)오사코 아키노부 (JPN)
벤 스피커스 (NED)남자 95kg급
자세히아우렐리우 미구엘 (BRA)마르크 마일링 (FRG)데니스 스튜어트 (GBR)
로베르트 판 데 발레 (BEL)남자 95kg이상급
자세히사이토 히토시 (JPN)헨리 슈퇴르 (GDR)조용철 (KOR)
그리고리 베리체프 (URS)여자 -48 kg (시범)리중윈 (李忠云|리중윈중국어)에자키 후미코조민선 , 줄리 리던여자 -52 kg (시범)샤론 렌들도미니크 브륀알레산드라 지운지 , 야마구치 가오리 (山口香|야마구치 가오리일본어)여자 -56 kg (시범)수잔 윌리엄스류구이주 (刘桂珠|류구이주중국어)카트린 아르노 , 레기나 필립스여자 -61 kg (시범)다이앤 벨린 로에트케보구스와바 올레흐노비치 , 모치다 노리코 (持田典子|모치다 노리코일본어)여자 -66 kg (시범)사사키 히카리 (佐々木光|사사키 히카리일본어)브리지트 데이디에박지영 , 로스비타 하르틀여자 -72 kg (시범)잉그리드 베르그만스배미정다나베 요코 (田辺陽子|다나베 요코일본어) , 바바라 클라센여자 +72 kg (시범)앙젤리크 세리세가오펑롄 (高凤莲|가오펑롄중국어)레기나 지그문트 , 마거릿 카스트로



여자 유도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올림픽에 등장했다.[1]

5. 1. 남자

자세히김재엽 (KOR)케빈 아사노 (USA)호소카와 신지 (JPN)
아미란 토티카슈빌리 (URS)남자 65kg급
자세히이경근 (KOR)야누슈 파브워프스키 (POL)브루노 카라베타 (FRA)
야마모토 요스케 (JPN)남자 71kg급
자세히마르크 알렉상드르 (FRA)스벤 롤 (GDR)마이크 스웨인 (USA)
게오르기 테나제 (URS)남자 78kg급
자세히발데마르 레기엔 (POL)프랑크 비네케 (FRG)토르스텐 브레쇼트 (GDR)
바시르 바라예프 (URS)남자 86kg급
자세히페터 자이젠바허 (AUT)블라디미르 셰스타코프 (URS)오사코 아키노부 (JPN)
벤 스피커스 (NED)남자 95kg급
자세히아우렐리우 미구엘 (BRA)마르크 마일링 (FRG)데니스 스튜어트 (GBR)
로베르트 판 데 발레 (BEL)남자 95kg이상급
자세히사이토 히토시 (JPN)헨리 슈퇴르 (GDR)조용철 (KOR)
그리고리 베리체프 (URS)


5. 2. 여자 (시범 종목)

여자 유도는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올림픽에 등장했다.[1] 여자 유도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이 되었으며, 이후 올림픽의 핵심 종목으로 자리 잡았다.[1]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급금메달은메달동메달
-48 kg리중윈 (李忠云|리중윈중국어)에자키 후미코 ()조민선 (), 줄리 리던 ()
-52 kg샤론 렌들 ()도미니크 브륀 ()알레산드라 지운지 (), 야마구치 가오리 (山口香|야마구치 가오리일본어) ()
-56 kg수잔 윌리엄스 ()류구이주 (刘桂珠|류구이주중국어) ()카트린 아르노 (), 레기나 필립스 ()
-61 kg다이앤 벨 ()린 로에트케 ()보구스와바 올레흐노비치 (), 모치다 노리코 (持田典子|모치다 노리코일본어) ()
-66 kg사사키 히카리 (佐々木光|사사키 히카리일본어) ()브리지트 데이디에 ()박지영 (), 로스비타 하르틀 ()
-72 kg잉그리드 베르그만스 ()배미정 ()다나베 요코 (田辺陽子|다나베 요코일본어) (), 바바라 클라센 ()
+72 kg앙젤리크 세리세 ()가오펑롄 (高凤莲|가오펑롄중국어) ()레기나 지그문트 (), 마거릿 카스트로 ()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
12002
21203
31135
41012
51001
1001
70213
80123
90112
100033
110011
0011
0011


6.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대한민국2013
2폴란드1102
3일본1034
4프랑스1012
5오스트리아1001
브라질1001
7동독0213
8서독0202
9소련0145
10미국0112
11벨기에0011
영국0011
네덜란드0011


6. 1. 남자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대한민국2013
2폴란드1102
3일본1034
4프랑스1012
5오스트리아1001
브라질1001
7동독0213
8서독0202
9소련0145
10미국0112
11벨기에0011
영국0011
네덜란드0011


참조

[1] 웹사이트 Judo at the 1988 Seoul Summer Games https://web.archive.[...] 2018-05-24
[2] 서적 「女子柔道の歴史と課題」 日本武道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