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된 여자 축구 대회로, 중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중국, 중화 타이베이, 일본은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UEFA 여자 유로 1991
UEFA 여자 유로 1991은 덴마크에서 개최된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로,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여 독일이 노르웨이를 꺾고 우승했으며 하이디 모어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UEFA 여자 유로 1991 예선
UEFA 여자 유로 1991 예선은 UEFA가 주관하여 5개 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른 후, 각 조 1위 팀과 일부 2위 팀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UEFA 여자 유로 1991 본선 진출 및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놓고 경쟁한 대회이다. - 1991년 여자 축구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은 FIFA가 주관한 최초의 여자 월드컵으로 중국에서 개최되어 미국이 노르웨이를 꺾고 우승했으며 여성 심판이 처음으로 참여한 대회이다. - 1991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1991
UEFA 여자 유로 1991은 덴마크에서 개최된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로,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을 겸하여 독일이 노르웨이를 꺾고 우승했으며 하이디 모어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1991년 일본 - 미야자와 내각
미야자와 내각은 미야자와 기이치 총리와 와타나베 미치오 부총리 겸 외무대신을 중심으로 1991년 11월 6일부터 1993년 8월 8일까지 존속했던 자유민주당 중심의 일본 내각이며, 1992년 12월 12일 개각을 통해 일부 구성원이 변경되었다. - 1991년 일본 - 199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91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마이크 파월의 남자 멀리뛰기 세계 기록 경신, 칼 루이스와 마이클 존슨 같은 미국 선수들의 트랙 경기 지배, 야마시타 사치코의 여자 마라톤 은메달 획득 등 주목할 만한 기록과 활약이 나타난 대회이다.
199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여자 챔피언십 |
연도 | 1991년 |
다른 명칭 | 1991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기간 | 1991년 5월 26일 – 6월 8일 |
개최국 | 일본 |
참가 팀 수 | 9 |
연맹 수 | 1 |
경기 수 | 20 |
총 득점 | 98 |
이전 대회 | 1989년 AFC 여자 챔피언십 |
다음 대회 | 1993년 AFC 여자 챔피언십 |
결과 | |
우승 횟수 | 3 |
2. 대회 방식
9개 팀이 참가하여 A조 4팀, B조 5팀으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팀, 총 4팀이 4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4강 토너먼트는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이 대회는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의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여 열렸으며, 대회 상위 3팀에게 월드컵 본선 진출권이 주어졌다.
3. 참가국
4. 조별 리그
1991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조별 리그는 총 9개 참가팀이 2개 조(A조 4팀, B조 5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모든 경기는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렸으며, 각 조에서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 1. A조
A조에는 중국, 중화 타이베이, 태국, 대한민국이 편성되었다. 모든 경기는 후쿠오카시에서 진행되었다.날짜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
1991년 5월 29일 | 중국 | 3 - 0 | 중화 타이베이 | 후쿠오카시 |
1991년 5월 29일 | 태국 | 3 - 0 | 대한민국 | 후쿠오카시 |
1991년 5월 31일 | 중화 타이베이 | 9 - 0 | 대한민국 | 후쿠오카시 |
1991년 5월 31일 | 중국 | 10 - 1 | 태국 | 후쿠오카시 |
1991년 6월 2일 | 중화 타이베이 | 0 - 0 | 태국 | 후쿠오카시 |
1991년 6월 2일 | 중국 | 10 - 0 | 대한민국 | 후쿠오카시 |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비고 |
---|---|---|---|---|---|---|---|---|---|---|
1 | 중국 | 6 | 3 | 3 | 0 | 0 | 23 | 1 | +22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2 | 중화 타이베이 | 3 | 3 | 1 | 1 | 1 | 9 | 3 | +6 | 결선 토너먼트 진출 |
3 | 태국 | 3 | 3 | 1 | 1 | 1 | 4 | 10 | -6 | |
4 | 대한민국 | 0 | 3 | 0 | 0 | 3 | 0 | 22 | -22 |
중국은 3전 전승, 23득점 1실점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태국과 승점(3점) 및 승자승(0-0 무승부)에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서(+6) 조 2위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 3경기에서 한 골도 넣지 못하고 22골을 실점하며 전패를 기록,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이로 인해 결선 토너먼트 진출에는 실패했다.
4. 2. B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 일본 | 8 | 4 | 4 | 0 | 0 | 27 | 1 | +26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6 | 4 | 3 | 0 | 1 | 25 | 1 | +24 |
-- 홍콩 | 3 | 4 | 1 | 1 | 2 | 3 | 9 | -6 |
-- 말레이시아 | 3 | 4 | 1 | 1 | 2 | 1 | 24 | -23 |
-- 싱가포르 | 0 | 4 | 0 | 0 | 4 | 0 | 21 | -21 |
- ---
'''1991년 5월 26일'''
- ---
'''1991년 5월 26일'''
일본 | 1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후쿠오카 |
나가미네 가오리 66' |
- ---
'''1991년 5월 28일'''
- ---
'''1991년 5월 2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2 - 0 | 말레이시아 | 후쿠오카 |
양 미 선 등 |
- ---
'''1991년 5월 30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 0 | 홍콩 | 후쿠오카 |
- ---
'''1991년 5월 30일'''
- ---
'''1991년 6월 1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8 - 0 | 싱가포르 | 후쿠오카 |
양 미 선 등 |
- ---
'''1991년 6월 1일'''
- ---
'''1991년 6월 3일'''
- ---
'''1991년 6월 3일'''
5. 결선 토너먼트
(승부차기 5 - 4)
(승부차기 4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