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전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일전 (축구)은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축구 경기를 지칭하며, 두 나라는 아시아 축구 연맹과 동아시아 축구 연맹에 소속되어 있다. 역사적, 지역적, 정치적 배경으로 인해 특별한 의미를 지니며,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을 시작으로 2021년 3월까지 총 80번의 경기가 치러졌다. 대한민국이 일본에 42승 23무 15패로 우위를 보이며, 월드컵, 올림픽, AFC 아시안컵,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등 다양한 대회에서 경쟁해왔다. 특히 1990년대 이후 J리그 출범과 함께 라이벌 관계가 심화되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통해 축구를 통한 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일전 - 한일 클럽 챔피언십
한일 클럽 챔피언십은 일본 시리즈 우승팀과 한국 시리즈 우승팀이 클럽 대항전으로 맞붙는 대회로, 2009년과 2010년 일본 야구 기구 주최로 두 차례 개최되었으며, 총 상금 2,500만 엔이 걸려 있었다. - 한일전 - 한일 W리그 챔피언십
한일 W리그 챔피언십은 한국과 일본 여자 프로 농구 리그 챔피언 간의 농구 대회이며, 2002년 시작하여 2008년까지 한국 팀이 전승을 거두었으나 중단되었다가 2017년 부활하여 국제농구연맹 규칙에 따라 진행된다. - 한일전 (축구) - 조모컵
조모컵은 J리그 올스타 축구의 후신으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J리그와 K리그 선발팀 간의 올스타전으로 진행되었으나, 저조한 시청률과 스폰서 문제로 중단되었고, 이후 2012년 동일본 대지진 부흥 지원을 위한 스페셜 매치로 대체되었다. - 한일전 (축구) -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반일 감정으로 2경기 모두 일본에서 열렸으며,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열악한 환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축구 더비 - 마드리드 더비
마드리드 더비는 스페인 마드리드를 연고로 하는 레알 마드리드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축구 라이벌전이며, 20세기 초부터 시작되어 챔피언스리그 등 다양한 대회에서 경쟁하며 라이벌 관계를 굳건히 하였다. - 축구 더비 - 올드 펌
올드 펌은 스코틀랜드의 셀틱 FC와 레인저스 FC 간의 라이벌 관계를 지칭하며,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이유로 강한 경쟁 의식을 보이며 스코틀랜드 축구 리그의 흥행을 이끈다.
한일전 (축구)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한일전 (한국어) 일한전 (일본어) |
관련 지역 | 아시아 (아시아 축구 연맹 (AFC)) 동아시아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
시작일 | 1954년 3월 7일 |
첫 경기 |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일본 1 – 5 대한민국 |
참여 팀 | |
최다 승리 | 대한민국 |
최다 출전 선수 | 정보 없음 |
최다 득점자 | 가마모토 구니시게 (7골) |
최근 경기 | 2022년 EAFF 챔피언십 일본 3 – 0 대한민국 2022년 7월 27일 |
다음 경기 | 미정 |
총 경기 수 | 81회 |
일본 승리 | 16회 |
대한민국 승리 | 42회 |
무승부 | 23회 |
리그 | 해당 없음 |
시리즈 | 해당 없음 |
정규 시즌 | 해당 없음 |
포스트 시즌 | 해당 없음 |
최대 점수차 승리 | 대한민국 5 – 1 일본 1954년 3월 7일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
양국 정보 | |
일본 좌표 | 35° N, 139° E |
대한민국 좌표 | 37° N, 126° E |
관련 명칭 | |
일본어 명칭 | 닛칸센 (日韓戦) |
한국어 명칭 | 한일전 (韓日戰) |
2. 역사
대한축구협회와 일본축구협회 모두 아시아 지역을 총괄하는 아시아 축구 연맹과 동아시아 축구 연맹에 속한다. 양국은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인접해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국 대표 간 경기는 특별한 분위기와 의미를 지닌다.
2021년 3월 25일까지 80경기가 있었으며, 전적은 대한민국이 42승, 일본이 15승, 무승부 23경기로 대한민국이 크게 앞서 있다. 무승부에는 공식전으로 승부차기전이 열린 것이 4번, 대한민국이 1승, 일본이 3승으로 기록되고 있다. J리그 설립 전까지는 대한민국이 크게 앞서 있었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는 거의 호각세이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FIFA 월드컵과 올림픽에 출전해 세계 무대에서 강팀과 싸우기 위한,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번번히 마주친 피할 수 없는 상대였다. 그러나 시대 상황의 변화와 함께 아시아 지역의 참가 국가가 증가한 것, 즉 최근에는 아시아에 할당된 출전권이 확대되었고, 또한 양국 모두 시드 배정국이 되어 같은 조에 배정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직접 대전하는 것은 이전에 비해 많이 드물어졌다.
덧붙여 "한일전"의 호칭은 대한민국에서 본 호칭이며, 일본에서는 "일한전"이라고 하고 있다. 일본의 매스 미디어는 "일한전"라고하는 것이 많지만, 대한민국이 홈인 경우는 FIFA의 공식 표기에 준하여 FIFA의 "한일전"라고 표기하는 매스 미디어(후지 TV)도 있다.
일본과 대한민국 사이의 역사적, 지역적 갈등은 1945년까지의 일제의 한국 지배를 포함하여 두 나라 간의 축구 라이벌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 최초의 한일전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대한민국과 일본의 첫 국제 경기로, 1954년 3월 7일과 3월 14일 양일간 일본 도쿄 메이지 신궁 외원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45] 원래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일본 대표팀의 입국을 거부하여 두 경기 모두 일본에서 열렸다.[5][6]
1차전에서 대한민국은 5-1로 대승을 거두었다.[5] 이 경기에서 일본이 기록한 실점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대 대한민국전 최다 실점 기록으로 남아있다.[5] 2차전은 2-2 무승부로 끝났고, 총 점수 7-3으로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아시아 대표로 FIFA 월드컵에 첫 출전하게 되었다.[5][6]
이후 양국은 아시아 및 세계에서 수차례 격돌하며 발전하고 있다. 일본과 대한민국 사이의 역사적, 지역적 갈등은 1945년까지의 일제의 한국 지배를 포함하여 두 나라 간의 축구 라이벌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 한일 정기전 (1972년 ~ 1991년) ===
1972년부터 한일 정기전이 시작되어,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개최된 제1회 정기전은 2-2 무승부였다. 1991년의 제15회까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10승 2무 3패로 우세했다.
이후 정기전 개최는 중단되었으며, 2013년에는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 기자단에게 일본 축구 협회와 2014년 10~11월 경 친선 경기를 개최하는 데 합의했으며 이후 매년 정기전을 개최할 것을 밝혔다고 보도되었지만, 2014년 10월 6일에 예정되었던 경기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홍명보 감독의 사임으로 연기되었다.
=== 1990년대 이후의 경쟁 심화 ===
J리그가 창설된 1990년대 초반부터 라이벌 관계는 매우 치열한 경쟁이 되었다.[7]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일본은 1-0으로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출전권을 대한민국에 양보했다. 일본은 아시아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마지막 경기 전에 1위를 차지했지만, 그 경기에서 이라크와 2-2로 비기면서 사우디 아라비아와 대한민국에 추월당했다. 일본과 이라크 간의 무승부는 일본에서는 "도하의 비극"으로, 대한민국에서는 "도하의 기적"으로 불렸다.[5]
1996년에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가 결정되자, 축구를 통해 한일 관계를 호전시키려는 분위기가 고조되었다.[47]
1997년 11월 1일에 열린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 9차전에서, 월드컵 출전이 불투명했던 일본은 원정에서 이미 출전을 확정지은 한국과 대결하여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한국의 응원단 붉은 악마[47]는 일본을 향해 "Let's Go To France Together (프랑스로 함께 가자)"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었고[48], 경기 후에는 양쪽 서포터 간의 에일 교환이 이루어졌다.[47]
이 "Together(함께)"라는 단어는, 이후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출판된 양국의 선수 (나카타 히데토시 및 홍명보)의 공동 저서[49][50], 그리고 Voices of KOREA/JAPAN에 의한 동 대회 공식 주제가 제목에서도 나타난다.
===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 ===
1996년에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가 결정되자, 축구를 통해 한일 관계를 호전시키려는 분위기가 고조되었다[47]。
1997년 11월 1일에 열린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 9차전에서, 월드컵 출전이 불투명했던 일본은 원정에서 이미 출전을 확정지은 한국과 대결하여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한국의 응원단 '레드 데블스'[47]는 일본을 향해 "Let's Go To France Together (프랑스로 함께 가자)"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었고[48], 경기 후에는 양쪽 서포터 간의 에일 교환이 이루어졌다[47]。
이 "Together(함께)"라는 단어는, 이후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출판된 양국의 선수 (나카타 히데토시 및 홍명보)의 공동 저서[49][50], 그리고 Voices of KOREA/JAPAN에 의한 동 대회 공식 주제가 제목에서도 나타난다.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하였으며, 월드컵 공동 개최를 계기로 양국 간 축구 교류와 협력이 증진되었다.
=== 2010년대 이후의 관계 변화 ===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EAFF 선수권 대회 경기를 제외하고는 두 나라 간의 A매치 경기가 없었다. 그 원인으로는 경기 일정의 충돌과 나쁜 외교 관계가 있었다.[11]
대한민국은 첫 50경기에서 32승 11무 7패로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지만, 1990년대 초반 J리그 창설 이후 라이벌 관계는 치열해졌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민국은 모든 연령대의 남자 축구에서 일본에 5연패를 당했으며, 2021년 3월 25일 열린 A매치 친선 경기를 포함하여 모두 3-0의 동일한 점수였다. 2023년, ''중앙일보''는 한국 축구 협회 임원 30명(대부분 K리그 구단 관계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80%가 10년 전에 일본이 한국을 따라잡았다는 데 동의했다.[24][25][26][27]
2. 1. 최초의 한일전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대한민국과 일본의 첫 국제 경기로, 1954년 3월 7일과 3월 14일 양일간 일본 도쿄 메이지 신궁 외원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45] 원래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일본 대표팀의 입국을 거부하여 두 경기 모두 일본에서 열렸다.[5][6]1차전에서 대한민국은 5-1로 대승을 거두었다.[5] 이 경기에서 일본이 기록한 실점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대 대한민국전 최다 실점 기록으로 남아있다.[5] 2차전은 2-2 무승부로 끝났고, 총 점수 7-3으로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아시아 대표로 FIFA 월드컵에 첫 출전하게 되었다.[5][6]
이후 양국은 아시아 및 세계에서 수차례 격돌하며 발전하고 있다. 일본과 대한민국 사이의 역사적, 지역적 갈등은 1945년까지의 일제의 한국 지배를 포함하여 두 나라 간의 축구 라이벌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2. 2. 한일 정기전 (1972년 ~ 1991년)
1972년부터 한일 정기전이 시작되어,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개최된 제1회 정기전은 2-2 무승부였다. 1991년의 제15회까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10승 2무 3패로 우세했다.이후 정기전 개최는 중단되었으며, 2013년에는 정몽규 대한축구협회 회장이 기자단에게 일본 축구 협회와 2014년 10~11월 경 친선 경기를 개최하는 데 합의했으며 이후 매년 정기전을 개최할 것을 밝혔다고 보도되었지만, 2014년 10월 6일에 예정되었던 경기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홍명보 감독의 사임으로 연기되었다.
2. 3. 1990년대 이후의 경쟁 심화
1996년에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가 결정되자, 축구를 통해 한일 관계를 호전시키려는 분위기가 고조되었다.[47]1997년 11월 1일에 열린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 9차전에서, 월드컵 출전이 불투명했던 일본은 원정에서 이미 출전을 확정지은 한국과 대결하여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한국의 응원단 붉은 악마[47]는 일본을 향해 "Let's Go To France Together (프랑스로 함께 가자)"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었고[48], 경기 후에는 양쪽 서포터 간의 에일 교환이 이루어졌다.[47]
이 "Together(함께)"라는 단어는, 이후 2002년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출판된 양국의 선수 (나카타 히데토시 및 홍명보)의 공동 저서[49][50], 그리고 Voices of KOREA/JAPAN에 의한 동 대회 공식 주제가 제목에서도 나타난다.
2. 4.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
1996년에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가 결정되자, 축구를 통해 한일 관계를 호전시키려는 분위기가 고조되었다[47]。1997년 11월 1일에 열린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B조 9차전에서, 월드컵 출전이 불투명했던 일본은 원정에서 이미 출전을 확정지은 한국과 대결하여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한국의 응원단 '레드 데블스'[47]는 일본을 향해 "Let's Go To France Together (프랑스로 함께 가자)"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었고[48], 경기 후에는 양쪽 서포터 간의 에일 교환이 이루어졌다[47]。
이 "Together(함께)"라는 단어는, 이후 2002년 FIFA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출판된 양국의 선수 (나카타 히데토시 및 홍명보)의 공동 저서[49][50], 그리고 Voices of KOREA/JAPAN에 의한 동 대회 공식 주제가 제목에서도 나타난다.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하였으며, 월드컵 공동 개최를 계기로 양국 간 축구 교류와 협력이 증진되었다.
2. 5. 최근의 상황 (2010년대 ~ 현재)
3. 주요 대회
두 국가가 겨룰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경기는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예선 및 AFC 아시안컵이다. 2024년 현재, 이 수준에서의 마지막 만남은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과 2011년 AFC 아시안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FIFA 월드컵에서는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다.
EAFF 챔피언십에서는 두 나라 모두 유럽에서 활약하는 최고의 선수들보다는 자국 리그 선수들을 주로 기용한다.[28] 양국 간 1군 선수단과 자국 리그 선수단 간의 수준 차이는 유럽에서 뛰는 선수들의 수에 달려있다. 일본은 2010년대 이후 유럽파 선수들이 급증하면서 자국 리그 선수단이 3군[29][30] 또는 4군[31]으로 묘사된다. 반면, 2020년대 중반 현재 대한민국 1군은 유럽 출신 선수가 많지 않아, EAFF의 자국 리그 선수단은 1.5군 또는 "1.5군보다 약간 아래" 선수단으로 묘사된다.[32][33][34] 하지만 일본과 한국의 팬과 언론은 여전히 EAFF 라이벌전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다. 일본 대표팀 감독 바히드 할릴호지치는 3군 선수들을 기용하여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도쿄에서 대한민국에 4-1로 패배[30]했고, 이는 국내에서 거센 비판을 불러일으키며 그가 2018 FIFA 월드컵 직전에 경질되는 데 기여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축구 종목에서도 경쟁한다. 2024년 4월 22일 기준 통산 전적은 18전 8승 4무 6패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55][56]
횟수 | 일자 | 대한민국 | 결과 | 일본 | 대회 | 장소 |
---|---|---|---|---|---|---|
1 | 1992-01-27 | 김병수 | 1 - 0 | - | 199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2 | 1995-01-14 | 최용수 | 1 - 0 | - | 호주 4개국 대회 | 시드니 |
3 | 1996-03-27 | 이상헌, 최용수 | 2 - 1 | 조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4 | 1999-09-07 | 최철우 | 1 - 4 | 후쿠다, 히라세 (2골), 엔도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5 | 1999-09-27 | - | 0 - 1 | 후쿠다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6 | 2003-07-23 | 최태욱 | 1 - 1 | 조병국 (자책골)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7 | 2003-09-17 | 김동진 (2골) | 2 - 1 | 다카마츠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8 | 2004-02-21 | - | 0 - 2 | 마쓰이, 모리사키 | 친선 경기 | 오사카 나가이 육상 경기장 |
9 | 2004-07-21 | - | 0 - 0 | -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10 | 2006-07-14 | 박주영 | 1 - 1 | 안태은 (자책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종합운동장 |
11 | 2006-11-21 | 양동현 | 1 - 1 | 마스다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12 | 2009-12-19 | 조영철 | 1 - 2 | 야마다 (2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축구센터 |
13 | 2012-08-10 | 박주영, 구자철 | 2 - 0 | - |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결정전 | 카디프 밀레니엄 스타디움 |
14 | 2014-09-28 | 장현수 (PK) | 1 - 0 | - | 2014년 아시안 게임 8강전 | 인천 인천문학경기장 |
15 | 2016-01-30 | 권창훈, 진성욱 | 2 - 3 | 아사노 (2골), 야지마 |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
16 | 2018-09-01 | 황희찬, 이승우 | 2 - 1 | 우에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결승전 | 치비농 파칸사리 스타디움 |
17 | 2023-10-07 | 정우영, 조영욱 | 2 - 1 | K.우치노 | 2022년 아시안 게임(2023년 개최) 결승전 | 항저우시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18 | 2024-04-22 | 이태석 | 1 - 0 | - | 202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최종전 | 알라이얀,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3. 1. FIFA 월드컵
대한민국과 일본은 FIFA 월드컵 본선에서 만난 적은 없지만,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과 같이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는 여러 차례 맞붙었다.[28]3. 2. AFC 아시안컵
두 팀은 AFC 아시안컵 본선과 예선에서 경쟁 관계에 있다.[28] 2024년 현재, 이 수준에서 마지막으로 만난 것은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과 2011년 AFC 아시안컵이었다. FIFA 월드컵 본선에서는 아직 만난 적이 없다.3. 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동아시안컵)
EAFF 챔피언십에서는 대한민국과 일본 모두 유럽에서 활약하는 선수들보다는 자국 리그 선수들을 주로 기용한다.[28] 일본은 2010년대 이후 유럽파 선수들이 급증하면서 자국 리그 선수단이 3군[29][30] 또는 4군[31]으로 묘사된다. 반면, 2020년대 중반 현재 대한민국 1군은 유럽 출신 선수가 많지 않아, EAFF의 자국 리그 선수단은 1.5군 또는 "1.5군보다 약간 아래" 선수단으로 묘사된다.[32][33][34]
하지만 일본과 한국의 팬과 언론은 여전히 EAFF 라이벌전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다. 일본 대표팀 감독 바히드 할릴호지치는 3군 선수들을 기용하여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도쿄에서 대한민국에 4-1로 패배[30]했고, 이는 국내에서 거센 비판을 불러일으키며 그가 2018 FIFA 월드컵 직전에 경질되는 데 기여했다.
3. 4. 올림픽 및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과 일본은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 축구 종목에서도 경쟁한다. 2024년 4월 22일 기준 통산 전적은 18전 8승 4무 6패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55][56]횟수 | 일자 | 대한민국 | 결과 | 일본 | 대회 | 장소 |
---|---|---|---|---|---|---|
1 | 1992-01-27 | 김병수 | 1 - 0 | - | 199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2 | 1995-01-14 | 최용수 | 1 - 0 | - | 호주 4개국 대회 | 시드니 |
3 | 1996-03-27 | 이상헌, 최용수 | 2 - 1 | 조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4 | 1999-09-07 | 최철우 | 1 - 4 | 후쿠다, 히라세 (2골), 엔도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5 | 1999-09-27 | - | 0 - 1 | 후쿠다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6 | 2003-07-23 | 최태욱 | 1 - 1 | 조병국 (자책골)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7 | 2003-09-17 | 김동진 (2골) | 2 - 1 | 다카마츠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8 | 2004-02-21 | - | 0 - 2 | 마쓰이, 모리사키 | 친선 경기 | 오사카 나가이 육상 경기장 |
9 | 2004-07-21 | - | 0 - 0 | -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10 | 2006-07-14 | 박주영 | 1 - 1 | 안태은 (자책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종합운동장 |
11 | 2006-11-21 | 양동현 | 1 - 1 | 마스다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12 | 2009-12-19 | 조영철 | 1 - 2 | 야마다 (2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축구센터 |
13 | 2012-08-10 | 박주영, 구자철 | 2 - 0 | - |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결정전 | 카디프 밀레니엄 스타디움 |
14 | 2014-09-28 | 장현수 (PK) | 1 - 0 | - | 2014년 아시안 게임 8강전 | 인천 인천문학경기장 |
15 | 2016-01-30 | 권창훈, 진성욱 | 2 - 3 | 아사노 (2골), 야지마 |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
16 | 2018-09-01 | 황희찬, 이승우 | 2 - 1 | 우에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결승전 | 치비농 파칸사리 스타디움 |
17 | 2023-10-07 | 정우영, 조영욱 | 2 - 1 | K.우치노 | 2022년 아시안 게임(2023년 개최) 결승전 | 항저우시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18 | 2024-04-22 | 이태석 | 1 - 0 | - | 202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최종전 | 알라이얀,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4. 역대 전적
4. 1. 남자 성인 대표팀
2022년 7월 27일 기준, 총 81경기에서 대한민국이 42승 23무 16패로 우세하다. 대한민국은 홈에서 15승 3무 5패, 원정에서 16승 8무 8패, 중립 지역에서 11승 12무 3패를 기록했다.[35]==== 경기 목록 (남자 성인 대표팀) ====
4. 1. 1. 경기 목록 (남자 성인 대표팀)
wikitext4. 2. 여자 성인 대표팀
2024년 10월 26일 기준, 여자 성인 대표팀의 통산 전적은 4승 11무 19패로 대한민국이 열세이다.[35]No. | 날짜 | 경기장 | 대회 | 홈팀 | 결과 | 원정팀 | 홈팀 득점 | 원정팀 득점 | 참고 |
---|---|---|---|---|---|---|---|---|---|
1 | 1990년 9월 6일 | 동대문운동장, 서울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1–13 | 일본 | 강귀녀 (67) | 한다 에츠코 (2, 10), 테즈카 타카코 (8, 16, 38, 55), 나가미네 가오리 (15, 80), 키오카 후타바 (21, 67), 마츠다 미치코 (32), 노다 아케미 (39), 혼다 미도리 (75) | |
2 | 1990년 9월 9일 | 동대문운동장, 서울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0–5 | 일본 | align=left| | 구로다 교코 (21), 테즈카 타카코 (25, 42), 키오카 후타바 (30), 타카쿠라 아사코 (63) | |
3 | 1990년 9월 29일 | 하이뎬 경기장, 베이징 | 1990년 아시안 게임 | 일본 | 8–1 | 대한민국 | 키오카 후타바 (22, 34), 나가미네 가오리 (40, 46), 한다 에츠코 (64), 노다 아케미 (73), 히로나카 가즈코 (75), 미즈마 유리코 (77) | 한은경 | |
4 | 1994년 10월 4일 | 다케가하나 경기장, 후쿠야마 | 1994년 아시안 게임 | 일본 | 5–0 | 대한민국 | |||
5 | 1995년 9월 23일 | 코타키나발루 | 1995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일본 | 1–0 | 대한민국 | 노다 아케미 (63) | align=left| | |
6 | 1998년 10월 24일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1–1 | 일본 | 차성미 | align=left| | |
7 | 1998년 10월 26일 | 미사리 축구 경기장, 하남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1–1 | 일본 | 진숙희 | align=left| | |
8 | 1999년 5월 30일 | 니시쿄고쿠 육상 경기장, 교토 | 친선 경기 | 일본 | 1–1 | 대한민국 | 우치야마 타마키 (31) | 사카이 토모에 (24 o.g.) | |
9 | 1999년 6월 3일 | 국립 경기장, 도쿄 | 친선 경기 | 일본 | 3–2 | 대한민국 | 오타케 나미 (13), 우치야마 타마키 (73), 코바야시 야요이 (82) | 차성미 (15), 권민주 (20) | |
10 | 2001년 8월 3일 |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 울산 | 토토컵 | 대한민국 | 1–1 | 일본 | 강선미 (19) | 코바야시 야요이 (35) | |
11 | 2001년 12월 14일 | 윈린 현립 경기장, 더우난 | 2001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대한민국 | 1–2 | 일본 | 이지은 (27) | 코바야시 야요이 (10), 오타니 미오 (89) | |
12 | 2002년 8월 31일 | 우한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0–0 | 일본 | |||
13 | 2002년 10월 7일 | 마산종합운동장, 마산 | 2002년 아시안 게임 | 대한민국 | 0–1 | 일본 | align=left| | 사와 호마레 (15) | |
14 | 2003년 6월 21일 |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방콕 | 200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일본 | 0–1 | 대한민국 | align=left| | 황인선 (18) | |
15 | 2003년 7월 22일 | 센다이 스타디움, 센다이 | 친선 경기 | 일본 | 5–0 | 대한민국 | 오타니 미오 (5), 미야모토 토모미 (41), 아라카와 에리코 (71, 83), 미야마 아야 (79) | align=left| | |
16 | 2005년 8월 6일 | 대구월드컵경기장, 대구 | 200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대한민국 | 0–0 | 일본 | |||
17 | 2006년 12월 10일 |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 | 2006년 아시안 게임 | 일본 | 3–1 | 대한민국 | 이와시미즈 아즈사 (47), 야나기타 미유키 (72), 나가사토 유키 (82) | 박희영 (89) | |
18 | 2007년 6월 3일 | 국립 경기장, 도쿄 |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 | 일본 | 6–1 | 대한민국 | 미야모토 토모미 (18), 오노 시노부 (20), 아라카와 에리코 (23), 이계림 (34 o.g.), 오타니 미오 (65), 사와 호마레 (67) | 정해인 (73) | |
19 | 2007년 6월 10일 | 부천종합운동장, 부천 |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 | 대한민국 | 2–2 | 일본 | 김진희 (4), 박희영 (63) | 오노 시노부 (10), 미야마 아야 (36) | |
20 | 2008년 2월 21일 | 용천 경기장, 충칭 | 2008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일본 | 2–0 | 대한민국 | 아라카와 에리코 (14), 오노 시노부 (56) | align=left| | |
21 | 2008년 5월 29일 | 통 녓 스타디움, 호치민 |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일본 | 1–3 | 대한민국 | 나가사토 유키 (10) | 차윤희 (18), 박희영 (31, 54) | |
22 | 2010년 2월 13일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 2010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일본 | 2–1 | 대한민국 | 오노 시노부 (7), 야마구치 마미 (17) | 유영아 (75) | |
23 | 2011년 6월 18일 | 닌기어 스타디움, 마쓰야마 | 친선 경기 | 일본 | 1–1 | 대한민국 | 미야마 아야 (70) | 지소연 (75) | |
24 | 2011년 9월 3일 |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지난 | 2012년 하계 올림픽 예선 | 대한민국 | 1–2 | 일본 | 지소연 (30) | 사카구치 미즈호 (10), 오노 시노부 (45+1) | |
25 | 2013년 7월 27일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여자 | 대한민국 | 2–1 | 일본 | 지소연 (13, 66) | 나가사토 유키 (72) | |
26 | 2015년 8월 4일 | 우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우한 |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일본 | 1–2 | 대한민국 | 나카지마 에미 (30) | 조소현 (54), 전가을 (90+3) | |
27 | 2016년 3월 2일 | 킨초 스타디움, 오사카 | 2016년 하계 올림픽 예선 | 일본 | 1–1 | 대한민국 | 이와부치 마나 (84) | 정설빈 (87) | |
28 | 2017년 12월 8일 |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일본 | 3–2 | 대한민국 | 다나카 미나 (8), 나카지마 에미 (71), 이와부치 마나 (83) | 조소현 (14 (PK)), 한채린 (80) | |
29 | 2018년 4월 10일 | 암만 국제 경기장, 암만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대한민국 | 0–0 | 일본 | |||
30 | 2018년 8월 28일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2018년 아시안 게임 | 대한민국 | 1–2 | 일본 | 이민아 (68) | 스가사와 유이카 (5), 임선주 (86 o.g.) | |
31 | 2019년 12월 17일 | 부산 구덕 운동장, 부산 |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대한민국 | 0–1 | 일본 | align=left| | 모미키 유카 (88 (PK)) | |
32 | 2022년 1월 27일 | 쉬 슈리 시브 차트라파티 스포츠 콤플렉스, 푸네 |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 일본 | 1–1 | 대한민국 | 우에키 리코 (1) | 서지연 (85) | |
33 | 2022년 7월 19일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일본 | 2–1 | 대한민국 | 미야자와 히나타 (33), 나가노 후카 (65) | 지소연 (59) | |
34 | 2024년 10월 26일 | 일본 국립 경기장, 도쿄 | 친선 경기 | 일본 | 4–0 | 대한민국 | 키타가와 히카루 (32), 후지노 아오바 (34), 다나카 미나 (37), 타니카와 모모코 (56) | align=left| | |
4. 2. 1. 경기 목록 (여자 성인 대표팀)
2018년 8월 30일 기준 여자 성인 대표팀의 통산 전적은 4승 10무 16패로 대한민국의 열세이다.No. | 날짜 | 경기장 | 대회 | 홈팀 | 결과 | 원정팀 | 홈팀 득점 | 원정팀 득점 | 참고 |
---|---|---|---|---|---|---|---|---|---|
1 | 1990년 9월 6일 | 동대문운동장, 서울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1–13 | 일본 | 강귀녀 (67) | 한다 에츠코 (2, 10), 테즈카 타카코 (8, 16, 38, 55), 나가미네 가오리 (15, 80), 키오카 후타바 (21, 67), 마츠다 미치코 (32), 노다 아케미 (39), 혼다 미도리 (75) | |
2 | 1990년 9월 9일 | 대한민국 | 0–5 | 일본 | align=left| | 구로다 교코 (21), 테즈카 타카코 (25, 42), 키오카 후타바 (30), 타카쿠라 아사코 (63) | |||
3 | 1990년 9월 29일 | 하이뎬 경기장, 베이징 | 1990년 아시안 게임 | 일본 | 8–1 | 대한민국 | 키오카 후타바 (22, 34), 나가미네 가오리 (40, 46), 한다 에츠코 (64), 노다 아케미 (73), 히로나카 가즈코 (75), 미즈마 유리코 (77) | 한은경 | |
4 | 1994년 10월 4일 | 다케가하나 경기장, 후쿠야마 | 1994년 아시안 게임 | 일본 | 5–0 | 대한민국 | |||
5 | 1995년 9월 23일 | 코타키나발루 | 1995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일본 | 1–0 | 대한민국 | 노다 아케미 (63) | align=left| | |
6 | 1998년 10월 24일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1–1 | 일본 | 차성미 | align=left| | |
7 | 1998년 10월 26일 | 미사리 축구 경기장, 하남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1–1 | 일본 | 진숙희 | align=left| | |
8 | 1999년 5월 30일 | 니시쿄고쿠 육상 경기장, 교토 | 친선 경기 | 일본 | 1–1 | 대한민국 | 우치야마 타마키 (31) | 사카이 토모에 (24 o.g.) | |
9 | 1999년 6월 3일 | 국립 경기장, 도쿄 | 친선 경기 | 일본 | 3–2 | 대한민국 | 오타케 나미 (13), 우치야마 타마키 (73), 코바야시 야요이 (82) | 차성미 (15), 권민주 (20) | |
10 | 2001년 8월 3일 |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 울산 | 토토컵 | 대한민국 | 1–1 | 일본 | 강선미 (19) | 코바야시 야요이 (35) | |
11 | 2001년 12월 14일 | 윈린 현립 경기장, 더우난 | 2001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대한민국 | 1–2 | 일본 | 이지은 (27) | 코바야시 야요이 (10), 오타니 미오 (89) | |
12 | 2002년 8월 31일 | 우한 | 친선 경기 | 대한민국 | 0–0 | 일본 | |||
13 | 2002년 10월 7일 | 마산종합운동장, 마산 | 2002년 아시안 게임 | 대한민국 | 0–1 | 일본 | align=left| | 사와 호마레 (15) | |
14 | 2003년 6월 21일 | 라자망갈라 국립경기장, 방콕 | 2003년 AFC 여자 선수권 대회 | 일본 | 0–1 | 대한민국 | align=left| | 황인선 (18) | |
15 | 2003년 7월 22일 | 센다이 스타디움, 센다이 | 친선 경기 | 일본 | 5–0 | 대한민국 | 오타니 미오 (5), 미야모토 토모미 (41), 아라카와 에리코 (71, 83), 미야마 아야 (79) | align=left| | |
16 | 2005년 8월 6일 | 대구월드컵경기장, 대구 | 200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대한민국 | 0–0 | 일본 | |||
17 | 2006년 12월 10일 | 카타르 SC 스타디움, 도하 | 2006년 아시안 게임 | 일본 | 3–1 | 대한민국 | 이와시미즈 아즈사 (47), 야나기타 미유키 (72), 나가사토 유키 (82) | 박희영 (89) | |
18 | 2007년 6월 3일 | 국립 경기장, 도쿄 |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 | 일본 | 6–1 | 대한민국 | 미야모토 토모미 (18), 오노 시노부 (20), 아라카와 에리코 (23), 이계림 (34 o.g.), 오타니 미오 (65), 사와 호마레 (67) | 정해인 (73) | |
19 | 2007년 6월 10일 | 부천종합운동장, 부천 | 대한민국 | 2–2 | 일본 | 김진희 (4), 박희영 (63) | 오노 시노부 (10), 미야마 아야 (36) | ||
20 | 2008년 2월 21일 | 용천 경기장, 충칭 | 2008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일본 | 2–0 | 대한민국 | 아라카와 에리코 (14), 오노 시노부 (56) | align=left| | |
21 | 2008년 5월 29일 | 통 녓 스타디움, 호치민 |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일본 | 1–3 | 대한민국 | 나가사토 유키 (10) | 차윤희 (18), 박희영 (31, 54) | |
22 | 2010년 2월 13일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 2010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일본 | 2–1 | 대한민국 | 오노 시노부 (7), 야마구치 마미 (17) | 유영아 (75) | |
23 | 2011년 6월 18일 | 닌기어 스타디움, 마쓰야마 | 친선 경기 | 일본 | 1–1 | 대한민국 | 미야마 아야 (70) | 지소연 (75) | |
24 | 2011년 9월 3일 | 지난 올림픽 스포츠 센터, 지난 | 2012년 하계 올림픽 예선 | 대한민국 | 1–2 | 일본 | 지소연 (30) | 사카구치 미즈호 (10), 오노 시노부 (45+1) | |
25 | 2013년 7월 27일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여자 | 대한민국 | 2–1 | 일본 | 지소연 (13, 66) | 나가사토 유키 (72) | |
26 | 2015년 8월 4일 | 우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우한 |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일본 | 1–2 | 대한민국 | 나카지마 에미 (30) | 조소현 (54), 전가을 (90+3) | |
27 | 2016년 3월 2일 | 킨초 스타디움, 오사카 | 2016년 하계 올림픽 예선 | 일본 | 1–1 | 대한민국 | 이와부치 마나 (84) | 정설빈 (87) | |
28 | 2017년 12월 8일 | 후쿠다 전자 아레나, 지바 |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일본 | 3–2 | 대한민국 | 다나카 미나 (8), 나카지마 에미 (71), 이와부치 마나 (83) | 조소현 (14 (PK)), 한채린 (80) | |
29 | 2018년 4월 10일 | 암만 국제 경기장, 암만 | 2018년 AFC 여자 아시안컵 | 대한민국 | 0–0 | 일본 | |||
30 | 2018년 8월 28일 |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 팔렘방 | 2018년 아시안 게임 | 대한민국 | 1–2 | 일본 | 이민아 (68) | 스가사와 유이카 (5), 임선주 (86 o.g.) | |
31 | 2019년 12월 17일 | 부산 구덕 운동장, 부산 |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대한민국 | 0–1 | 일본 | align=left| | 모미키 유카 (88 (PK)) | |
32 | 2022년 1월 27일 | 쉬 슈리 시브 차트라파티 스포츠 콤플렉스, 푸네 |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 일본 | 1–1 | 대한민국 | 우에키 리코 (1) | 서지연 (85) | |
33 | 2022년 7월 19일 |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가시마 |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일본 | 2–1 | 대한민국 | 미야자와 히나타 (33), 나가노 후카 (65) | 지소연 (59) | |
34 | 2024년 10월 26일 | 일본 국립 경기장, 도쿄 | 친선 경기 | 일본 | 4–0 | 대한민국 | 키타가와 히카루 (32), 후지노 아오바 (34), 다나카 미나 (37), 타니카와 모모코 (56) | align=left| | |
4. 3. 연령별 대표팀 (남자)
202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최종전에서 이태석의 골로 대한민국이 일본에 1-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는 카타르 알라이얀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열렸다.2024년 4월 22일 기준, U-23 대표팀 간의 총 전적은 18전 8승 4무 6패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
# | 일자 | 대한민국 | 결과 | 일본 | 대회 | 장소 |
---|---|---|---|---|---|---|
1 | 1992-01-27 | 김병수 | 1 - 0 | - | 199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2 | 1995-01-14 | 최용수 | 1 - 0 | - | 호주 4개국 대회 | 시드니, 미상 |
3 | 1996-03-27 | 이상헌, 최용수 | 2 - 1 | 조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4 | 1999-09-07 | 최철우 | 1 - 4 | 후쿠다, 히라세 (2골), 엔도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5 | 1999-09-27 | - | 0 - 1 | 후쿠다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6 | 2003-07-23 | 최태욱 | 1 - 1 | 조병국 (자책골)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7 | 2003-09-17] | 김동진 (2골) | 2 - 1 | 다카마츠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8 | 2004-02-21 | - | 0 - 2 | 마쓰이, 모리사키 | 친선 경기 | 오사카, 나가이 육상 경기장 |
9 | 2004-07-21 | - | 0 - 0 | -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10 | 2006-07-14 | 박주영 | 1 - 1 | 안태은 (자책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종합운동장 |
11 | 2006-11-21 | 양동현 | 1 - 1 | 마스다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12 | 2009-12-19 | 조영철 | 1 - 2 | 야마다 (2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축구센터 |
13 | 2012-08-10 | 박주영, 구자철 | 2 - 0 | - |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결정전 | 카디프, 밀레니엄 스타디움 |
14 | 2014-09-28 | 장현수 (PK) | 1 - 0 | - | 2014년 아시안 게임 8강전[55] | 인천, 인천문학경기장 |
15 | 2016-01-30 | 권창훈, 진성욱 | 2 - 3 | 아사노 (2골), 야지마 |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56] 결승전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
16 | 2018-09-01 | 황희찬, 이승우 | 2 - 1 | 우에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결승전 | 치비농, 파칸사리 스타디움 |
17 | 2023-10-07 | 정우영, 조영욱 | 2 - 1 | K.우치노 | 2022년 아시안 게임(2023년 개최) 결승전 | 항저우시,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18 | 2024-04-22 | 이태석 | 1 - 0 | - | 202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최종전 | 알라이얀,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4. 3. 1. U-23 대표팀
202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최종전에서 이태석의 골로 대한민국이 일본에 1-0으로 승리했다.[56] 이 경기는 카타르 알라이얀의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에서 열렸다.2024년 4월 22일 기준, U-23 대표팀 간의 총 전적은 20전 10승 4무 6패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
# | 일자 | 대한민국 | 결과 | 일본 | 대회 | 장소 |
---|---|---|---|---|---|---|
1 | 1992-01-27 | 김병수 | 1 - 0 | - | 199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2 | 1995-01-14 | 최용수 | 1 - 0 | - | 호주 4개국 대회 | 시드니, 미상 |
3 | 1996-03-27 | 이상헌, 최용수 | 2 - 1 | 조 | 1996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 쿠알라룸푸르, 메르데카 경기장 |
4 | 1999-09-07 | 최철우 | 1 - 4 | 후쿠다, 히라세 (2골), 엔도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5 | 1999-09-27 | - | 0 - 1 | 후쿠다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6 | 2003-07-23 | 최태욱 | 1 - 1 | 조병국 (자책골)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7 | 2003-09-17] | 김동진 (2골) | 2 - 1 | 다카마츠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8 | 2004-02-21 | - | 0 - 2 | 마쓰이, 모리사키 | 친선 경기 | 오사카, 나가이 육상 경기장 |
9 | 2004-07-21 | - | 0 - 0 | - | 친선 경기 |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
10 | 2006-07-14 | 박주영 | 1 - 1 | 안태은 (자책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종합운동장 |
11 | 2006-11-21 | 양동현 | 1 - 1 | 마스다 | 친선 경기 | 도쿄, 국립경기장 |
12 | 2009-12-19 | 조영철 | 1 - 2 | 야마다 (2골) | 친선 경기 | 창원, 창원축구센터 |
13 | 2012-08-10 | 박주영, 구자철 | 2 - 0 | - | 201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결정전 | 카디프, 밀레니엄 스타디움 |
14 | 2014-09-28 | 장현수 (PK) | 1 - 0 | - | 2014년 아시안 게임 8강전[55] | 인천, 인천문학경기장 |
15 | 2016-01-30 | 권창훈, 진성욱 | 2 - 3 | 아사노 (2골), 야지마 | 2016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56] 결승전 | 도하, 압둘라 빈 할리파 경기장 |
16 | 2018-09-01 | 황희찬, 이승우 | 2 - 1 | 우에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결승전 | 치비농, 파칸사리 스타디움 |
17 | 2023-10-07 | 정우영, 조영욱 | 2 - 1 | K.우치노 | 2022년 아시안 게임(2023년 개최) 결승전 | 항저우시, 황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
18 | 2024-04-22 | 이태석 | 1 - 0 | - | 2024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B조 최종전 | 알라이얀,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
4. 3. 2. U-20 대표팀
내용이 비어있습니다.4. 3. 3. U-17 대표팀
내용이 비어 있습니다.5. 기타
풋살이나 유니버시아드 대표팀 간의 경기도 한일전으로 간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South Korea matches
https://www.rsssf.or[...]
2021-03-04
[2]
웹사이트
FIFA Century Club
https://digitalhub.f[...]
FIFA
2024-04-19
[3]
뉴스
日韓サッカー対戦成績で両国に3試合のズレ…なぜ?
https://www.nikkansp[...]
2021-03-25
[4]
웹사이트
日本代表 試合別出場記録
http://www.jfa.or.jp[...]
2008-06-22
[5]
뉴스
The world's greatest international football rivalries – ranked and reviewed
https://www.theguard[...]
2014-11-17
[6]
뉴스
A rivalry is born in Tokyo
https://web.archive.[...]
FIFA
2019-10-05
[7]
뉴스
박정희는 '축구 한일전'의 수혜자였다
https://www.ohmynews[...]
OhmyNews
2007-03-02
[8]
뉴스
한일 축구정기전 부활
https://news.kbs.co.[...]
KBS
1996-06-06
[9]
뉴스
한일 축구 정기전 15년 만에 부활
https://www.joongang[...]
2006-08-03
[10]
뉴스
정몽규, "한일 정기전 부활 시킨다"
https://www.chosun.c[...]
2013-07-26
[11]
뉴스
サッカー日韓戦 "10年の謎" 2011年以来、なぜ親善試合がなかったのか
https://news.yahoo.c[...]
2021-03-24
[12]
뉴스
マッチレポート: 日時2021年3月25日19:25
https://www.jfa.jp/n[...]
2021-03-25
[13]
뉴스
代表親善試合 日本 vs. 韓国 試合経過
https://soccer.yahoo[...]
2021-03-25
[14]
뉴스
代表親善試合 日本 vs. 韓国 試合テキスト速報
https://soccer.yahoo[...]
2021-03-25
[15]
뉴스
公式記録[U16]U-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ドリームカップ2022 JAPAN presented by JFA 第1節 【2】
https://www.jfa.jp/n[...]
2022-06-08
[16]
뉴스
日程・結果[2]第1節2022年06月08日18:00 KickOff ユアテックスタジアム仙台
https://www.jfa.jp/m[...]
2022-06-08
[17]
뉴스
AFC U23アジアカップ6月12日(日)U-23韓国 0–3 U-21日本テキスト速報
https://soccer.sport[...]
2022-06-12
[18]
뉴스
U23アジアカップ 準々決勝 試合経過
https://soccer.yahoo[...]
2022-06-13
[19]
뉴스
マッチレポート: 日時2022年7月27日19:20
https://www.jfa.jp/n[...]
2022-07-27
[20]
뉴스
E-1選手権第3節日本 vs. 韓国 試合経過
https://soccer.yahoo[...]
2022-07-27
[21]
뉴스
E-1選手権第3節日本 vs. 韓国 テキスト速報
https://soccer.yahoo[...]
2022-07-27
[22]
뉴스
South Korea U17 – Japan U17
https://www.sofascor[...]
[23]
뉴스
【U17】日本連覇!名和田我空2ゴール&道脇豊ダメ押し 日韓戦制し4度目アジア王者/詳細
https://www.nikkansp[...]
2023-07-03
[24]
뉴스
Korea-Japan rivalry is becoming a very one-sided affair
https://koreajoongan[...]
2023-08-22
[25]
뉴스
"[한·일 축구 벌어지는 격차 ①]일본 유럽파, 한국 5배…이제 '12척 배'로 못이긴다"
https://www.joongang[...]
2023-08-07
[26]
뉴스
"[한·일 축구 벌어지는 격차②]축구인 80% “이미 10년전 일본에 추월 당해”"
https://www.joongang[...]
2023-08-07
[27]
뉴스
"[한일 축구 벌어지는 격차③]유럽행 길 터주고 전진 기지 만들자"
https://www.joongang[...]
2023-08-08
[28]
뉴스
Squad for EAFF lacks superstars, calls up 8 fresh players
https://koreajoongan[...]
JoongAng Ilbo
2017-11-21
[29]
뉴스
또 충격!! 한달만에 찾아온 한일전 참사, 0대3은 '기본값'이 됐다
https://www.chosun.c[...]
2022-07-27
[30]
뉴스
한국과 일본, 마지막에 희비를 가른 차이
https://www.interfoo[...]
2017-12-17
[31]
뉴스
Our verdict: Ahead of the World Cup, what did we learn from EAFF E-1 Championships
https://www.theasian[...]
2022-08-07
[32]
뉴스
주전-비주전 격차 재확인, 월드컵서 한 자리만 펑크나도 큰일
https://www.sportsse[...]
2022-07-29
[33]
뉴스
그들만의 잔치? ‘애물단지’ E-1 챔피언십, 의미를 찾았으면
https://sports.donga[...]
2022-07-29
[34]
뉴스
한일전, 한국 '1.5군' vs 일본 'U-23' 자존심 싸움…객관적 전력 우세
https://www.etoday.c[...]
2019-12-18
[35]
웹사이트
All-time record per countries
https://www.kfa.or.k[...]
Korea Football Association
2021-03-04
[36]
뉴스
2002W杯までのトルシエ・ジャパン戦績: 韓国×日本(韓国・ソウル)
https://www.asahi-ne[...]
2000-04-26
[37]
뉴스
2002W杯までのトルシエ・ジャパン戦績:2000年12月20日: 日本×韓国(東京・国立霞ヶ丘競技場)
https://www.asahi-ne[...]
2000-12-20
[38]
뉴스
マッチレポート2010年5月24日
http://samuraiblue.j[...]
2010-05-24
[39]
뉴스
AFC Asian Cup Qatar 2011 Match summary: Match 29
http://www.the-afc.c[...]
2011-01-25
[40]
뉴스
日本 - 韓国 スコア速報 - アジア杯2011
https://www.nikkansp[...]
2011-01-25
[41]
뉴스
マッチレポート2011年8月10日
https://www.jfa.or.j[...]
2011-08-10
[42]
뉴스
森保ジャパン無得点で敗戦/東アジアE1選手権詳細
https://www.nikkansp[...]
2019-12-18
[43]
뉴스
韓国対日本 スコア詳細
https://www.nikkansp[...]
2019-12-18
[44]
웹사이트
ザック日韓戦「伊vs独と同等」/アジア杯
http://www.sanspo.co[...]
2011-08-09
[45]
문서
[46]
뉴스
10・6日韓戦は延期 韓国監督決まらず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14-07-23
[47]
웹사이트
縮まる日韓の距離・若者に新しい芽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7-09-15
[48]
웹사이트
(8)仏W杯予選、友好・共存共栄の世紀へ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7-09-15
[49]
서적
中田英寿・洪明甫 TOGETHER ― 2002ワールドカップBook
講談社
2001
[50]
뉴스
韓日サッカー対決、泥の上で始まった58年の歴史(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2-08-10
[51]
문서
[52]
문서
[53]
뉴스
영원한 미궁” 최초의 한일전 득점 기록은 왜 ‘미스터리’인가 [국영호의 스포츠人사이드#7]
https://sports.news.[...]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