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95년 성균관대학교 입학시험 오류 사건은 해당 해에 출제된 수학 II 7번 문제의 오류를 성균관대학교 김명호 교수가 지적하면서 시작되었다. 문제의 논리적 모순을 지적했음에도 학교 측은 채점 기준을 변경하여 문제를 옹호했고, 김 교수는 징계와 재임용 탈락 등의 불이익을 받았다. 이후 법원 소송 과정에서 대한수학회와 고등과학원은 문제의 오류 여부에 대해 답변을 거부했으나, SBS 《그것이 알고싶다》 취재팀의 문의에는 오류를 인정했다. 김명호 교수는 재임용 거부 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이 사건은 학문적 양심, 대학의 권위, 사법부의 판단, 언론의 역할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파장을 일으켰다.
2. 시험 문제와 오류
1995년 성균관대학교 입학시험에서 출제된 수학II 7번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00점 만점에 15점이 배점된 이 문제는 영벡터가 아닌 세 공간 벡터 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하여 |xa + yb + zc| ≥ |xa| + |yb|를 만족할 때 임을 증명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문제의 전제 조건인 |xa + yb + zc| ≥ |xa| + |yb|를 풀면 벡터 와 벡터 중 하나는 영벡터가 되어야 한다는 논리적 모순이 발생한다. 김명호 교수가 이 문제를 지적한 후, 학교 측은 채점 기준을 제시했다. 학교 측은 이 문제를 '영벡터가 아닌 세 벡터 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해 조건명제 p이면 조건명제 q'라는 방식으로 바꾸어 설명했다. 전제조건 p를 만족하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건명제 p의 진리집합은 공집합이고, 이는 조건명제 q의 진리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p→q'라는 조건명제는 참이라고 주장했다.
민사소송 과정에서 법원은 고등과학원(명효철 교수)과 대한수학회(회장 충남대학교 주진구 교수)에 문제의 오류 여부를 문의했으나, 두 기관 모두 답변을 거절했다. 이후 SBS 《그것이 알고싶다》 취재팀이 다시 문의하자, 두 기관은 기존 입장을 번복하고 문제가 틀렸다고 답변했다.
2. 1. 문제 내용과 논리적 모순
1995년 성균관대학교 입학시험에서 출제된 수학II 7번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00점 만점에 15점이 배점된 이 문제는 영벡터가 아닌 세 공간 벡터 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하여 |xa + yb + zc| ≥ |xa| + |yb|를 만족할 때 임을 증명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문제의 전제 조건인 |xa + yb + zc| ≥ |xa| + |yb|를 풀면 벡터 와 벡터 중 하나는 영벡터가 되어야 한다는 논리적 모순이 발생한다. 김명호 교수가 이 문제를 지적한 후, 학교 측은 채점 기준을 제시했다. 학교 측은 이 문제를 '영벡터가 아닌 세 벡터 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해 조건명제 p이면 조건명제 q'라는 방식으로 바꾸어 설명했다. 전제조건 p를 만족하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건명제 p의 진리집합은 공집합이고, 이는 조건명제 q의 진리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p→q'라는 조건명제는 참이라고 주장했다.
민사소송 과정에서 법원은 고등과학원(명효철 교수)과 대한수학회(회장 충남대 주진구 교수)에 문제의 오류 여부를 문의했으나, 두 기관 모두 답변을 거절했다. 이후 SBS 《그것이 알고싶다》 취재팀이 다시 문의하자, 두 기관은 기존 입장을 번복하고 문제가 틀렸다고 답변했다.
2. 2. 학교 측의 채점 기준
1995년 당시 성균관대학교에서 출제한 수학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100점 만점에 15점 배점이었다.
:"영벡터가 아닌 세 공간 벡터 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