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1998년 총선에서 집권한 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의 연립 정부에 대한 평가를 받는 선거였다.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는 기민/기사 연합이 우세했으나, 선거 중반의 홍수와 슈토이버의 이라크 전쟁 참전 발언으로 사회민주당이 막판에 지지율을 따라잡았다.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은 근소한 차이로 과반 의석을 확보하여 재집권에 성공했다. 사회민주당은 6,000표 차이로 기민련을 제치고 제1당을 차지했으며, 민주사회당은 의석수가 크게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독일 - 제5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2002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폴 그린그래스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영화가 황금곰상을 공동 수상하고, 미라 네어 감독이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한국 영화가 초청되어 국제적인 관심을 받은 영화 행사이다. - 2002년 독일 - 2002년 위버링겐 공중 충돌 사고
2002년 7월 1일 독일 남부 보덴 호 상공에서 바시키르 항공 2937편과 DHL 항공 611편이 공중 충돌하여 탑승자 71명 전원이 사망한 이 사고는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 오류와 조종사 대처 미흡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으며, 이후 항공 안전 규정 강화와 관제 시스템 개선의 계기가 되었다. - 2002년 선거 - 2002년 프랑스 총선
2002년 프랑스 총선은 극우 정당의 대통령 선거 결선 진출 후 좌파의 참패와 중도우파의 압승으로 이어진 선거로, 프랑스 정치의 양극화와 극우 세력 부상을 드러내며 우파 연합이 의회를 장악했다. - 2002년 선거 -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200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대통령 임기 단축 후 처음 치러졌으며, 자크 시라크가 장마리 르펜을 꺾고 당선되었다. - 게르하르트 슈뢰더 - 200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200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사회민주당의 패배 이후 조기 총선으로 실시되어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이 사회민주당을 근소하게 앞섰지만 과반수 확보에 실패, 대연정 구성으로 앙겔라 메르켈이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 - 게르하르트 슈뢰더 - 도리스 슈뢰더쾨프
도리스 슈뢰더쾨프는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이자 니더작센 주의회 의원, 이민 및 이주 문제 담당 주정부 위원이었으며,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와의 결혼 및 이혼, 그리고 슈뢰더와의 결혼 기간 중 러시아 아이 입양과 슈뢰더의 러시아 관계 역할로 알려져 있다.
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독일 |
선거 종류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1998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98년 |
다음 선거 | 2005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05년 |
선출 의석 | 독일 연방의회 전체 603석 |
과반 의석 | 302석 |
투표일 | 2002년 9월 22일 |
등록 유권자 | 61,432,868명 |
등록 유권자 증감 | 증가 1.1% |
투표수 | 48,582,761표 |
투표율 | 79.1% |
투표율 증감 | 감소 3.1% |
![]() | |
주요 후보 | |
후보 1 | 게르하르트 슈뢰더 |
후보 1 소속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
후보 1 이전 선거 결과 | 40.9%, 298석 |
후보 1 당선 의석 | 251석 |
후보 1 의석 증감 | 감소 47석 |
후보 1 득표수 | 18,488,668표 |
후보 1 득표율 | 38.5% |
후보 1 득표율 변화 | 감소 2.4% |
후보 2 | 에드문트 슈토이버 |
후보 2 소속 정당 | 기민련/기사련 |
후보 2 이전 선거 결과 | 35.1%, 245석 |
후보 2 당선 의석 | 248석 |
후보 2 의석 증감 | 증가 3석 |
후보 2 득표수 | 18,482,641표 |
후보 2 득표율 | 38.5% |
후보 2 득표율 변화 | 증가 3.4% |
후보 3 | 요슈카 피셔 |
후보 3 소속 정당 | 동맹 90/녹색당 |
후보 3 이전 선거 결과 | 6.7%, 47석 |
후보 3 당선 의석 | 55석 |
후보 3 의석 증감 | 증가 8석 |
후보 3 득표수 | 4,110,355표 |
후보 3 득표율 | 8.6% |
후보 3 득표율 변화 | 증가 1.9% |
후보 4 | 기도 베스터벨레 |
후보 4 소속 정당 | 자유민주당 (독일) |
후보 4 이전 선거 결과 | 6.2%, 43석 |
후보 4 당선 의석 | 47석 |
후보 4 의석 증감 | 증가 4석 |
후보 4 득표수 | 3,538,815표 |
후보 4 득표율 | 7.4% |
후보 4 득표율 변화 | 증가 1.2% |
후보 5 | 가비 짐머 |
후보 5 소속 정당 | 민주사회당 (독일) |
후보 5 이전 선거 결과 | 5.1%, 36석 |
후보 5 당선 의석 | 2석 |
후보 5 의석 증감 | 감소 34석 |
후보 5 득표수 | 1,916,702표 |
후보 5 득표율 | 4.0% |
후보 5 득표율 변화 | 감소 1.1% |
정부 구성 | |
선거 이전 정부 | 제1차 슈뢰더 내각 |
선거 이전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동맹 90/녹색당 |
선거 이후 정부 | 제2차 슈뢰더 내각 |
선거 이후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동맹 90/녹색당 |
2. 선거 배경
1998년 선거에서 사회민주당(SPD)과 동맹 90/녹색당(B90/G)의 적녹 연립으로 구성된 게르하르트 슈뢰더 정권의 지속 여부, 또는 기독교 민주연합/기독교 사회연합(CDU/CSU)의 정권 복귀가 주요 쟁점이 되었다. 적녹 연립과 CDU/CSU 간의 치열한 접전 끝에, 결국 적녹 연립이 근소한 차이로 정권을 유지하였다.
2. 1. 정치적 상황
1998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16년 만에 정권을 잡은 사회민주당(사민당)은 녹색당과 적녹 연정을 구성했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당내 좌파 세력과 녹색당 일부의 반발로 내각 지지율이 하락했다. 기독교민주연합(기민련)은 헬무트 콜 전 총리의 비자금 스캔들로 앙겔라 메르켈이 대표에 취임했지만, 낮은 지지율 속에 기사련 대표인 에드문트 슈토이버 주총리를 총리 후보로 내세웠다.[1]선거 전 여론조사에서는 기민련/기사련이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고, 슈토이버는 "이번 선거는 후반전에 우리 팀이 2-0으로 앞서고 있는 축구 경기와 같다"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1] 그러나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대 여론, 기민련 정치자금 스캔들에 대한 언론의 지속적인 관심, 슈뢰더의 개인적인 인기가 슈토이버보다 높다는 점 등이 작용했다.
특히, 사민당은 8월 동독 홍수에 대한 슈뢰더의 신속한 대응으로 힘을 얻은 반면, 슈토이버는 휴가 중 늦게 대응하여 비교되었다.[2][3]
자유민주당 (FDP) 대표 기도 베스터벨레는 사민당과 기민련/기사련에만 주어지던 총리 후보를 처음으로 내세웠으나, 조롱을 받았고 첫 번째 총리 텔레비전 토론에서 제외되었다. 그는 이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지만 실패했다.
결국 1998년 선거에서 시작된 사민당과 녹색당의 적녹 연립 정권 유지, 또는 기민련/기사련의 정권 복귀가 주요 쟁점이 된 가운데, 치열한 접전 끝에 적녹 연립이 근소한 차이로 정권을 유지했다.
2. 2. 주요 쟁점
기민/기사 연합은 통신 버블 붕괴와 유로화 도입으로 인한 경기 침체를 비판하며 정부의 경제 성과를 공격했다. 이들은 가족 가치를 강조하고 세금 인상, 특히 유류세 인상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벌였다.[1]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한 반대는 독일 국민들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며,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는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선거 기간 중 동독 지역 대홍수가 발생하여 환경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녹색당은 환경 의제를 최우선으로 내세웠다. 슈뢰더는 홍수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늦장 대응을 한 에드문트 슈토이버와 비교되었다.[2][3]
3. 선거 제도
독일 연방의회 선거는 비례대표제(소선거구 비례대표 병용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전체 의석은 제2투표(정당 명부에 대한 투표) 득표에 따라 비례대표제로 배분되지만, 소수 정당 난립을 막기 위해 다음 두 가지 조항을 두고 있다.
# 제2투표에서 유효 득표의 5% 이상 획득
# 제1투표(선거구 후보에 대한 투표)에서 3명 이상의 당선자 배출
위 두 가지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한 정당에만 의석 배분이 이루어진다. 선거구 의석이 비례 배분 의석보다 많으면 초과 의석이 발생한다.
선거권 및 피선거권은 만 18세 이상의 독일 국민에게 주어진다.
4. 참여 정당
정당 | 이념 | 대표 | 1998년 결과 | |||
---|---|---|---|---|---|---|
style="background:#FF0000;" | | SPD | 사회민주당 | 사회 민주주의 | 게르하르트 슈뢰더 | 40.9% | |
rowspan="2" style="background:#000000;" | | CDU/CSU | CDU | 기독교민주연합 | 기독교 민주주의 | 에드문트 슈토이버 | |
CSU | 기독교사회연합 | 6.2% | ||||
style="background:#008000;" | | Grüne | 녹색당 | 녹색 정치 | 요슈카 피셔 | 6.7% | |
style="background:#FFFF00;" | | FDP | 자유민주당 | 고전적 자유주의 | 기도 베스터벨레 | 6.2% | |
style="background:#8B008B;" | | PDS | 민주사회당 | 사회주의 | 가비 짐머 | 5.1% |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독일 사회민주주의 정당de
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 Deutschlands|독일 기독교 민주주의 연합de
Christlich-Soziale Union in Bayern|바이에른 기독교 사회 연합de
Bündnis 90/Die Grünen|동맹 90/녹색de
Freie Demokratische Partei|자유 민주주의 정당de
Partei des Demokratischen Sozialismus|민주 사회주의 정당de
5. 여론 조사
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기민/기사 연합이 사민당을 앞서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두 정당 간의 격차는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여론 조사 기관 | 조사 날짜 | 표본 크기 | SPD | 기민/기사 | 녹색당 | 자민당 | PDS | 기타 | 선두 |
---|---|---|---|---|---|---|---|---|---|
[https://www.wahlrecht.de/umfragen/forsa/2002.htm 2002 연방 선거] | 2002년 9월 22일 | – | 38.5 | 38.5 | 8.6 | 7.4 | 4.0 | 3.0 | 0.01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9월 9일–12일 | 1,326 | 40.0 | 37.0 | 7.0 | 7.5 | 4.5 | 4.0 | 3.0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9월 2일–5일 | 1,476 | 38 | 38 | 7 | 8 | 4 | 5 | 동률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8월 26일–29일 | 1,254 | 38 | 39 | 7 | 8 | 4 | 4 | 1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8월 19일–22일 | 1,292 | 38 | 39 | 7 | 9 | 4 | 3 | 1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8월 12일–15일 | 1,068 | 36 | 41 | 7 | 9 | 4 | 3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8월 5일–8일 | 1,106 | 36 | 41 | 6 | 9 | 5 | 3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7월 22일–25일 | 1,262 | 36 | 41 | 6 | 9 | 5 | 3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7월 8일–11일 | 1,031 | 37 | 40 | 6 | 8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6월 24일–27일 | 1,281 | 36 | 39 | 7 | 9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6월 10일–13일 | 1,018 | 35 | 39 | 7 | 10 | 5 | 4 | 4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5월 24일–29일 | 1,312 | 35 | 40 | 6 | 9 | 5 | 5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5월 6일–9일 | 1,014 | 36 | 41 | 6 | 8 | 5 | 4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4월 22일–25일 | 1,287 | 36 | 41 | 6 | 8 | 5 | 4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4월 8일–11일 | 1,000 | 36 | 41 | 6 | 8 | 5 | 4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3월 18일–21일 | 1,274 | 36 | 40 | 6 | 8 | 6 | 4 | 4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3월 4일–7일 | 1,050 | 37 | 41 | 5 | 8 | 5 | 4 | 4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2월 18일–21일 | 1,191 | 38 | 40 | 5 | 8 | 5 | 4 | 2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2월 4일–7일 | 1,027 | 39 | 40 | 4 | 8 | 6 | 3 | 1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1월 14일–17일 | 1,306 | 38 | 40 | 5 | 7 | 6 | 4 | 2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2년 1월 8일–10일 | 1,038 | 39 | 39 | 5 | 7 | 6 | 4 | 동률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12월 10일–13일 | 1,254 | 41 | 37 | 5 | 7 | 6 | 4 | 4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11월 12일–14일 | 1,098 | 41 | 38 | 5 | 7 | 6 | 3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10월 8일–11일 | 1,250 | 41 | 38 | 5 | 7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9월 12일–13일 | 1,031 | 40 | 38 | 5 | 7 | 5 | 5 | 2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8월 20일–23일 | 1,245 | 39 | 37 | 6 | 8 | 5 | 5 | 2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7월 16일–19일 | 1,224 | 41 | 35 | 5 | 9 | 5 | 5 | 6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6월 18일–21일 | 1,237 | 41 | 36 | 5 | 8 | 5 | 5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5월 14일–17일 | 1,266 | 41 | 36 | 5 | 8 | 5 | 5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4월 2일–5일 | 1,264 | 41 | 38 | 6 | 6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3월 12일–15일 | 1,264 | 42 | 37 | 6 | 6 | 5 | 4 | 5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1년 3월 14일 | – | 39.3 | 32.4 | 7.5 | 10.0 | 6.2 | 4.6 | 7.1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2월 12일–15일 | 1,207 | 43 | 36 | 5 | 7 | 5 | 4 | 7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1년 2월 14일 | – | 38.7 | 32.8 | 8.0 | 9.6 | 6.1 | 4.8 | 5.9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1년 1월 24일 | – | 39.1 | 33.1 | 7.3 | 9.7 | 6.3 | 4.5 | 6.0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1년 1월 15일–18일 | 1,276 | 41 | 38 | 6 | 6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12월 20일 | – | 38.1 | 35.2 | 7.4 | 9.6 | 6.0 | 3.7 | 2.9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12월 11일–14일 | 1,271 | 41 | 38 | 6 | 6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11월 13일–16일 | 1,259 | 41 | 38 | 6 | 6 | 5 | 4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11월 15일 | – | 37.8 | 33.8 | 7.4 | 9.6 | 6.1 | 5.3 | 4.0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10월 16일–19일 | 1,294 | 41 | 37 | 6 | 6 | 5 | 5 | 4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10월 18일 | – | 38.0 | 34.0 | 6.9 | 9.5 | 6.0 | 5.6 | 4.0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9월 27일 | – | 39.0 | 33.1 | 7.4 | 9.8 | 6.2 | 4.5 | 5.9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9월 18일–21일 | 1,174 | 40 | 38 | 6 | 6 | 5 | 5 | 2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8월 21일–24일 | 1,219 | 42 | 36 | 6 | 7 | 5 | 4 | 6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8월 16일 | – | 39.0 | 32.4 | 6.9 | 10.1 | 6.3 | 5.3 | 6.6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7월 24일–27일 | 1,255 | 40 | 38 | 5 | 7 | 5 | 5 | 2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7월 19일 | – | 37.1 | 32.3 | 7.1 | 11.5 | 6.8 | 5.2 | 4.8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6월 23일 | – | 38 | 39 | 6 | 7 | 5 | 5 | 1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6월 14일 | – | 35.9 | 33.0 | 7.9 | 11.1 | 6.5 | 5.6 | 2.9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5월 19일 | – | 40 | 37 | 6 | 7 | 5 | 5 | 3 |
[https://www.wahlrecht.de/umfragen/allensbach/2002.htm 알렌스바흐] | 2000년 4월 19일 | – | 38.6 | 32.0 | 8.4 | 8.4 | 7.1 | 5.5 | 6.6 |
[https://www.wahlrecht.de/umfragen/politbarometer/politbarometer-2002.htm 선거 연구 그룹] | 2000년 4월 14일 | – | 42 | 36 | 6 | 6 | 5 | 5 | 6 |
6. 선거 결과
2002년 독일 총선 결과, 사민당과 녹색당 연립정부는 근소한 차이로 과반 의석을 유지하며 재집권에 성공했다.[4]
- '''유권자 수''':61,432,868명
- '''투표율''':79.1%
- '''투표자 수''':48,582,761명
- '''유효표 수''':47,841,724표
정당 | 후보자 투표 | 정당 투표 | 의석수[6]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전체 의석 | (선거구) | |||
bgcolor="#F0001C" | | 독일 사회민주당(SPD) | 20,059,967 | 41.9 | 18,488,668 | 38.5 | 251 | 171 | |
rowspan=3 bgcolor="#000000" | | CDU/CSU[7] | 독일 기독교 민주연합(CDU) | 15,336,512 | 32.1 | 14,167,561 | 29.5 | 190 | 82 |
기독교 사회 연합(CSU) | 4,311,178 | 9.0 | 4,315,080 | 9.0 | 58 | 43 | ||
CDU/CSU 소계 | 19,647,690 | 41.1 | 18,482,641 | 38.5 | 248 | 125 | ||
bgcolor="#58AB27" | | 동맹 90/녹색당(B90/Gr) | 2,693,794 | 5.8 | 4,110,355 | 8.6 | 55 | 1 | |
bgcolor="#FFED00" | | 자유 민주당(FDP) | 2,752,796 | 5.8 | 3,538,815 | 7.4 | 47 | 0 | |
bgcolor="#CD1811" | | 민주 사회당(PDS) | 2,079,203 | 4.3 | 1,916,702 | 4.0 | 2 | 2 | |
bgcolor="#63B8FF" | | 실당(Schill)[8] | 120,330 | 0.3 | 400,476 | 0.8 | 0 | 0 | |
style="background-color:#386ABC;" | | 공화당(REP) | 55,947 | 0.1 | 280,671 | 0.6 | 0 | 0 | |
의석 합계 | 603 | 299 |
사회민주당(SPD)과 기독교민주연합(CDU)/기독교사회연합(CSU)의 득표율은 모두 38.5%로 동률이었으나, 사회민주당이 초과 의석으로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을 4석 앞서며 제1당을 유지했다. 연립 여당인 녹색당(B90/G)도 득표율을 지난 선거보다 2% 가까이 늘려 의석을 늘리는 데 성공했고, 두 정당을 합쳐 야당 전체에 9석 정도의 차이를 내며 정권을 유지했다. 사회민주당이 구 동독 지역에서 지지세를 확대했기 때문에, 민주사회당(PDS)은 1998년 선거에 비해 60만 표 가까이 줄어 비례 의석 배분을 받기 위한 최소 5% 기준을 넘지 못했고, 선거구에서도 2석에 그쳐 연방 의회 원내 교섭 단체의 자격을 잃었다. 사회민주당의 승리 요인으로는 미국에 의한 이라크 전쟁 불참 의사를 표명한 것과 선거 운동 기간 중 8월에 발생한 작센 지방 엘베강 유역의 대홍수 피해 지역에 대한 신속한 구제 조치가 꼽힌다.[9]
주별 득표율(%) | SPD | CDU/CSU | GRÜNE | FDP | PDS | 기타 |
---|---|---|---|---|---|---|
바덴뷔르템베르크 | 33.5 | 42.8 | 11.4 | 7.8 | 1.0 | 3.5 |
바이에른 | 26.1 | 58.6 | 7.6 | 4.5 | 0.7 | 2.5 |
베를린 | 36.6 | 25.9 | 14.6 | 6.6 | 11.4 | 4.9 |
브란덴부르크 | 46.4 | 22.3 | 4.5 | 5.8 | 17.2 | 3.8 |
브레멘 | 48.6 | 24.6 | 15.0 | 6.7 | 2.2 | 2.9 |
함부르크 | 42.0 | 28.1 | 16.2 | 6.8 | 2.1 | 4.8 |
헤센 | 39.7 | 37.1 | 10.7 | 8.2 | 1.3 | 3.0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41.7 | 30.3 | 3.5 | 5.4 | 16.3 | 2.8 |
니더작센 | 47.8 | 34.5 | 7.3 | 7.1 | 1.0 | 2.3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43.0 | 35.1 | 8.9 | 9.4 | 1.2 | 2.4 |
라인란트팔츠 | 38.2 | 40.3 | 7.9 | 9.3 | 1.0 | 3.3 |
자르란트 | 46.0 | 35.0 | 7.6 | 6.4 | 1.4 | 3.6 |
작센 | 33.3 | 33.6 | 4.6 | 7.3 | 16.2 | 4.9 |
작센안할트 | 43.2 | 29.0 | 3.4 | 7.6 | 14.4 | 2.4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42.9 | 36.0 | 9.4 | 8.0 | 1.3 | 2.4 |
튀링겐 | 39.9 | 29.4 | 4.3 | 5.9 | 17.0 | 3.5 |
주 | 총 의석 | 획득 의석 | ||||
---|---|---|---|---|---|---|
사회민주당(SPD) | 기민당(CDU) | 기사련(CSU) | 민사당(PDS) | 녹색당(Grüne)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
바덴뷔르템베르크 | 37 | 7 | 30 | |||
바이에른 | 44 | 1 | 43 | |||
베를린 | 12 | 9 | 2 | 1 | ||
브란덴부르크 | 10 | 10 | ||||
브레멘 | 2 | 2 | ||||
함부르크 | 6 | 6 | ||||
헤센 | 21 | 17 | 4 | |||
니더작센 | 29 | 25 | 4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7 | 5 | 2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64 | 45 | 19 | |||
라인란트팔츠 | 15 | 7 | 8 | |||
자르란트 | 4 | 4 | ||||
작센 | 17 | 4 | 13 | |||
작센안할트 | 10 | 10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11 | 10 | 1 | |||
튀링겐 | 10 | 9 | 1 | |||
총계 | 299 | 171 | 82 | 43 | 2 | 1 |
6. 1. 총괄
2002년 9월 22일에 실시된 독일 연방의회 의원 선거(총 603석)에서 사민당과 녹색당 연립정부는 근소한 차이로 과반 의석을 유지하며 재집권에 성공했다.[4] 사민당은 6,000표 차이로 기민련을 제치고 제1당을 차지했으며, 녹색당은 제3당 지위를 유지했다.[9] 기민련과 자민당은 득표율이 증가했지만 과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민사당은 지역구에서 4석을 확보하지 못하고 비례대표 득표율도 5%를 넘지 못해 의석수가 크게 감소하였다.정당 | 후보자 투표 | 정당 투표 | 의석수[6]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전체 의석 | (선거구) | |||
bgcolor="#F0001C" | | 독일 사회민주당(SPD) | 20,059,967 | 41.9 | 18,488,668 | 38.5 | 251 | 171 | |
rowspan=3 bgcolor="#000000" | | CDU/CSU[7] | 독일 기독교 민주연합(CDU) | 15,336,512 | 32.1 | 14,167,561 | 29.5 | 190 | 82 |
기독교 사회 연합(CSU) | 4,311,178 | 9.0 | 4,315,080 | 9.0 | 58 | 43 | ||
CDU/CSU 소계 | 19,647,690 | 41.1 | 18,482,641 | 38.5 | 248 | 125 | ||
bgcolor="#58AB27" | | 동맹 90/녹색당(B90/Gr) | 2,693,794 | 5.8 | 4,110,355 | 8.6 | 55 | 1 | |
bgcolor="#FFED00" | | 자유 민주당(FDP) | 2,752,796 | 5.8 | 3,538,815 | 7.4 | 47 | 0 | |
bgcolor="#CD1811" | | 민주 사회당(PDS) | 2,079,203 | 4.3 | 1,916,702 | 4.0 | 2 | 2 | |
bgcolor="#63B8FF" | | 실당(Schill)[8] | 120,330 | 0.3 | 400,476 | 0.8 | 0 | 0 | |
style="background-color:#386ABC;" | | 공화당(REP) | 55,947 | 0.1 | 280,671 | 0.6 | 0 | 0 | |
의석 합계 | 603 | 299 |
총 48,582,761명의 유권자가 선거에 참여해 투표율 79.1%를 기록하였다.
6. 2.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정당 | 후보자 투표 | 정당 투표 | 의석수[6]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전체 의석 | (선거구) | |||
bgcolor="#F0001C" | | 독일 사회민주당(SPD) | 20,059,967 | 41.9 | 18,488,668 | 38.5 | 251 | 171 | |
rowspan=3 bgcolor="#000000" | | CDU/CSU[7] | 독일 기독교 민주연합(CDU) | 15,336,512 | 32.1 | 14,167,561 | 29.5 | 190 | 82 |
기독교 사회 연합(CSU) | 4,311,178 | 9.0 | 4,315,080 | 9.0 | 58 | 43 | ||
CDU/CSU 소계 | 19,647,690 | 41.1 | 18,482,641 | 38.5 | 248 | 125 | ||
bgcolor="#58AB27" | | 동맹 90/녹색당(B90/Gr) | 2,693,794 | 5.8 | 4,110,355 | 8.6 | 55 | 1 | |
bgcolor="#FFED00" | | 자유 민주당(FDP) | 2,752,796 | 5.8 | 3,538,815 | 7.4 | 47 | 0 | |
bgcolor="#CD1811" | | 민주 사회당(PDS) | 2,079,203 | 4.3 | 1,916,702 | 4.0 | 2 | 2 | |
bgcolor="#63B8FF" | | 실당(Schill)[8] | 120,330 | 0.3 | 400,476 | 0.8 | 0 | 0 | |
style="background-color:#386ABC;" | | 공화당(REP) | 55,947 | 0.1 | 280,671 | 0.6 | 0 | 0 | |
의석 합계 | 603 | 299 |
사회민주당(SPD)과 기독교민주연합(CDU)/기독교사회연합(CSU)의 득표율은 모두 38.5%로 동률이었으나, 사회민주당이 초과 의석으로 기독교민주연합/기독교사회연합을 4석 앞서며 제1당을 유지했다. 연립 여당인 녹색당(B90/G)도 득표율을 지난 선거보다 2% 가까이 늘려 의석을 늘리는 데 성공했고, 두 정당을 합쳐 야당 전체에 9석 정도의 차이를 내며 정권을 유지했다. 사회민주당이 구 동독 지역에서 지지세를 확대했기 때문에, 민주사회당(PDS)은 1998년 선거에 비해 60만 표 가까이 줄어 비례 의석 배분을 받기 위한 최소 5% 기준을 넘지 못했고, 선거구에서도 2석에 그쳐 연방 의회 원내 교섭 단체의 자격을 잃었다. 사회민주당의 승리 요인으로는 미국의 이라크 전쟁 불참 의사를 표명한 것과 선거 운동 기간 중 8월에 발생한 작센 지방 엘베강 유역의 대홍수 피해 지역에 대한 신속한 구제 조치가 꼽힌다.[9]
6. 3. 지역별 선거 결과
주별 득표율(%) | SPD | CDU/CSU | GRÜNE | FDP | PDS | 기타 |
---|---|---|---|---|---|---|
바덴뷔르템베르크 | 33.5 | 42.8 | 11.4 | 7.8 | 1.0 | 3.5 |
바이에른 | 26.1 | 58.6 | 7.6 | 4.5 | 0.7 | 2.5 |
베를린 | 36.6 | 25.9 | 14.6 | 6.6 | 11.4 | 4.9 |
브란덴부르크 | 46.4 | 22.3 | 4.5 | 5.8 | 17.2 | 3.8 |
브레멘 | 48.6 | 24.6 | 15.0 | 6.7 | 2.2 | 2.9 |
함부르크 | 42.0 | 28.1 | 16.2 | 6.8 | 2.1 | 4.8 |
헤센 | 39.7 | 37.1 | 10.7 | 8.2 | 1.3 | 3.0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41.7 | 30.3 | 3.5 | 5.4 | 16.3 | 2.8 |
니더작센 | 47.8 | 34.5 | 7.3 | 7.1 | 1.0 | 2.3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43.0 | 35.1 | 8.9 | 9.4 | 1.2 | 2.4 |
라인란트팔츠 | 38.2 | 40.3 | 7.9 | 9.3 | 1.0 | 3.3 |
자르란트 | 46.0 | 35.0 | 7.6 | 6.4 | 1.4 | 3.6 |
작센 | 33.3 | 33.6 | 4.6 | 7.3 | 16.2 | 4.9 |
작센안할트 | 43.2 | 29.0 | 3.4 | 7.6 | 14.4 | 2.4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42.9 | 36.0 | 9.4 | 8.0 | 1.3 | 2.4 |
튀링겐 | 39.9 | 29.4 | 4.3 | 5.9 | 17.0 | 3.5 |
주 | 총 의석 | 획득 의석 | ||||
---|---|---|---|---|---|---|
사회민주당(SPD) | 기민당(CDU) | 기사련(CSU) | 민사당(PDS) | 녹색당(Grüne)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style="background:;" | | ||
바덴뷔르템베르크 | 37 | 7 | 30 | |||
바이에른 | 44 | 1 | 43 | |||
베를린 | 12 | 9 | 2 | 1 | ||
브란덴부르크 | 10 | 10 | ||||
브레멘 | 2 | 2 | ||||
함부르크 | 6 | 6 | ||||
헤센 | 21 | 17 | 4 | |||
니더작센 | 29 | 25 | 4 |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7 | 5 | 2 |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64 | 45 | 19 | |||
라인란트팔츠 | 15 | 7 | 8 | |||
자르란트 | 4 | 4 | ||||
작센 | 17 | 4 | 13 | |||
작센안할트 | 10 | 10 |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11 | 10 | 1 | |||
튀링겐 | 10 | 9 | 1 | |||
총계 | 299 | 171 | 82 | 43 | 2 | 1 |
7. 선거 이후
사회민주당 슈뢰더 총리가 이끄는 녹색당과의 연립 정부는 계속 유지되었다. 그러나 독일 연방의회에서 근소한 과반수를 확보하여, 집권 연립은 불안정한 상태였다.
8. 평가
1998년 선거에서 사회민주당(SPD)·동맹 90/녹색당(B90/G) 연립 (적녹 연립) 게르하르트 슈뢰더 정권의 지속 여부, 또는 기독교 민주연합·기독교 사회연합(CDU/CSU)의 정권 복귀가 주요 쟁점이었다. 적녹 연립과 CDU/CSU의 치열한 접전 끝에, 적녹 연립이 근소한 차이로 정권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참조
[1]
뉴스
Stoiber quits after snooping ro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7-01-17
[2]
뉴스
Flooding makes a delight out of crisis for Schroder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02-08-24
[3]
뉴스
Looking Back at the 2002 Election
https://www.dw.com/e[...]
dw.com
[4]
웹사이트
Wahl zum 15.Deutschen Bundestag am 22.September 2002
http://www.election.[...]
[5]
문서
제2투표에서 0.5% 이상의 득표를 얻은 정당이 대상
[6]
문서
선거구 의석수가 비례대표 의석수를 상회함으로써 발생하는 초과 의석수는 SPD 5석과 CDU/CSU 1석으로 총 5석
[7]
문서
CDU와 CSU는 “자매정당”으로 연방의회에서는 통일교단을 구성하고 있다. CSU는 바이에른주에서만 활동하는 지역정당으로, 동주 이외에서는 후보자 및 정당 리스트를 제출하지 않으므로 CDU와 경쟁하는 일은 없다.
[8]
문서
정식 당명은 「법치국가적 공세의 당」(Partei Rechtsstaatlicher Offensive). 실당은 통칭으로 당수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붙여졌다. 森井 2003 50P
[9]
문서
伊藤 2003 (343)45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