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2003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진행되었다. 총 72개 팀이 참가했으며, 예선,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에서는 FC 포르투가 AS 모나코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르난도 모리엔테스가 9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2004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2004년 5월 26일 겔젠키르헨에서 열렸으며, FC 포르투가 AS 모나코를 3-0으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03년 축구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프랑스가 결승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티에리 앙리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 2003년 축구 - 라리가 2002-03
    라리가 2002-03 시즌은 스페인 프로 축구 리그의 72번째 시즌으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차지했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싱 산탄데르, 레크레아티보 우엘바가 승격했으며, FC 바르셀로나의 부진과 레알 마드리드의 갈락티코스 정책, 로이 마카이의 득점왕, 파블로 카바예로의 트로페오 사모라 수상 등이 주요 특징이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최되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우승했고, 안드리 세브첸코와 드와이트 요크가 8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열린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탈리아는 두 팀을 조별 리그에 진출시킨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2003-04
겔젠키르헨의 펠틴스 아레나에서 결승전이 열렸다.
개최국해당 없음
일정예선: 2003년 7월 16일 – 2003년 8월 27일
본선: 2003년 9월 16일 – 2004년 5월 26일
참가 팀 수본선: 32개 팀
총합: 72개 팀
우승 팀포르투
우승 횟수2회
준우승 팀AS 모나코
총 경기 수125
총 득점 수309
총 관중 수4540677
득점왕페르난도 모리엔테스(모나코), 9골
이전 시즌2002–03
다음 시즌2004–05

2. 대회 방식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순서로 진행되었다. 각 라운드별 참가 팀은 다음과 같다.[2]

단계참가 팀이전 라운드 진출 팀
1차 예선
(20개 팀)
2차 예선
(28개 팀)
3차 예선
(32개 팀)
조별 리그
(32개 팀)
토너먼트
(16개 팀)


2. 1. 참가 팀 선정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는 UEFA 회원국 48개국에서 총 72개 팀이 참가했다.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산마리노는 자체 리그가 없어 불참했고, UEFA로부터 출전 자격이 정지된 아제르바이잔도 참가하지 못했다. 각 협회는 UEFA 리그 계수에 따라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할 클럽 수를 결정하는데, 어떤 협회도 4개 팀을 초과하여 출전할 수 없다.[2]

  • 협회 1~3위는 각 4개 팀
  • 협회 4~6위는 각 3개 팀
  • 협회 7~15위는 각 2개 팀
  • 협회 16~52위(아제르바이잔,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산마리노 제외)는 각 1개 팀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경우, 각 협회는 1997-98 시즌부터 2001-02 시즌까지의 유럽 클럽 대항전 성적을 반영한 2002년 UEFA 국가 계수에 따라 출전 자격을 배정받았다.[2]

순위협회계수팀 수
168.4674
258.6684
355.4594
452.9903
542.3523
636.1163
734.1652
828.7252
928.2492
1027.2912
1126.6252
1226.1252
1325.9582
1425.5252
1523.2502
1622.6251
1721.4751
1821.3321
1921.0411
2017.5001
2117.3751
2217.2411
2316.3311
2415.6651
2515.1651
2613.9161
2713.7491
2811.8321
299.3321
308.0411
317.1651
326.9991
335.1651
344.8321
354.0831
363.8311
373.3311
382.9971
392.4981
401.8321
411.6651
421.3331
431.3321
441.3311
451.1651
461.1651
471.1650
481.0000
490.8321
500.0000
510.0000
520.0001



전년도 우승팀인 밀란이 자국 리그를 통해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 진출하면서 3차 예선 한 자리가 비게 되었다. 이로 인해, 그리고 아제르바이잔의 출전 정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변경이 이루어졌다.


  • 협회 랭킹 16위(스위스)의 우승팀이 2차 예선에서 3차 예선으로 진출하였다.
  • 협회 랭킹 26, 27, 28위(루마니아, 헝가리, 슬로베니아)의 우승팀이 1차 예선에서 2차 예선으로 진출하였다.

3. 예선전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예선전은 1차, 2차, 3차 예선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예선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3차 예선전에서 승리한 팀은 조별 리그에 진출하고 패배한 팀은 UEFA컵 1회전으로 이동했다.[1] 1차 예선전은 2003년 7월 16일과 7월 23일에, 2차 예선전은 7월 30일과 8월 6일에 각각 1, 2차전이 열렸다.

3차 예선전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4-5스파르타 프라하 (체코)2-32-2
MTK 헝가리아 (헝가리)0-5셀틱 (스코틀랜드)0-40-1
레인저스 (스코틀랜드)3-2쾨벤하운 (덴마크)1-12-1
아우스트리아 빈 (오스트리아)0-1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프랑스)0-10-0
클뤼프 브뤼허 (벨기에)3-3 (4-2 p)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독일)2-1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우크라이나)2-3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러시아)1-01-3
라치오 (이탈리아)4-1벤피카 (포르투갈)3-11-0
디나모 키예프 (우크라이나)5-1디나모 자그레브 (크로아티아)3-12-0
로센보르그 (노르웨이)0-1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스페인)0-00-1
그라스호퍼 (스위스)2-3AEK 아테네 (그리스)1-01-3
질리나 (슬로바키아)0-5첼시 (잉글랜드)0-20-3
셀타 비고 (스페인)3-2슬라비아 프라하 (체코)3-00-2
파르티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1-1 (4-3 p)뉴캐슬 유나이티드 (잉글랜드)0-11-0
갈라타사라이 (터키)6-0CSKA 소피아 (불가리아)3-03-0
안데를레흐트 (벨기에)4-1비스와 크라쿠프 (폴란드)3-11-0
GAK (오스트리아)2-3아약스 (네덜란드)1-11-2 (연장)



3. 1. 1차 예선전

2002년 UEFA 랭킹에서 29위 이하에 해당하는 국가 리그 우승 클럽들이 참가했다. 경기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경기에서 승리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1차전은 2003년 7월 16일에, 2차전은 7월 23일에 실시되었다.

[4]

3. 2. 2차 예선전

1차 예선 통과 팀들과 UEFA 랭킹 17~28위 국가 리그 우승 클럽, 10~15위 국가 리그 준우승 클럽이 참가했다.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승리 팀은 3차 예선에 진출했다. 1차전은 2003년 7월 30일에, 2차전은 8월 6일에 실시되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MTK 부다페스트 (헝가리)3-2HJK 헬싱키 (핀란드)3-10-1
FC 퓨니크 (아르메니아)0-3CSKA 소피아 (불가리아)0-20-1
FBK 카우나스 (리투아니아)0-5셀틱 (스코틀랜드)0-40-1
FK 레오타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4슬라비아 프라하 (체코)1-20-2
FC 셰리프 (몰도바)0-2샤흐타르 도네츠크 (우크라이나)0-00-2
MŠK 질리나 (슬로바키아)2-1마카비 텔아비브 (이스라엘)1-01-1
보헤미안 (아일랜드)0-5로젠보리 (노르웨이)0-10-4
NK 마리보르 (슬로베니아)2-3디나모 자그레브 (크로아티아)1-11-2
CSKA 모스크바 (러시아)2-3FK 바르다르 (마케도니아)1-21-1
라피드 부쿠레슈티 (루마니아)2-3안데를레흐트 (벨기에)0-02-3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원정 다득점) 3-3유르고르덴 IF (스웨덴)1-12-2
비스와 크라쿠프 (폴란드)7-4AC 오모니아 (키프로스)5-22-2
FC 코펜하겐 (덴마크)10-1슬리마 원더러스 (몰타)4-16-0
SK 티라나 (알바니아)2-7그라츠 AK (오스트리아)1-51-2


3. 3. 3차 예선전

3차 예선전에는 2차 예선 통과 팀들과 UEFA 랭킹 10~16위 국가 리그 우승 클럽, 7~9위 국가 리그 준우승 클럽, 1~6위 국가 리그 3위 클럽, 1~3위 국가 리그 4위 클럽이 참가했다.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승리 팀은 조별 리그에 진출하고, 패배 팀은 UEFA컵 1회전으로 이동했다.[1]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바르다르 (MKD)4-5스파르타 프라하 (CZE)2-32-2
MTK 헝가리아 (HUN)0-5셀틱 (SCO)0-40-1
레인저스 (SCO)3-2쾨벤하운 (DEN)1-12-1
아우스트리아 빈 (AUT)0-1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FRA)0-10-0
클뤼프 브뤼허 (BEL)3-3 (4-2 p)보루시아 도르트문트 (GER)2-11-2 (연장)
샤흐타르 도네츠크 (UKR)2-3로코모티프 모스크바 (RUS)1-01-3
라치오 (ITA)4-1벤피카 (POR)3-11-0
디나모 키예프 (UKR)5-1디나모 자그레브 (CRO)3-12-0
로센보르그 (NOR)0-1데포르티보 라코루냐 (ESP)0-00-1
그라스호퍼 (SUI)2-3AEK 아테네 (GRE)1-01-3
질리나 (SVK)0-5첼시 (ENG)0-20-3
셀타 비고 (ESP)3-2슬라비아 프라하 (CZE)3-00-2
파르티잔 (SCG)1-1 (4-3 p)뉴캐슬 유나이티드 (ENG)0-11-0
갈라타사라이 (TUR)6-0CSKA 소피아 (BUL)3-03-0
안데를레흐트 (BEL)4-1비스와 크라쿠프 (POL)3-11-0
GAK (AUT)2-3아약스 (NED)1-11-2 (연장)



4. 조별 리그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에는 3차 예선을 통과한 16개 팀과 UEFA 랭킹 1~10위 국가 리그 우승팀, 1~6위 국가 리그 준우승 팀이 참가했다. 이들은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3위 팀은 UEFA컵 3라운드로 이동했다.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았다.

1. 해당 팀 간의 직접 대결에서의 총 득점

2. 해당 팀 간의 직접 대결에서의 원정 골 수

3. 전체 경기의 골득실차

4. 조별 리그에서의 총 득점

5. UEFA 랭킹 상위 국가 및 지역

결선 토너먼트 1회전 진출 클럽은 굵은 글씨, UEFA컵 3회전 진출 클럽은 '''''굵은 기울임꼴''''', 탈락 클럽은 ''기울임꼴''로 표기했다.

경기승점
AS 모나코6321156+911
데포르티보 라코루냐63121212010
'PSV 에인트호번'631287+110
AEK 아테네6024111-102



경기승점
유벤투스6411156+913
레알 소시에다드62318809
'갈라타사라이'621368-27
올림피아코스6114613-74



경기승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6501132+1115
VfB 슈투트가르트640296+312
'파나티나이코스'6114513-84
레인저스6114410-64



경기승점
레알 마드리드6420115+614
포르투632198+111
'올랭피크 마르세유'6114911-24
파르티잔603338-53



경기승점
첼시641193+613
스파르타 프라하62225508
'베식타시'621357-27
라치오6123610-45



경기승점
AC 밀란631243+110
셀타 비고623176+19
'클뤼프 브뤼허'622256-18
아약스620467-16


4. 1. A조

경기승점
올랭피크 리옹631277010
바이에른 뮌헨623165+19
'셀틱'621387+17
안데를레흐트621346-27



A조에는 올랭피크 리옹, 바이에른 뮌헨, 셀틱, 안데를레흐트가 속했다. 올랭피크 리옹바이에른 뮌헨이 16강에 진출했고, 셀틱은 UEFA컵 3회전에 진출했다.[1]

width=20%|width=12%|width=20%|
2003년 9월 17일리옹1–0안데를레흐트
2003년 9월 17일바이에른 뮌헨2–1셀틱
2003년 9월 30일셀틱2–0리옹
2003년 9월 30일안데를레흐트1–1바이에른 뮌헨
2003년 10월 21일안데를레흐트1–0셀틱
2003년 10월 21일리옹1–1바이에른 뮌헨
2003년 11월 5일셀틱3–1안데를레흐트
2003년 11월 5일바이에른 뮌헨1–2리옹
2003년 11월 25일안데를레흐트1–0리옹
2003년 11월 25일셀틱0–0바이에른 뮌헨
2003년 12월 10일리옹3–2셀틱
2003년 12월 10일바이에른 뮌헨1–0안데를레흐트


4. 2. B조

B조에는 아스널영어 (Arsenal FC영어, 잉글랜드), 로코모티프 모스크바ru (ФК «Локомоти́в» Москва́ru, 러시아), 인테르it (FC Internazionale Milanoit, 이탈리아), 디나모 키예프uk (ФК «Динамо» Київuk, 우크라이나)가 속했다. 아스널로코모티프 모스크바가 16강에 진출하였다.

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아스널영어10631296+3
로코모티프 모스크바ru86222770
인테르it86222811-3
디나모 키예프uk76213880



width=20%|width=12%|width=20%|
9월 17일디나모 키예프2-0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0-3인테르
9월 30일로코모티프 모스크바0-0아스널
인테르2-1디나모 키예프
10월 21일로코모티프 모스크바3-0인테르
디나모 키예프2-1아스널
11월 5일인테르1-1로코모티프 모스크바
아스널1-0디나모 키예프
11월 25일로코모티프 모스크바3-2디나모 키예프
인테르1-5아스널
12월 10일디나모 키예프1-1인테르
아스널2-0로코모티프 모스크바


4. 3. C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AS 모나코 FC|AS 모나코프랑스어116321156+9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데포르티보es10631212120
PSV 에인트호번|PSV 에인트호번nl10631287+1
AEK FC|AEK 아테네el26024111-10



C조에는 AS 모나코, 데포르티보, PSV 에인트호번, AEK 아테네가 속했다. 경기 결과 AS 모나코데포르티보가 16강에 진출했다.[1]

경기일팀 1점수팀 2
9월 17일AEK 아테네1-1데포르티보
9월 17일PSV 에인트호번1-2AS 모나코
9월 30일AS 모나코4-0AEK 아테네
9월 30일데포르티보2-0PSV 에인트호번
10월 21일데포르티보1-0AS 모나코
10월 21일AEK 아테네0-1PSV 에인트호번
11월 5일AS 모나코8-3데포르티보
11월 5일PSV 에인트호번2-0AEK 아테네
11월 25일데포르티보3-0AEK 아테네
11월 25일AS 모나코1-1PSV 에인트호번
12월 10일AEK 아테네0-0AS 모나코
12월 10일PSV 에인트호번3-2데포르티보


4. 4. D조



D조에는 유벤투스, 레알 소시에다드, 갈라타사라이, 올림피아코스가 속했다. 유벤투스레알 소시에다드가 16강에 진출했다.

4. 5. E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156501132+11
VfB 슈투트가르트12640296+3
'파나티나이코스'46114513-8
레인저스46114410-6



E조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잉글랜드), VfB 슈투트가르트(독일), 파나티나이코스(그리스), 레인저스(스코틀랜드)가 속해 있었다. 경기 결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VfB 슈투트가르트가 16강에 진출했다.[4]

경기일width=12%|width=20%|
2003년 9월 16일레인저스 FC2–1VfB 슈투트가르트
2003년 9월 16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5–0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1일파나티나이코스1–1레인저스 FC
2003년 10월 1일VfB 슈투트가르트2–1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0월 22일VfB 슈투트가르트2–0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0월 22일레인저스 FC0–1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1월 4일파나티나이코스1–3VfB 슈투트가르트
2003년 11월 4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3–0레인저스 FC
2003년 11월 26일VfB 슈투트가르트1–0레인저스 FC
2003년 11월 26일파나티나이코스0–1맨체스터 유나이티드
2003년 12월 9일레인저스 FC1–3파나티나이코스
2003년 12월 9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2–0VfB 슈투트가르트


4. 6. F조

F조에는 레알 마드리드(스페인), 포르투(포르투갈), 올랭피크 마르세유(프랑스), 파르티잔 베오그라드(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속했다.[1] 레알 마드리드와 포르투가 16강에 진출했고,[1] 올랭피크 마르세유는 조 3위를 기록하여 UEFA컵 3회전에 진출하였다.[1]

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레알 마드리드146420115+6
포르투11632198+1
올랭피크 마르세유46114911-2
파르티잔 베오그라드3603338-5


4. 7. G조

G조에서는 첼시 (잉글랜드), 스파르타 프라하 (체코), 베식타스 (터키), 라치오 (이탈리아)가 맞붙었다. 첼시와 스파르타 프라하가 16강에 진출했고,[1] 베식타스는 UEFA컵 3회전에 진출했다.[1]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첼시13641193+6
스파르타 프라하86222550
베식타스7621357-2
라치오56123610-4



2003년 9월 16일, 스파르타 프라하는 첼시에 0-1로 패했고, 베식타스는 라치오에 0-2로 패했다.[1] 10월 1일, 라치오는 스파르타 프라하와 2-2로 비겼고, 첼시는 베식타스에 0-2로 패했다.[1] 10월 22일, 첼시는 라치오를 2-1로 이겼고, 스파르타 프라하는 베식타스를 2-1로 이겼다.[1] 11월 4일, 라치오는 첼시에 0-4로 패했고, 베식타스는 스파르타 프라하를 1-0으로 이겼다.[1] 11월 26일, 첼시는 스파르타 프라하와 0-0으로 비겼고, 라치오는 베식타스와 1-1로 비겼다.[1] 12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는 라치오를 1-0으로 이겼고, 베식타스는 첼시에 0-2로 패했다.[1]

4. 8. H조

H조에서는 AC 밀란(이탈리아), 셀타 데 비고(스페인), 클뤼프 브뤼허(벨기에), 아약스(네덜란드)가 맞붙었다. AC 밀란과 셀타 데 비고가 16강에 진출했고,[4] 클뤼프 브뤼허는 UEFA컵 3회전에 진출했다.[4]

5. 결선 토너먼트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선 토너먼트는 16강부터 결승전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두 팀의 점수가 같을 경우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다음 라운드 진출팀이 결정되었다.[1]

16강전에서는 조별 리그 각 조 1, 2위 팀들이 맞붙어 레알 마드리드, 아스널, 데포르티보, AS 모나코, 포르투, 리옹, 밀란, 첼시가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첼시, 데포르티보, 포르투, AS 모나코가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AS 모나코첼시를 합계 5-3으로, 포르투데포르티보를 합계 1-0으로 꺾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5. 1. 16강전

Champions League영어 조별 리그 각 조 1, 2위 팀들이 16강에서 맞붙었다. 1차전은 2004년 2월 24일과 25일에, 2차전은 3월 9일과 10일에 실시되었다.


5. 2. 8강전

16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이 8강에서 맞붙었다. 1차전은 2004년 3월 23일과 24일에, 2차전은 4월 6일과 7일에 진행되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첼시 Chelsea F.C.영어3-2아스널 Arsenal F.C.영어1-12-1
밀란 A.C. Milanit4-5데포르티보 Deportivo de La Coruñaes4-10-4
포르투 F.C. Portopt4-2올랭피크 리옹 Olympique Lyonnais프랑스어2-02-2
레알 마드리드 Real Madrid C.F.es5-5 (원정 다득점)AS 모나코 AS Monaco FC프랑스어4-21-3


5. 3. 준결승전

8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이 준결승전에서 맞붙었다. AS 모나코포르투가 결승전에 진출했다.[1]

} || 5-3 || 첼시 || 3-1 || 2-2

|-

| '''포르투''' || 1-0 || 데포르티보 || 0-0 || 1-0

|}

1차전은 2004년4월 20일4월 21일에, 2차전은 5월 4일5월 5일에 열렸다.

2004년4월 20일 1차전은 스타드 루이 되에서 열렸으며, 프르쇼, 모리엔테스, 논다의 득점에 힘입어 AS 모나코크레스포가 득점한 첼시를 3-1로 이겼다. 우르스 마이어가 심판을 맡았다.

2004년5월 5일 2차전은 스탬포드 브리지에서 열렸으며, 그룅키에르램파드가 득점한 첼시와 이바라, 모리엔테스가 득점한 AS 모나코가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안데르스 프리스크가 심판을 맡았다.

2004년4월 21일 1차전은 에스타디우 두 드라강에서 열렸으며, 포르투데포르티보가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마르쿠스 메르크가 심판을 맡았다.

2004년5월 4일 2차전은 리아소르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데를레이가 페널티골을 득점하여 포르투데포르티보를 1-0으로 이겼다. 피에를루이지 콜리나가 심판을 맡았다.

5. 4. 결승전

2004년5월 26일, 독일겔젠키르헨의 아레나 아우프샬케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포르투AS 모나코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데쿠, 알레니체프가 득점하였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AS 모나코 {{lang|fr|AS Monaco FC|}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포르투
2번째 우승


6. 주요 선수

페르난도 모리엔테스es (AS 모나코)는 2003-04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9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다도 프르쇼hr (AS 모나코), 로이 마카이nl (바이에른 뮌헨), 디디에 드로그바프랑스어 (마르세유)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format for Champions League ! UEFA Champions League https://www.uefa.com[...] UEFA.com 2002-07-11
[2] 웹사이트 UEFA Country Ranking 2002 https://kassiesa.hom[...] Bert Kassies
[3] RSSSF Azerbaijan 2002/03 at RSSSF https://www.rsssf.or[...]
[4] 웹사이트 UEFA European Football Calendar 2003/2004 https://kassiesa.net[...] Bert Kass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