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2010년에 열린 시상식으로, 2010년 한 해 동안의 영화를 대상으로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가 주최하여 수상작(자)을 발표했다. 작품상은 《소셜 네트워크》가, 외국어영화상은 《신과 인간》이 수상했다. 데이비드 핀처는 《소셜 네트워크》로 감독상을, 아론 소킨은 《소셜 네트워크》로 작가상을 받았다. 남우주연상은 《킹스 스피치》의 콜린 퍼스, 여우주연상은 《에브리바디 올라잇》의 아네트 베닝이 수상했다. 영국 작품상은 《킹스 스피치》가, 영국 감독상은 톰 후퍼가, 영국 남우주연상은 크리스찬 베일이, 영국 여우주연상은 레슬리 맨빌이, 영국 남우조연상은 앤드루 가필드가, 영국 여우조연상은 올리비아 윌리암스가, 영국필름메이커상은 가렛 에드워즈가, 영국신인상은 코너 맥카론이 각각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영화상 - 제67회 골든 글로브상
    2010년 1월 17일에 열린 제67회 골든 글로브상은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작품과 배우들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영화 부문에서는 《아바타》와 《행오버》가, 텔레비전 부문에서는 《매드 맨》과 《글리》가 각각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마틴 스코세이지는 세실 B. 데밀 상을 받았다.
  • 2010년 영화상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제46회 백상예술대상은 2010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부문 대상은 윤제균, TV 부문 대상은 고현정이 수상했고, 영화, TV 부문별 작품상, 최우수 연기상, 신인 연기상, 인기상 등이 수여되었다.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93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93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1993년에 개최되었으며, 《피아노》가 올해의 영화로, 《남은 나날》이 올해의 영국 영화로, 《겨울의 마음》이 올해의 외국어 영화로 선정되었다.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1994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94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은 《쉰들러 리스트》의 작품상, 스티븐 스필버그의 감독상, 《패왕별희》의 외국어영화상 수상과 더불어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이 4관왕을 차지했다.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기본 정보
상 이름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어 이름London Film Critics' Circle Awards
국가영국
주최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
시상 내역
최고 작품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작품상
감독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감독상
각본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각본상
남우주연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조연상
영국 작품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 작품상
영국 감독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 감독상
영국 각본가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 각본가상
영국 남우주연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 남우주연상
영국 여우주연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 여우주연상
신인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신인상
기술 성취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기술 성취상
외국어 영화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
다큐멘터리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다큐멘터리상
단편 영화상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단편 영화상
연도별 정보 (2010년)
회차31회
날짜2011년 2월 10일

2. 주요 수상 부문

2. 1. 작품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작품상 주요 후보작은 《소셜 네트워크》, 《토이 스토리 3》, 《킹스 스피치》, 《에브리바디 올라잇》, 《블랙 스완》이었다. 이 중 《소셜 네트워크》가 작품상을 수상했다.

2. 2. 외국어영화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영화상 후보에는 프랑스 영화 《신과 인간》, 그리스 영화 《송곳니》, 이탈리아 영화 《아이 엠 러브》, 아르헨티나 영화 《그들의 눈이 말할 때까지》, 태국 영화 《엉클 분미》가 올랐다. 최종 수상작은 《신과 인간》이다.

2. 3. 감독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감독상 후보는 다음과 같다.

최종 수상은 데이비드 핀처가 소셜 네트워크로 수상하였다.

2. 4. 작가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작가상 부문은 아론 소킨이 소셜 네트워크로 수상했다. 후보로는 포 라이온스의 크리스 모리스, 제시 암스트롱, 샘 베인, 킹스 스피치의 데이비드 세이들러, 에브리바디 올라잇의 스튜어트 블럼버그와 리사 촐로덴코, 더 브레이브조엘 코언과 에단 코언이 올랐다.

2. 5. 남우주연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후보는 킹스 스피치콜린 퍼스, 카를로스의 에드가 라미레스, 더 브레이브의 제프 브리지스, 블루 발렌타인의 라이언 고슬링, 소셜 네트워크의 제시 아이젠버그였다. 최종 수상은 킹스 스피치콜린 퍼스가 차지했다.

2. 6. 여우주연상

에브리바디 올라잇아네트 베닝이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블랙 스완의 나탈리 포트만, 윈터스 본제니퍼 로렌스, 밀레니엄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의 루니 마라, 더 브레이브의 헤일리 스테인펠드가 후보에 올랐다.

3. 영국 영화 특별 부문

3. 1. 영국작품상

후보작은 《킹스 스피치》, 《어나더 이어》, 《아버》, 《괴물들》, 《127 시간》이다. 이 중 영국작품상 수상작은 《킹스 스피치》이다.

3. 2. 영국감독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감독상 후보에는 톰 후퍼(《킹스 스피치》), 대니 보일(《127 시간》), 마이크 리(《어나더 이어》), 크리스토퍼 놀란(《인셉션》), 클라이오 바나드(《아버》)가 올랐다. 이 중 톰 후퍼가 《킹스 스피치》로 영국감독상을 수상했다.

3. 3. 영국남우주연상

콜린 퍼스는 《킹스 스피치》에서, 앤드류 가필드는 《네버 렛 미 고》에서, 짐 브로드벤트는 《어나더 이어》, 리즈 아메드는 《포 라이온스》에서 주연하였고, 이들은 모두 영국남우주연상 후보였다. 최종 수상은 《파이터》의 크리스찬 베일에게 돌아갔다.

3. 4. 영국여우주연상

어나더 이어의 레슬리 맨빌이 영국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후보로는 바니의 버전의 로자먼드 파이크, 킹스 스피치의 헬레나 본햄 카터, 어나더 이어의 러스 쉰, 아이 엠 러브의 틸다 스윈튼이 올랐다.

3. 5. 영국남우조연상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영국남우조연상 후보는 소셜 네트워크의 앤드루 가필드, 인셉션톰 하디, 어나더 이어데이비드 브래들리, 유령 작가피어스 브로스넌, 어나더 이어의 피터 화이트였다. 수상은 앤드루 가필드가 소셜 네트워크로 하였다.

3. 6. 영국여우조연상

유령 작가의 올리비아 윌리암스가 영국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후보로는 바니의 버전의 미니 드라이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헬레나 본햄 카터, 메이드 인 다겐함의 로자먼드 파이크, 아버의 크리스틴 바텀리가 지명되었다.

3. 7. 영국필름메이커상

가렛 에드워즈는 2010년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 ''몬스터스''로 영국필름메이커상을 수상했다. 후보로는 엑시트 스루 더 기프트 샵의 뱅크시, 아버의 클라이오 바나드, 앨리스 크리드의 실종의 J 블레이크슨, 포 라이온스의 크리스 모리스가 있었다.

3. 8. 영국신인상

'''코너 맥카론 – 네즈'''

4. 시상식 정보

4. 1. 역대 시상식

참조

[1] 웹사이트 31st London Critics' Circle nominations http://www.awardsdai[...] AwardsDaily
[2] 웹사이트 "'The King's Speech,' 'Another Year' Lead Nominations at London Critics' Circle Film Awards" http://www.hollywood[...]
[3] 웹사이트 '"Social Network," "King\'s Speech" Lead London Critics Circle Winners' http://www.indiewire[...] IndieWire
[4] 웹사이트 The London Critics' Circle Film Awards http://criticscircle[...] criticscircle.org.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