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는 2013년에 치러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이다. 사회민주당(SPÖ)과 국민당(ÖVP)의 대연정 정부는 지지율 하락을 겪었고, 자유당(FPÖ)과 미래 동맹(BZÖ)의 지위 변화, 부패 스캔들, 재정적 안정성 문제가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부상했다.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은 1당을 유지했지만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했고, 자유당이 약진했으며, 팀 슈트로나흐와 NEOS가 원내 진입에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오스트리아 - 2013년 유럽 홍수
2013년 유럽 홍수는 기록적인 강수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영향으로 2013년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중부 유럽에서 발생한 대규모 홍수로, 특히 다뉴브강과 엘베강 유역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여 인명 피해와 유럽 연합 연대 기금 발동 등의 대응을 야기했다. - 2013년 오스트리아 - 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투표
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투표는 징병제 폐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투표 결과 징병제 폐지를 반대하는 여론이 더 높게 나타났다. -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 2019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2019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는 이비사 스캔들로 인한 연립 정부 붕괴로 조기 실시되어 국민당이 제1당을 유지하고 녹색당이 약진했으며, 이후 국민당과 녹색당의 연정으로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가 재집권했다. -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 2024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2024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는 2019년 이비자 스캔들로 인한 연립 정부 붕괴 후 국민당-녹색당 연립 정부 임기 만료 후 치러진 총선으로, 자유당이 최다 의석을 확보하고 국민당은 의석수가 크게 감소했으며 사회민주당과 NEOS는 의석이 증가, 녹색당은 감소했다. - 2013년 선거 - 2013년 파라과이 대통령 선거
2013년 파라과이 대통령 선거는 페르난도 루고 대통령 탄핵 후 실시된 선거로, 콜로라도당의 오라시오 카르테스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고, 콜로라도당이 상원과 하원 의원 선거에서도 압승했으며, 페르난도 루고 전 대통령이 상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 2013년 선거 - 2013년 이탈리아 총선
2013년 이탈리아 총선은 유럽 재정 위기와 긴축 정책에 대한 반발 속에서 치러졌으며, 하원에서는 중도 좌파 연합이, 상원에서는 중도 우파 연합과 오성운동이 선전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여 엔리코 렛타를 총리로 하는 대연정이 출범했다.
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오스트리아 |
선거 유형 | 국민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2008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08년 |
차기 선거 | 2017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 |
차기 선거 연도 | 2017년 |
선출 의석수 | 국민의회의 총 183석 |
과반 의석수 | 92석 |
선거일 | 2013년 9월 29일 |
투표율 | 74.9% (감소 3.9%p)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제1정당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지도자 | 베르너 파이만 |
제2정당 | 오스트리아 국민당 |
지도자 | 미하엘 스핀데레거 |
제3정당 | 오스트리아 자유당 |
지도자 | 하인츠-크리스티안 슈트라헤 |
제4정당 | 녹색당 |
지도자 | 에바 글라비슈니크 |
선거 결과 | |
![]() | |
지도자 | 베르너 파이만 |
이전 선거 의석수 | 57석 |
획득 의석수 | 52석 |
의석수 변동 | 5석 |
득표수 | 1,258,605표 |
득표율 | 26.8% |
득표율 변동 | 2.4%p |
![]() | |
지도자 | 미하엘 스핀데레거 |
이전 선거 의석수 | 51석 |
획득 의석수 | 47석 |
의석수 변동 | 4석 |
득표수 | 1,125,876표 |
득표율 | 24.0% |
득표율 변동 | 2.0%p |
![]() | |
지도자 | 하인츠-크리스티안 슈트라헤 |
이전 선거 의석수 | 34석 |
획득 의석수 | 40석 |
의석수 변동 | 6석 |
득표수 | 962,313표 |
득표율 | 20.5% |
득표율 변동 | 3.0%p |
![]() | |
지도자 | 에바 글라비슈니크 |
이전 선거 의석수 | 20석 |
획득 의석수 | 24석 |
의석수 변동 | 4석 |
득표수 | 582,657표 |
득표율 | 12.4% |
득표율 변동 | 2.0%p |
![]() | |
지도자 | 프랑크 슈트로나흐 |
이전 선거 의석수 | - |
획득 의석수 | 11석 |
의석수 변동 | 신규 |
득표수 | 268,679표 |
득표율 | 5.7% |
득표율 변동 | 신규 |
![]() | |
지도자 | 마티아스 슈트롤츠 |
이전 선거 의석수 | - |
획득 의석수 | 9석 |
의석수 변동 | 신규 |
득표수 | 232,946표 |
득표율 | 5.0% |
득표율 변동 | 신규 |
총리 | |
선거 이전 | 베르너 파이만 |
소속 정당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선거 이후 | 베르너 파이만 |
소속 정당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
지도 이미지 정보 | |
지도 이미지 1 | [[파일:2013 Austrian legislative election - Results.svg|350px]] |
지도 이미지 1 설명 | 획득 의석수에 따른 결과 |
지도 이미지 2 | [[파일:2013 Austria National Council election by voteshare.svg|350px]] |
지도 이미지 2 설명 | 주별 득표율에 따른 결과 |
지도 이미지 3 | [[파일:2013 Austrian National Council election by district.svg|350px]] |
지도 이미지 3 설명 | 지역별 득표율에 따른 결과 |
2. 배경
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는 사회민주당 (SPÖ)과 국민당 (ÖVP)의 대연정으로 구성된 정부가 이끌고 있었으며, 베르너 파이만이 수상을 맡고 있던 상황에서 치러졌다.
2. 1. 정치적 배경
정부는 오스트리아의 두 주요 정당인 사회민주당(SPÖ)과 국민당(ÖVP)의 대연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르너 파이만이 수상을 맡고 있다. 두 집권 정당에 대한 지지율은 2008년 총선 이후 소폭 하락했다. 자유당(FPÖ)과 미래 동맹(BZÖ)은 지난 선거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자유당은 2008년 선거 이후 지지세를 얻은 반면, 미래 동맹은 창당주 요르크 하이더의 사망 이후 자유주의로 노선을 변경하면서 쇠퇴했다. 또한, 국민의회에 당선된 미래 동맹 의원 21명 중 9명이 임기 중 당적을 변경했는데, 5명은 스트로나흐 팀, 4명은 자유당에 합류했다. 오스트리아계 캐나다인 사업가 프랭크 스트로나흐가 자금을 지원하는 스트로나흐 팀은 반유로 세력으로 부상했으며, 결국 여론 조사에서 자유당의 입지를 약화시키기 시작했다. 녹색당은 여론 조사에서 네 번째로 큰 정당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2. 2. 선거 쟁점
주요 정당 전체에 걸쳐 부패 스캔들이 발생했고, 오스트리아가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위기에 직면하여 상대적으로 재정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문제가 선거 쟁점으로 부상했다.[3]3. 참여 정당
2013년 오스트리아 국민의회 선거에는 원내 정당과 원외 정당을 포함하여 여러 정당들이 참여했다. 원내 정당은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 오스트리아 자유당(FPÖ), 오스트리아 미래 동맹(BZÖ), 녹색당(GRÜNE)이었다.
원외 정당 중 슈트로나흐 팀(Team Stronach), NEOS, 오스트리아 공산당(KPÖ), 오스트리아 해적당(PIRAT)은 모든 주에서 투표 용지에 이름을 올렸고, 오스트리아 기독교당(CPÖ), 변화당, 사회주의 좌파당(오스트리아)(SLP), EU 탈퇴당, 오스트리아 남성당은 일부 주에서만 투표 용지에 이름을 올렸다.[2]
3. 1. 원내 정당
Sozialdemokratische Partei Österreichs|소치알데모크라티셰 파르타이 외스터라이히스de
베르너 파이만
Österreichische Volkspartei|외스터라이히셰 폴크스파르타이de

미하엘 슈핀델레거
Freiheitliche Partei Österreichs|프라이하이트리헤 파르타이 외스터라이히스de

하인츠-크리스티안 슈트라헤
Bündnis Zukunft Österreich|뷘트니스 추쿤프트 외스터라이히de

요제프 부허
Die Grünen|디 그뤼넨de

에바 글라비슈니히-피셰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