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은 중국 난징에서 개최된 U-16 여자 축구 대회로,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12개 팀이 참가했다.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으며, 중국이 3위, 태국이 4위를 차지했다. 상위 3개 팀인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은 2014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13
2013년 스웨덴에서 개최된 UEFA 여자 유로 대회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독일이 우승을 차지하고 로타 셸린이 득점왕에 오른 대회이다. - 2013년 여자 축구 -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예선을 거쳐 대한민국에서 결선 라운드가 개최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다. - 2013년 청소년 축구 -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2013년 AFC U-22 챔피언십은 16개국이 참가하여 오만에서 개최된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대회로, 이라크가 우승, 카베 레자에이가 득점왕, 암자드 칼라프가 최우수 선수, 대한민국이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 2013년 청소년 축구 - 2013년 FIFA U-17 월드컵
2013년 FIFA U-17 월드컵은 2013년 10월 17일부터 11월 8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나이지리아가 멕시코를 꺾고 우승하였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AFC U-17 여자 아시안컵
AFC U-17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7세 이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FIFA U-17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 일본, 북한 등이 우승했고 2026년부터 매년 개최 및 참가팀 확대 예정이다.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
2005년 AFC U-17 여자 챔피언십은 대한민국 남해군에서 개최되어 일본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 U-17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개최 연도 | 2013년 |
개최 도시 | 난징시 |
개최 기간 | 2013년 9월 26일 – 2013년 10월 6일 |
참가 팀 수 | 12 (1개 연맹) |
경기장 | 장닝 스포츠 센터 |
이전 대회 |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다음 대회 | 2015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
결과 | |
우승 | (3회 우승) |
통계 | |
득점왕 | 고바야시 리카코 (7골) |
최우수 선수 | 스기타 히나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난징는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의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 경기는 난징시에 위치한 장닝 스포츠 센터, 장쑤 축구 훈련 센터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 장닝 스포츠 센터
- 장쑤 축구 훈련 센터 경기장
3. 예선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예선은 2012년에 진행되었다.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에서 상위 4팀은 자동 진출권을 얻었는데,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은 4위를 기록하여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나머지 팀들은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며, 자세한 내용은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예선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3. 1. 본선 진출팀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본선에 자동 출전한 팀'''
- 일본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 중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개최국)
- 대한민국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4위)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한 팀'''
- 요르단 (최종 예선 A조 1위)
- 바레인 (최종 예선 A조 2위)
- 우즈베키스탄 (최종 예선 B조 1위)
- 이란 (최종 예선 B조 2위)
- 오스트레일리아 (최종 예선 C조 1위)
- 태국 (최종 예선 C조 2위)
- 중화 타이베이 (최종 예선 D조 1위)
- 괌 (최종 예선 D조 2위)
2011년 성적에 따라 4개 팀이 본선에 직행했고, 나머지 팀들은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했다.
국가 | 자격 획득 방법 | 자격 획득 날짜 |
---|---|---|
일본 |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우승 | 2012년 7월 10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준우승 | 2012년 7월 10일 |
중국 |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3위, 이후 개최국으로 확정 | 2012년 7월 10일 |
대한민국 | 2011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4위 | 2012년 7월 10일 |
중화 타이베이 | 예선 D조 우승 | 2012년 11월 8일 |
괌 | 예선 D조 준우승 | 2012년 11월 8일 |
오스트레일리아 | 예선 C조 우승 | 2012년 11월 9일 |
요르단 | 예선 A조 우승 | 2012년 11월 9일 |
바레인 | 예선 A조 준우승 | 2012년 11월 9일 |
태국 | 예선 C조 준우승 | 2012년 11월 11일 |
우즈베키스탄 | 예선 B조 우승 | 2012년 11월 28일 |
이란 | 예선 B조 준우승 | 2012년 11월 30일 |
4. 조별 리그
2013년 AFC U-16 여자 챔피언십 조별 리그는 12개 팀이 3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 1위 팀만이 4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3] 조 추첨은 2013년 4월 26일에 열렸다.[4]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A조 | 중국 | 2 | 2 | 0 | 0 | 19 | 0 | +19 | 6 |
오스트레일리아 | 2 | 1 | 0 | 1 | 8 | 2 | +6 | 3 | |
바레인 | 2 | 0 | 0 | 2 | 0 | 25 | -25 | 0 | |
B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2 | 0 | 0 | 16 | 0 | +16 | 6 |
중화 타이베이 | 2 | 1 | 0 | 1 | 2 | 11 | -9 | 3 | |
요르단 | 2 | 0 | 0 | 2 | 1 | 8 | -7 | 0 | |
C조 | 태국 | 2 | 1 | 1 | 0 | 5 | 2 | +3 | 4 |
대한민국 | 2 | 0 | 2 | 0 | 2 | 2 | 0 | 2 | |
우즈베키스탄 | 2 | 0 | 1 | 1 | 0 | 3 | -3 | 1 | |
D조 | 일본 | 2 | 2 | 0 | 0 | 28 | 0 | +28 | 6 |
이란 | 2 | 1 | 0 | 1 | 2 | 9 | -7 | 3 | |
괌 | 2 | 0 | 0 | 2 | 0 | 21 | -21 | 0 |
대한민국은 C조에서 2무를 기록, 조 3위로 4강 진출에 실패했다.
조별 리그 종료 후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를 정했다.[3]
1. 조별 리그에서 같은 승점을 기록한 팀끼리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2. 조별 리그에서 같은 승점을 기록한 팀끼리의 경기에서 얻은 골득실
3. 조별 리그에서 같은 승점을 기록한 팀끼리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4.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득실
5.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6. 승점이 같은 두 팀이 마지막 경기를 치른 경우 승부차기
7. 조별 리그 경기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 횟수 (적은 팀이 상위)
8. 추첨
모든 경기는 중국 표준시를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4.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중국 | 2 | 2 | 0 | 0 | 19 | 0 | +19 | 6 |
오스트레일리아 | 2 | 1 | 0 | 1 | 8 | 2 | +6 | 3 |
바레인 | 2 | 0 | 0 | 2 | 0 | 25 | -25 | 0 |
- 2013년 9월 26일, 난징의 장닝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중국과 바레인의 경기에서 중국이 17-0으로 크게 이겼다.[1]
- 득점: 천위단(2골), 우 위에(3골), 류 얀(5골), 친 만만(2골), 추이 위한(3골), 선 루판(1골), Hessa Alzayani(바레인, 자책골)
- 9월 28일, 오스트레일리아가 바레인을 8-0으로 이겼다.[2]
- 득점: 리안나 폴리치나, 매들린 스톡데일, 제시카 피츠, 아프리카 맥글래드릭, 서니 프랑코(3골), 알렉산드라 치디악
- 9월 30일,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를 2-0으로 꺾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3]
- 득점: 추이 위한, 판 위치우
결과적으로 중국이 2승으로 4강에 진출했다.
4.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2 | 0 | 0 | 16 | 0 | +16 | 6 |
중화 타이베이 | 2 | 1 | 0 | 1 | 2 | 11 | -9 | 3 |
요르단 | 2 | 0 | 0 | 2 | 1 | 8 | -7 | 0 |
- 2013년 9월 26일 난징 장쑤 축구 훈련 센터 경기장: 요르단 0 –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득점: 위정심 (10'), 문경영 (21' 페널티킥), 리해연 (34', 45', 57'), 김봄이 (67')[1]
- 2013년 9월 28일 난징 장닝 스포츠 센터: 중화 타이베이 2 – 1 요르단
- * 중화 타이베이 득점: 판신위 (39'), 양자후이 (42')
- * 요르단 득점: 마나르 모함마드 (88')[2]
- 2013년 9월 30일 난징 장쑤 축구 훈련 센터 경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0 – 0 중화 타이베이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득점: 리범황 (8'), 위정심 (20', 24'), 안성옥 (22'), 승향심 (39', 41', 85'), 김봄이 (50'), 리해연 (54'), 리은영 (77')[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B조 1위(2승, 16득점 0실점)로 4강에 진출했다.
4. 3.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style="text-align:left;" | | 2 | 1 | 1 | 0 | 5 | 2 | +3 | 4 |
style="text-align:left;" | | 2 | 0 | 2 | 0 | 2 | 2 | 0 | 2 |
style="text-align:left;" | | 2 | 0 | 1 | 1 | 0 | 3 | -3 | 1 |
- 2013년 9월 26일, 대한민국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우즈베키스탄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0 – 0 무승부를 기록했다.[1]
- 2013년 9월 30일, 대한민국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태국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2 – 2 무승부를 기록했다.[2] 이 경기에서 이소희는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넣었지만, 태국의 수다랏에게 두 골을 허용하며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3]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은 2무를 기록하며 조 3위로 대회를 마감했고, 태국이 1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4강에 진출했다.[4]
4. 4.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2 | 2 | 0 | 0 | 28 | 0 | +28 | 6 |
이란 | 2 | 1 | 0 | 1 | 2 | 9 | -7 | 3 |
괌 | 2 | 0 | 0 | 2 | 0 | 21 | -21 | 0 |
2013년 9월 26일, 난징의 장쑤 축구 훈련 센터 경기장에서 열린 괌과 일본의 경기에서 일본은 가모가와 미호의 해트트릭과 고바야시 리카코의 5골, 스기타 히나와 기타가와 히카루의 4골 등에 힘입어 19-0 대승을 거두었다.[1]
9월 28일 난징 장닝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이란과 괌의 경기에서는 이란이 샤브남 베헤슈트와 파테메 게라엘리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2]
9월 30일에는 난징 장닝 스포츠 센터에서 일본과 이란의 경기가 열렸고, 일본이 니시다 메이카, 미나미 모에카, 기타가와 히카루, 스기타 히나, 나가노 후카, 고노 후카의 연속골로 9-0 대승을 거두며 조 1위로 4강에 진출했다.[3]
5. 결선 토너먼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한국어: 주효심 (35분), 리해연 (41분, 83분)
ไทย|태국th: 탄나콘 잔타완 (49분), 수다랏 (67분)
日本|일본일본어: 미우라 (6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