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는 시장, 시의원, 구청장, 이장 등 지방 공직자를 선출하는 선거였다.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지역 주민의 생활과 중앙 정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거였다. 선거는 8월 20일 공고를 시작으로, 11월 29일 투표가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진보당이 13명의 직할시장/현 시장을 배출하며 중국국민당을 앞섰으며,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는 중국국민당이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2. 배경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는 지방 공직자, 즉 시장, 시의원, 구청장, 이장 등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 선거는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선거이며, 지방 자치 행정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선거이다. 선거를 통해 선출된 공직자들은 지역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책들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 선거는 중앙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도 지니고 있어, 선거 결과는 향후 중앙 정부의 정책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선거 일정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일정은 다음과 같다.


  • 8월 20일: 중앙선거위원회가 지방 공직 인원 선거를 공고했다.
  • 9월 1일: 입후보자 등록이 시작되었다.
  • 9월 5일: 입후보자 등록이 마감되었다.
  • 11월 29일: 투표가 진행되었다.

4. 선거 대상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다양한 공직을 선출했다.


  • 직할 시장: 6명
  • 현 시장: 16명
  • 직할시 의원: 375명
  • 현 시 의원: 532명
  • 향진 시장: 198명 (일본의 읍면에 해당하며, 향진 시장은 읍면장에 해당)
  • 향진 시민 대표: 2096명 (향진 시민 대표는 읍면 의원에 해당)
  • 촌리장: 7851명 (인구 수천 명 수준의 행정 단위의 장)
  • 산지 원주민 구장: 6명
  • 평지 원주민 구민 대표: 50명


출처: 표 2 "2014년 통일 지방 선거의 개요, 선출 인원 등", 이시하라 타다히로(대만・정치대학교 국제관계센터 조수 연구원) "대만 내정, 일 대만 관계를 둘러싼 동향 (2014년 7월 상순~9월 상순) "9 in 1" 통일 지방 선거를 향한 움직임" 대만 정보지 『교류』 (2014년 9월호) 21p.

2014년 지방 선거에서는 각 직할시 및 현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진행되었다.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정당,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각 지역별 당선자와 2위 득표자가 발표되었다. 직할시장 선거는 66.31%, 현 시장 선거는 70.40%의 투표율을 기록했다.[23]
선거 결과:| 구분 | 유권자 | 투표율(%) | 당선자 | 득표수 | % | 차점자 | 득표수 | % | 지도 |

| :------- | :------- | :-------- | :----------------------------------- | :----- | :------ | :----------------------------------- | :----- | :------ | :------------------------------------------------------------------ |

| 신베이시 | 3,156,402 | 61.65 | 주리룬 | 959,302 | 50.06 | 유시쿤 | 934,774 | 48.78 | |

| 타이베이시 | 2,146,939 | 70.46 | 커원저 | 853,983 | 57.16 | 롄성원 | 609,932 | 40.82 | |

| 타오위안시 | 1,568,713 | 62.73 | 정원찬 | 492,414 | 51.00 | 우즈양 | 463,133 | 47.97 | |

| 타이중시 | 2,093,689 | 71.93 | 린자룽 | 847,284 | 57.06 | 후시산 | 637,531 | 42.94 | |

| 타이난시 | 1,512,778 | 65.88 | 라이칭더 | 711,557 | 72.90 | 황슈솽 | 264,536 | 27.10 | |

| 가오슝시 | 2,231,225 | 66.44 | 천쥐 | 993,300 | 68.09 | 양추싱 | 450,647 | 30.89 | |

| 이란현 | 365,138 | 70.46 | 린충셴 | 160,253 | 63.95 | 추수티 | 90,320 | 36.05 | |

| 신주현 | 403,173 | 68.76 | 추칭춘 | 124,309 | 46.94 | 정융친 | 118,698 | 44.82 | |

| 먀오리현 | 446,182 | 72.80 | 쉬야오창 | 147,547 | 46.59 | 우이쳰 | 89,838 | 28.37 | |

| 장화현 | 1,015,804 | 72.93 | 웨이밍구 | 386,405 | 53.71 | 린창민 | 284,738 | 39.58 | |

| 난터우현 | 414,091 | 73.11 | 린밍젠 | 149,361 | 50.96 | 리원충 | 143,719 | 49.04 | |

| 윈린현 | 565,557 | 74.09 | 리진용 | 232,900 | 56.98 | 장리산 | 175,862 | 43.02 | |

| 자이현 | 430,505 | 74.19 | 장화이 | 193,399 | 63.09 | 원충춘 | 104,488 | 34.09 | |

| 핑둥현 | 686,810 | 73.53 | 판먼안 | 308,953 | 62.93 | 젠타이랑 | 182,027 | 37.07 | |

| 타이둥현 | 179,015 | 67.82 | 황젠팅 | 64,272 | 54.41 | 류차오하오 | 53,860 | 45.59 | |

| 화롄현 | 265,571 | 61.77 | 푸쿤치 | 89,048 | 56.53 | 차이치다 | 43,504 | 27.62 | |

| 펑후현 | 82,269 | 66.27 | 천광푸 | 29,164 | 55.34 | 쑤쿤슝 | 23,533 | 44.66 | |

| 지룽시 | 303,329 | 63.92 | 린유창 | 101,010 | 53.15 | 셰리궁 | 52,198 | 27.47 | |

| 신주시 | 322,472 | 62.90 | 린즈젠 | 76,578 | 38.36 | 쉬밍차이 | 75,564 | 37.85 | |

| 자이시 | 208,099 | 70.96 | 투싱저 | 74,698 | 51.41 | 천이천 | 66,108 | 45.50 | |

| 진먼현 | 103,555 | 45.15 | 천푸하이 | 23,965 | 52.77 | 리워스 | 15,146 | 33.35 | |

| 롄장현 | 10,040 | 67.05 | 류청잉 | 4,385 | 66.25 | 양수이성 | 2,234 | 33.75 | |

  • 신베이시: 주리룬 후보가 959,302표(50.06%)로 당선, 유시쿤 후보는 934,774표(48.78%)를 획득했다.
  • 타이베이시: 커원저 후보가 853,983표(57.16%)로 당선, 롄성원 후보는 609,932표(40.82%)를 획득했다.
  • 타오위안시: 정원찬 후보가 492,414표(51.00%)로 당선, 우즈양 후보는 463,133표(47.97%)를 획득했다.
  • 타이중시: 린자룽 후보가 847,284표(57.06%)로 당선, 후시산 후보는 637,531표(42.94%)를 획득했다.
  • 타이난시: 라이칭더 후보가 711,557표(72.90%)로 압승, 황슈솽 후보는 264,536표(27.10%)를 획득했다.
  • 가오슝시: 천쥐 후보가 993,300표(68.09%)로 당선, 양추싱 후보는 450,647표(30.89%)를 획득했다.
  • 이란현: 린충셴 후보가 160,253표(63.95%)로 당선, 추숙제 후보는 90,320표(36.05%)를 획득했다.
  • 신주현: 추징춘 후보가 124,309표(46.94%)로 당선, 정융친 후보는 118,698표(44.82%)를 획득했다.
  • 먀오리현: 쉬야오창 후보가 147,547표(46.59%)로 당선, 우이쳰 후보는 89,838표(28.37%)를 획득했다.
  • 장화현: 웨이밍구 후보가 386,405표(53.71%)로 당선, 린창민 후보는 284,738표(39.58%)를 획득했다.
  • 난터우현: 린밍젠 후보가 149,361표(50.96%)로 당선, 리원충 후보는 143,719표(49.04%)를 획득했다.
  • 윈린현: 리진용 후보가 232,900표(56.98%)로 당선, 장리산 후보는 175,862표(43.02%)를 획득했다.
  • 자이현: 장화이 후보가 193,399표(63.09%)로 당선, 원충춘 후보는 104,488표(34.09%)를 획득했다.
  • 핑둥현: 판먼안 후보가 308,953표(62.93%)로 당선, 젠타이랑 후보는 182,027표(37.07%)를 획득했다.
  • 타이둥현: 황젠팅 후보가 64,272표(54.41%)로 당선, 류차오하오 후보는 53,860표(45.59%)를 획득했다.
  • 화롄현: 푸쿤치 후보가 89,048표(56.53%)로 당선, 차이치다 후보는 43,504표(27.62%)를 획득했다.
  • 펑후현: 천광푸 후보가 29,164표(55.34%)로 당선, 쑤쿤슝 후보는 23,533표(44.66%)를 획득했다.
  • 기륭시: 린유창 후보가 101,010표(53.15%)로 당선, 셰리궁 후보는 52,198표(27.47%)를 획득했다.
  • 신주시: 린즈젠 후보가 76,578표(38.36%)로 당선, 쉬밍차이 후보는 75,564표(37.85%)를 획득했다.
  • 자이시: 투싱저 후보가 74,698표(51.41%)로 당선, 천이천 후보는 66,108표(45.50%)를 획득했다.
  • 진먼현: 천푸하이 후보가 23,965표(52.77%)로 당선, 리워스 후보는 15,146표(33.35%)를 획득했다.
  • 롄장현: 류청잉 후보가 4,385표(66.25%)로 당선, 양수이성 후보는 2,234표(33.75%)를 획득했다.

정당별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 | :---------- | :-------- | :-------- |

| 민주진보당 | 5,830,106 | 47.55% | 13 |

| 중국 국민당 | 4,990,677 | 40.70% | 6 |

| 인민민주전선 | 4,123 | 0.03% | 0 |

| 기타 정당 | 2,027 | 0.01% | 0 |

| 무소속 | 1,434,851 | 11.70% | 3 |

| 합계 | 12,261,784 | 100.00% | 22 |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직할시 및 현/시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13][14][15][16][17][18][19][20][21][22]

[[File:2014ROC Council.svg|thumb|right|300px|'''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의 시의원 선거 결과: 색상은 최다 의석 정당을 나타냅니다''' ]

구역국민당민진당TSUPFPNP무소속/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
타이베이2827122363
신베이26321766
타오위안292011060
지룽14103431
이란 현11121934
신주15711033
신주 현232936
먀오리 현1941538
타이중28272663
장화 현24171354
난터우 현1781137
윈린 현71312243
자이6511224
자이 현9181037
타이난162811257
가오슝243311766
타이둥 현221730
핑둥 현19181755
펑후 현82919
진먼 현151319
롄장 현639
합계386291992208907



지역별 당선자 수
colspan=2 rowspan=2|정당
국민당민진당대만연맹친민당신당녹색당무소속노동당제 정당무소속
전국 합계3862919922212203
직할시 타이베이시282712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3
신베이시2632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7
타오위안시29201align="right"|align="right"|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9
타이중시2827align="right"|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6
타이난시1628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2
가오슝시243311align="right"|align="right"|2align="right"|align="right"|5
타이완 성 신주현23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align="right"|1align="right"|9
먀오리현194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5
장화현2417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3
난터우현178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11
윈린현713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22
자이현918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0
핑둥현1918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7
이란현1112align="right"|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9
화롄현206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7
타이둥현22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27
펑후현8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9
지룽시1410align="right"|3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4
신주시157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0
자이시65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2
푸젠 성 진먼현15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3
롄장현6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3



전체 907석 중 중국 국민당이 386석, 민주진보당이 291석을 차지했다. 이 외 대만 단결 연맹이 9석, 친민당이 9석, 신당녹색당이 각각 2석, 노동당이 1석을 획득했으며, 무소속은 203석을 가져갔다.[24] 특히, 가오슝시, 타이난시, 신베이시 등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다.

{|class="wikitable"

|-

|+ 정당별 득표수·득표율 및 당선자 수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중국 국민당

| align="right"|4,515,532

| align="right"|37.08%

! 386

|-

| 민주진보당

| align="right"|4,488,789

| align="right"|36.86%

! 291

|-

| 대만 단결 연맹

| align="right"|224,904

| align="right"|1.85%

! 9

|-

| 친민당

| align="right"|190,107

| align="right"|1.56%

! 9

|-

| 신당

| align="right"|129,634

| align="right"|1.06%

! 2

5. 주요 정당별 후보 및 결과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주요 정당인 중국국민당민주진보당, 그리고 무소속 후보들이 다양한 선거에 참여하여 경쟁했다. 선거 결과는 각 정당의 지지 기반과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며, 향후 중화민국 정치 지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30]

2014년 지방 선거 결과, 각 정당별 득표와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민주진보당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13석,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 291석,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54석,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 194석, 촌리장 선거에서 390석을 획득했다. 중국국민당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6석,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 386석,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80석,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 539석, 촌리장 선거에서 1794석을 차지했다. 무소속 후보들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3석,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 203석,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68석,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 1403석, 촌리장 선거에서 5659석을 얻었다. 그 외 대만단결연맹, 친민당, 신당, 녹색당 등도 일부 의석을 확보했다.

### 직할시의원 및 현시의원 선거

2014년 지방 선거에서는 직할시 및 현/시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전체 907석 중 중국 국민당이 386석, 민주진보당이 291석을 차지했다. 이 외 대만 단결 연맹이 9석, 친민당이 9석, 신당녹색당이 각각 2석, 노동당이 1석을 획득했으며, 무소속은 203석을 가져갔다. 특히, 가오슝시, 타이난시, 신베이시 등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다.

구역국민당민진당TSUPFPNP무소속/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
타이베이2827122363
신베이26321766
타오위안292011060
지룽14103431
이란 현11121934
신주15711033
신주 현232936
먀오리 현1941538
타이중28272663
장화 현24171354
난터우 현1781137
윈린 현71312243
자이6511224
자이 현9181037
타이난162811257
가오슝243311766
타이둥 현221730
핑둥 현19181755
펑후 현82919
진먼 현151319
롄장 현639
합계386291992208907



투표율은 직할시 시의원 선거에서 66.38%, 현/시 의원 선거에서 70.45%를 기록했다.

### 향진시구장 선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각 향(鄕), 진(鎭), 시(市), 구(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 시(市) 시장, 원주민 구(區) 구장, 향(鄕)/진(鎭) 장 포함


구분국민당민진당무소속/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
창화현881026
자이시없음
자이현113418
신주시없음
신주현81413
화롄현91313
가오슝시 213
지룽시없음
진먼현66
롄장현44
먀오리현11718
난터우현42713
신베이시 11
펑후현246
핑둥현7101633
타이중시 11
타이난시없음
타이베이시없음
타이둥현121313
타오위안시 11
이란현46212
윈린현112720
합계825470200



투표율은 향진 시장 선거에서 71.32%,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80.93%를 기록했다.

###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2014년 지방 선거에서는 각 향진시구의 민대표를 선출하는 선거도 함께 진행되었다.

구역중국 국민당(KMT)민주진보당(DPP)무소속(IND)/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
장화현4147224317
자이시없음
자이현1827148193
신주시없음
신주현75265141
화롄현90448142
가오슝시 51621
지룽시없음
진먼현321345
롄장현17522
먀오리현497137193
난터우현363124163
신베이시 167
핑둥현4445245334
펑후현514551
타이중시 5611
타이베이시없음
타이난시없음
타이둥현6372136
타오위안시 6511
이란현403358131
윈린현1225194228
합계53919414112146



총 투표율은 71.35%였다. (향진 시민 대표) 및 80.94% (원주민 구민 대표).

### 촌리장 선거

2014년 촌리장 선거에서는 각 정당별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는 각 구역별 중국 국민당, 민주진보당, 친민당, 대만 단결 연맹, 그리고 무소속 후보의 당선자 수를 나타낸 표이다.

구역중국 국민당(KMT)민주진보당(DPP)친민당(PFP)대만 단결 연맹(TSU)무소속(IND)/기타총계
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
장화현607521
자이시2325984
자이현1811328357
신주시2993122
신주현91100191
화롄현106170177
가오슝시148147596891
지룽시551101157
진먼현34337
롄장현19322
먀오리현62212274
난터우현603199262
신베이시2793617151032
핑둥현516407464
펑후현296796
타이중시17431420625
타이난시7176605752
타이베이시229501175456
타이둥현7374147
타오위안시1422351495
이란현2911193233
윈린현126370288
총계17943901156597849



총 투표율은 67.71%였다.

[30]






5. 1. 직할시장 및 현시장 선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각 직할시 및 현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진행되었다.
주요 내용:

  • 직할시장 및 현시장 후보자: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정당,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했다.
  • 당선자: 각 지역별 당선자와 2위 득표자가 발표되었다.
  • 투표율: 직할시장 선거는 66.31%, 현(縣) 시장 선거는 70.40%의 투표율을 기록했다.[23]

선거 결과:| 구분 | 유권자 | 투표율(%) | 당선자 | 득표수 | % | 차점자 | 득표수 | % | 지도 |

| :------- | :------- | :-------- | :----------------------------------- | :----- | :------ | :----------------------------------- | :----- | :------ | :------------------------------------------------------------------ |

| 신베이시 | 3,156,402 | 61.65 | 주리룬 | 959,302 | 50.06 | 유시쿤 | 934,774 | 48.78 | |

| 타이베이시 | 2,146,939 | 70.46 | 커원저 | 853,983 | 57.16 | 롄성원 | 609,932 | 40.82 | |

| 타오위안시 | 1,568,713 | 62.73 | 정원찬 | 492,414 | 51.00 | 우즈양 | 463,133 | 47.97 | |

| 타이중시 | 2,093,689 | 71.93 | 린자룽 | 847,284 | 57.06 | 후시산 | 637,531 | 42.94 | |

| 타이난시 | 1,512,778 | 65.88 | 라이칭더 | 711,557 | 72.90 | 황슈솽 | 264,536 | 27.10 | |

| 가오슝시 | 2,231,225 | 66.44 | 천쥐 | 993,300 | 68.09 | 양추싱 | 450,647 | 30.89 | |

| 이란현 | 365,138 | 70.46 | 린충셴 | 160,253 | 63.95 | 추수티 | 90,320 | 36.05 | |

| 신주현 | 403,173 | 68.76 | 추칭춘 | 124,309 | 46.94 | 정융친 | 118,698 | 44.82 | |

| 먀오리현 | 446,182 | 72.80 | 쉬야오창 | 147,547 | 46.59 | 우이쳰 | 89,838 | 28.37 | |

| 장화현 | 1,015,804 | 72.93 | 웨이밍구 | 386,405 | 53.71 | 린창민 | 284,738 | 39.58 | |

| 난터우현 | 414,091 | 73.11 | 린밍젠 | 149,361 | 50.96 | 리원충 | 143,719 | 49.04 | |

| 윈린현 | 565,557 | 74.09 | 리진용 | 232,900 | 56.98 | 장리산 | 175,862 | 43.02 | |

| 자이현 | 430,505 | 74.19 | 장화이 | 193,399 | 63.09 | 원충춘 | 104,488 | 34.09 | |

| 핑둥현 | 686,810 | 73.53 | 판먼안 | 308,953 | 62.93 | 젠타이랑 | 182,027 | 37.07 | |

| 타이둥현 | 179,015 | 67.82 | 황젠팅 | 64,272 | 54.41 | 류차오하오 | 53,860 | 45.59 | |

| 화롄현 | 265,571 | 61.77 | 푸쿤치 | 89,048 | 56.53 | 차이치다 | 43,504 | 27.62 | |

| 펑후현 | 82,269 | 66.27 | 천광푸 | 29,164 | 55.34 | 쑤쿤슝 | 23,533 | 44.66 | |

| 지룽시 | 303,329 | 63.92 | 린유창 | 101,010 | 53.15 | 셰리궁 | 52,198 | 27.47 | |

| 신주시 | 322,472 | 62.90 | 린즈젠 | 76,578 | 38.36 | 쉬밍차이 | 75,564 | 37.85 | |

| 자이시 | 208,099 | 70.96 | 투싱저 | 74,698 | 51.41 | 천이천 | 66,108 | 45.50 | |

| 진먼현 | 103,555 | 45.15 | 천푸하이 | 23,965 | 52.77 | 리워스 | 15,146 | 33.35 | |

| 롄장현 | 10,040 | 67.05 | 류청잉 | 4,385 | 66.25 | 양수이성 | 2,234 | 33.75 | |

  • 신베이시: 주리룬 후보가 959,302표를 얻어 50.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유시쿤 후보는 934,774표를 획득하며 48.7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베이시: 커원저 후보가 853,983표를 얻어 57.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롄성원 후보는 609,932표를 획득하며 40.8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오위안시: 정원찬 후보가 492,414표를 얻어 51.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즈양 후보는 463,133표를 획득하며 47.9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중시: 린자룽 후보가 847,284표를 얻어 57.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시산 후보는 637,531표를 획득하며 42.9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난시: 라이칭더 후보가 711,557표를 얻어 72.90%의 득표율로 압승했다. 황슈솽 후보는 264,536표를 획득하며 27.1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가오슝시: 천쥐 후보가 993,300표를 얻어 68.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양추싱 후보는 450,647표를 획득하며 30.8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이란현: 린총셴 후보가 160,253표를 얻어 63.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추숙제 후보는 90,320표를 획득하며 36.0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신주현: 추징춘 후보가 124,309표를 얻어 46.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정융친 후보는 118,698표를 획득하며 44.8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먀오리현: 쉬야오창 후보가 147,547표를 얻어 46.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이쳰 후보는 89,838표를 획득하며 28.3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장화현: 웨이밍구 후보가 386,405표를 얻어 53.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린창민 후보는 284,738표를 획득하며 39.5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난터우현: 린밍젠 후보가 149,361표를 얻어 50.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리원충 후보는 143,719표를 획득하며 49.0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윈린현: 리진용 후보가 232,900표를 얻어 56.9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장리산 후보는 175,862표를 획득하며 43.0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자이현: 장화이 후보가 193,399표를 얻어 63.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원충춘 후보는 104,488표를 획득하며 34.0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핑둥현: 판먼안 후보가 308,953표를 얻어 62.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젠타이랑 후보는 182,027표를 획득하며 37.0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둥현: 황젠팅 후보가 64,272표를 얻어 54.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류차오하오 후보는 53,860표를 획득하며 45.5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화롄현: 푸쿤치 후보가 89,048표를 얻어 56.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차이치다 후보는 43,504표를 획득하며 27.6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펑후현: 천광푸 후보가 29,164표를 얻어 55.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쑤쿤슝 후보는 23,533표를 획득하며 44.6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기륭시: 린유창 후보가 101,010표를 얻어 53.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셰리궁 후보는 52,198표를 획득하며 27.4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신주시: 린즈젠 후보가 76,578표를 얻어 38.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쉬밍차이 후보는 75,564표를 획득하며 37.8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자이시: 투싱저 후보가 74,698표를 얻어 51.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천이천 후보는 66,108표를 획득하며 45.5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진먼현: 천푸하이 후보가 23,965표를 얻어 52.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리워스 후보는 15,146표를 획득하며 33.3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롄장현: 류청잉 후보가 4,385표를 얻어 66.2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양수이성 후보는 2,234표를 획득하며 33.7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당별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 | :---------- | :-------- | :-------- |

| 민주진보당 | 5,830,106 | 47.55% | 13 |

| 중국 국민당 | 4,990,677 | 40.70% | 6 |

| 인민민주전선 | 4,123 | 0.03% | 0 |

| 기타 정당 | 2,027 | 0.01% | 0 |

| 무소속 | 1,434,851 | 11.70% | 3 |

| 합계 | 12,261,784 | 100.00% | 22 |

5. 2. 직할시의원 및 현시의원 선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직할시 및 현/시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3][14][15][16][17][18][19][20][21][22]

[[File:2014ROC Council.svg|thumb|right|300px|'''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의 시의원 선거 결과: 색상은 최다 의석 정당을 나타냅니다''' ]

구역국민당민진당TSUPFPNP무소속/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
타이베이2827122363
신베이26321766
타오위안292011060
지룽14103431
이란 현11121934
신주15711033
신주 현232936
먀오리 현1941538
타이중28272663
장화 현24171354
난터우 현1781137
윈린 현71312243
자이6511224
자이 현9181037
타이난162811257
가오슝243311766
타이둥 현221730
핑둥 현19181755
펑후 현82919
진먼 현151319
롄장 현639
합계386291992208907



지역별 당선자 수
colspan=2 rowspan=2|정당
국민당민진당대만연맹친민당신당녹색당무소속노동당제 정당무소속
전국 합계3862919922212203
직할시 타이베이시282712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3
신베이시2632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7
타오위안시29201align="right"|align="right"|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9
타이중시2827align="right"|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6
타이난시1628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2
가오슝시243311align="right"|align="right"|2align="right"|align="right"|5
타이완 성 신주현23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align="right"|1align="right"|9
먀오리현194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5
장화현2417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3
난터우현178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11
윈린현713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22
자이현918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0
핑둥현1918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7
이란현1112align="right"|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9
화롄현206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7
타이둥현22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7
펑후현82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9
지룽시1410align="right"|3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4
신주시157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0
자이시65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12
푸젠 성 진먼현151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3
롄장현6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align="right"|3



전체 907석 중 중국 국민당이 386석, 민주진보당이 291석을 차지했다. 이 외 대만 단결 연맹이 9석, 친민당이 9석, 신당녹색당이 각각 2석, 노동당이 1석을 획득했으며, 무소속은 203석을 가져갔다.[24] 특히, 가오슝시, 타이난시, 신베이시 등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다.

정당별 득표수·득표율 및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중국 국민당4,515,53237.08%386
민주진보당4,488,78936.86%291
대만 단결 연맹224,9041.85%9
친민당190,1071.56%9
신당129,6341.06%2
대만 녹색당57,3380.47%2
무당 단결 연맹55,6820.46%2
수당48,4880.40%1
인민민주전선14,9800.12%0
대만 노동당5,8270.05%1
대만 제1민족당1,7130.01%1
중화 통일 촉진당230.00%0
제 정당3,2730.00%0
무소속2,442,28120.05%203
12,178,571100.00%907



투표율은 직할시 시의원 선거에서 66.38%, 현/시 의원 선거에서 70.45%를 기록했다.

한편, 정당별 입후보자 수는 중국 국민당이 554명, 민주진보당이 370명, 대만 단결 연맹이 41명, 친민당이 36명, 녹색당이 10명, 신당이 19명, 무당단결연맹이 6명, 노동당이 1명, 기타 여러 정파가 35명, 무소속이 528명이었다.

정당별 입후보자 수
정당합계직할시
시의원 선거
현/시
시의원 선거
중국 국민당554213341
민주진보당370200170
대만 단결 연맹412714
친민당362511
대만 녹색당1064
신당19181
무당 단결 연맹651
대만 노동당1align="center"|1
여러 정파352015
무소속528174354
1,600688912



지역별 입후보자 수 (명)
colspan=2 rowspan=2|정당
국민당민진당대만 단결 연맹친민당무당녹색당신당노동당여러 정파무소속
colspan=2|554370413661018135528
직할시 타이베이시342967align="center"|align="center"|7align="center"|817
신베이시413645align="center"|26align="center"|422
타오위안시392923234align="center"|358
타이중시373357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229
타이난시27343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22
가오슝시353973311align="center"|226
대만성 신주현316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align="center"|1align="center"|25
먀오리현228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31
장화현3323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30
난터우현258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331
윈린현10203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38
자이현11211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6
핑둥현28271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32
이란현22191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19
화롄현327align="center"|2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7
타이둥현312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216
펑후현92align="center"|align="center"|111align="center"|align="center"|20
지룽시231214align="center"|1align="center"|align="center"|618
신주시19722align="center"|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31
자이시1072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14
푸젠성 진먼현251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1
롄장현10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5



직할시 시의원 후보자 경력 통계([http://db.cec.gov.tw/histMain.jsp?voteSel=20141101B2 선거 분석 상세 항목 103년 직할시 시의원 선거]), 현/시 시의원 후보자 경력 통계표([http://db.cec.gov.tw/histMain.jsp?voteSel=20141101C2 선거 분석 상세 항목 103년 현/시 시의원 선거])

참고: 입법원에 의석을 가진 정당과 제8회 입법위원 선거의 정당 투표에서 유효표의 1% 이상을 얻은 정당과 이전 지방 선거에서 당선자를 낸 정당은 고유 당명으로, 그 외 정당은 "여러 정파"로 한다.

5. 3. 향진시구장 선거

(고지대 원주민 구)대만성의란현121197신주현1314114묘률현182116창화현262116129난터우현1384:114운림현2031829가의현1871514병동현331520353대동현1621217화롄현1316115펑후현64210푸젠성진먼현673롄장현471신베이시(오래구)15타오위안시(부흥구)122타이중시(화평구)13가오슝시(무림구,
도원구, 나마하구)
33民族:23



2014년 향진시구장 각의 정당 선출 된 석 목록
선출
의석
20px 국민당민진당20px나무당타이완 제1 민족당20px 무소속
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
대만성의란현12462
신주현13814
묘률현18117
창화현268810
난터우현134216
운림현201127
가의현181134
병동현3371016
대동현161213
화롄현13913
펑후현624
푸젠성진먼현66
롄장현44
신베이시(오래구)11
타오위안시(부흥구)11
타이중시(화평구)11
가오슝시(무림구,
도원구, 나마하구)
321
總計20480541168



구분국민당민진당무소속/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
창화현881026
자이시없음
자이현113418
신주시없음
신주현81413
화롄현91313
가오슝시 213
지룽시없음
진먼현66
롄장현44
먀오리현11718
난터우현42713
신베이시 11
펑후현246
핑둥현7101633
타이중시 11
타이난시없음
타이베이시없음
타이둥현121313
타오위안시 11
이란현46212
윈린현112720
합계825470200



2014년 지방선거에서 각 정당별 입후보자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입후보자 수
정당합계향진 시장원주민 구장
중국 국민당1631558
민주진보당8888align="center" |
대만 단결 연맹44align="center" |
수당11align="center" |
대만제일민족당2align="center" |2
무소속23222210
합계49047020



투표율은 향진 시장 선거에서 71.32%,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80.93%를 기록했다.

각 정당별 득표수, 득표율 및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득표수·율과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중국 국민당1,148,83833.71%80
민주진보당1,081,08331.72%54
대만 단결 연맹5,9840.18%0
수당4,0610.12%1
대만제일민족당1,4920.04%1
무소속1,166,90734.24%68
3,408,365100.00%204



5. 4.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고지대 원주민 구)대만성의란현131604897신주현141102611:2109묘률현1936614225창화현3176060374난터우현1635951194운림현22813331306가의현19327291223병동현33457661406대동현13693민족:1136화롄현14213171민전:1101펑후현514169푸젠성진먼현45391124롄장현2219110신베이시(오래구)7215타오위안시(부흥구)11713타이중시(화평구)111011가오슝시(무림구,
도원구, 나마하구)
211125



2014년 향진시구민대표 각의 정당 선출 된 석 목록
선출
의석
20px 국민당민진당통촉당노동당20px나무당타이완 제1 민족당20px 무소속
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
대만성의란현131403358
신주현14175211161
묘률현193497137
창화현3174247228
난터우현163363124
운림현22812251190
가의현1931827148
병동현3344445245
대동현13663172
화롄현14290448
펑후현515145
푸젠성진먼현453213
롄장현22175
신베이시(오래구)716
타오위안시(부흥구)1165
타이중시(화평구)1156
가오슝시(무림구,
도원구, 나마하구)
21516
총계2,14654019421111,407



구역중국 국민당(KMT)민주진보당(DPP)무소속(IND)/기타합계
의석의석의석
장화현4147224317
자이시없음
자이현1827148193
신주시없음
신주현75265141
화롄현90448142
가오슝시 51621
지룽시없음
진먼현321345
롄장현17522
먀오리현497137193
난터우현363124163
신베이시 167
핑둥현4445245334
펑후현514551
타이중시 5611
타이베이시없음
타이난시없음
타이둥현6372136
타오위안시 6511
이란현403358131
윈린현1225194228
합계53919414112146



정당별 입후보자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입후보자 수
정당합계향진 시민
대표
원주민
구민 대표
중국 국민당75772730
민주진보당269269align="center" |
친민당44align="center" |
중화 통일 촉진당44align="center" |
수당22align="center" |
노동당11align="center" |
인민민주전선11align="center" |
타이완 제일 민족당11align="center" |
무소속2,2862,22264
합계3,3253,23194



: 출처: 향진 시민 대표 후보자 자력 통계표 (https://db.cec.gov.tw/histMain.jsp?voteSel=20141101D2 선거 분석 상세 분류 103년 향진 시민 대표 선거), (https://db.cec.gov.tw/histMain.jsp?voteSel=20141101D3 후보자 등록 개황 103년 직할시 산지 원주민 구민 대표 선거), 2015년 1월 26일 열람

투표율은 향진 시민 대표가 71.35%, 원주민 구민 대표가 80.94%였다. (출처: 103년 지방 공직 인원 선거 개황)

정당별 득표수, 득표율 및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득표수·율 및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중국 국민당765,07622.55%539
민주진보당429,31012.66%194
중화 통일 촉진당4,0940.12%2
수당3,8440.11%1
친민당1,6460.05%0
대만 노동당1,2490.04%1
인민 민주 전선7530.02%0
대만 제1민족당3730.01%1
무소속2,186,04864.44%1,403
합계3,392,393100.00%


5. 5. 촌리장 선거

2014년 촌리장 선거에서는 각 정당별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class="wikitable collapsible autocollaps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12" |2014년 촌리장 선거 정당 지명 인수

|-

! colspan=2 style="width:120px;" |직할시

! rowspan=2 style="width:65px;" |선출의석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000099;" | 중국국민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1B9431;" | 민주진보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C69E6A;" | 대만단결연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FF6310;" |
20px
친민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C20F51;" | 무당단결연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FFD700;" | 신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0fc90f;" | 녹색당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A6A6A6;" | 기타

! rowspan=2 style="width:80px; border-bottom:4px solid #000000;" | 무소속

|-

!성

!|현/시

|-

! colspan=2|타이베이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99;" |456

|336||76||1||1|| || ||1||12||455

|- bgcolor="#EEEEEE"

! colspan=2|신베이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1,032

|380||74||2||1|| || || ||7||1,251

|-

! colspan=2|타오위안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495

|225||4|| || || || || ||2||718

|- bgcolor="#EEEEEE"

! colspan=2|타이중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625

|227||85||1|| || ||1|| || ||783

|-

! colspan=2|타이난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752

|109||125||1|| || || || || ||1,051

|- bgcolor="#EEEEEE"

! colspan=2|가오슝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891

|214||245||1|| || || || || ||1,130

|-

! rowspan=14 valign=top|대만성

! 지룽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157

|85||9|| || || || || ||5||180

|- bgcolor="#EEEEEE"

! 의란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233

|44||19|| || || || || ||2||375

|-

! 신주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99;" |191

|151|| || || || || || || ||226

|- bgcolor="#EEEEEE"

! 신주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122

|49|| || || || || || || ||169

|-

! 묘률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274

|95||1|| || || || || || ||425

|- bgcolor="#EEEEEE"

! 창화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589

|87||16||1|| || || || || ||932

|-

! 난터우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262

|88||4|| || || || || || ||401

|- bgcolor="#EEEEEE"

! 운림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388

|16||16|| || || || || ||1||715

|-

! 가의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357

|28||18|| || || || || ||1||573

|- bgcolor="#EEEEEE"

! 가의시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84

|35||7|| || || || || ||1||112

|-

! 병동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464

|73||18|| || || || || || ||798

|- bgcolor="#EEEEEE"

! 대동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147

|114|| || || || || || || ||175

|-

! 화롄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99;" |177

|166||1|| ||1|| || || || ||176

|- bgcolor="#EEEEEE"

! 펑후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00;" |96

|38|| || || ||1|| || || ||131

|-

! rowspan=2 valign=top|푸젠성

!진먼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99;" |37

|49|| || || || ||1|| || ||15

|- bgcolor="#EEEEEE"

!롄장현

|bgcolor=#EEEEEE style="border-right:4px solid #000099;" |22

|27|| || || || || || || ||6

|-

2014년 촌리장 각의 정당 선출 된 석 목록
직할시선출
의석
20px 국민당민진당통촉당20px 타이롄20px 친민당민전20px 무소속
현/시
타이베이시4562305011174
신베이시1,0322803611714
타오위안시4951422351
타이중시62517431420
타이난시7527176605
가오슝시891148147596
대만성지룽시157551101
의란현2332911193
신주현19191100
신주시1222993
묘률현27462212
창화현589607522
난터우현262603199
운림현388126370
가의현35718111327
가의시8423259
병동현464516407
대동현1477374
화롄현177106170
펑후현962967
푸젠성진먼현37343
롄장현22193



아래는 각 구역별 중국 국민당, 민주진보당, 친민당, 대만 단결 연맹, 그리고 무소속 후보의 당선자 수를 나타낸 표이다.

구역중국 국민당(KMT)민주진보당(DPP)친민당(PFP)대만 단결 연맹(TSU)무소속(IND)/기타총계
의석의석의석의석의석
장화현607521
자이시2325984
자이현1811328357
신주시2993122
신주현91100191
화롄현106170177
가오슝시148147596891
지룽시551101157
진먼현34337
롄장현19322
먀오리현62212274
난터우현603199262
신베이시2793617151032
핑둥현516407464
펑후현296796
타이중시17431420625
타이난시7176605752
타이베이시229501175456
타이둥현7374147
타오위안시1422351495
이란현2911193233
윈린현126370288
총계17943901156597849



총 투표율은 67.71%였다.

정당별 득표수, 득표율,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별 득표수 및 득표율,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중국 국민당2,753,53123.83%1,794
민주진보당756,8406.55%390
인민민주전선8,5980.07%1
대만 단결 연맹6,9210.06%1
중화통일촉진당4,3450.04%2
수당2,5350.02%0
친민당1,7570.02%1
녹당8340.01%0
신당6190.01%0
무당 단결 연맹1950.00%0
여러 정당[25]5870.00%0
무소속8,018,02369.39%5,659
11,554,785100.00%



[36][37][38][25]


6. 선거 결과 분석 및 영향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는 대만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선거 결과를 정당별 득표와 의석수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30]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결과 - 정당 득표 와 의석
정당직할시장
현시장
총22석
직할시의원
현시의원
총907석
향진시장
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총204석
향진시민대표
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총2141석
촌리장
총7848석
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의석득표수득표율
bgcolor="#1B9431"|민주진보당135,830,10647.55%2914,515,53237.08%541,081,08331.72%194429,31012.66%390756,6776.55%
20px중국국민당64,990,67740.70%3864,488,78936.86%801,148,83833.71%539765,07622.55%17942,753,53123.83%
20px대만단결연맹9224,9041.85%05,9840.18%16,9210.06%
20px친민당9190,1071.56%01,6460.05%11,7570.02%
20px신당2129,6341.06%06190.01%
20px녹색당257,3380.47%08340.01%
20px무당단결연맹255,6820.46%0195<0.01%
20px나무당148,4880.40%14,0610.12%13,8440.11%02,5350.02%
bgcolor="#6D3B00"|타이완 제1 민족당11,7130.01%11,4920.04%13730.01%
bgcolor="#D60E29"|노동당15,8270.05%11,2490.04%
bgcolor="#333399"|중화통일촉진당023<0.01%24,0940.12%24,3450.04%
bgcolor="#EE0000"|인민민주전선04,1230.03%014,9800.12%07530.02%18,5980.07%
bgcolor="#E9E9E9"|20px 기타정당02,0270.02%03,2730.03%05870.01%
20px무소속31,434,85111.70%2032,442,28120.05%681,166,90734.24%14032,186,04864.44%56598,018,18669.39%



민주진보당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13석을 차지하며 47.55%의 득표율을 기록, 압승을 거두었다. 이는 중국국민당의 6석, 40.70% 득표율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도 민주진보당은 291석을 확보하며 선전했으나, 중국국민당은 386석으로 더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 하지만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는 민주진보당이 54석으로 중국국민당의 80석에 비해 다소 뒤쳐졌다.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는 민주진보당이 194석, 중국국민당이 539석을 차지했다. 촌리장 선거에서는 무소속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민주진보당은 390석, 중국국민당은 1794석을 얻었다.[31][32]

2014년 지방 선거 결과, 주요 도시의 시장은 다음과 같이 선출되었다. 신베이시는 주리룬, 타이베이시는 커원저, 타오위안시는 정원찬, 타이중시는 린자룽, 타이난시는 라이칭더, 가오슝시는 천쥐가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이 외 지역의 선거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의 선출된 행정 수장/시장 및 시의회 구성
구분행정 수장/시장시의회
제1 정당Seats제2 정당Seats총 의석수
신베이시style="background-color:" |주리룬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32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666
타이베이시style="background-color:" |커원저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8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2763
타오위안시style="background-color:"|정원찬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9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2060
타이중시style="background-color:" |린자룽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8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2763
타이난시style="background-color:"|라이칭더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28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657
가오슝시style="background-color:" |천쥐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33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466
이란현style="background-color:" |린총셴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2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134
신주현style="background-color:"|추칭춘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3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236
먀오리현style="background-color:"|쉬야오창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9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438
장화현style="background-color:" |웨이밍구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4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754
난터우현style="background-color:"|린밍전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7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837
윈린현style="background-color:" |리진융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3style="background-color:"|국민당743
자이현style="background-color:"|장화관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8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937
핑둥현style="background-color:"|판멍안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9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855
타이둥현style="background-color:"|황젠팅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2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30
화롄현style="background-color:" |푸쿤치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20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633
펑후현style="background-color:" |천광푸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8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219
기륭시style="background-color:"|린유창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4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031
신주시style="background-color:"|린즈젠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5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733
자이시style="background-color:" |투스잉제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6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524
진먼현style="background-color:" |천푸하이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15style="background-color:" |민진당119
롄장현style="background-color:"|류청잉style="background-color:" |국민당6style="background-color:" |None9



이번 선거에서 민주진보당은 13명의 직할시장/현 시장을 배출하며 상당한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향후 대만 정치에서 민주진보당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젊은 세대의 지지를 바탕으로, 민주진보당은 더욱 진보적인 정책들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중국국민당은 전통적인 지지 기반에도 불구하고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는 중국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정당별 결과
정당직할 시장
현 시장
직할 시 의원
현 시 의원
향진 시장
원주민구장
향진 시민 대표
원주민구민 대표
촌리장
중국 국민당6386805391794
민주진보당1329154194390
대만 단결 연맹align="center"|9align="center"|align="center"|1
친민당align="center"|9align="center"|align="center"|1
신당align="center"|2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녹색당align="center"|2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무당연맹align="center"|2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
나무당align="center"|111align="center"|
노동당align="center"|1align="center"|1align="center"|
타이완 제1 민족당align="center"|111align="center"|
중화통일촉진당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22
인민민주전선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align="center"|1
무소속32036814035659



종합적으로 볼 때, 2014년 지방 선거는 대만 정치의 흐름을 바꾼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민주진보당의 약진과 중국국민당의 부진은 향후 대만-중국 관계, 그리고 대만 내부 정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7. 논란 및 비판

제공된 정보가 부족합니다. 선거 과정에서 발생한 구체적인 논란이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summary` 및 `source` 텍스트를 제공해야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위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가 주어지면, 한국의 관점과 민주당 지지 성향을 반영하여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中選會選舉資料庫網站 https://db.cec.gov.t[...] 2020-01-16
[2] 웹사이트 Taiwan Local Elections of 2014 - Central Election Commission http://engweb.cec.go[...] 2014-11-25
[3] 뉴스 A blow to the KMT https://www.economis[...]
[4] 웹사이트 Taiwan's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The KMT's Landslide Defeat in the Nine-in-One Elections http://www.brookings[...] 2014-12-01
[5] 간행물 An Analysis of Taiwan's Nine-in-One Local Elections http://csis.org/publ[...] 2014-12
[6] 웹사이트 KMT trounce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14-11-30
[7] 뉴스 Taiwan premier quits as power slips from pro-China party in local poll https://www.reuters.[...] 2014-11-29
[8] 웹사이트 馬英九決請辭黨主席本週三宣佈 http://www.appledail[...]
[9] 문서 三等国民公人権自救党
[10] 문서 民進党は独自候補を擁立せず、柯を支援。
[11] 문서 人民民主戦線
[12] 문서 教科文預算保障e聯盟
[13] 문서 華声党1名、人民民主戦線2名、樹党5名
[14] 문서 人民最大党1名、人民民主戦線2名、中華民主向日葵憲政改革連盟1名
[15] 문서 台湾主義党1名、人民民主戦線1名、台湾建国党1名。
[16] 문서 連合党1名、樹党1名。
[17] 문서 樹党
[18] 문서 人民民主戦線
[19] 문서 台湾民族党
[20] 문서 中華統一促進党1名、大道人民党1名、台湾第一民族党1名。
[21] 문서 台湾第一民族党
[22] 문서 6名全て人民民主戦線
[23] 문서 '諸派の内訳は以下の通り
[24] 문서 '諸派の得票内訳は以下の通り
[25] 문서 '諸派の得票内訳は以下の通り
[26] 문서 커원저는 무소속으로 선거에 출마했으며 [[민주진보당]],
[[대만단결연맹]]이자 [[친명당]]의 공개적인 지지를 받았습니다.

[27] 문서 江鑒育有[[台灣團結聯盟]]黨籍,惟為參選已暫停黨權。
[28] 문서 鄭永金以無黨籍身份參選,並獲[[民主進步黨]]公開支持
[29] 문서 황원링有[[台灣團結聯盟]]黨籍,惟為參選已暫停黨權。
[30] 문서 選舉結果以[[中華民國中央選舉委員會]]公布為準
[31] 문서 原應選出2146席,惟少數選舉區因有候選人於選舉期間過世,故將延期選出。
[32] 문서 原應選出7851席,惟少數選舉區因有候選人於選舉期間過世,故將延期選出。
[33] 문서 唯一當選者薛呈懿([[臺灣省]][[宜蘭縣]])於選舉期間已退黨,惟依法無法更改黨籍。
[34] 문서 其他政黨包含:[[三等國民公義人權自救黨]], [[台灣民族黨]], [[人民最大黨]], [[台灣主義黨]], [[天宙和平統一家庭黨]], [[聯合黨]], [[教科文預算保障e聯盟]], [[中華民主向日葵憲政改革聯盟]], [[華聲黨]], [[大道人民黨]], [[臺灣建國黨]]。
[35] 웹인용 공고대만성장화현 http://www.chec.gov.[...] 장화현 2018-04-14
[36] 웹인용 公告本市板橋區流芳里第2屆里長重行選舉當選人名單 新北選一字第1033150294號 http://www.tpcec.gov[...] 신북시選舉委員會 2014-12-16
[37] 웹인용 公告대만성창화현北斗鎮民代表會第 3選舉區, 永靖鄉瑚璉村第20屆村長重行選舉當選人名單 彰選一字第1033150236號 http://www.chec.gov.[...] 창화현選舉委員會 2014-12-24
[38] 웹인용 大安區光武里第12屆里長重行選舉選舉結果新聞稿 http://www.mect.gov.[...] 대북시選舉委員會 2015-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