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는 시장, 시의원, 구청장, 이장 등 지방 공직자를 선출하는 선거였다.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지역 주민의 생활과 중앙 정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거였다. 선거는 8월 20일 공고를 시작으로, 11월 29일 투표가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진보당이 13명의 직할시장/현 시장을 배출하며 중국국민당을 앞섰으며,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는 중국국민당이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는 지방 공직자, 즉 시장, 시의원, 구청장, 이장 등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이 선거는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선거이며, 지방 자치 행정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선거이다. 선거를 통해 선출된 공직자들은 지역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책들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 선거는 중앙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도 지니고 있어, 선거 결과는 향후 중앙 정부의 정책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 일정은 다음과 같다.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다양한 공직을 선출했다.
2. 배경
3. 선거 일정
4. 선거 대상
출처: 표 2 "2014년 통일 지방 선거의 개요, 선출 인원 등", 이시하라 타다히로(대만・정치대학교 국제관계센터 조수 연구원) "대만 내정, 일 대만 관계를 둘러싼 동향 (2014년 7월 상순~9월 상순) "9 in 1" 통일 지방 선거를 향한 움직임" 대만 정보지 『교류』 (2014년 9월호) 21p.
2014년 지방 선거에서는 각 직할시 및 현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진행되었다.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정당,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각 지역별 당선자와 2위 득표자가 발표되었다. 직할시장 선거는 66.31%, 현 시장 선거는 70.40%의 투표율을 기록했다.[23]
선거 결과:| 구분 | 유권자 | 투표율(%) | 당선자 | 득표수 | % | 차점자 | 득표수 | % | 지도 |
| :------- | :------- | :-------- | :----------------------------------- | :----- | :------ | :----------------------------------- | :----- | :------ | :------------------------------------------------------------------ |
| 신베이시 | 3,156,402 | 61.65 | 주리룬 | 959,302 | 50.06 | 유시쿤 | 934,774 | 48.78 | |
| 타이베이시 | 2,146,939 | 70.46 | 커원저 | 853,983 | 57.16 | 롄성원 | 609,932 | 40.82 | |
| 타오위안시 | 1,568,713 | 62.73 | 정원찬 | 492,414 | 51.00 | 우즈양 | 463,133 | 47.97 | |
| 타이중시 | 2,093,689 | 71.93 | 린자룽 | 847,284 | 57.06 | 후시산 | 637,531 | 42.94 | |
| 타이난시 | 1,512,778 | 65.88 | 라이칭더 | 711,557 | 72.90 | 황슈솽 | 264,536 | 27.10 | |
| 가오슝시 | 2,231,225 | 66.44 | 천쥐 | 993,300 | 68.09 | 양추싱 | 450,647 | 30.89 | |
| 이란현 | 365,138 | 70.46 | 린충셴 | 160,253 | 63.95 | 추수티 | 90,320 | 36.05 | |
| 신주현 | 403,173 | 68.76 | 추칭춘 | 124,309 | 46.94 | 정융친 | 118,698 | 44.82 | |
| 먀오리현 | 446,182 | 72.80 | 쉬야오창 | 147,547 | 46.59 | 우이쳰 | 89,838 | 28.37 | |
| 장화현 | 1,015,804 | 72.93 | 웨이밍구 | 386,405 | 53.71 | 린창민 | 284,738 | 39.58 | |
| 난터우현 | 414,091 | 73.11 | 린밍젠 | 149,361 | 50.96 | 리원충 | 143,719 | 49.04 | |
| 윈린현 | 565,557 | 74.09 | 리진용 | 232,900 | 56.98 | 장리산 | 175,862 | 43.02 | |
| 자이현 | 430,505 | 74.19 | 장화이 | 193,399 | 63.09 | 원충춘 | 104,488 | 34.09 | |
| 핑둥현 | 686,810 | 73.53 | 판먼안 | 308,953 | 62.93 | 젠타이랑 | 182,027 | 37.07 | |
| 타이둥현 | 179,015 | 67.82 | 황젠팅 | 64,272 | 54.41 | 류차오하오 | 53,860 | 45.59 | |
| 화롄현 | 265,571 | 61.77 | 푸쿤치 | 89,048 | 56.53 | 차이치다 | 43,504 | 27.62 | |
| 펑후현 | 82,269 | 66.27 | 천광푸 | 29,164 | 55.34 | 쑤쿤슝 | 23,533 | 44.66 | |
| 지룽시 | 303,329 | 63.92 | 린유창 | 101,010 | 53.15 | 셰리궁 | 52,198 | 27.47 | |
| 신주시 | 322,472 | 62.90 | 린즈젠 | 76,578 | 38.36 | 쉬밍차이 | 75,564 | 37.85 | |
| 자이시 | 208,099 | 70.96 | 투싱저 | 74,698 | 51.41 | 천이천 | 66,108 | 45.50 | |
| 진먼현 | 103,555 | 45.15 | 천푸하이 | 23,965 | 52.77 | 리워스 | 15,146 | 33.35 | |
| 롄장현 | 10,040 | 67.05 | 류청잉 | 4,385 | 66.25 | 양수이성 | 2,234 | 33.75 | |
정당별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 | :---------- | :-------- | :-------- |
| 민주진보당 | 5,830,106 | 47.55% | 13 |
| 중국 국민당 | 4,990,677 | 40.70% | 6 |
| 인민민주전선 | 4,123 | 0.03% | 0 |
| 기타 정당 | 2,027 | 0.01% | 0 |
| 무소속 | 1,434,851 | 11.70% | 3 |
| 합계 | 12,261,784 | 100.00% | 22 |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직할시 및 현/시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13][14][15][16][17][18][19][20][21][22]
[[File:2014ROC Council.svg|thumb|right|300px|'''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의 시의원 선거 결과: 색상은 최다 의석 정당을 나타냅니다''' ]
구역 | 국민당 | 민진당 | TSU | PFP | NP | 무소속/기타 | 합계 | |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
타이베이 | 28 | 27 | 1 | 2 | 2 | 3 | 63 | |
신베이 | 26 | 32 | 1 | 7 | 66 | |||
타오위안 | 29 | 20 | 1 | 10 | 60 | |||
지룽 | 14 | 10 | 3 | 4 | 31 | |||
이란 현 | 11 | 12 | 1 | 9 | 34 | |||
신주 | 15 | 7 | 1 | 10 | 33 | |||
신주 현 | 23 | 2 | 9 | 36 | ||||
먀오리 현 | 19 | 4 | 15 | 38 | ||||
타이중 | 28 | 27 | 2 | 6 | 63 | |||
장화 현 | 24 | 17 | 13 | 54 | ||||
난터우 현 | 17 | 8 | 11 | 37 | ||||
윈린 현 | 7 | 13 | 1 | 22 | 43 | |||
자이 | 6 | 5 | 1 | 12 | 24 | |||
자이 현 | 9 | 18 | 10 | 37 | ||||
타이난 | 16 | 28 | 1 | 12 | 57 | |||
가오슝 | 24 | 33 | 1 | 1 | 7 | 66 | ||
타이둥 현 | 22 | 1 | 7 | 30 | ||||
핑둥 현 | 19 | 18 | 1 | 7 | 55 | |||
펑후 현 | 8 | 2 | 9 | 19 | ||||
진먼 현 | 15 | 1 | 3 | 19 | ||||
롄장 현 | 6 | 3 | 9 | |||||
합계 | 386 | 291 | 9 | 9 | 2 | 208 | 907 |
colspan=2 rowspan=2| | 정당 | ||||||||||
---|---|---|---|---|---|---|---|---|---|---|---|
국민당 | 민진당 | 대만연맹 | 친민당 | 신당 | 녹색당 | 무소속 | 노동당 | 제 정당 | 무소속 | ||
전국 합계 | 386 | 291 | 9 | 9 | 2 | 2 | 2 | 1 | 2 | 203 | |
직할시 | 타이베이시 | 28 | 27 | 1 | 2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3 |
신베이시 | 26 | 32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7 | |
타오위안시 | 29 | 20 | 1 | align="right"| | align="right"|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9 | |
타이중시 | 28 | 27 | align="right"|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6 | |
타이난시 | 16 | 28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2 | |
가오슝시 | 24 | 33 | 1 | 1 | align="right"| | align="right"| | 2 | align="right"| | align="right"| | 5 | |
타이완 성 | 신주현 | 23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 | align="right"| | 1 | align="right"| | 9 |
먀오리현 | 19 | 4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5 | |
장화현 | 24 | 17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3 | |
난터우현 | 17 | 8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 | 11 | |
윈린현 | 7 | 13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22 | |
자이현 | 9 | 18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0 | |
핑둥현 | 19 | 18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7 | |
이란현 | 11 | 12 | align="right"|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 | 9 | |
화롄현 | 20 | 6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7 | |
타이둥현 | 22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2 | 7 | |
펑후현 | 8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9 | |
지룽시 | 14 | 10 | align="right"| | 3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4 | |
신주시 | 15 | 7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0 | |
자이시 | 6 | 5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2 | |
푸젠 성 | 진먼현 | 15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3 |
롄장현 | 6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3 | |
전체 907석 중 중국 국민당이 386석, 민주진보당이 291석을 차지했다. 이 외 대만 단결 연맹이 9석, 친민당이 9석, 신당과 녹색당이 각각 2석, 노동당이 1석을 획득했으며, 무소속은 203석을 가져갔다.[24] 특히, 가오슝시, 타이난시, 신베이시 등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다.
{|class="wikitable"
|-
|+ 정당별 득표수·득표율 및 당선자 수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중국 국민당
| align="right"|4,515,532
| align="right"|37.08%
! 386
|-
| 민주진보당
| align="right"|4,488,789
| align="right"|36.86%
! 291
|-
| 대만 단결 연맹
| align="right"|224,904
| align="right"|1.85%
! 9
|-
| 친민당
| align="right"|190,107
| align="right"|1.56%
! 9
|-
| 신당
| align="right"|129,634
| align="right"|1.06%
! 2
5. 주요 정당별 후보 및 결과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주요 정당인 중국국민당과 민주진보당, 그리고 무소속 후보들이 다양한 선거에 참여하여 경쟁했다. 선거 결과는 각 정당의 지지 기반과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며, 향후 중화민국 정치 지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30]
2014년 지방 선거 결과, 각 정당별 득표와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민주진보당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13석,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 291석,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54석,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 194석, 촌리장 선거에서 390석을 획득했다. 중국국민당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6석,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 386석,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80석,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 539석, 촌리장 선거에서 1794석을 차지했다. 무소속 후보들은 직할시장/현 시장 선거에서 3석, 직할시의원/현 시의원 선거에서 203석, 향진시장/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68석, 향진시민대표/직할시 고지대 원주민 구민대표 선거에서 1403석, 촌리장 선거에서 5659석을 얻었다. 그 외 대만단결연맹, 친민당, 신당, 녹색당 등도 일부 의석을 확보했다.
### 직할시의원 및 현시의원 선거
2014년 지방 선거에서는 직할시 및 현/시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전체 907석 중 중국 국민당이 386석, 민주진보당이 291석을 차지했다. 이 외 대만 단결 연맹이 9석, 친민당이 9석, 신당과 녹색당이 각각 2석, 노동당이 1석을 획득했으며, 무소속은 203석을 가져갔다. 특히, 가오슝시, 타이난시, 신베이시 등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다.
구역 | 국민당 | 민진당 | TSU | PFP | NP | 무소속/기타 | 합계 | |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
타이베이 | 28 | 27 | 1 | 2 | 2 | 3 | 63 | |
신베이 | 26 | 32 | 1 | 7 | 66 | |||
타오위안 | 29 | 20 | 1 | 10 | 60 | |||
지룽 | 14 | 10 | 3 | 4 | 31 | |||
이란 현 | 11 | 12 | 1 | 9 | 34 | |||
신주 | 15 | 7 | 1 | 10 | 33 | |||
신주 현 | 23 | 2 | 9 | 36 | ||||
먀오리 현 | 19 | 4 | 15 | 38 | ||||
타이중 | 28 | 27 | 2 | 6 | 63 | |||
장화 현 | 24 | 17 | 13 | 54 | ||||
난터우 현 | 17 | 8 | 11 | 37 | ||||
윈린 현 | 7 | 13 | 1 | 22 | 43 | |||
자이 | 6 | 5 | 1 | 12 | 24 | |||
자이 현 | 9 | 18 | 10 | 37 | ||||
타이난 | 16 | 28 | 1 | 12 | 57 | |||
가오슝 | 24 | 33 | 1 | 1 | 7 | 66 | ||
타이둥 현 | 22 | 1 | 7 | 30 | ||||
핑둥 현 | 19 | 18 | 1 | 7 | 55 | |||
펑후 현 | 8 | 2 | 9 | 19 | ||||
진먼 현 | 15 | 1 | 3 | 19 | ||||
롄장 현 | 6 | 3 | 9 | |||||
합계 | 386 | 291 | 9 | 9 | 2 | 208 | 907 |
투표율은 직할시 시의원 선거에서 66.38%, 현/시 의원 선거에서 70.45%를 기록했다.
### 향진시구장 선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각 향(鄕), 진(鎭), 시(市), 구(區)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 시(市) 시장, 원주민 구(區) 구장, 향(鄕)/진(鎭) 장 포함
구분 | 국민당 | 민진당 | 무소속/기타 | 합계 |
---|---|---|---|---|
의석 | 의석 | 의석 | ||
창화현 | 8 | 8 | 10 | 26 |
자이시 | 없음 | |||
자이현 | 1 | 13 | 4 | 18 |
신주시 | 없음 | |||
신주현 | 8 | 1 | 4 | 13 |
화롄현 | 9 | 1 | 3 | 13 |
가오슝시 | 2 | 1 | 3 | |
지룽시 | 없음 | |||
진먼현 | 6 | 6 | ||
롄장현 | 4 | 4 | ||
먀오리현 | 11 | 7 | 18 | |
난터우현 | 4 | 2 | 7 | 13 |
신베이시 | 1 | 1 | ||
펑후현 | 2 | 4 | 6 | |
핑둥현 | 7 | 10 | 16 | 33 |
타이중시 | 1 | 1 | ||
타이난시 | 없음 | |||
타이베이시 | 없음 | |||
타이둥현 | 12 | 1 | 3 | 13 |
타오위안시 | 1 | 1 | ||
이란현 | 4 | 6 | 2 | 12 |
윈린현 | 1 | 12 | 7 | 20 |
합계 | 82 | 54 | 70 | 200 |
투표율은 향진 시장 선거에서 71.32%, 원주민 구장 선거에서 80.93%를 기록했다.
### 향진시구민대표 선거
2014년 지방 선거에서는 각 향진시구의 민대표를 선출하는 선거도 함께 진행되었다.
구역 | 중국 국민당(KMT) | 민주진보당(DPP) | 무소속(IND)/기타 | 합계 |
---|---|---|---|---|
의석 | 의석 | 의석 | ||
장화현 | 41 | 47 | 224 | 317 |
자이시 | 없음 | |||
자이현 | 18 | 27 | 148 | 193 |
신주시 | 없음 | |||
신주현 | 75 | 2 | 65 | 141 |
화롄현 | 90 | 4 | 48 | 142 |
가오슝시 | 5 | 16 | 21 | |
지룽시 | 없음 | |||
진먼현 | 32 | 13 | 45 | |
롄장현 | 17 | 5 | 22 | |
먀오리현 | 49 | 7 | 137 | 193 |
난터우현 | 36 | 3 | 124 | 163 |
신베이시 | 1 | 6 | 7 | |
핑둥현 | 44 | 45 | 245 | 334 |
펑후현 | 5 | 1 | 45 | 51 |
타이중시 | 5 | 6 | 11 | |
타이베이시 | 없음 | |||
타이난시 | 없음 | |||
타이둥현 | 63 | 72 | 136 | |
타오위안시 | 6 | 5 | 11 | |
이란현 | 40 | 33 | 58 | 131 |
윈린현 | 12 | 25 | 194 | 228 |
합계 | 539 | 194 | 1411 | 2146 |
총 투표율은 71.35%였다. (향진 시민 대표) 및 80.94% (원주민 구민 대표).
### 촌리장 선거
2014년 촌리장 선거에서는 각 정당별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래는 각 구역별 중국 국민당, 민주진보당, 친민당, 대만 단결 연맹, 그리고 무소속 후보의 당선자 수를 나타낸 표이다.
구역 | 중국 국민당(KMT) | 민주진보당(DPP) | 친민당(PFP) | 대만 단결 연맹(TSU) | 무소속(IND)/기타 | 총계 |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
장화현 | 60 | 7 | 521 | |||
자이시 | 23 | 2 | 59 | 84 | ||
자이현 | 18 | 11 | 328 | 357 | ||
신주시 | 29 | 93 | 122 | |||
신주현 | 91 | 100 | 191 | |||
화롄현 | 106 | 1 | 70 | 177 | ||
가오슝시 | 148 | 147 | 596 | 891 | ||
지룽시 | 55 | 1 | 101 | 157 | ||
진먼현 | 34 | 3 | 37 | |||
롄장현 | 19 | 3 | 22 | |||
먀오리현 | 62 | 212 | 274 | |||
난터우현 | 60 | 3 | 199 | 262 | ||
신베이시 | 279 | 36 | 1 | 715 | 1032 | |
핑둥현 | 51 | 6 | 407 | 464 | ||
펑후현 | 29 | 67 | 96 | |||
타이중시 | 174 | 31 | 420 | 625 | ||
타이난시 | 71 | 76 | 605 | 752 | ||
타이베이시 | 229 | 50 | 1 | 175 | 456 | |
타이둥현 | 73 | 74 | 147 | |||
타오위안시 | 142 | 2 | 351 | 495 | ||
이란현 | 29 | 11 | 193 | 233 | ||
윈린현 | 12 | 6 | 370 | 288 | ||
총계 | 1794 | 390 | 1 | 1 | 5659 | 7849 |
5. 1. 직할시장 및 현시장 선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각 직할시 및 현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가 진행되었다.주요 내용:
- 직할시장 및 현시장 후보자: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 기타 정당, 무소속 후보들이 경쟁했다.
- 당선자: 각 지역별 당선자와 2위 득표자가 발표되었다.
- 투표율: 직할시장 선거는 66.31%, 현(縣) 시장 선거는 70.40%의 투표율을 기록했다.[23]
선거 결과:| 구분 | 유권자 | 투표율(%) | 당선자 | 득표수 | % | 차점자 | 득표수 | % | 지도 |
| :------- | :------- | :-------- | :----------------------------------- | :----- | :------ | :----------------------------------- | :----- | :------ | :------------------------------------------------------------------ |
| 신베이시 | 3,156,402 | 61.65 | 주리룬 | 959,302 | 50.06 | 유시쿤 | 934,774 | 48.78 | |
| 타이베이시 | 2,146,939 | 70.46 | 커원저 | 853,983 | 57.16 | 롄성원 | 609,932 | 40.82 | |
| 타오위안시 | 1,568,713 | 62.73 | 정원찬 | 492,414 | 51.00 | 우즈양 | 463,133 | 47.97 | |
| 타이중시 | 2,093,689 | 71.93 | 린자룽 | 847,284 | 57.06 | 후시산 | 637,531 | 42.94 | |
| 타이난시 | 1,512,778 | 65.88 | 라이칭더 | 711,557 | 72.90 | 황슈솽 | 264,536 | 27.10 | |
| 가오슝시 | 2,231,225 | 66.44 | 천쥐 | 993,300 | 68.09 | 양추싱 | 450,647 | 30.89 | |
| 이란현 | 365,138 | 70.46 | 린충셴 | 160,253 | 63.95 | 추수티 | 90,320 | 36.05 | |
| 신주현 | 403,173 | 68.76 | 추칭춘 | 124,309 | 46.94 | 정융친 | 118,698 | 44.82 | |
| 먀오리현 | 446,182 | 72.80 | 쉬야오창 | 147,547 | 46.59 | 우이쳰 | 89,838 | 28.37 | |
| 장화현 | 1,015,804 | 72.93 | 웨이밍구 | 386,405 | 53.71 | 린창민 | 284,738 | 39.58 | |
| 난터우현 | 414,091 | 73.11 | 린밍젠 | 149,361 | 50.96 | 리원충 | 143,719 | 49.04 | |
| 윈린현 | 565,557 | 74.09 | 리진용 | 232,900 | 56.98 | 장리산 | 175,862 | 43.02 | |
| 자이현 | 430,505 | 74.19 | 장화이 | 193,399 | 63.09 | 원충춘 | 104,488 | 34.09 | |
| 핑둥현 | 686,810 | 73.53 | 판먼안 | 308,953 | 62.93 | 젠타이랑 | 182,027 | 37.07 | |
| 타이둥현 | 179,015 | 67.82 | 황젠팅 | 64,272 | 54.41 | 류차오하오 | 53,860 | 45.59 | |
| 화롄현 | 265,571 | 61.77 | 푸쿤치 | 89,048 | 56.53 | 차이치다 | 43,504 | 27.62 | |
| 펑후현 | 82,269 | 66.27 | 천광푸 | 29,164 | 55.34 | 쑤쿤슝 | 23,533 | 44.66 | |
| 지룽시 | 303,329 | 63.92 | 린유창 | 101,010 | 53.15 | 셰리궁 | 52,198 | 27.47 | |
| 신주시 | 322,472 | 62.90 | 린즈젠 | 76,578 | 38.36 | 쉬밍차이 | 75,564 | 37.85 | |
| 자이시 | 208,099 | 70.96 | 투싱저 | 74,698 | 51.41 | 천이천 | 66,108 | 45.50 | |
| 진먼현 | 103,555 | 45.15 | 천푸하이 | 23,965 | 52.77 | 리워스 | 15,146 | 33.35 | |
| 롄장현 | 10,040 | 67.05 | 류청잉 | 4,385 | 66.25 | 양수이성 | 2,234 | 33.75 | |
- 신베이시: 주리룬 후보가 959,302표를 얻어 50.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유시쿤 후보는 934,774표를 획득하며 48.7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베이시: 커원저 후보가 853,983표를 얻어 57.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롄성원 후보는 609,932표를 획득하며 40.8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오위안시: 정원찬 후보가 492,414표를 얻어 51.0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즈양 후보는 463,133표를 획득하며 47.9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중시: 린자룽 후보가 847,284표를 얻어 57.0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시산 후보는 637,531표를 획득하며 42.9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난시: 라이칭더 후보가 711,557표를 얻어 72.90%의 득표율로 압승했다. 황슈솽 후보는 264,536표를 획득하며 27.1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가오슝시: 천쥐 후보가 993,300표를 얻어 68.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양추싱 후보는 450,647표를 획득하며 30.8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이란현: 린총셴 후보가 160,253표를 얻어 63.9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추숙제 후보는 90,320표를 획득하며 36.0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신주현: 추징춘 후보가 124,309표를 얻어 46.9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정융친 후보는 118,698표를 획득하며 44.8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먀오리현: 쉬야오창 후보가 147,547표를 얻어 46.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우이쳰 후보는 89,838표를 획득하며 28.3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장화현: 웨이밍구 후보가 386,405표를 얻어 53.7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린창민 후보는 284,738표를 획득하며 39.5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난터우현: 린밍젠 후보가 149,361표를 얻어 50.9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리원충 후보는 143,719표를 획득하며 49.0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윈린현: 리진용 후보가 232,900표를 얻어 56.9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장리산 후보는 175,862표를 획득하며 43.0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자이현: 장화이 후보가 193,399표를 얻어 63.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원충춘 후보는 104,488표를 획득하며 34.0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핑둥현: 판먼안 후보가 308,953표를 얻어 62.9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젠타이랑 후보는 182,027표를 획득하며 37.0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타이둥현: 황젠팅 후보가 64,272표를 얻어 54.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류차오하오 후보는 53,860표를 획득하며 45.59%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화롄현: 푸쿤치 후보가 89,048표를 얻어 56.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차이치다 후보는 43,504표를 획득하며 27.6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펑후현: 천광푸 후보가 29,164표를 얻어 55.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쑤쿤슝 후보는 23,533표를 획득하며 44.66%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기륭시: 린유창 후보가 101,010표를 얻어 53.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셰리궁 후보는 52,198표를 획득하며 27.47%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신주시: 린즈젠 후보가 76,578표를 얻어 38.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쉬밍차이 후보는 75,564표를 획득하며 37.8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자이시: 투싱저 후보가 74,698표를 얻어 51.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천이천 후보는 66,108표를 획득하며 45.5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진먼현: 천푸하이 후보가 23,965표를 얻어 52.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리워스 후보는 15,146표를 획득하며 33.3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 롄장현: 류청잉 후보가 4,385표를 얻어 66.2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양수이성 후보는 2,234표를 획득하며 33.75%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정당별 결과:|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 | :---------- | :-------- | :-------- |
| 민주진보당 | 5,830,106 | 47.55% | 13 |
| 중국 국민당 | 4,990,677 | 40.70% | 6 |
| 인민민주전선 | 4,123 | 0.03% | 0 |
| 기타 정당 | 2,027 | 0.01% | 0 |
| 무소속 | 1,434,851 | 11.70% | 3 |
| 합계 | 12,261,784 | 100.00% | 22 |
5. 2. 직할시의원 및 현시의원 선거
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에서는 직할시 및 현/시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3][14][15][16][17][18][19][20][21][22][[File:2014ROC Council.svg|thumb|right|300px|'''2014년 중화민국 지방 선거의 시의원 선거 결과: 색상은 최다 의석 정당을 나타냅니다''' ]
구역 | 국민당 | 민진당 | TSU | PFP | NP | 무소속/기타 | 합계 | |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의석 | |||
타이베이 | 28 | 27 | 1 | 2 | 2 | 3 | 63 | |
신베이 | 26 | 32 | 1 | 7 | 66 | |||
타오위안 | 29 | 20 | 1 | 10 | 60 | |||
지룽 | 14 | 10 | 3 | 4 | 31 | |||
이란 현 | 11 | 12 | 1 | 9 | 34 | |||
신주 | 15 | 7 | 1 | 10 | 33 | |||
신주 현 | 23 | 2 | 9 | 36 | ||||
먀오리 현 | 19 | 4 | 15 | 38 | ||||
타이중 | 28 | 27 | 2 | 6 | 63 | |||
장화 현 | 24 | 17 | 13 | 54 | ||||
난터우 현 | 17 | 8 | 11 | 37 | ||||
윈린 현 | 7 | 13 | 1 | 22 | 43 | |||
자이 | 6 | 5 | 1 | 12 | 24 | |||
자이 현 | 9 | 18 | 10 | 37 | ||||
타이난 | 16 | 28 | 1 | 12 | 57 | |||
가오슝 | 24 | 33 | 1 | 1 | 7 | 66 | ||
타이둥 현 | 22 | 1 | 7 | 30 | ||||
핑둥 현 | 19 | 18 | 1 | 7 | 55 | |||
펑후 현 | 8 | 2 | 9 | 19 | ||||
진먼 현 | 15 | 1 | 3 | 19 | ||||
롄장 현 | 6 | 3 | 9 | |||||
합계 | 386 | 291 | 9 | 9 | 2 | 208 | 907 |
colspan=2 rowspan=2| | 정당 | ||||||||||
---|---|---|---|---|---|---|---|---|---|---|---|
국민당 | 민진당 | 대만연맹 | 친민당 | 신당 | 녹색당 | 무소속 | 노동당 | 제 정당 | 무소속 | ||
전국 합계 | 386 | 291 | 9 | 9 | 2 | 2 | 2 | 1 | 2 | 203 | |
직할시 | 타이베이시 | 28 | 27 | 1 | 2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3 |
신베이시 | 26 | 32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7 | |
타오위안시 | 29 | 20 | 1 | align="right"| | align="right"|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9 | |
타이중시 | 28 | 27 | align="right"|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6 | |
타이난시 | 16 | 28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2 | |
가오슝시 | 24 | 33 | 1 | 1 | align="right"| | align="right"| | 2 | align="right"| | align="right"| | 5 | |
타이완 성 | 신주현 | 23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 | align="right"| | 1 | align="right"| | 9 |
먀오리현 | 19 | 4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5 | |
장화현 | 24 | 17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3 | |
난터우현 | 17 | 8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 | 11 | |
윈린현 | 7 | 13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22 | |
자이현 | 9 | 18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0 | |
핑둥현 | 19 | 18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7 | |
이란현 | 11 | 12 | align="right"|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 | 9 | |
화롄현 | 20 | 6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7 | |
타이둥현 | 22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7 | |
펑후현 | 8 | 2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9 | |
지룽시 | 14 | 10 | align="right"| | 3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4 | |
신주시 | 15 | 7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0 | |
자이시 | 6 | 5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12 | |
푸젠 성 | 진먼현 | 15 | 1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3 |
롄장현 | 6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align="right"| | 3 | |
전체 907석 중 중국 국민당이 386석, 민주진보당이 291석을 차지했다. 이 외 대만 단결 연맹이 9석, 친민당이 9석, 신당과 녹색당이 각각 2석, 노동당이 1석을 획득했으며, 무소속은 203석을 가져갔다.[24] 특히, 가오슝시, 타이난시, 신베이시 등에서는 민주진보당이 강세를 보였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중국 국민당 | 4,515,532 | 37.08% | 386 |
민주진보당 | 4,488,789 | 36.86% | 291 |
대만 단결 연맹 | 224,904 | 1.85% | 9 |
친민당 | 190,107 | 1.56% | 9 |
신당 | 129,634 | 1.06% | 2 |
대만 녹색당 | 57,338 | 0.47% | 2 |
무당 단결 연맹 | 55,682 | 0.46% | 2 |
수당 | 48,488 | 0.40% | 1 |
인민민주전선 | 14,980 | 0.12% | 0 |
대만 노동당 | 5,827 | 0.05% | 1 |
대만 제1민족당 | 1,713 | 0.01% | 1 |
중화 통일 촉진당 | 23 | 0.00% | 0 |
제 정당 | 3,273 | 0.00% | 0 |
무소속 | 2,442,281 | 20.05% | 203 |
12,178,571 | 100.00% | 907 | |
투표율은 직할시 시의원 선거에서 66.38%, 현/시 의원 선거에서 70.45%를 기록했다.
한편, 정당별 입후보자 수는 중국 국민당이 554명, 민주진보당이 370명, 대만 단결 연맹이 41명, 친민당이 36명, 녹색당이 10명, 신당이 19명, 무당단결연맹이 6명, 노동당이 1명, 기타 여러 정파가 35명, 무소속이 528명이었다.
정당 | 합계 | 직할시 시의원 선거 | 현/시 시의원 선거 |
---|---|---|---|
중국 국민당 | 554 | 213 | 341 |
민주진보당 | 370 | 200 | 170 |
대만 단결 연맹 | 41 | 27 | 14 |
친민당 | 36 | 25 | 11 |
대만 녹색당 | 10 | 6 | 4 |
신당 | 19 | 18 | 1 |
무당 단결 연맹 | 6 | 5 | 1 |
대만 노동당 | 1 | align="center"| | 1 |
여러 정파 | 35 | 20 | 15 |
무소속 | 528 | 174 | 354 |
1,600 | 688 | 912 | |
colspan=2 rowspan=2| | 정당 | ||||||||||
---|---|---|---|---|---|---|---|---|---|---|---|
국민당 | 민진당 | 대만 단결 연맹 | 친민당 | 무당 | 녹색당 | 신당 | 노동당 | 여러 정파 | 무소속 | ||
colspan=2| | 554 | 370 | 41 | 36 | 6 | 10 | 18 | 1 | 35 | 528 | |
직할시 | 타이베이시 | 34 | 29 | 6 | 7 | align="center"| | align="center"| | 7 | align="center"| | 8 | 17 |
신베이시 | 41 | 36 | 4 | 5 | align="center"| | 2 | 6 | align="center"| | 4 | 22 | |
타오위안시 | 39 | 29 | 2 | 3 | 2 | 3 | 4 | align="center"| | 3 | 58 | |
타이중시 | 37 | 33 | 5 | 7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2 | 29 | |
타이난시 | 27 | 34 | 3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22 | |
가오슝시 | 35 | 39 | 7 | 3 | 3 | 1 | 1 | align="center"| | 2 | 26 | |
대만성 | 신주현 | 31 | 6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align="center"| | 1 | align="center"| | 25 |
먀오리현 | 22 | 8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31 | |
장화현 | 33 | 23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30 | |
난터우현 | 25 | 8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3 | 31 | |
윈린현 | 10 | 20 | 3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38 | |
자이현 | 11 | 21 | 1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6 | |
핑둥현 | 28 | 27 | 1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32 | |
이란현 | 22 | 19 | 1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19 | |
화롄현 | 32 | 7 | align="center"| | 2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7 | |
타이둥현 | 31 | 2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2 | 16 | |
펑후현 | 9 | 2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1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20 | |
지룽시 | 23 | 12 | 1 | 4 | align="center"|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6 | 18 | |
신주시 | 19 | 7 | 2 | 2 | align="center"|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31 | |
자이시 | 10 | 7 | 2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 | 14 | |
푸젠성 | 진먼현 | 25 | 1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11 |
롄장현 | 10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align="center"| | 5 | |
직할시 시의원 후보자 경력 통계([http://db.cec.gov.tw/histMain.jsp?voteSel=20141101B2 선거 분석 상세 항목 103년 직할시 시의원 선거]), 현/시 시의원 후보자 경력 통계표([http://db.cec.gov.tw/histMain.jsp?voteSel=20141101C2 선거 분석 상세 항목 103년 현/시 시의원 선거])
참고: 입법원에 의석을 가진 정당과 제8회 입법위원 선거의 정당 투표에서 유효표의 1% 이상을 얻은 정당과 이전 지방 선거에서 당선자를 낸 정당은 고유 당명으로, 그 외 정당은 "여러 정파"로 한다.
5. 3. 향진시구장 선거
(고지대 원주민 구)도원구, 나마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