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 지위를 부여하려는 계획과 관련하여 러시아 정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단절하면서 시작된 동방 정교회 내의 분열이다. 이 분열은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독립 문제, 특히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사이의 관할권 다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러시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결정에 반발하여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의 기념을 중단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성찬례 교류를 완전히 중단했다. 이 분열은 다른 정교회에도 영향을 미쳐, 그리스, 알렉산드리아, 키프로스 정교회 등이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승인하면서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가 단절되었고, 국제 사회와 여러 종교 단체의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은 1세기 기원을 가진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중 하나로,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하며 전 세계 정교회의 영적 중심지로서, "전지총대주교" 또는 "세계총대주교"라는 칭호를 가진 총대주교가 타 종교와의 관계에서 중재 및 조정자 역할을 수행한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 성 안드리 교회
    성 안드리 교회는 18세기 중반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에 의해 바로크 및 로코코 양식으로 건축되어 러시아 여제의 의뢰로 지어진 키이우의 교회로, 소련 시대를 거쳐 우크라이나 독립 후에는 정교회에 양도되었다가 현재는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관리한다.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
사건 개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의 문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의 문장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의 모노그램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의 모노그램
원인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결정 (2018년 10월 11일)
세부 원인향후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독립 교회 지위 부여
키이우에 스타브로페기온(세계 총대주교에게만 책임이 있는 교회 조직) 재건
1686년의 "발행 서한"(모스크바 총대주교가 키이우의 수도 대주교를 서임할 권한을 부여) 철회name=letter of 1686
미승인된 우크라이나 동방 정교회 (UAOC 및 UOC-KP)의 성직자와 신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파문 해제
날짜2018년 10월 15일 – 현재
참가자주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러시아 정교회
부차적
UOC-KPname=united
UAOCname=united
OCU
UOC-MPgroup=
LOCgroup=
유형기독교 내 분열
다른 이름정교회 분열
정교회 교회 분열
결과러시아 정교회(및 ROCOR)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완전한 친교 단절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 의한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독립 교회 지위 창설
러시아 정교회에 의한 PEWE 및 PESEA 창설
그리스 교회,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청, 키프로스 교회에 의한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독립 교회 지위 인정
러시아 정교회에 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 아테네 대주교 이에로니모스 2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 키프로스 대주교 크리소스토모스 2세와의 친교 단절
UOC-MP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처리, 배신, 결과에 대한 불만으로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 단절. LOC도 유사한 결과 발생.
배경
러시아 정교회의 입장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에 독립교회 지위를 부여한 것은 정경 규범 위반이며, 러시아 정교회의 관할 구역에 대한 침해라고 주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결정을 "비정경적 침략"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성찬 관계 단절.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입장우크라이나 교회에 대한 역사적, 정경적 권한을 주장하며, 독립교회 지위 부여는 우크라이나 정교도들의 염원을 반영한 결정이라고 주장.
러시아 정교회의 비난에 대해 "러시아 교회가 우크라이나 교회를 억압해왔다"고 반박.
지정학적 맥락이 분열은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의 악화와 우크라이나의 유럽 통합 노력과 연관되어 있다는 분석이 있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교회를 이용하려 하고,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독립교회 지위를 추구한다는 해석이 있음.
사건 경과
2018년 9월 14일러시아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비정경적 간섭"에 대한 항의 성명 발표.
2018년 10월 11일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우크라이나 독립교회 지위 부여 결정.
2018년 10월 15일러시아 정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성찬 관계 단절.
2019년 1월 6일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독립교회 지위 공식 부여.
영향
정교회 내부의 분열 심화다른 독립교회들 사이에서 우크라이나 정교회 지위 인정 여부에 대한 이견 발생.
러시아 정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관계 악화.
우크라이나 내부의 갈등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와 우크라이나 정교회 사이의 갈등 심화.
교회 재산 분쟁 및 신도들의 소속 변경 문제 발생.
관련 단체
주요 관련 단체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러시아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외부 링크

2. 역사적 배경

정교회는 역사적으로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의 국교로서 발전해왔다. 제국의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Οἰκουμενικὸς Πατριάρχης|이쿠메니코스 파트리아르히스el"(전 세계 총대주교)라는 특별한 칭호를 가지며, 정교회 전체에서 명예상 첫 번째 주교로 존경받는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교회교황이 절대적인 수위권을 가지는 것과 달리, 정교회는 기본적으로 한 국가에 하나의 교회 조직을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각 지역 교회를 이끄는 수장 주교들은 명예상의 지위 차이와 관계없이 교권상 동등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역시 교권상으로는 여러 수장 주교 중 한 명이다.[250] 다만, 칼케돈 공의회(제4차 전 세계 공의회)에서 정해진 고대 5대 주교좌 중 로마를 제외한 4개 주교좌(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의 권위 서열은 인정되며, 그 다음으로 높은 서열을 가진 것이 모스크바 총대주교좌이다.[250]

145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함락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이슬람교 국가인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어 교세가 크게 약화되었다. 이후 터키 공화국이 수립되고 그리스발칸반도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정교회를 믿는 국가의 후원이나 특정 국가 전체를 관할하는 권한 없이 명예적인 역할만 남게 되었다.

반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강력한 러시아 제국의 국교로서, 그리고 정교회에서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한 러시아 정교회의 중심으로서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커졌다.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된 이후, 모스크바는 스스로를 "제3의 로마"라 칭하며 정교회 세계의 새로운 중심이 되고자 했다. 1721년 표트르 1세에 의해 총대주교제가 폐지되고,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의 무신론 정책 아래 탄압받기도 했으나, 소련 후기에는 다시 교세를 회복했다. 소련의 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이 성립되자,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 국내뿐 아니라 우크라이나 등 옛 러시아 제국 및 소련 구성국들에 대한 교권적 영향력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이는 해당 국가들에 거주하는 다수의 러시아인들의 지지에 힘입은 바도 크다.

2000년, 러시아 정교회는 자체 규약을 통해 자신들의 교회법상 관할 영역을 옛 소련의 대부분 지역으로 명시하며,[250] 세속 국경 변화와 무관하게 교회 관할 구역은 유지되어야 하고, 관할 구역 내 교회 독립 문제는 오직 러시아 정교회만이 결정권을 가진다는 입장을 확립했다. 이는 다른 독립 교회,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간섭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이다.[250]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옛 소련 지역에 대한 영향력 회복을 추구하며, 특히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의 기독교 개종으로 동슬라브 기독교화가 시작된 우크라이나를 러시아 문명의 발상지로 여긴다.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1세는 이러한 푸틴 정권의 입장을 지지하며 협력 관계를 유지해왔다.[251]

2. 1.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역사

11세기 키예프 루스 지도
11세기의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세례를 받은 이후, 이 지역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 키예프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다. 몽골 침공 이전까지 임명된 24명의 대주교 중 현지 출신은 단 2명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그리스인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직접 임명되었는데, 이는 본래 교구의 주교들이 선출해야 하는 정교회 교회법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몽골 침공으로 루스 남부 지역이 크게 파괴되면서 키예프 루스의 해체는 더욱 빨라졌다. 갈리시아의 다닐 공에 의해 지명되어 30년간 재임한 키릴 2세 대주교는 대부분의 시간을 북동부의 블라디미르-수즈달 지역에서 보냈고, 키예프는 단 두 차례 방문했을 뿐이었다. 1299년 몽골의 추가 침공 이후, 막심 대주교는 결국 주교좌를 북쪽의 블라디미르로 완전히 옮겼다. 130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남서부 루스를 위해 갈리시아에 새로운 대주교좌를 설치하고 대주교를 임명했지만, 이 대주교좌는 갈리시아-볼히니아 전쟁 이후 1355년에 폐지되었다. 한편, 1325년 모스크바의 표트르 대주교가 주교좌를 모스크바로 옮기면서, 모스크바 대공국은 점차 다른 러시아 공국들을 통합하며 세력을 키워나갔다.

옛 키예프 루스의 다른 지역들은 점차 리투아니아 대공국폴란드 왕국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들 국가는 모스크바 대공국과 경쟁 관계에 들어섰다. 특히 리투아니아 대공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자신들의 영토 내 정교회를 위한 별도의 대주교 임명을 요구했다. 모스크바의 대주교는 계속 "키예프와 모든 루스의 대주교"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모스크바 대공국 바깥의 정교회에 대한 통치권을 행사하기 어려웠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두 차례 리투아니아 대주교를 별도로 임명하기도 했으나, 이는 일시적이었고 대체로 옛 키예프 루스 지역에 단일한 교회 구조를 유지하려 했다.

1439년 피렌체 공의회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통합을 결정하자, 모스크바는 이를 즉각 거부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임명한 키예프의 이시도르 대주교는 모스크바에서 이단으로 몰려 투옥되었다가 추방당했다. 1448년, 모스크바는 바실리 2세 대공의 요구로 독자적인 주교회의를 열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승인 없이 모스크바의 요나를 "키예프와 모든 루스의 대주교"로 선출했다. 이는 사실상 모스크바 교회의 독립 선언과 같았다. 이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디오니시오스 1세 총대주교는 146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승인 없는 대주교 임명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 시기 리투아니아 대공국 내에 있던 키예프 대교구(실질적인 중심지는 노보그루도크)는 계속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다. 모스크바 교회의 사실상 독립 상태는 15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예레미야스 2세 총대주교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좌 설립을 승인하고 나서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 결정은 1593년 다른 고대 총대주교들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새로 설립된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모든 러시아와 북부 국가"의 수장으로 칭해졌고, 현재 우크라이나의 체르니히우도 그의 교구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의 정교회 주교들은 여전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할 아래 있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의 권위는 미치지 못했다. 당시 연방 내 정교회에서는 신자들이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정교회 형제단'을 조직하며 저항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고위 성직자들은 로마 가톨릭과의 통합을 추진했다. 예레미야스 2세 총대주교는 모스크바 방문길에 우크라이나 지역을 들러 여러 정교회 형제단에 총대주교 직속 자격인 '스타우로페기온'(stauropegion)을 부여하는 파격적인 조치를 취했다. 이는 지역 주교들의 반발을 샀고, 결국 1596년 미하일 로호자 대주교를 포함한 연방 내 다수 정교회 주교들이 로마 가톨릭과의 통합을 선언하는 브레스트 연합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연방 내 정교회 키예프 대교구는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우니아트 교회(동방 가톨릭교회)로 대체되었다가, 1620년에야 정교회 교계가 재건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극심한 갈등과 반란을 야기했고, 흐멜니츠키 봉기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1654년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전쟁을 시작하여 현재의 벨라루스 지역을 일시적으로 점령하고, 페레야슬라프 조약(1654)을 통해 헤트만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했다. 당시 모스크바의 니콘 총대주교는 자신의 공식 칭호를 "모스크바와 모든 대(大), 소(小), 그리고 백(白) 러시아의 총대주교"로 바꾸었다. 그러나 키예프의 실베스터 코시우 대주교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로부터의 독립을 지켰으며, 정교회 성직자들의 지지가 필요했던 모스크바 정부는 이 문제 해결을 미루었다.

1686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디오니시오스 4세 총대주교는 게데온 체르트베르틴스키를 키예프의 새로운 대주교로 승인했다. 그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좌에 의해 서품되었으며, 이로써 키예프 교회 관구의 일부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러시아 정교회)의 관할권으로 공식적으로 이전되었다.

2. 2. 냉전 이후의 상황

냉전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 러시아 정교회의 역사적 경쟁 관계가 심화되었다. 실제로, 냉전 이후 모스크바와 콘스탄티노폴리스는 모두 "정교회의 두 중심지"로 부상했다.[15] 정교회는 역사적으로 동로마 제국국교로 발전했으며,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에 위치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전 세계 총대주교"라는 특별한 칭호를 가지며 정교회 전체의 명예로운 수장으로 존경받는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회와 달리 정교회는 각 국가 및 지역 교회가 교권상 동등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명예상 첫 번째일 뿐 다른 주교들보다 우월한 교권을 갖지는 않는다.[250] 칼케돈 공의회에서 정해진 고대 5대 주교좌 중 로마를 제외한 4개 주교좌(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의 권위 서열은 인정되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는 이들 다음 서열이다.[250]

1453년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이슬람교 국가의 지배하에 놓이며 교권이 약화되었고, 터키 공화국 수립 이후에는 명예직 성격이 강해졌다. 반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강력한 러시아 제국의 국교이자 최대 신자 수를 기반으로 교권을 강화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모스크바는 스스로를 "제3의 로마"로 칭하며 정교회 세계의 맹주로 부상하려 했다. 표트르 1세에 의한 총대주교좌 폐지와 소련 시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소련 후기에는 교권을 회복했으며, 소련의 붕괴 이후에는 구 소련 구성국에 대한 교권적 우위를 유지하려 했다.[250]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자신들의 특별한 권한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15]

# 에큐메니컬 총대주교는 정교회 세계 어느 곳에서든 모든 사건에 대해 최종 상소 법원을 설립할 권한을 가진다.

# 에큐메니컬 총대주교는 다른 총대주교와 자치 교회의 수장들을 소집하여 그들 모두의 합동 회의를 열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가진다.

# 에큐메니컬 총대주교는 지역 정교회 관할 구역 밖에 있는 정교회 신자들, 이른바 디아스포라에 대한 관할권과 교회 권위를 가진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동의 없이는 새로운 "자치 교회"가 생겨날 수 없다. 이 동의는 지역 정교회의 합의를 표현해야 한다.

한편, 러시아 정교회 지도부는 ''러시아 세계''(Русский мир|루스키 미르rus)라는 이념을 주창한다. 이 이념은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벨라루스에 대한 러시아의 통제력 상실에 대한 반작용으로 형성되었으며, 키예프 루스의 후손들이 러시아의 지도 아래 정신적, 문화적 통일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16][17]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역시 이 이념을 지지하며, ''러시아 세계''를 '루스'의 세례를 통해 신이 부여한 '성 루스' 건설 임무를 상기시키는 영적 개념으로 설명한다.[17]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역시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의 기독교 개종을 통해 동슬라브 기독교화가 시작된 우크라이나를 러시아 문명의 요람으로 간주하며 구 소련권 영향력 회복을 추진했고, 키릴 1세는 이러한 푸틴 정권을 지지해왔다.[251]

2000년, 러시아 정교회는 자체 규약을 통해 교회법상 관할 영역을 조지아와 아르메니아를 제외한 구 소련 전역 및 몽골,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등으로 명시했다. 이들은 세속 국경 변화와 무관하게 교회 관할 구역은 유지되어야 하며, 관할 구역 내 교회 독립 문제는 오직 러시아 정교회만이 결정권을 가진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250]

2019년 1월 31일,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우크라이나와의 관계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우리 교회의 변방이 아니다. 우리는 키예프를 '러시아 도시들의 어머니'라고 부른다. 우리에게 키예프는 많은 사람들에게 예루살렘과 같다. 러시아 정교는 거기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우리는 어떤 경우에도 이 역사적, 영적 관계를 포기할 수 없다. 우리 지역 교회의 전체적인 통일성은 이러한 영적 유대에 기초하고 있다"고 선언하며 러시아 정교회의 입장을 강조했다.[18][19]

''러시아 세계'' 이념은 2022년 11월 23일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되었다.[11][13]

이러한 두 총대주교청 간의 갈등은 이전에도 표출된 바 있다. 1996년 에스토니아의 정교회 관할권을 둘러싸고 분열이 발생했다. 1996년 2월 20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소련 시절 활동이 중단되었던 자치 교회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를 자신의 관할 하에 재설립하기로 결정하자,[20][22][23] 러시아 정교회는 이에 반발하여 2월 23일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완전한 친교를 단절했다. 이 단절은 같은 해 5월 16일 양측이 에스토니아 내 평행 관할권을 설정하는 합의에 도달하면서 해소되었다.[20][21] 이 1996년 분열은 2018년 분열과 유사하게, 러시아 정교회가 배타적 관할권을 주장하는 구 소련 지역의 교회 문제에 대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개입하면서 발생했으며, 모스크바 측이 일방적으로 친교를 단절했다는 공통점이 있다.[10]

3. 분열의 전개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독립(자동 수장제)을 추진하면서 러시아 정교회와의 갈등이 본격화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우크라이나에 특사를 파견하고 자치 교회 설립 의사를 밝히자, 러시아 정교회는 2018년 9월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에 대한 기도 중단을 포함한 여러 "보복 조치"를 발표하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2018년 10월, 우크라이나 교회의 독립을 승인하고 기존에 '분열주의자'로 간주되던 우크라이나 내 교회들의 법적 지위를 회복시키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러시아 정교회는 즉각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완전한 성찬 교류 단절을 선언하며, 11세기 동서 교회의 분열 이후 정교회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열이 현실화되었다.

결국 2018년 12월, 우크라이나의 여러 정교회 분파들이 키이우에서 통합 평의회를 열어 새로운 독립 교회인 우크라이나 정교회(OCU)를 창설하고 에피파니우스 1세를 초대 수장으로 선출했다. 2019년 1월,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는 OCU의 독립을 공식 인정하는 토모스에 서명하고 이를 에피파니우스 1세에게 수여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독립 절차가 마무리되었다.

3. 1. 2018년 9월: 러시아 정교회 시노드의 "보복 조치"

2018년 9월 14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에 엑사르크(세계 총대주교 대리)로 다니엘 (젤린스키) 대주교와 힐라리온 (루드니크) 대주교를 임명하고, 우크라이나 정교회자치 지위를 부여하려는 계획에 대응하여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임시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에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결정에 대한 "보복 조치"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결정했다:[5][6]

: #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에 대한 전례적인 기도 기념을 중단한다.

: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소속 주교들과의 공동 집전을 중단한다.

: # 러시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대표가 의장을 맡거나 공동 의장을 맡는 모든 주교 회의, 신학 대화, 다자간 위원회 및 기타 구조 참여를 중단한다.

: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내 활동에 관한 성 시노드의 성명을 채택한다.

같은 날, 러시아 정교회는 이 상황과 세계 총대주교의 행동에 항의하며 취한 제재 조치에 대한 설명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24]

또한, 러시아 정교회의 힐라리온 (알페예프) 대주교는 인터뷰를 통해 이 결정이 아직 완전한 성찬 교류 단절은 아니며 평신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소속 주교들과의 공동 집전은 거부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그들이 전례 중 러시아 정교회가 기념을 중단한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의 이름을 언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결정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측에 보내는 경고의 메시지이며, 만약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현재의 입장을 고수한다면 성찬 교류를 완전히 단절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25]

: 그러나 우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주교들과 함께 공동 집전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전례 중에 우리가 중단한 그들의 총대주교의 이름을 언급하기 때문이다. [...]

:

: 물론 우리는 이 모든 것이 대화를 완전히 막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오늘 우리의 결정은 이러한 종류의 행동이 계속될 경우, 우리는 성찬 교류를 완전히 단절해야 할 것이라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보내는 신호이다. [...]

:

: [성찬 교류의 단절 이후에는] 최소 3억 명에 달하는 이 인구의 절반이 그를 동등한 자들 중 첫 번째 자로조차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25]

이에 대해 2018년 9월 23일,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는 신성한 전례 중 성 포카스 정교회에서 "우크라이나가 자격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자치를 받게 될 것"이라고 선언하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26][27]

2018년 9월 30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 교회 관계 부서의 공식 웹사이트에 실린 ''이즈베스티아 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힐라리온 (알페예프) 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행동을 비판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반교회적 행동을 계속한다면, 스스로 정교회의 규범적 공간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28]

3. 2.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독립

바르톨로메오스 총대주교가 OCU의 자동 수장제 토모스에 서명하고 있다. 에피파니우스 1세 (흰색 클로부크 착용)가 그의 뒤에 서 있다.


2018년 10월 11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시노드는 향후 "우크라이나 교회"에 자동 수장제(교회 독립)를 부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우크라이나 내 독립을 추구하던 교회들의 오랜 염원에 부응하는 조치였다. 같은 결정에서 성 시노드는 즉시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36]

  • 키이우에 세계 총대주교가 직접 관할하는 교회 기관인 사투로페기온을 재설립한다.
  • 1686년에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키이우 관구 대주교 서품권을 부여했던 서한의 법적 구속력을 폐지한다. 이 서한은 역사적으로 러시아 정교회가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하는 근거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 그동안 러시아 정교회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UOC-MP)에 의해 '분열주의자'로 규정되었던 두 독립 교회, 즉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예프 총대주교청(UOC-KP)과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UAOC)의 성직자와 신자들에게 내려졌던 파문을 해제하고 교회법적 지위를 회복시킨다.[3][62][63][64][65][37]


UOC-KP와 UAOC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우크라이나 정교회 설립을 목표로 활동해왔으며, UOC-MP와 경쟁 관계에 있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번 결정은 이들 두 교회의 정통성을 인정하고 통합의 길을 열어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러시아 정교회와의 정면 충돌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실제로 이 결정에 반발한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2018년 10월 15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성사 교류를 포함한 모든 관계를 단절한다고 선언하며,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38][39] 우크라이나 교회의 자동 수장제 부여에 대한 지지는 이미 2018년 6월 우크라이나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와 베르호브나 라다(우크라이나 의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표명된 바 있었다.[40]

2018년 12월 15일, 키이우의 성 소피아 대성당에서 통합 평의회가 개최되었다. 이 평의회에는 UAOC와 UOC-KP의 주교단 전체, 그리고 UOC-MP 소속 주교 중 2명이 참여하여 새로운 통합 독립 교회인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설립을 선언했다. 평의회는 만장일치로 UOC-KP 소속이었던 에피파니우스를 신생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초대 수장(키이우 및 전 우크라이나 관구 대주교)으로 선출했다.[41][42] UOC-MP의 대다수 주교들은 세계 총대주교의 초청에도 불구하고 평의회를 보이콧하며 불참했다.[43][44][45]

2019년 1월 5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성 게오르기우스 대성당에서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자동 수장제(독립)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문서인 토모스에 서명했다. 다음 날인 1월 6일, 주님 공현 대축일 전례 중에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토모스를 에피파니우스 관구 대주교에게 공식적으로 수여했다.[46][47] 이후 토모스는 1월 8일 다시 이스탄불로 옮겨져 1월 9일 세계 총대주교청 성 시노드의 모든 구성원들의 서명을 받았다.[48][49][50][51][52] 모든 서명이 완료된 토모스는 1월 10일 우크라이나로 최종 반환되었다.[53][54][55][56]

그러나 OCU의 공식 출범 직후, 통합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필라레트 전 키예프 총대주교와 새로 선출된 에피파니우스 1세 관구 대주교 사이에 교회 운영 방식을 둘러싼 리더십 갈등이 불거지기도 했다.[57]

4. 다른 자치 동방 정교회와의 관계 단절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자동 수장제를 승인한 이후, 러시아 정교회는 OCU를 인정하는 다른 자치 정교회들과의 관계를 연쇄적으로 단절했다.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단절에 이은 조치였다.

2019년 10월에는 그리스 정교회(아테네 대주교청)가 OCU를 승인하자 러시아 정교회는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 이어 같은 해 11월에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2020년 11월에는 키프로스 정교회가 OCU를 승인하자 러시아 정교회는 이들 교회와의 성사 교류도 중단했다.[269][270][271] 러시아 정교회는 해당 교회들의 수장들에 대한 전례적 기념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단절 조치를 실행했다.

이러한 러시아 정교회의 강경한 입장과 대조적으로, 신생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수장인 에피파니 대주교는 2019년 정교회 성탄절 예배에서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1세를 포함한 모든 정교회 수장들의 이름을 기념하며 포용적인 태도를 보였다.[269][270][271]

한편,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에 있던 우크라이나 정교회(UOC-MP)는 러시아 정교회의 단절 조치와는 별개로, 2023년 3월 시점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등 독자적인 노선을 걷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250]

2022년 10월 기준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그리스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키프로스 정교회 외에 OCU를 공식적으로 승인한 정교회는 많지 않다. 다수의 정교회는 여전히 UOC-MP를 우크라이나 내 유일한 합법적 정교회로 간주하고 있는 상황이다.[250] UOC-MP신학 박사인 키릴로 호보룬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 러시아 정교회 간의 단교를 1054년의 동서 교회 분열과 같은 완전한 시스마(분열)가 아닌 "균열"로 평가하기도 했다.[273]

4. 1.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단절

2018년10월 11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성 시노드는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동 수장제(교회 독립)를 부여할 방침임을 공식 발표했다. 이 결정에는 키예프에 사투로페기온(세계 총대주교 직할 교회 기관) 재설립, 1686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우크라이나 교회 관할권을 인정한 서한의 법적 구속력 폐지, 그리고 UOC-KP와 UAOC 소속 성직자 및 신자들에 대한 파문 해제 조치가 포함되었다.[36] 이 두 교회는 러시아 정교회UOC-MP로부터 '분열주의' 단체로 간주되어 왔다.[3][62][63][64][65][37]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이러한 결정에 러시아 정교회는 즉각 반발했다. 2018년10월 15일,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열린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 회의[33] 결과, 러시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완전한 성사 교류 단절을 선언했다.[264][265][266][267][268] 이는 9월 14일에 발표했던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에 대한 기도 중단 및 공동 집전 중단 등의 부분적인 조치[5][6][258][259][260][261]보다 훨씬 강경한 대응이었다.

이 단절 결정에 따라, 러시아 정교회 소속의 모든 성직자와 평신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관할 하에 있는 교회에서의 성찬례, 세례, 결혼 등 모든 성사 참여가 금지되었다.[266][267] 이는 사실상 두 교회 간의 완전한 관계 단절을 의미하며, 1054년 동서 교회 분열 이후 정교회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분열 사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74] 러시아 정교회의 이러한 결정은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 되었다.[38][39]

단절 선언 이전인 10월 9일, 러시아 정교회 대외 교회 관계 부서 의장인 힐라리온 대주교는 우크라이나 자치 부여 시도가 실행될 경우 "비극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전체 정교회의 분열"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이는 "분열의 치유가 아니라 합법화와 장려"가 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35]

4. 2. 아테네 대주교와의 단절

2019년 10월, 러시아 정교회그리스 정교회(아테네 대주교청, 그리스 내 관할)가 신생 우크라이나 정교회(OCU)를 승인하자, 그리스 정교회와의 단교를 선언했다.[269][270][271] 이는 같은 해 11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2020년 11월 키프로스 정교회 등 OCU를 승인한 다른 정교회에 대한 러시아 정교회의 연쇄적인 단교 조치의 일부였다.[269][270][271]

4. 3.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의 단절

2019년 11월 8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키릴 총대주교가 테오도르 2세 총대주교와 그의 교회가 우크라이나 정교회(OCU)를 인정한 것에 대응하여 더 이상 그를 기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99][100][101] 같은 달 25일, 키릴 총대주교는 모스크바에 있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메토키온 운영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켰으며,[102][103] 향후 대표부를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4]

2019년 12월 6일, UOC-MP의 성 시노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 분열주의자들을 인정한 교회 및 성직자들과"의 성찬 교류를 단절한다고 발표했다.[105][106]

2019년 12월 24일, 힐라리온 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이 분열주의 편에 설 경우,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을 위해 아프리카에 별도의 교구를 설립해야 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107][108] 이틀 뒤인 12월 26일, 러시아 정교회(ROC) 시노드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의 완전한 교류 단절과 그의 기념 중단을 공식화했다. 또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메토키온 활동을 중단하고, 카이로에 있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산하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표부를 ROC 교구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아프리카의 ROC 교구들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관할에서 벗어나 스타우로페기알 지위를 부여받아 ROC 수장인 키릴 총대주교의 직접적인 관리하에 놓이게 되었다.[109][110][111][112]

이에 대한 대응으로, 2022년 11월 23일, 테오도르 2세 총대주교가 주재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성 시노드는 다음과 같은 결정을 내렸다.[11][12][13]

  • 키릴 모스크바 총대주교에 대한 기념을 중단한다.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의 영토에 간섭한 혐의로 러시아 대교구 클린의 레오니다스를 파면한다.
  • 루스키 미르 이데올로기를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반하는 것으로 규탄한다.

4. 4. 키프로스 대주교와의 단절

2020년 11월 20일,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키프로스의 크리소스토모스 2세 대주교가 2020년 10월 24일에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수장인 에피파니우스를 기념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키릴 총대주교가 더 이상 전례에서 크리소스토모스 2세 대주교의 이름을 언급하며 기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사실상 러시아 정교회가 키프로스 정교회와의 관계를 단절한 것을 의미한다.

5. 추가적인 갈등

2018년 9월 14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에 다니엘 대주교와 힐라리온 대주교를 엑사르크(총대주교 대리)로 임명하고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 지위를 부여하려는 계획에 대응하여,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임시 회의를 열고 다음과 같은 "보복 조치"를 결정했다:[5][6]


  •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에 대한 전례 중 기도 기념 중단.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주교들과의 공동 집전 중단.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대표가 주재하거나 공동 주재하는 모든 주교 회의, 신학 대화, 다자간 위원회 및 기타 구조 참여 중단.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내 활동에 대한 성 시노드 성명 채택.


같은 날, 러시아 정교회는 상황 설명과 제재 조치를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24] 러시아 정교회 대외관계부장 힐라리온 알페예프 대주교는 인터뷰에서 이 결정이 아직 완전한 성찬 교류 단절은 아니며 평신도에게는 영향이 없다고 설명하면서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측의 행동이 계속될 경우 완전한 성찬 교류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성 메시지임을 분명히 했다.[25] 그는 "우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주교들과 함께 공동 집전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전례 중에 우리가 중단한 그들의 총대주교의 이름을 언급하기 때문"이라며, "오늘 우리의 결정은 이러한 종류의 행동이 계속될 경우, 우리는 성찬 교류를 완전히 단절해야 할 것이라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보내는 신호"라고 덧붙였다.

2018년 9월 23일, 바르톨로메오스 총대주교는 성 포카스 정교회에서 열린 신성한 전례 중 "우크라이나가 가능한 한 빨리 자치를 받게 될 것이며, 이는 그럴 자격이 있기 때문"이라고 선언하며 자치 부여 의지를 재확인했다.[26][27]

이에 힐라리온 대주교는 9월 30일 인터뷰를 통해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반교회적 행동을 계속한다면, 그것은 정교회를 구별하는 교회의 질서에 대한 이해에서 벗어나 스스로 규범적 공간 밖에 놓이게 될 것"이라며 러시아 정교회는 고립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28] 10월 2일에는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이 모든 자치 정교회 수장들에게 서한을 보내 우크라이나 자치 문제에 대한 "범정교회 토론" 개최를 요청했다.[29][30][31][32] 10월 5일에는 벨라루스 정교회 수장인 파벨 대주교가 10월 15일 민스크에서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 회의가 열려 우크라이나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3] 힐라리온 대주교는 10월 9일, 우크라이나 자치 부여가 실행될 경우 "비극적이고 어쩌면 돌이킬 수 없는 전체 정교회의 분열을 의미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성스러운 규범을 무시하는 것은 교회 유기체의 전체 시스템을 뒤흔든다. 다른 지역 교회 내의 분열주의자들은 우크라이나 분열주의자들에게 자치가 주어진다면, 어디에서든지 동일한 시나리오를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크라이나에서의 자치가 "분열의 치유"가 아니라, 그것의 합법화와 장려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35]

결정적으로 2018년 10월 11일, 세계 총대주교청 시노드는 우크라이나 교회에 자동 수장제를 부여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 결정에는 키예프에 세계 총대주교 직할 교회 단체인 스타브로페기온을 재설립하고, 1686년 러시아 정교회에 우크라이나 교회 관할권을 사실상 넘겼던 서한의 법적 구속력을 폐지하며,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예프 총대주교청(UOC-KP)과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UAOC) 성직자 및 신자들에 대한 파문을 해제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36] 이 두 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 우크라이나 정교회(UOC-MP)와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다른 정교회들로부터 "분열주의자"(불법 분리 단체)로 간주되어 왔다.[3][62][63][64][65][37] 이 결정에 반발하여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2018년 10월 15일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완전한 친교 단절을 선언하며, 2018년 모스크바-콘스탄티노폴리스 분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38][39] 우크라이나의 자치 요구는 2018년 6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베르호브나 라다(의회)의 지지를 받았으며, 이전에도 2016년 6월 라다에서 지지 표명이 있었다.[40]

2018년 12월 15일, UOC-KP와 UAOC, 그리고 UOC-MP 소속 주교 2명이 참여한 통합 평의회를 통해 우크라이나 정교회(OCU)가 창설되었고, 에피파니우스가 초대 수장으로 선출되었다.[41][42] UOC-MP 소속 주교 대부분은 이 평의회를 보이콧했다.[43][44][45]

2019년 1월 5일,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는 OCU의 자동 수장제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토모스에 서명했다. 다음 날인 1월 6일, 바르톨로메오스 총대주교와 에피파니우스 대주교가 공동으로 집전한 전례 후 토모스가 에피파니우스 대주교에게 전달되었다.[46][47] 토모스는 1월 8일 이스탄불로 다시 옮겨져 세계 총대주교청 시노드 구성원 전원의 서명을 받았고,[48] 1월 9일 서명이 완료되었다.[49][50][51][52] 최종 서명된 토모스는 1월 10일 우크라이나로 돌아왔다.[53][54][55][56]

OCU의 자동 수장제 토모스 부여 직후, OCU 내부에서는 지도부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57]

5. 1. 터키 내 러시아 사제 문제

2018년 11월 10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관계부장인 힐라리온 대주교는 러시아-24 TV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분열 상태에 있기 때문에 러시아 정교회가 터키에 사제를 파견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전까지 터키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교회법적 영토였기 때문에 사제를 파견하지 않았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분열 상태에 빠졌다고 판단하여 더 이상 제약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했다.[117][118]

이틀 뒤인 11월 12일, 키릴 총대주교가 "터키에 거주하는 러시아 신자들의 요청에 따라" 첫 번째 러시아 정교회 사제를 이스탄불로 파견했다는 보도가 나왔다.[119] 같은 날 러시아 정교회는 11월 11일 이스탄불에서 첫 신성한 전례가 거행되었으며, 앞으로 정기적으로 열릴 것이라고 발표했다. 전례를 집전한 사제는 2018년 10월 15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결정 이후 터키에 거주하는 많은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목회적 돌봄"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했다.[120]

이에 대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은 12월 14일 피시디아의 소티리오스 대주교의 성명을 통해 반박했다. 소티리오스 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 사제가 러시아 영사관의 도움을 받아, 해당 지역에 대한 정식 관할권을 가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허가 없이 터키 베렉에서 신성한 전례를 거행하려는 계획을 비판했다.[121]

한편, 2018년 12월 30일 러시아 통신사 ''인테르팍스''는 러시아 정교회가 앙카라에 위치한 러시아 대사관 부지에 교회를 건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22]

5. 2. 서유럽 러시아 정교회 관구(AROCWE) 해산

2018년 11월 27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은 서유럽 러시아 정교회 관구(AROCWE)를 해산하고 "그 신자들을 유럽의 세계 총대주교청의 성직자들에게 위탁"하기로 결정했다.[123][124][125] 이 결정은 관구 성직자들의 공식적인 요청 없이 이루어져 내부적인 혼란을 야기했다.[127] 러시아 정교회 관계자들은 2003년 알렉시 2세 총대주교가 AROCWE에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 이전할 것을 제안했던 사실을 언급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결정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126]

AROCWE는 이러한 결정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 12월 15일 사목 회의를 열어 2019년 2월 23일에 임시 총회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 2019년 2월 23일에 열린 임시 총회에서는 투표자 206명 중 191명이 세계 총대주교청의 해산 결정에 반대하는 의사를 표명했다.[128]

이후 2019년 9월 7일에 열린 다음 임시 총회에서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의 귀속 여부를 놓고 투표가 진행되었다. 투표자 186명 중 104명(58.1%)이 찬성했으나, 결정을 위한 정족수인 3분의 2에는 미치지 못해 공식적으로 부결되었다.[129][130] 그러나 이러한 총회 결과에도 불구하고, 9월 14일 AROCWE의 수장인 Иоанн (Реннето)|이오안 (레네토)ru 대주교는 개인적으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관할 하로 들어갔다.[131] 결국 11월 3일, 모스크바를 방문한 AROCWE 대표단은 관구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재결합했음을 확인하는 서신을 받게 되었다.[132]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의 귀속에 반대한 일부 AROCWE 구성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며, 새롭게 설립된 "프랑스 대교구의 러시아 전통 대리구"에 합류하는 등 내부적인 분열 양상을 보였다.[133][134]

5. 3. 서유럽 총대주교 엑사르하트(PEWE)와 동남아시아 총대주교 엑사르하트(PESEA) 창설

2018년 11월 26일, 힐라리온 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대한민국에 사제를 파견하고 "정식 교구를 창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1950년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로 넘어간 과거 러시아 영적 선교단의 신자들을 다시 관리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135]

우크라이나에서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136] 2018년 12월 28일 러시아 정교회 성시노드는 새로운 교구 구조 창설을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서유럽 총대주교 엑자르하트 (PEWE)와 스페인-포르투갈 교구, 그리고 동남아시아 총대주교 엑자르하트 (PESEA)가 설립되었다.[137][138][139][140][141][142]

같은 날, 힐라리온 대주교는 러시아-24 채널과의 인터뷰에서[143] 러시아 정교회의 입장을 더욱 분명히 했다. 그는 러시아 정교회가 "이제 그들 [\콘스탄티노폴리스]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동할 것"이며, "우리의 목적은 선교이고, 우리의 임무는 교육이며, 우리는 우리 교구에 대한 사역적 돌봄을 위해 이러한 구조를 만들고 있으며, 여기에는 그러한 방해 요인이 있을 수 없다"고 선언했다. 이는 러시아 정교회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해외 디아스포라의 정교회 신자들을 독자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분열 상황을 더욱 심화시키는 발언으로 받아들여졌다.[144][145]

5. 4. 러시아 정교회의 추가적인 항의

2019년 2월 26일,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2019년 첫 회기에서[146]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우크라이나 정교회 토모스 부여를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 시노드는 이 토모스 부여가 "두 개의 분열된 조직을 합병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소위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대한 것"이며, 이것이 "우크라이나 동방 정교회 신자들 사이의 분열을 심화시키고 종교 간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주장했다. 또한, 성 시노드는 우크라이나 의회가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대해 취한 조치들도 비난했다.[147][148]

2019년 10월 7일, 러시아 정교회는 성서 및 신학 시노달 위원회 사무국의 논평을 공식 발표했다. 이 논평은 사도 계승, 분열된 계급의 문제, 오이코노미아 원칙의 적용 범위,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정당성 부족, 정교회 내 으뜸 주교 역할의 왜곡 등을 다루며, 성찬 교류 중단의 이유를 설명했다.[149][150]

5. 5. 키릴 총대주교의 다른 수장들 기념 생략

2019년 1월 7일, 모스크바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에서 열린 성탄절 축제 전례에서,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동방 정교회의 다른 지역 교회 수장들의 이름을 기념하는 절차(딥티크, δίπτυχον|딥티콘grc)를 생략했다. 이는 교회 헌장과 오랜 전통에 따른 의무적인 절차였으나, 키릴 총대주교는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관계 단절 이후 분열 상황을 보여주는 행동으로 해석될 수 있다.[151][152][153]

이와 대조적으로, 새로 설립된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수장인 에피파니우스 대주교는 같은 시기 전례에서 키릴 총대주교를 포함한 모든 정교회 수장들의 이름을 엄숙하게 기념했다.[151][152][153] 에피파니우스 대주교는 이후 인터뷰에서,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가 모든 수장을 기념하라고 지시했으며, 반면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예프 총대주교청의 명예 총대주교였던 필라레트는 키릴 총대주교의 이름을 빼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57]

키릴 총대주교의 이러한 행보는 이후에도 이어졌다. 2019년 11월 20일, 그는 총대주교 전례에서 다른 지역 동방 정교회 수장들의 이름을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대신 "주님, 정교회 총대주교들을 기억하소서"라고만 기도했다.[154] 다음 날인 2019년 11월 21일에는 예루살렘의 테오필로스 3세 총대주교와 함께 전례를 공동 집전했는데, 이 전례에서는 서로의 이름만 기념하고 다른 동방 정교회 수장들의 이름은 언급하지 않았다.[155] 이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이 콘스탄티노폴리스 및 그를 지지하는 교회들과의 교류를 선택적으로 단절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5. 6.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사제 수용

2021년 9월,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르 2세 총대주교가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키이우의 에피파니우스 1세 대주교와 함께 공동 집전을 하자,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알렉산드리아 정교회가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인정한 것에 반발하여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떠나 러시아 정교회에 합류하려는 사제들을 받아들이겠다고 선언했다.[156][157]

이후 2021년 12월 29일, 모스크바의 키릴 총대주교가 주재한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아프리카 8개국 출신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소속 사제 102명을 러시아 정교회의 교회 관할권으로 받아들이고, 관할구 아래 아프리카에 러시아 정교회 교구를 설립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158][159]

5. 7. UOC-MP의 ROC와의 관계 단절

2022년 5월,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령) 주교회의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처리, 배신으로 인식되는 행위, 결과와 관련하여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를 단절했다.[160][161][162]

6. 반응

2018년 9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에 엑사르크(세계 총대주교 대리)인 다니엘 (젤린스키)와 힐라리온 (루드니크)를 임명하고 우크라이나 정교회자치 지위를 부여할 계획을 밝히자,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즉각 반발하며 "보복 조치"를 결의했다. 9월 14일, 시노드는 임시 회의를 열어 바르톨로메오 1세 총대주교에 대한 전례 중 기도 기념 중단,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주교들과의 공동 집전 중단,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의장 또는 공동 의장을 맡는 모든 주교 회의, 신학 대화, 다자 위원회 및 기타 구조 참여 중단 등을 결정했다.[5][6][24]

러시아 정교회 대외 교회 관계부 의장인 힐라리온 대주교는 이 조치가 아직 완전한 성찬 교류 단절은 아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현재 입장을 고수할 경우 완전한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25] 그는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반교회적 행동"을 계속한다면 스스로 정교회의 규범적 공간에서 벗어나 고립될 것이라고 주장했다.[28] 키릴 총대주교는 10월 2일, 모든 자치 정교회에 서한을 보내 우크라이나 자치 문제에 대한 "범정교회 토론"을 제안했다.[29][30][31][32] 10월 9일, 힐라리온 대주교는 우크라이나 자치 부여가 실행될 경우 "비극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전체 정교회의 분열"을 초래할 것이며, 이는 "분열의 치유가 아니라 합법화와 장려"가 될 것이라고 재차 경고했다.[35]

이러한 러시아 정교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2018년 10월 11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시노드는 우크라이나 교회에 자동 수장제를 부여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에는 키예프에 사투로페기온(세계 총대주교 직할 교회 단체) 재설립, 1686년 서한의 법적 구속력 폐지, 그리고 러시아 정교회가 "분열주의자"로 간주하던 UOC-KP와 UAOC 성직자 및 신자들에 대한 파문 해제가 포함되었다.[36][3][62][63][64][65][37]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결정에 대응하여,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2018년 10월 15일 민스크에서 회의를 열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완전한 성사 교류 단절을 선언했다. 이 결정은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의 공식적인 시작을 의미한다.[38][39]

이후 우크라이나에서는 2018년 12월 15일 통합 평의회를 통해 우크라이나 정교회(OCU)가 설립되었고,[41][42] 2019년 1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자동 수장제를 인정하는 토모스를 공식적으로 수여받았다.[46][47][49][50][51][52] OCU 창설 직후 내부적인 리더십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57]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분열에 대해 각국 정부와 다른 동방 정교회 교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6. 1. 국제 사회의 반응


  • 러시아: 2018년 10월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 안보 이사회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정교회 상황을 논의했다.[163] 2019년 1월 31일,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교회 문제에 대한 간섭을 용납하지 않으며, 인접 주권 국가의 교회 독립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종교의 자유를 포함한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대응할 권리가 있다고 덧붙였다.[164][165]
  • 우크라이나: 페트로 포로셴코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2018년 10월 결정을 적극적으로 환영했다.[166][167] 그는 우크라이나 교회의 독립을 러시아와의 갈등 국면의 일부이자, 유럽 연합NATO 가입을 통한 서방 통합 열망의 표현으로 간주했다.[8][9][168] 또한 2018년 11월 28일에는 케르치 해협 사건이 우크라이나의 계엄령 선포를 유도하고 토모스 수여를 방해하려는 러시아의 의도적인 도발이라고 주장했다.[169][170]
  • 미국: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미국 국무장관은 모든 관련 당사자들에게 "우크라이나 정교회 공동체"의 독립을 존중할 것을 촉구하며, 종교의 자유와 종교 단체 구성원의 자유에 대한 미국의 확고한 지지를 재확인했다.[171]
  • 벨라루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은 2018년 10월 15일, 민스크에서 열린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 위원들과 만났다. 이 시노드에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성찬 교류 단절이 결정되었다.[172][173]
  • 몬테네그로: 2018년 12월 21일, 밀로 주카노비치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몬테네그로 정부가 아직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몬테네그로 정교회의 독립을 강화할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174][175][176] 2019년 6월 11일에는 몬테네그로 교회가 자율 교회로 인정받기를 희망하며 "우크라이나 시나리오"를 따르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177]

6. 2. 동방 정교회 교회들의 반응

수많은 동방 정교회 교회들은 이 분열 전후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교회 관할권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우크라이나 정교회(OCU)의 자동 수장제를 승인하고(2018년 10월 11일)[36], 공식적으로 토모스를 부여하자(2019년 1월 5일)[46], 러시아 정교회는 이에 강력히 반발했다.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2018년 10월 15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성사 교류 관계를 완전히 단절한다고 결정했다.[38][39][264][265][266][267][268] 또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속한 모든 성직자와 평신도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관할 교회에서 성찬례, 세례, 결혼 등 성사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266][267] 앞서 러시아 정교회는 2018년 10월 2일, 모든 자치 정교회에 서한을 보내 우크라이나 자치 문제에 대한 "범정교회 토론" 개최를 요청하기도 했다.[29][30][31][32]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OCU 승인 이후, 일부 정교회들이 OCU를 인정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 그리스 정교회 (아테네 대주교청): 2019년 10월 OCU를 승인했다. 이에 러시아 정교회는 그리스 정교회와의 성사 교류를 단절했다.[269][270][271]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2019년 11월 OCU를 승인했으며, 러시아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과도 단교했다.[269][270][271]
  • 키프로스 정교회: 2020년 11월 OCU를 승인했고, 마찬가지로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가 단절되었다.[269][270][271]


반면, 러시아 정교회의 입장을 따르는 교회도 있었다.

  • 일본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좌 산하 자치 정교회로서, 2018년 10월 18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좌의 결정을 따른다"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272]


한편, 우크라이나 정교회(UOC-MP)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2023년 3월 기준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러시아 정교회의 단교 결정과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250]

2022년 10월 기준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 앞서 언급된 세 교회(그리스, 알렉산드리아, 키프로스) 외에 OCU를 승인하는 움직임은 크게 확산되지 않았다. 많은 정교회들은 여전히 UOC-MP를 우크라이나 내 유일한 교회법상 합법적인 정교회로 간주하고 있다.[250]

이 분열 사태에 대해, UOC-MP 소속 신학 박사인 키릴로 호보룬은 이것이 1054년의 동서 교회 분열과 같은 완전한 시스마(교회 분열)는 아니며 "균열"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273] 반면, 미국의 프로테스탄트 잡지 크리스채너티 투데이는 이 사건을 "1054년 이래 최대의 분열", "종교 개혁 이래 최대의 기독교 분열"이라고 평가하며 심각성을 강조했다.[274]

7. 교회법적 문제

2018년 9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우크라이나 정교회자치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다니엘 대주교와 힐라리온 주교를 우크라이나에 특사(엑사르크)로 파견하자, 러시아 정교회는 즉각 반발했다. 9월 14일,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임시 회의를 열어 이를 "우크라이나 내 비정상적인 행동"으로 규정하고,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에 대한 전례적 기념 중단,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주교들과의 공동 집전 중단 등 "보복 조치"를 결의했다.[5][6][24] 당시 러시아 정교회 대외 교회 관계부 의장인 힐라리온 대주교는 이것이 아직 완전한 성찬 교류 단절은 아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현재의 방침을 유지할 경우 성찬 교류를 완전히 단절할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라고 설명했다.[25]

이러한 갈등의 핵심에는 우크라이나 교회 관할권을 둘러싼 교회법적 해석 차이가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역사적, 교회법적으로 우크라이나 교회에 대한 관할권이 자신들에게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모스크바는 1686년 이후 우크라이나가 자신들의 정경적 영토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키이우 관구 합병 문제 참고)

2018년 10월 11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시노드는 우크라이나 교회에 자동 수장제를 부여할 방침임을 공식 발표했다. 동시에 시노드는 ▲키이우에 세계 총대주교 직속 기구인 사투로페기온 재설립 ▲1686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키이우 대주교 서임권을 부여했던 서한의 법적 구속력 폐지 ▲그동안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다른 정교회들이 '분열주의'로 간주해 온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예프 총대주교청(UOC-KP)과 우크라이나 자치 정교회(UAOC) 소속 성직자와 신자들에 대한 파문 해제를 결정했다.[36][3][62][63][64][65][37] 이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내 교회법적 지위를 근본적으로 부정하고, 독립적인 우크라이나 정교회 설립의 길을 연 결정이었다.

러시아 정교회는 이러한 결정에 격렬하게 반발했다. 힐라리온 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조치가 "성스러운 규범을 무시"하고 "교회 유기체의 전체 시스템을 뒤흔드는" 행위이며, "분열의 치유가 아니라 합법화와 장려"가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35] 결국 2018년 10월 15일, 민스크에서 열린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완전한 친교 단절을 선언했다.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관할 하의 어떤 교회에서도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와 신자들이 성찬례 등 성사 참여를 금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로써 1천 년 넘게 이어져 온 두 총대주교청 간의 관계는 공식적으로 단절되어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모스크바 분열이 시작되었다.[38][39]

이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결정에 따라 2018년 12월 15일, UOC-KP와 UAOC, 그리고 우크라이나 정교회(UOC-MP) 일부 주교들이 참여한 통합 평의회를 통해 새로운 우크라이나 정교회(OCU)가 설립되었고, 에피파니우스가 초대 관구장으로 선출되었다.[41][42] 2019년 1월 5일,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는 OCU의 자동 수장제를 인정하는 공식 교령(토모스)에 서명했으며, 다음 날 전례에서 이를 에피파니우스 관구장에게 수여했다.[46][47] 이 토모스는 1월 9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 전체의 서명을 거쳐 최종 확정되었다.[49][50][51][52]

7. 1. 키이우 관구 합병 문제



분열의 핵심적인 원인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중 어느 곳이 키이우 관구에 대한 정교회 관할권을 갖는지, 즉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정교회 관할권을 어느 총대주교청이 보유하는지에 대한 해묵은 논쟁에 있다.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우크라이나가 자신들의 정교 관할 구역이며, 따라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정교회 자치 승인은 다른 교회의 관할권에 대한 '간섭'이라고 주장한다.[178] 이러한 주장의 주요 근거는 1686년에 작성된 두 문서, 즉 ''총대주교 및 시노드 "조례" 또는 "발행 서한"''과 ''러시아 왕들에게 보낸 총대주교 서한''이다. 이 문서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발간한 연구 "에큐메니컬 보좌와 우크라이나 교회 - 문서가 말한다"의 부록에도 실려 있다.[178]

반면,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는 키이우 관구에 대한 역사적, 교회법적 관할권이 자신들에게 있으며, 러시아 정교회가 관할권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는 1686년 문서들이 실제로는 러시아 측의 주장을 뒷받침하지 못한다고 반박한다.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 측은 1924년 폴란드 정교회에 독립(자치)을 부여하는 토모스(칙령)에서 이미 키이우 교회의 모스크바 관할권 이전(1685-1686)이 비정경적(교회법에 어긋남)이라고 선언했음을 강조한다.[14] 또한 1686년 시노달 "행위"에서 명시된 조건, 즉 러시아 정교회가 키이우의 대주교를 서임하는 권한만을 갖는다는 조건조차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의해 제대로 지켜진 적이 없다고 지적한다.[178]

역사적으로 키예프 루스988년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기독교를 받아들인 이후, 이 지역은 키이우 관구 대주교의 관할 아래 있었다. 초기 대주교들은 대부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임명된 그리스인이었다. 13세기 몽골의 침공 이후 키이우가 쇠퇴하면서 대주교의 중심지는 점차 북쪽의 블라디미르를 거쳐 모스크바로 옮겨갔다. 1448년, 모스크바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승인 없이 독자적으로 모스크바의 요나를 "키예프와 모든 루스의 대주교"로 선출하며 사실상의 독립(자치) 상태에 들어갔다. 이는 15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예레미아스 2세 총대주교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좌의 설립을 공식 승인하면서 인정받게 되었다.

논란의 중심이 되는 1686년, 당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디오니시오스 4세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좌가 서임한 게데온 체트베르틴스키를 키이우의 새로운 대주교로 승인하면서, 키이우 교회 관구의 일부를 모스크바 총대주교좌의 관할 아래 두는 것을 허락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측은 이것이 완전한 관할권 이양이 아니었으며, 특정 조건 하에 이루어진 임시적인 위임에 불과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모스크바 측은 이를 영구적인 관할권 이양으로 해석해왔다.

2018년 7월 1일,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모 교회임을 재확인하며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어떤 교회법적 조항으로도 우크라이나 영토를 누구에게도 양도한 적이 없으며, 단지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키이우 관구장의 서임 또는 이동에 대한 권한을 부여했을 뿐이며, 이는 키이우 관구장이 성직자-평신도 회의에서 선출되고 에큐메니컬 총대주교를 기념하는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모 교회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폴란드 교회에 부여한 자치 교회 칙령에 쓰여 있다: "... 키이우 관구와 이에 의존하는 리투아니아 및 폴란드의 두 정교회의 우리 보좌로부터의 원래 분리 및 모스크바 성 교회로의 합병은 어떤 경우에도 구속력 있는 교회법 규정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에큐메니컬 보좌의 엑사르크라는 칭호를 가진 키이우 관구장의 완전한 교회 독립에 관한 합의도 존중되지 않았다..."[179]

이에 대해 러시아 정교회는 바르톨로메오 총대주교의 주장이 "근거 없음"으로 간주한다.[24]

이러한 관할권 분쟁의 배경에는 러시아 세계( Русский мир|루스키 미르ru )라는 이념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벨라루스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 약화에 대응하여 러시아 정교회 지도부 일부가 주창한 개념으로, 키예프 루스의 후예인 동슬라브 민족들이 러시아의 영도 아래 정신적, 문화적 통일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16]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역시 이 이념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성 루스' 건설이라는 종교적 사명감을 강조한다.[17] 2019년 1월, 키릴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는 우리 교회의 변방이 아니다. 키이우는 '러시아 도시들의 어머니'이며, 우리에게는 예루살렘과 같은 곳이다. 러시아 정교는 그곳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이 역사적, 영적 관계를 포기할 수 없다"고 발언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 정교회의 역사적 연고권과 영향력을 강하게 주장했다.[18][19] 그러나 이러한 '러시아 세계' 이념은 2022년 11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에 의해 이단으로 규정되기도 했다.[11][13]

1991년 우크라이나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우크라이나 내에서는 러시아 정교회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꾸준히 있었다.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 독립 정교회(UAOC)와 우크라이나 정교회 - 키예프 총대주교청(UOC-KP) 등 모스크바의 통제를 벗어난 교회들이 설립되었으나, 이들은 오랫동안 세계 정교회 공동체로부터 교회법적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했다. 반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산하의 우크라이나 정교회(UOC-MP)는 우크라이나 내 최대 교단이자 유일한 합법적 정교회로 간주되어 왔다.[250]

2014년 우크라이나 위기 이후 우크라이나 내 반러시아 감정이 고조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페트로 포로셴코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UOC-MP를 "러시아의 꼭두각시"로 비판하며, 2018년 4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에 우크라이나 교회의 독립 승인을 공식 요청했다.[250]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의 지지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250]

결국 2018년10월 11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1686년 모스크바에 부여했던 키이우 관구 관할권을 철회하고, 기존의 UAOC와 UOC-KP를 교회법적으로 승인한다고 발표했다.[262] 이는 12월 15일, 두 교회가 통합하여 새로운 우크라이나 정교회(OCU)를 창설하는 길을 열었다.[263] 러시아 정교회는 이에 즉각 반발하여 10월 15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모든 성사 교류를 단절한다고 선언했으며,[264][265][266][267][268] 소속 성직자와 신자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관할 교회에서 성찬례 등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266][267] 이로써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모스크바 간의 분열은 공식화되었다.

7. 2.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주장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은 여러 성직자와 신학자들이 저술한 ''세계 총대주교좌와 우크라이나 교회 - 문서가 말한다''라는 문서를 발표했다.[178] 이 문서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이 키예프 관할권을 주장하는 것이 정당한지 판단하기 위해, 1686년의 ''총대주교 및 시노드의 "행위" 또는 "발행 서한"''과 ''러시아 국왕에게 보낸 총대주교 서한'' 등 정경적 역사 문서를 분석한다.

''세계 총대주교좌와 우크라이나 교회'' 문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178]

:각 키예프 대주교가 세계 총대주교를 기념하는 것을 독재적으로 폐지함으로써, 키예프 교구(및 우크라이나 교회)가 세계 총대주교청에 법적으로 종속된다는 사실은 임의적으로 우크라이나가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병합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

:이 모든 사건은 세계 총대주교좌가 깊은 혼란에 빠져 "시대의 상황으로 인해 그러한 변덕스러운 행동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수 없었던" 시기에 일어났다 [...] 우크라이나 교회는 세계 총대주교청의 법적 정경 영토임을 결코 멈추지 않았다 [...]

:

:세계 총대주교청은 "시대의 상황으로 인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임의적인 행동을 용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항상 인식하고 있었다. [...]

:

:세계 총대주교청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모든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교회에 적절한 모성적 돌봄을 제공할 권리와 의무를 갖는다.

신학자 콘스탄티노스 베토치니코프는 2016년 12월 27일, 키예프 관할권이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러시아 정교회로 이관된 것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90] 이후 베토치니코프는 러시아 정교회의 주장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그는 엄격한 교리적 접근 방식(아크리베이아, ἀκρίβεια|아크리베이아gre)에 따르면 러시아 전체 영토는 원래 세계 총대주교청에 종속되었으나, 15세기 모스크바의 분열 이후 이를 치유하기 위해 더 유연한 접근 방식(오이코노미아, οἰκονομία|오이코노미아gre)에 따라 자치권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키예프 관구 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할권 아래 남아 있었다.

베토치니코프는 이후 키예프 관구 대주교를 서임할 권한이 모스크바 총대주교에게 이전된 것은 ''오이코노미아'' 접근 방식에 따른 것이며, 이는 임시 해결책에 사용되는 하위 수준의 문서(ἐκδόσεως|에크도시스gre)로 발행되었기 때문에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교구 경계의 변화가 아니었다고 분석했다. 목회적인 이유로 세계 총대주교청은 그 후 이 영토에 대한 권리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지 않았지만, 소련 해체 이후 우크라이나 정교회 내 분열이 발생했고 러시아 교회가 30년 동안 이를 해결하지 못하자, 현재는 다시 목회적인 이유로 ''아크리베이아'' 원칙에 따라 행동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세계 총대주교청은 이전에 ''오이코노미아''에 따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 이전했던 키예프 관구 대주교 서임 권한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다.[191][192]

7. 3.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주장에 대한 반론

2018년 8월 20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익명의 웹사이트 《정교회 언론인 연합》(Union of Orthodox Journalists)[193]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우크라이나 관할권 주장에 대한 분석을 발표했다. 이 분석은 키예프 교구가 역사적으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 이관되었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설령 콘스탄티노폴리스가 1686년의 이관 결정을 무효화한다 해도, 당시 키예프 교구가 관할했던 지역은 현재 우크라이나 영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므로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정교회(UOC-MP)의 관할 범위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194]

러시아 정교회는 2018년 10월 15일 공식 성명을 통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주장에 대한 반론을 제기했다.[62]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 교회 관계 부서 의장인 힐라리온 대주교는 인터뷰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계획이 "역사적 진실에 어긋난다"고 비판했다. 그는 1686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편입된 키예프 관구는 현재의 우크라이나 영토(특히 돈바스, 오데사 등 일부 지역)보다 훨씬 작았으므로,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가 300년 이상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할 하에 있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현재 UOC-MP의 영토와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95]

UOC-MP의 정보 교육 부서장인 클레멘트 대주교 또한 2018년 11월 13일 자유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비슷한 논점을 제기했다.[196] 그는 1686년 키예프 관구 이관에 관한 서한을 철회하는 것은 마치 4세기 또는 7세기 에큐메니컬 공의회의 결정을 취소하려는 시도와 같다고 비판하며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조치에 강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197]

같은 해 11월 8일, 《정교회 언론인 연합》은 1686년 관련 문서를 재차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키예프 교구가 "1686년에 러시아 교회의 관할권으로 완전히 이관되었다"는 기존의 주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198]

7. 4. 범 정교회 시나시스(Synaxis) 가능성

공식적인 교류 중단 전후로 범(汎) 정교회 시나시스(자문 회의 또는 회의) 개최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18년 9월 29일, 당시 모스크바 총대주교 언론 비서관이었던 알렉산드르 볼코프는 우크라이나 교회 자치권 부여 문제에 관해 지역 동방 정교회들이 범 정교회 시나시스를 시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나시스 소집이 전통적으로 평등자 중 으뜸인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특권이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고 언급하며, 디프티크스 순서에 따라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나 다른 고대 총대주교들(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안티오크)의 시나시스 가능성을 제시했다.[199]

같은 해 11월 7일, 러시아 정교회 대외 교회 관계부 의장인 힐라리온 대주교는 인터뷰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가 "정교 세계의 가장 중요한 문제들이 바로 그의 반정경적 활동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범 정교회 공의회의 의장을 맡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200]

12월 4일 인터뷰에서는 힐라리온 대주교는 범 정교회 공의회 소집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의 고유한 정경적 권한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 세계 공의회황제가 소집했으며, 20세기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 소집 권한이 부여된 것은 지역 정교회 간의 합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이 "스스로 파괴"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통합 요소가 될 수 없으며, 분열 상태에 있는 한 러시아 정교회는 그가 소집하는 공의회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201]

이에 대해 2019년 2월 21일,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세르비아 잡지 폴리티카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자치권을 부여할 때 다른 정교회의 동의를 구하지 않은 것은 교회의 전통에 따른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과거 러시아,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조지아, 아테네, 바르샤바, 티라나, 프레쇼프 등 새로 설립된 자치 교회에 토모스를 부여할 때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이 단독으로 결정했으며, 범 정교회 차원의 합의나 협상은 선행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203]

이러한 논쟁 속에서 여러 정교회 수장들이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범 정교회적 논의를 촉구했다. 안티오크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요한 10세,[204][205] 세르비아 정교회의 이리네이 총대주교,[205] 키프로스 교회의 크리소스토모스 2세 대주교,[206] 폴란드 정교회의 사와 대주교,[207] 미국 정교회의 티콘 대주교,[208] 알바니아 정교회의 아나스타시우스 대주교,[209][210][211][212] 불가리아 정교회의 일부 주교들,[213] 그리고 체코 및 슬로바키아 정교회의 성 시노드[214] 등이 범 정교회 시나시스 또는 공의회 소집을 요청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특히 2018년 11월 12일,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 회의는 공식적으로 범 정교회 시노드 소집을 요청하는 공보를 발표했다.[215][216]

그러나 2019년, 세계 총대주교는 안티오크 총대주교 요한 10세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범 정교회 공의회를 소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217][218][219] 한편, 2019년 11월 예루살렘의 테오필로스 3세 총대주교는 요르단에서 회의를 제안했으나, 세계 총대주교청과 다수 교회의 불참으로 제한적인 참여 속에 진행되었다.[220][221][222][223]

7. 4. 1. 예루살렘 총대주교의 제안

2019년 11월 21일, 예루살렘의 테오필로스 3세 총대주교는 다른 동방 정교회 수장들과 함께 요르단에 모여 "친교의 정신, 즉 코이노니아 안에서 성찬례적 친교 안에서 우리의 일치를 보존하기 위해 함께 상의할 것"을 제안했다.[220][221][222][223]

이 제안은 러시아 정교회(ROC)로부터 환영받았다.[224][225]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 교회 관계부(DECR)의 수장인 일라리온 (알페예프) 대주교는 예루살렘 총대주교청이 동방 정교회 내에서 "역사적 수위권"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이며 지지 의사를 나타냈다.[226] 2019년 12월, 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OCCLS)[227][228]와 러시아 정교회(ROC)[229][230]의 성 시노드는 이 회의 제안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다.

그러나 다른 정교회들의 반응은 달랐다. 11월 22일, 그리스 정교회 수장은 초대를 거절했다.[231] 2020년 1월 초, 키프로스 정교회 수장은 초대에 응답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대답하지 않는 것이 신중하다고 생각했다"고 밝히며, 이 회의를 "심각한 행동"으로 여기지 않고 "그러한 회의를 소집할 권리는 오직 세계 총대주교에게만 있으며, 다른 누구에게도 없다"고 강조했다.[232] 며칠 후, 세계 총대주교 역시 초대를 거절하고 예루살렘 총대주교에게 회의 계획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는 답신이 보도되었다.[233][234][235][236] 그리스 정교회 수장도 다시 한번 불참 의사를 확인했다.[237] 이후 알바니아 정교회,[238] 폴란드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정교회,[239][240] 조지아 정교회,[241] 불가리아 정교회[242][243] 및 안티오크 정교회도 참석하지 않겠다는 발표가 이어졌다.[244] 반면, 루마니아 정교회는 모임에 참석하겠다고 밝혔으나, 총대주교가 아닌 대표단이 참석할 것이라고 명시했다.[245]

결국 회의는 2020년 2월 26일에 열렸다. 참석자는 다음과 같다:

회의 후 참석자들은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246][247][248][249]

참조

[1] encyclopedia Eastern Orthodoxy http://www.britannic[...] 2019-05-23
[2]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encroachment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o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Church https://mospat.ru/en[...] Russian Orthodox Church 2018-10-15
[3]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от 15 октября 2018 года https://mospat.ru/ru[...] Russian Orthodox Church 2018-10-16
[4] 뉴스 Russia Takes Further Step Toward Major Schism in Orthodox Church https://www.nytimes.[...] 2018-10-15
[5] 웹사이트 MINUTES of the Holy Synod's held on 14 September 2018 (MINUTE No. 69) https://mospat.ru/en[...] Russian Orthodox Church 2018-09-14
[6] 웹사이트 JOURNALS of a Meeting of the Holy Synod of the Moscow Patriarchate on September 14, 2018 https://www.synod.co[...] 2018-09-14
[7]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uncanonical intervention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i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The Russian Orthodox Church 2018-09-14
[8] 뉴스 Putin Fuffers Crimea Blowback with Orthodox Church Schism https://www.ft.com/c[...] 2018-10-14
[9] 웹사이트 How Geopolitics Are Driving the Biggest Eastern Orthodox Schism in a Millennium https://worldview.st[...] Stratfor 2018-10-19
[10] 뉴스 Moscow–Constantinople Split Highlighting Estonia's Role in Orthodox Church https://news.err.ee/[...] 2018-10-21
[11] 웹사이트 Ανδρείες αποφάσεις Πατριαρχείου Αλεξανδρείας: Παύει μνημόνευση Κυρίλλου, καθαιρεί Λεωνίδα, καταδικάζει "ρωσικό κόσμο" http://www.nyxthimer[...] 2022-11-23
[12] 웹사이트 Καθαίρεση Μητροπολίτη και διακοπή της μνημόνευσης του Πατριάρχη Μόσχας https://poimin.gr/ka[...] 2022-11-23
[13] 웹사이트 Patriarch Theodoros stops commemorating Patriarch Kirill, Russian Exarch declared defrocked by Alexandria {{!}} The Paradise News https://theparadise.[...] 2022-11-22
[14] Webarchive 1924 Tomos of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angreek[...] 2019-01-07
[15] 웹사이트 MOSCOW AND GREEK ORTHODOX PATRIARCHATES: TWO ACTORS FOR THE LEADERSHIP OF WORLD ORTHODOXY IN THE POST COLD WAR ERA https://www.esiweb.o[...] Turkish Policy Quarterly
[16] 웹사이트 'Precedence' of 'Our People' in Orthodoxy: Patriarch Bartholomew's 21 October Speech https://orthodoxsyna[...] 2018-12-05
[17] 웹사이트 Russia's Orthodox Soft Power https://www.carnegie[...] 2015-03-23
[18] 웹사이트 Russian patriarch likens Kiev for Russian Orthodoxy to Jerusalem for global Christianity http://tass.com/soci[...] 2019-01-31
[19] 웹사이트 Слово Святейшего Патриарха Кирилла на встрече с делегациями Поместных Православных Церквей 31 января 2019 года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s://mospat.ru/ru[...] 2019-01-31
[20]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8 November 2000 :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ar[...]
[21] 웹사이트 CNEWA – The Estonian Apostolic Orthodox Church http://www.cnewa.org[...]
[22]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on the autonomy of the Church of Estonia http://www.orthodoxa[...] 1996-02-24
[23] 뉴스 Russian Church Breaks Off From Orthodoxy's Historic Center https://www.nytimes.[...] 1996-02-28
[24]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uncanonical intervention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i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09-14
[25]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The decision to suspend the liturgical mention of the Patriarch of Constantinople does not imply breaking off the Eucharistic communion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6] 웹사이트 Patriarch Bartholomew says he won't back away from his intention to grant autocephaly to Ukrainian Church https://risu.org.ua/[...] 2018-09-24
[27] 웹사이트 Φως Φαναρίου : ΟΙΚΟΥΜΕΝΙΚΟΣ ΠΑΤΡΙΑΡΧΗΣ: "Η ΟΥΚΡΑΝΙΑ ΘΑ ΛΑΒΕΙ ΤΟ ΑΥΤΟΚΕΦΑΛΟ ΔΙΟΤΙ ΕΙΝΑΙ ΔΙΚΑΙΩΜΑ ΤΗΣ" http://fanarion.blog[...] 2018-09-23
[28]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Isolation need not to be feared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09-30
[29] 뉴스 https://ria.ru/relig[...] 2018-10-02
[30]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initiates Pan-Orthodox discussion of Ukrainian autocephaly https://risu.org.ua/[...] 2018-10-03
[31] 웹사이트 Synod of Greek Church opposes Pan-Orthodox discussion of Ukraine's autocephaly https://risu.org.ua/[...] 2018-10-06
[32] 뉴스 Greek Church set to rebuff Russian call for talks on Ukraine in Orthodox rift https://www.reuters.[...] 2018-10-09
[33] 뉴스 Situation with Orthodox Church in Ukraine on agenda of Holy Synod meeting in Minsk https://eng.belta.by[...] 2018-10-05
[34] 뉴스 Belarus to host meeting of Holy Synod of Russian Orthodox Church in 2018 https://eng.belta.by[...] 2018-01-08
[35]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If the project for Ukrainian autocephaly is carried through, it will mean a tragic and possibly irretrievable schism of the whole Orthodoxy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36] 웹사이트 Announcement (11/10/2018). – Announcements –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atriarc[...] 2018-10-11
[37] 뉴스 The Ecumenical Patriarchate recognises the independence of the Orthodox metropolis of Kiev https://www.osw.waw.[...] 2018-10-12
[38] 뉴스 Russian Orthodox Church 'rupturing' ties with the Constantinople over Ukraine split https://www.telegrap[...] 2018-10-15
[39] 뉴스 Russian Orthodox Church cuts ties with Constantinople https://www.theguard[...] 2018-10-15
[40] 웹사이트 Rada calls on Ecumenical patriarch to give autocephaly to Ukraine's Orthodox Church http://www.interfax-[...] 2016-06-16
[41] 웹사이트 Metropolitan Epifaniy (Dumenko) becomes Primate of One Local Orthodox Church of Ukraine https://risu.org.ua/[...] 2018-12-15
[42] 웹사이트 Metropolitan Epiphany of "Kiev Patriarchate" elected as leader of "local Orthodox church" in Ukraine http://www.interfax-[...] 2018-12-15
[43] 웹사이트 Over half of Ukrainian Orthodox archbishops return unification assembly invites to Bartholomew http://www.interfax-[...] 2018-12-13
[44] 웹사이트 56 hiérarques de l'Église orthodoxe d'Ukraine ont retourné au Phanar la lettre d'invitation au " concile de réunification " https://orthodoxie.c[...] 2018-12-14
[45] 웹사이트 Архієреї УПЦ продовжують повертати у Стамбул запрошення на "Собор" http://news.church.u[...] 2018-12-13
[46] 웹사이트 Ukraine receives Tomos officially and forever https://risu.org.ua/[...] 2019-01-06
[47]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 hands tomos of autocephaly over to leader of Orthodox Church of Ukraine (Video, photos) https://www.unian.in[...] 2019-01-06
[48] 뉴스 Що з підписами під томосом і чому його повертають до Стамбула https://www.bbc.com/[...] 2019-01-08
[49] 웹사이트 Ukrainian Tomos signed by all members of Holy Synod of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risu.org.ua/[...] 2019-01-09
[50] 웹사이트 Tomos for Ukraine Church signed by all members of Constantinople Synod https://www.unian.in[...] 2019-01-09
[51] 웹사이트 Archbishop: Members of Ecumenical Patriarchate's Synod sign public copy of tomos for Ukraine https://www.kyivpost[...] 2019-01-09
[52] 웹사이트 Φως Φαναρίου : Η ΥΠΟΓΡΑΦΗ ΤΟΥ ΤΟΜΟΥ ΤΗΣ ΑΥΤΟΚΕΦΑΛΙΑΣ ΤΗΣ ΟΥΚΡΑΝΙΑΣ ΑΠΟ ΤΑ ΜΕΛΗ ΤΗΣ ΑΓΙΑΣ ΚΑΙ ΙΕΡΑΣ ΣΥΝΟΔΟΥ http://fanarion.blog[...] 2019-01-09
[53] 웹사이트 Tomos returns to Ukraine, brought to Rivne – Poroshenko https://en.interfax.[...] 2019-01-10
[54] 웹사이트 Tomos returns from Istanbul to Ukraine http://www.interfax-[...] 2019-01-10
[55] 웹사이트 Томос повернувся в Україну https://www.unn.com.[...]
[56] 웹사이트 Подписанный представителями Вселенского патриархата томос вернули в Украину https://www.pravda.c[...]
[57] 뉴스 Філарет проти Епіфанія: чи є розкол в ПЦУ і що буде з томосом https://www.bbc.com/[...] 2019-05-11
[58] 뉴스 Orthodox Church Split: Five Reasons Why It Matters https://www.bbc.com/[...] BBC 2018-10-17
[59]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of Volokolamsk: Decision demanded by church canons was taken today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16
[60]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Bishops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 http://www.synod.com[...] 2018-10-18
[61]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encroachment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o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Church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15
[62]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encroachment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o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Church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15
[63]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Filaret Denisenko was and remains a schismatic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22
[64]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Breaks Ties With Constantinople Patriarchate https://www.rferl.or[...] 2018-10-15
[65] 웹사이트 BREAKING NEWS: EP reinstates Ukraine's Patriarch Filaret, Archbishop Makariy https://orthodoxia.i[...] 2018-10-11
[66] 웹사이트 Why This Is Not a Schism? https://bigorski.org[...] Bigorski Monastery 2018-10-17
[67] 웹사이트 From Russia, Without Love: Ukraine Marks Orthodox Christmas with Biggest Schism Since 1054 https://www.christia[...] 2019-01-06
[68] 뉴스 Прихожан РПЦ ограничили в посещении Афона. Россияне могли потратить на него $200 млн https://www.bbc.com/[...] 2018-10-16
[69]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The fact that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has recognized a schismatic structure means for us that it itself is now in schism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17
[70] 뉴스 "Мы и без них проживем". Интервью митрополита Илариона после решений синода https://www.bbc.com/[...] 2018-10-16
[71] 웹사이트 Митрополит Иларион: Верующих канонической Украин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пытаются силой загнать в созданную на Украине новую раскольничью структуру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s://mospat.ru/ru[...] 2019-07-18
[72]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Believers May Take Communion on Mount Athos -Metropolitan Hilarion https://www.urdupoin[...] 2019-01-05
[73]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Мирянам РПЦ разрешили причащаться в русском Пантелеимоновом монастыре на Афоне http://interfax-reli[...] 2019-07-18
[74] 뉴스 Le Patriarche Kirill autorise ses fidèles à communier sur le Mont Athos https://www.la-croix[...] 2019-01-05
[75] 웹사이트 His Holiness Patriarch Kirill: Patriarch Bartholomew has lapsed into schism https://mospat.ru/en[...] 2021-11-13
[76] 웹사이트 His Holiness Patriarch Kirill: Patriarch Bartholomew has lapsed into schism / News / Patriarchate.ru http://www.patriarch[...] 2021-11-14
[77] 웹사이트 "Εξομολόγηση" Βαρθολομαίου για τις υβριστικές επιθέσεις των Ρώσων και για άλλα θέματα, σε συνάντηση με Ουκρανούς δημοσιογράφους στο Φανάρι https://df.news/el/2[...] 2022-01-29
[78] 웹사이트 ROC Synod disbelieves entire Greek Church could recognize OCU and called not to remember Archbishop Hieronymos for his communion with Epifaniy https://risu.org.ua/[...] 2019-10-19
[79]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orthodoxie.c[...] 2019-10-19
[80]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10-19
[81]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will not bless pilgrimages to Greek dioceses supporting new church of Ukraine http://www.interfax-[...] 2019-10-19
[82]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РПЦ не благословит паломничество в епархии Греции, поддержавшие новую церковь Украины http://www.interfax-[...] 2019-10-19
[83] 웹사이트 Ραγδαίες εξελίξεις – Πειραιώς Σεραφείμ στο ΒΗΜΑ ΟΡΘΟΔΟΞΙΑΣ για ουκρανικό : Σε Πανορθόδοξη ακόμα και χωρίς τον Βαρθολομαίο – Κοινή επιστολή με Κυθήρων https://www.vimaorth[...] 2019-11-03
[84] 웹사이트 Greek Orthodox Church de facto recognizes OCU, Ukrainian Orthodox Church calls it 'backstabbing' http://www.interfax-[...] 2019-10-30
[85] 웹사이트 The document of the recognition of the Church of Greece has arrived in Kyiv (upd) https://orthodoxtime[...] 2019-10-30
[86]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Элладская церковь фактически признала ПЦУ, Украин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назвала это "ножом в спину" http://www.interfax-[...] 2019-10-30
[87] 웹사이트 Russian Church hopes no one else will recognize OCU after Greek Church http://www.interfax-[...] 2019-10-30
[88]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РПЦ надеется, что после Элладской церкви больше никто не признает ПЦУ http://www.interfax-[...] 2019-10-30
[89] 웹사이트 В РПЦ считают, что у Элладской церкви нет полноценной самостоятельности https://tass.ru/obsc[...] 2019-11-01
[90] 웹사이트 List of shame by the Patriarchate of Moscow against the Church of Greece https://orthodoxtime[...] 2019-11-01
[91] 웹사이트 Вниманию паломников, выезжающих в Грецию – Паломнический центр Московского Патриархата http://www.poklonnik[...] 2019-11-01
[92]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РПЦ составила список греческих епархий, куда не благословляет поездки паломникам (дополненная версия) http://www.interfax-[...] 2019-11-03
[93]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to stop communion with head of Greek Church http://www.interfax-[...] 2019-11-03
[94]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РПЦ прекращает общение с главой Элладской церкви http://www.interfax-[...] 2019-11-03
[95]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stopped mentioning head of Greek Church during religious service http://www.interfax-[...] 2019-11-03
[96] 웹사이트 Патриарх Кирилл прекратил поминовение главы Элладской церкви http://www.interfax-[...] 2019-11-03
[97]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of Moscow stops commemorating Archbishop Ieronymos of Athens; Eucharistic communion in place, but unclear https://web.archive.[...] 2019-11-05
[98] 웹사이트 Patriarch of Moscow stopped commemorating Archbishop Ieronymos https://orthodoxtime[...] 2019-11-05
[99]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to cease liturgical commemoration of Patriarch of Alexandria – Moscow Patriarchate spokesman http://www.interfax-[...] 2019-11-08
[100] 웹사이트 РПЦ считает невозможным дальнейшее поминовение Александрийского патриарха http://www.interfax-[...] 2019-11-08
[101] 웹사이트 Patriarchate of Alexandria recognizes Autocephalous Church of Ukraine (upd) https://orthodoxtime[...] 2019-11-08
[102]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suspends operation of Alexandria Patriarchate's Moscow mission http://www.interfax-[...] 2019-11-25
[103] 웹사이트 В Москве приостановлена работа подворья Александрийского патриархата http://www.interfax-[...] 2019-11-25
[104] 웹사이트 Moscow's "Egyptian" church closes: breaking of relations with Patriarch of Alexandria http://asianews.it/n[...] 2019-12-03
[105]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Synod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https://news.church.[...] 2019-12-07
[106] 웹사이트 УПЦ МП розірвала євхаристійне спілкування з Церквами, які визнали ПЦУ https://risu.org.ua/[...] 2019-12-06
[107] 웹사이트 РПЦ может открыть свои приходы в Африке, если Александрийский патриархат будет на стороне украинского раскола – митрополит Иларион http://www.interfax-[...] 2019-12-24
[108]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could open parishes in Africa if Patriarchate of Alexandria sides with Ukrainian schism – Metropolitan Hilarion (updated) http://www.interfax-[...] 2019-12-24
[109] 웹사이트 РПЦ розірвала відносини з Олександрійським Патріархом і вдерлась на його канонічну територію – рішення Синоду http://religionpravd[...] 2019-12-26
[110]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ceases liturgical commemoration of patriarch of Alexandria for recognizing new church of Ukraine http://www.interfax-[...] 2019-12-26
[111] 웹사이트 Патриарх Кирилл прекращает поминовение Александрийского патриарха из-за признания им ПЦУ http://www.interfax-[...]
[112] 웹사이트 Holy Synod of the Russian Church expresses its deep sorrow over uncanonical actions of Patriarch Theodoros of Alexandria who entered into communion with schismatics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12-26
[113]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20 ноября 2020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114]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ceases commemoration of Archbishop of Cyprus https://orthochristi[...]
[115]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ceases liturgical commemoration of archbishop of Cyprus for backing schism in Ukraine http://www.interfax-[...] 2020-11-20
[116] 웹사이트 Archbishop of Cyprus commemorates Metropolitan Epifaniy of Kyiv for first time (upd) https://orthodoxtime[...] 2020-10-24
[117] 웹사이트 Митрополит Волоколамский Иларион: Проект "автокефалии" на Украине превратился в шоу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внимания избирателей / Интервью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118] 웹사이트 'Русская линия / Новости: Митрополит Волоколамский Иларион: В ситуации разрыва с Константинополем, у нас нет иного выхода, кроме как направлять священников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в Турцию' https://rusk.ru/news[...] 2018-11-12
[119] 뉴스 Patriarch Kirill sends priest to Istanbul to care for Russian believers after severance of relations with Constantinople http://www.interfax-[...] Interfax-Religion 2018-11-12
[120] 웹사이트 Divine services to be celebrated on regular basis at the historical church in the territory of the Russian Consulate General in Istanbul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1-12
[121] 웹사이트 'COMMENT BY METROPOLITAN SOTIRIOS OF PISIDIA REGARDING THE CELEBRATION OF THE DIVINE LITURGY AT BELEK BY A RUSSIAN PRIEST WITH THE SUPPORT OF THE RUSSIAN CONSULATE IN ANTALYA – News Releases –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atriarc[...] 2018-12-14
[122] 웹사이트 При посольстве РФ в Турции построят храм в память об Андрее Карлове https://www.interfax[...] 2018-12-30
[123] 뉴스 IT'S OFFICIAL: ECUMENICAL PATRIARCHATE DISSOLVES RUSSIAN ARCHDIOCESE OF WESTERN EUROPE https://orthodoxyind[...] ORTHODOXY IN DIALOGUE 2018-11-28
[124] 뉴스 ΑΠΟΚΛΕΙΣΤΙΚΟ: Το Οικουμενικό Πατριαρχείο κατήργησε την Εξαρχία των Κοινοτήτων Ρωσικής Παραδόσεως https://www.romfea.g[...] ROMFEA 2018-11-27
[125] 뉴스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as dissolved the Archdiocese of Russian Orthodox Churches in Western Europe https://orthodoxie.c[...] Orthodoxie.com 2018-11-27
[126] 웹사이트 Russian Church reminds Constantinople's Russian parishes in Western Europe about the propose of transition to Moscow Patriarchate http://www.interfax-[...] 2018-11-28
[127]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Council of the Archdiocese of 30th November 2018 {{!}} Deaner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www.exarchate[...]
[128] 웹사이트 The Extraordinary General Assembly of the Archdiocese refused the dissolution https://orthodoxie.c[...] 2019-02-23
[129]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Diocesan Administration of September 10, 2019 https://orthodoxie.c[...] 2019-09-11
[130] 웹사이트 Small majority votes to join Moscow Patriarchate at Archdiocese of Western Europe General Assembly http://orthochristia[...]
[131] 웹사이트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oly Synod integrates the head of the Archdiocese of the Western European Parishes of Russian Tradition as well as clergy and parishes who wish to follow him https://mospat.ru/en[...] 2019-09-14
[132]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confirmed subordination of John to Patriarchate of Moscow https://orthodoxtime[...] 2019-11-04
[133] 웹사이트 Constantinople bishop of France creates Russian Vicariate in place of Russian Exarchate that Synod dissolved http://orthochristia[...]
[134] 뉴스 Parution de la "Lettre du Vicariat" https://orthodoxia.i[...] Orthodoxia.info 2019-12-02
[135] 웹사이트 Russian Church sends a priest to South Korea because of the break with Constantinople http://www.interfax-[...] 2018-11-26
[136]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Synod forms patriarch's exarchates in Europe, Asia in response to Constantinople's actions http://www.interfax-[...] 2018-12-29
[137] 웹사이트 Patriarchal Exarchates established in Western Europe and South-East Asia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2-28
[138]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28 декабря 2018 года (публикация обновляется)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18-12-28
[139] 웹사이트 The Moscow Patriarchate creates a Western Europe exarchate for headquarters in Paris https://orthodoxie.c[...] 2018-12-29
[140]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Synod decides to set up exarchates in Western Europe and Southeast Asia http://tass.com/soci[...] 2018-12-29
[141] 웹사이트 Le Saint-Synode de l'Église orthodoxe russe décide de créer l'Exarchat patriarcal en Europe occidentale https://www.egliseru[...] 2018-12-29
[142] 뉴스 Orthodox church schism extends Putin's reach in Asia https://asia.nikkei.[...] 2019-03-31
[143] 간행물 Программа "Церковь и мир" от 28 декабря 2018 года – Россия 24 https://www.youtube.[...] 2018-12-30
[144] 웹사이트 Structures of Russian Orthodox Church to open in all localities that have Constantinople parishes http://www.interfax-[...] 2018-12-30
[145] 웹사이트 Митрополит Иларион: Верующих канонической Украин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пытаются силой загнать в созданную на Украине новую раскольничью структуру https://mospat.ru/ru[...] 2019-07-18
[146] 웹사이트 His Holiness Patriarch Kirill chairs the first in 2019 session of the Holy Synod https://mospat.ru/en[...] 2019-02-27
[147] 웹사이트 On the situation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02-27
[148] 웹사이트 Moscow Patriarchate: The division among the Ukrainian Orthodox people is amplified https://www.romfea.n[...] 2019-02-27
[149] 웹사이트 ROC publishes theological clarification on non-canonicity of OCU https://www.orthodox[...] 2019-10-14
[150] 웹사이트 О недействительности хиротоний украинских раскольников и неканоничности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Украины" https://mospat.ru/ru[...] 2019-10-14
[151] 뉴스 Рождество Томоса. Ждать ли первой религиозной войны на постсовет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https://www.novayaga[...] 2019-01-13
[152] 웹사이트 Τη στιγμή που ο Μόσχας δεν μνημονεύει Ορθοδόξους, τον μνημονεύει ο Επιφάνιος https://www.ekklisia[...] 2019-01-13
[153] 웹사이트 Φως Φαναρίου : Ο ΜΟΣΧΑΣ ΚΥΡΙΛΛΟΣ ΔΕΝ ΜΝΗΜΟΝΕΥΕΙ ΠΙΑ ΤΟΥΣ ΟΡΘΟΔΟΞΟΥΣ ΠΡΟΚΑΘΗΜΕΝΟΥΣ / Ο ΚΙΕΒΟΥ ΕΠΙΦΑΝΙΟΣ ΜΝΗΜΟΝΕΥΕΙ ΚΑΙ ΤΟΝ ΜΟΣΧΑΣ ΚΥΡΙΛΛΟ http://fanarion.blog[...] 2019-01-13
[154] 웹사이트 Очільник РПЦ припинив поминати всіх Предстоятелів помісних Церков http://religionpravd[...] Релігійна правда 2019-11-20
[155] 웹사이트 The moment Theophilos and Kirill commemorate each other instead of the Diptychs (video) https://orthodoxtime[...] 2019-11-21
[156] 웹사이트 Священный Синод поручил рассмотреть многочисленные обращения клириков Александрий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с просьбой о принятии их под омофор Московского Патриархата / Новости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21-11-14
[157]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considering accepting Alexandria clergy who don't want to recognize Ukrainian schism http://www.interfax-[...] 2021-11-14
[158] 웹사이트 ЖУРНАЛЫ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29 декабря 2021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021-12-29
[159] 뉴스 Moscow "adopted" 102 clergymen of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https://orthodoxtime[...] 2021-12-29
[160] 뉴스 Church of Ukraine: Stops commemoration of Kirill, asks to be deprived of the Patriarchal Throne https://orthodoxtime[...] 2022-05-27
[161] 웹사이트 Resolution of the Council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May 27, 2022 https://news.church.[...] 2022-05-27
[162] 뉴스 Ukraine's Moscow-backed Orthodox church says cuts ties with Russia https://english.alar[...] 2022-05-27
[163] 웹사이트 http://kremlin.ru/ev[...] kremlin.ru 2018-10-17
[164] 웹사이트 Putin: Ukraine profiteering, politicking on religious matters http://www.interfax-[...] 2019-02-01
[165] 웹사이트 Россия оставляет за собой право защищать свободу вероисповедания на Украине – Путин http://www.interfax-[...] 2019-11-06
[166] 뉴스 Ukraine set for church independence despite Russia's warnings https://www.irishtim[...] 2018-10-20
[167] 서적 Tomos ante portas: a short guide to Ukrainian church independence http://euromaidanpre[...] Euromaidan Press 2018-10-16
[168] 뉴스 Statement by the President of Ukraine regarding the decision of the Holy Synod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residen[...] 2018-11-03
[169] 뉴스 Poroshenko explains timing of Russia's attack on Ukrainian ships near Kerch Strait https://www.unian.in[...] 2018-11-28
[170] 웹사이트 Порошенко сказав, чому Путін напав в Керченській протоці саме зараз https://espreso.tv/n[...] 2018-11-28
[171] 뉴스 US urges respect for independent Ukraine church https://www.france24[...] France 24 2018-10-20
[172] 뉴스 Autocephaly of Ukrainian Orthodox Church Spotlights Belarus's Growing Geopolitical Importance – Jamestown https://jamestown.or[...] 2018-11-15
[173] 웹사이트 Встреча с членами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и Синода Бело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http://president.gov[...] 2018-11-15
[174] 웹사이트 Montenegro to seek autocephaly for country's Orthodox Church https://www.unian.in[...] 2018-12-25
[175] 웹사이트 The reconstruction of Montenegro's autocephalous Church must be continued on solid foundations https://orthodoxie.c[...] 2018-12-27
[176] 웹사이트 Identitet se brani angažovanjem, a ne zabranom ulaska u CG http://www.rtcg.me/v[...] 2018-12-21
[177] 뉴스 Президент Чорногорії виступив за відновлення автокефалії Чорногорської православної церкви https://www.radiosvo[...] 2019-06-11
[178] 웹사이트 THE ECUMENICAL THRONE AND THE CHURCH OF UKRAINE – THE DOCUMENTS SPEAK – Theological and Other Studies –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atriarc[...] 2018-10-18
[179]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As the Mother Church, it is reasonable to desire the restoration of unity for the divided ecclesiastical body in Ukraine" – News Releases –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atriarc[...] 2018-10-28
[180] 웹사이트 The Ecumenical Throne and the Church of Ukraine https://www.goarch.o[...] 2018-09-28
[181] 웹사이트 The Ecumenical Throne and the Church of Ukraine https://www.goarch.o[...] 2018-10-28
[182] 웹사이트 The Ecumenical Throne and the Church of Ukraine in Greek https://www.goarch.o[...] 2018-10-28
[183] 웹사이트 IL TRONO ECUMENICO E LA CHIESA DI UCRAINA PARLANO I TESTI http://www.ortodossi[...] 2018-09-00
[184] 웹사이트 IL TRONO ECUMENICO E LA CHIESA Di UCRAINA – PARLANO I TESTI http://www.ortodossi[...] 2018-12-03
[185] 웹사이트 IL TRONO ECUMENICO E LA CHIESA DI UCRAINA – PARLANO I TESTI http://www.esarcato.[...] 2018-12-03
[186] 웹사이트 Canon lawyers of Constantinople lay out arguments in favor of canonical affiliation of Ukraine to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risu.org.ua/[...] 2018-10-27
[187] 웹사이트 'KONSTANTINOS VETOCHNIKOV
Ingénieur d''études
(Bibliothèque Byzantine du Collège de France)
Curriculum vitae [Résumé]' http://www.cfeb.org/[...] 2018-10-30

[188] 간행물 La "concession" de la métropole de Kiev au patriarche de Moscou en 1686 : Analyse canonique https://www.academia[...] 2018-10-30
[189] 웹사이트 THE ECUMENICAL THRONE AND THE CHURCH OF UKRAINE – THE DOCUMENTS SPEAK – Theological and Other Studies –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www.patriarc[...] 2018-10-31
[190] 웹사이트 The See of Kyiv never transferred to Moscow, Constantin Vetochnikov says https://risu.org.ua/[...] 2018-10-30
[191] 웹사이트 'Константин Ветошников: Ответ на аргументы представителей РПЦ о "полной передаче" Москве юрисдикции над Киевской митрополией в 1686 г. – интернет-издательство Церквариум' https://cerkvarium.o[...] 2019-09-09
[192] 웹사이트 'Ответ на аргументы представителей РПЦ о "полной передаче" Москве юрисдикции над Киевской митрополией в 1686 г – Константин Ветошников' http://esxatos.com/v[...] 2018-12-04
[193] 뉴스 Moscow Patriarchate beefs up its staff for hybrid operations against Ukraine-- EUROMAIDAN PRESS http://euromaidanpre[...] Euromaidan Press 2018-11-07
[194] 웹사이트 Will Constantinople bring Kiev Metropolia into its fold? https://spzh.news/en[...] 2018-11-12
[195] 뉴스 Constantinople's annulment of 1686 decision counter to historic truth —Moscow Patriarchate http://tass.com/soci[...] 2018-12-02
[196] 웹사이트 Hierarch: Phanar – separatists who are trying to divide church Ukraine http://spzh.news/en/[...] 2018-12-02
[197] 웹사이트 Arch. Clement: There is no direct subordination between UOC and Phanar http://spzh.news/en/[...] 2018-11-03
[198] 웹사이트 The very same Letter: Did Constantinople transfer the Church of Ukraine? http://spzh.news/en/[...] 2018-11-07
[199] 뉴스 Russian Church awaiting initiative from local Church on pan-Orthodox assembly http://tass.com/soci[...] 2018-10-28
[200]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Patriarch of Constantinople claims power over history itself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1-22
[201] Youtube Entretien avec le métropolite Hilarion (Alfeyev) de Volokolamsk https://www.youtube.[...] Orthodoxie.com 2018-12-04
[202] 웹사이트 Нисам "источни папа" http://www.politika.[...] 2019-04-05
[203] 웹사이트 No Pan-Orthodox approval needed to issue the Tomos, Patriarch Bartholomew says https://risu.org.ua/[...] 2019-04-05
[204] 웹사이트 'Patriarch John X of Antioch and All the East calls for convocation of a Pan-Orthodox Council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20
[205]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the Serbian and Antiochian Orthodox Patriarchates http://www.spc.rs/en[...] 2018-12-03
[206] 웹사이트 Archbishop of Cyprus objects to politics' interference in affairs of Orthodox Church in Ukraine – Stepashin http://www.interfax-[...] 2018-10-29
[207] 웹사이트 'Primate of the Polish Orthodox Church calls upon His Holiness Patriarch Bartholomew to convene inter-Orthodox synaxis to discuss the Ukrainian issue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20
[208] 뉴스 Metropolitan Tikhon issues Archpastoral Letter concerning recent developments in Ukraine https://oca.org/news[...] oca.org 2018-10-20
[209] 웹사이트 Archbishop of Albania calls for a Pan-Orthodox Council for the crisis in Ukraine https://www.romfea.n[...] 2019-03-08
[210] 웹사이트 Albanian Church clarifies position on Ukraine http://byztex.blogsp[...] 2018-11-27
[211] 웹사이트 Views of the Orthodox Autocephalous Church of Albania regarding the Ukrainian ecclesiastical question https://web.archive.[...] 2018-11-23
[212] 웹사이트 Archbishop of Albania proposed synod of primates at initiative of Ecumenical Patriarchate https://orthodoxtime[...] 2019-11-25
[213] 웹사이트 Three hierarchs of Bulgarian Orthodox Church make statement on situation in Ukraine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12
[214] 웹사이트 His Beatitude Metropolitan Rostislav of the Czech Lands and Slovakia: There is no place for schism in church life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01-31
[215] 웹사이트 Position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on the Church Crisis in Ukraine After the Newest Decisions by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http://www.spc.rs/en[...] 2018-11-20
[216] 웹사이트 Calls for Pan-Orthodox Synod from Serbian Church https://orthodoxia.i[...] 2018-11-13
[217] 웹사이트 Patriarch Bartholomew will not convoke Pan-Orthodox discussion of Ukraine's autocephaly https://risu.org.ua/[...] 2019-03-02
[218] 웹사이트 Patriarch Bartholomew refuses to convene a synaxis of Orthodox primates about Ukraine https://orthodoxie.c[...] 2019-03-05
[219] 웹사이트 Патриарх Варфоломей отказался от всеправославного обсуждения темы Украины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s://mospat.ru/ru[...] 2019-03-01
[220] 웹사이트 Patriarch of Jerusalem calls a Primates' assembly https://orthodoxtime[...] 2019-11-21
[221] 웹사이트 Patriarch of Jerusalem initiates meeting of heads of local churches in Amman with view to preserving church unity http://www.interfax-[...] 2019-11-21
[222] 웹사이트 Иерусалимский патриарх инициировал проведение в Аммане встречи глав поместных Церквей для сохранения церковного единства http://www.interfax-[...] 2019-11-21
[223] 웹사이트 Speech by His Beatitude Patriarch Theophilos at the award ceremony of the International Public Foundation for the Unity of Orthodox Christian Nations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11-21
[224]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welcomes Jerusalem patriarch's proposal of Church leaders' meeting to settle differences http://www.interfax-[...]
[225] 웹사이트 В РПЦ приветствуют предложение Иерусалимского патриарха провести встречу глав Церквей http://www.interfax-[...] 2019-11-21
[226] 웹사이트 Metropolitan of Volokolamsk: "The Church of Jerusalem has the historic primacy among the Orthodox Churches" https://orthodoxtime[...] 2019-11-22
[227] 웹사이트 "Не прогнулися перед Москвою": Синод Чеських земель не засудив співслужіння їхнього єрарха з представниками ПЦУ https://risu.org.ua/[...] 2019-12-18
[228] 웹사이트 Usnesení posvátného synodu a vánoční poselství PCČZS ze dne 17-12-2019 http://sul-zeme.cz/2[...] 2019-12-17
[229] 웹사이트 Russian Synod officially supports Patriarch of Jerusalem's call for pan-Orthodox council on Ukrainian crisis https://orthochristi[...] 2019-12-27
[230]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26 декабря 2019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231] 웹사이트 Archbishop Ieronymos: I am not going to Jordan (upd) https://orthodoxtime[...] 2019-11-22
[232] 웹사이트 Αρχιεπίσκοπος Κύπρου: "Έλαβα την επιστολή του Ιεροσολύμων αλλά δεν απάντησα" https://www.romfea.g[...] 2020-01-01
[233]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 to Patriarch of Jerusalem: Don't persist in the initiative of a meeting (upd) https://orthodoxtime[...] 2020-01-09
[234] 뉴스 Sommet des primats orthodoxes, la fin de non-recevoir du patriarche Bartholomeos https://www.la-croix[...] 2020-01-10
[235] 웹사이트 Φως Φαναρίου : ΑΥΣΤΗΡΗ ΑΠΑΝΤΗΣΗ ΤΟΥ ΟΙΚΟΥΜΕΝΙΚΟΥ ΠΑΤΡΙΑΡΧΟΥ ΣΤΟΝ ΙΕΡΟΣΟΛΥΜΩΝ ΘΕΟΦΙΛΟ https://fanarion.blo[...] 2020-01-01
[236] 웹사이트 Φως Φαναρίου : ΤΟ ΓΡΑΜΜΑ ΤΟΥ ΟΙΚΟΥΜΕΝΙΚΟΥ ΠΑΤΡΙΑΡΧΟΥ ΠΡΟΣ ΤΟΝ ΙΕΡΟΣΟΛΥΜΩΝ ΘΕΟΦΙΛΟ ΓΙΑ ΤΗΝ ΣΥΝΑΞΗ ΣΤΟ ΑΜΜΑΝ http://fanarion.blog[...] 2020-01-09
[237] 웹사이트 Archbishop of Athens: I will not attend the meeting proposed by the Patriarch of Jerusalem https://orthodoxtime[...] 2020-01-10
[238] 웹사이트 Αρχιεπ. Αλβανίας: Δεν θα συμμετάσχω στην Πανορθόδοξη – Η Πρωτοβουλία ανήκει στο Οικουμενικό Πατριαρχείο https://www.orthodox[...] 2020-02-11
[239] 웹사이트 "Βροχή" οι αρνήσεις των Προκαθημένων στην πρόσκληση του Ιεροσολύμων για σύναξη στην Ιορδανία https://orthodoxia.i[...] 2020-01-23
[240] 웹사이트 "Flood" of primates' rejections to invitation for Jordan synaxis by Jerusalem Patriarch https://orthodoxtime[...] 2020-01-23
[241] 웹사이트 "'Οχι" και από τη Γεωργία στη σύναξη Προκαθημένων στο Αμμάν https://orthodoxia.i[...] 2020-02-17
[242] 웹사이트 L'archevêque d'Albanie Anastase décline l'invitation du patriarche de Jérusalem à une synaxe des primats en Jordanie https://orthodoxie.c[...] 2020-02-12
[243] 웹사이트 Съобщение от Канцеларията на Св. Синод във връзка с покана от Йерусалимския патриарх за участие в среща в Аман, Йордания https://web.archive.[...] 2020-02-21
[244] 웹사이트 A Statement by the Antiochian Orthodox Media Center https://web.archive.[...] 2020-02-22
[245] 웹사이트 Holy Synod meets for first time this year, sends delegation to Amman: communique http://basilica.ro/e[...]
[246] 웹사이트 Amman: A pan-Orthodox dialogue is necessary for reconciliation in Ukraine https://orthodoxtime[...] 2020-02-26
[247] 웹사이트 Jordan primates' gathering to be held today behind closed doors (upd) https://orthodoxtime[...] 2020-02-26
[248] 웹사이트 '"MAINTAIN THE UNITY OF THE SPIRIT IN THE BOND OF PEACE" (Eph 4:3) THE AMMAN FRATERNAL GATHERING OF THE ORTHODOX PRIMATES AND DELEGATES' https://en.jerusalem[...] 2020-02-26
[249] 웹사이트 Delegation of the Serbian Orthodox Church arrived in Jordan {{!}} Serbian Orthodox Church [Official web site] http://www.spc.rs/en[...]
[250] 간행물 ロシアのないウクライナ ―東方正教を軸に考えるウクライナの歴史と教会― http://www.cismor.jp[...] 神教学際研究 2023-03
[251] CNN 「プーチン氏から見た世界、よみがえる中世の物語」 https://www.cnn.co.j[...] CNN 2022-03-18
[252] wayback 1924 Tomos http://www.ukrainian[...] 2007-07-05
[253] 웹사이트 Regarding the granting of Autocephaly to the Church of Ukraine https://www.goarch.o[...] 2018-09-28
[254] 웹사이트 Archbishop Daniel Participates in Synaxis of Hierarchs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https://www.uocofusa[...] 2018-10-29
[255] 웹사이트 09/01/18: Synaxis of Hierarchs of the Ecumenical Throne https://www.patriarc[...] 2018-10-29
[256] 웹사이트 Archbishop Daniel Participates in Synaxis of Hierarchs of The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https://www.uocofusa[...] 2018-10-29
[257] 웹사이트 09/01/18: Synaxis of Hierarchs of the Ecumenical Throne https://www.patriarc[...] 2018-10-29
[258] 웹사이트 'MINUTES of the Holy Synod''s held on 14 September 2018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MINUTE No. 69)' https://mospat.ru/en[...] 2018-10-29
[259] 웹사이트 JOURNALS of a Meeting of the Holy Synod of the Moscow Patriarchate on September 14, 2018 https://www.synod.co[...] 2018-10-29
[260]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uncanonical intervention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i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20
[261] 웹사이트 Metropolitan Hilarion: The decision to suspend the liturgical mention of the Patriarch of Constantinople does not imply breaking off the Eucharistic communion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8-10-28
[262] 웹사이트 ウクライナの独立教会を承認、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 ロシア反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8-18
[263] 웹사이트 ウクライナ正教会、ロシアから独立した新教会を設立へ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AFP) 2021-08-18
[264] 웹사이트 ロシア正教会が総主教庁との関係断絶 ウクライナ正教会独立めぐり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AFP) 2021-08-18
[265] 백과사전 Eastern Orthodoxy http://www.britannic[...] 2019-05-23
[266]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concerning the encroachment of the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on the canonical territory of the Russian Church {{!}}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07-16
[267]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от 15 октября 2018 года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s://mospat.ru/ru[...] 2019-07-16
[268] 뉴스 Russia Takes Further Step Toward Major Schism in Orthodox Church https://www.nytimes.[...] 2019-01-26
[269] 뉴스 Рождество Томоса. Ждать ли первой религиозной войны на постсоветск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https://www.novayaga[...] 2019-01-13
[270] 웹사이트 Τη στιγμή που ο Μόσχας δεν μνημονεύει Ορθοδόξους, τον μνημονεύει ο Επιφάνιος https://www.ekklisia[...] 2019-01-13
[271] 웹사이트 Φως Φαναρίου : Ο ΜΟΣΧΑΣ ΚΥΡΙΛΛΟΣ ΔΕΝ ΜΝΗΜΟΝΕΥΕΙ ΠΙΑ ΤΟΥΣ ΟΡΘΟΔΟΞΟΥΣ ΠΡΟΚΑΘΗΜΕΝΟΥΣ / Ο ΚΙΕΒΟΥ ΕΠΙΦΑΝΙΟΣ ΜΝΗΜΟΝΕΥΕΙ ΚΑΙ ΤΟΝ ΜΟΣΧΑΣ ΚΥΡΙΛΛΟ http://fanarion.blog[...] 2019-01-13
[272] 뉴스 ロシア正教会が「コンスタンチノープル総主教庁」と断絶 日本正教会も続く http://www.kirishin.[...] キリスト新聞社 2018-10-23
[273] 웹사이트 Why This Is Not a Schism? https://bigorski.org[...] Bigorski Monastery 2019-01-08
[274] 웹사이트 From Russia, Without Love: Ukraine Marks Orthodox Christmas with Biggest Schism Since 1054 https://www.christia[...] 2019-01-13
[275] 뉴스 キリル総主教の言動に揺れる世界の正教会 https://shimbun.kose[...] 佼成新聞DIGITAL 2022-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