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23년 KBO 포스트시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KBO 포스트시즌은 LG 트윈스, kt 위즈, SSG 랜더스, NC 다이노스, 두산 베어스가 참여했다.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는 NC 다이노스가 승리하여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준플레이오프에서는 NC 다이노스가 SSG 랜더스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kt 위즈가 NC 다이노스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며, 한국시리즈는 LG 트윈스와 kt 위즈의 대결로 펼쳐졌다. 2023년 KBO 포스트시즌은 SPOTV, KBS N 스포츠, MBC 스포츠플러스, SBS 스포츠 등 다양한 방송사에서 중계했다.

2. 2023년 포스트시즌 진출팀

2023년 포스트시즌에는 LG 트윈스(5년 연속 진출, 29년 만의 정규 시즌 우승, 한국시리즈 직행), kt 위즈(4년 연속 진출, 플레이오프 직행), SSG 랜더스(2년 연속 진출, 준플레이오프 직행), NC 다이노스(3년 만의 진출, 와일드카드 결정전 홈경기), 두산 베어스(2년 만의 진출, 와일드카드 결정전 원정경기)가 진출했다.

2. 1. LG 트윈스

2019년부터 5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올 시즌은 1994년 이후 29년 만에 정규 시즌 우승도 함께 기록하면서 한국시리즈 직행에 성공했다. 한국시리즈 출전 역시 2002년 이후 21년 만이며, 통합 우승을 이루게 되면 1994년 이후 29년 만에 통합 우승을 기록하게 된다.

2. 2. kt 위즈

kt 위즈는 2020년부터 4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올 시즌 초반부 리그 10위까지 떨어지면서 포스트시즌 진출 전망이 매우 어두웠으나, 6월부터 순위를 끌어올리기 시작하더니 8월 이후에는 2위를 줄곧 유지했고 정규 시즌 종료를 약 일주일 정도 남긴 시점에서 최종 순위 2위를 확정하며 플레이오프로 직행하게 됐다.

2. 3. SSG 랜더스

SSG 랜더스는 2022년 통합 우승 이후 2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올 시즌 초반부까지는 상위권을 유지했으나 7월 이후 승률이 급격히 떨어졌고 순위가 하락하여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하는 6위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10월 초부터 진행된 2022년 아시안 게임 기간 동안 상승세를 타며 순위를 끌어올렸고, 10월 17일 정규 시즌 최종전인 두산 베어스 전에서 승리하면서 최종 3위를 기록해 준플레이오프로 직행하게 됐다.

2. 4. NC 다이노스

2020년 통합 우승 이후 3년 만에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2020년 통합 우승을 기록한 이후 지난 2년간 7위와 6위를 기록하면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고 중위권 팀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새겨졌었지만, 올해는 최종 순위 5위 이내로 들어오면서 팀 순위 면에서는 3년 동안 상승세를 보이게 됐다. 10월 17일 진행된 KIA 타이거즈 전에서 패배를 기록하면서 최종 4위가 확정됐고, 와일드카드 결정전 홈경기로 이번 포스트시즌을 시작하게 됐다.

2. 5. 두산 베어스

두산 베어스는 2021년 준우승을 기록한 이후 2년 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2022년 시즌에는 팀 역사상 최악의 순위인 9위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작년 시즌의 아픔을 딛고 이번 시즌부터 김태형 감독에서 이승엽 감독으로 교체하고 코칭 스태프 역시 교체하여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다. 10월 16일 진행된 SSG 랜더스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면서 최종 5위가 확정되었고, 와일드카드 결정전 원정경기로 이번 포스트시즌을 시작하게 됐다.[1]

3. 경기 일정 및 결과

2023 신한은행 SOL KBO 포스트시즌 경기 일정 및 결과
경기 종류일시원정팀(선공)스코어홈팀(후공)개최 구장경기 MVP
와일드카드 결정전10월 19일(목)두산9 - 14NC창원NC파크서호철 (NC 다이노스)
NC 다이노스가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준플레이오프에 진출, SSG 랜더스를 3승 0패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1] kt 위즈는 플레이오프에서 NC 다이노스에 3승 2패로 승리하여 한국시리즈 진출.[1]


3. 1. 와일드카드 결정전 (NC 다이노스 vs 두산 베어스)

2023년 KBO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 결정전은 2023년 10월 19일 창원NC파크에서 열렸으며, 정규시즌 4위 NC 다이노스와 5위 두산 베어스가 맞붙었다. NC는 1승을 안고 시작하기 때문에 1차전에서 무승부만 기록해도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었다.

경기 초반에는 두산이 앞서나갔다. 1회초 로하스의 땅볼 타점, 2회초 김인태의 2루타, 3회초 로하스의 홈런으로 3점을 얻었다. 그러나 4회말 NC서호철의 만루 홈런과 김형준의 백투백 홈런으로 역전에 성공하며 곽빈을 강판시켰다.

두산은 5회초 양의지의 적시타와 강승호의 땅볼 타점으로 동점을 만들었지만, 5회말 두산 2루수 강승호의 실책과 이영하의 폭투로 NC가 다시 리드를 잡았다. 이후 7회말 서호철의 2타점 2루타, 8회말 김형준의 3점 홈런 등으로 NC가 승기를 굳혔다.

두산은 9회초 3점을 냈지만, 결국 NC가 14:9로 승리하며 준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2023 신한은행 SOL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일시경기원정팀(선공)스코어홈팀(후공)개최 구장개시 시각관중수경기 MVP
10월 19일(목)1차전두산9 - 14NC창원NC파크18시 30분12,299명서호철 (NC 다이노스)
승리팀 : NC 다이노스


  • 시구 : 공룡좌 (NC 다이노스 팬)
  • 1차전 MVP : NC 서호철 - 4타수 3안타(1홈런) 1볼넷 6타점 2득점 (4회말 만루 홈런, 7회말 쐐기 2타점 2루타)[1]


이 경기에서 NC는 와일드카드 결정전 통산 한 이닝 최다 타석 신기록(4회말, 11타석)을 세웠고, 서호철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1번째 만루 홈런(포스트시즌 역대 17번째), 한 경기 및 단일시즌 최다 타점 신기록(6타점)을 기록했다. 또한 서호철김형준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사상 첫 연속 타자 홈런을 쳤으며, 김형준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통산 최연소 홈런(23세 11개월 17일)을 기록했다.[1]


3. 1. 1. 상세 기록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승리한 NC 다이노스한재승김수윤을 엔트리에서 제외하고, 박대온천재환을 합류시켰다.

선수 명단
SSG 랜더스
-- NC 다이노스


3. 2. 준플레이오프 (NC 다이노스 vs SSG 랜더스)

2023년 KBO 포스트시즌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시즌 3위 SSG 랜더스와 4위 NC 다이노스가 맞붙었다. NC 다이노스는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5위 두산 베어스를 꺾고 올라왔다.

준플레이오프 결과, NC 다이노스가 SSG 랜더스를 상대로 3승 0패를 기록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3. 2. 1. 상세 기록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승리한 NC 다이노스한재승김수윤을 엔트리에서 제외하고, 박대온천재환을 합류시켰다.

선수 명단
SSG 랜더스
-- NC 다이노스


3. 3. 플레이오프 (kt 위즈 vs NC 다이노스)

kt 위즈와 NC 다이노스의 플레이오프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정규 시즌 2위인 kt 위즈가 4위 NC 다이노스를 상대로 3승 2패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1]

3. 3. 1. 상세 기록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승리한 NC 다이노스한재승김수윤을 엔트리에서 제외하고, 박대온천재환을 합류시켰다.

선수 명단
SSG 랜더스
-- NC 다이노스


4. 중계 방송사

2023년 KBO 포스트시즌은 다음과 같은 방송사에서 중계방송했다.

4. 1. TV 중계


4. 1. 1. 와일드카드 결정전

2023년 KBO 포스트시즌의 와일드카드 결정전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소스에 없다. 대신, 2023 신한은행 SOL KBO 준플레이오프에 대한 정보가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2023 신한은행 SOL KBO 준플레이오프
일시경기원정팀(선공)스코어홈팀(후공)개최 구장개시 시각관중수경기 MVP
10월 22일(일)1차전NC 다이노스4 - 3SSG 랜더스인천SSG랜더스필드14시 00분22,500명 (매진)김성욱 (NC 다이노스)
10월 23일(월)2차전NC 다이노스7 - 3SSG 랜더스18시 30분19,777명박건우 (NC 다이노스)
10월 25일(수)3차전SSG 랜더스6 - 7NC 다이노스창원NC파크16,649명마틴 (NC 다이노스)
승리팀 : NC 다이노스, 준플레이오프 MVP : 김영규 (NC 다이노스)



1차전 중계는 SPOTV, SPOTV2 (현장 제작 - 캐스터: 김민수 / 해설: 이대형), KBS N 스포츠 (캐스터: 권성욱 / 해설: 장성호), MBC 스포츠플러스 (캐스터: 김수환 / 해설: 정민철, 박재홍), SBS 스포츠 (캐스터: 정우영 / 해설: 이순철)에서 진행되었다.[1]

4. 1. 2.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SSG김광현, NC송명기가 각각 선발 등판했다. NC는 경기를 시작하자마자 김광현을 공략했다. NC는 1회초 손아섭의 내야 안타로 출발해 1사 후 박건우, 마틴(1타점 2루타), 권희동(1타점)의 3연속 안타와 서호철의 희생 플라이로 3점을 뽑았고, 2회초에는 2사 1,2루에서 박건우의 적시타로 추가점을 내며 4:0으로 초반 기선제압에 성공했으나 3회부터 7회까지 추가 득점 기회를 놓쳤다. 특히, 5회초에는 무사 1,2루에서 김형준이 번트를 시도했으나 병살타가 되기도 했다. 그 사이 SSG한유섬의 홈런 두 방으로 추격을 시작했다. 한유섬은 4회말 무사 1루에서 2점 홈런을 터트려 NC 선발 송명기를 끌어 내렸고, 6회말에는 NC 세 번째 투수 이재학을 상대로 1점 홈런을 작렬시켜 연타석 홈런으로 1점 차로 추격했다. 하지만 4회부터 올라온 SSG 두 번째 투수 문승원에게 고전했던 NC는 8회초 공격에서 선두 타자 김형준이 5회초 번트 병살타를 만회하는 1점 홈런을 쏘아 올렸고, 이후 1사 2루에서 손아섭의 1타점 2루타, 뒤이어 2사 2루에서 박건우의 적시타로 3점을 추가해 쐐기를 박으며 NC가 2차전도 승리하여 플레이오프 진출까지 1승만을 남겨두게 됐다.[1]

기록내용
시구개그맨 김원훈
2차전 MVP박건우 - 5타수 3안타 2타점 1득점
SSG 김광현포스트시즌 최다 선발 등판 (19회)
SSG 한유섬준플레이오프 통산 11번째 연타석 홈런 (포스트시즌 통산 29번째, 개인 2번째)


4. 1. 3. 플레이오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