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1년 정치테제 초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1년 정치테제 초안'은 1931년 일본 공산당이 발표한 정치 테제이다. 이 시기 일본 공산당은 3·15 사건, 4·16 사건, 가와사키 무장 메이데이 사건 등으로 가혹한 탄압을 받았다. 1932년 32년 테제가 채택되었고, 스파이 M의 지도부 잠입, 누란 사건, 윤기섭 피살 사건, 오모리 가와사키 백엔 은행 갱 사건, 아타미 사건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3년 소련 - 홀로도모르
    홀로도모르는 1932~1933년 소련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대기근으로, 소련 정부의 곡물 징발 정책, 농업 집단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탄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인재이며, 집단 학살 논쟁이 존재하나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반인도적 범죄 또는 집단 학살로 인정하고 우크라이나에서 추모일로 기념한다.
  • 1933년 소련 - 오시프 만델시탐
    오시프 만델시탐은 1891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아크메이즘 운동을 이끌었고, 스탈린 비판 시로 체포되어 유배된 후 수용소에서 사망한 러시아 시인이다.
  • 1933년 일본 - 고스톱 사건
    고스톱 사건은 1933년 오사카에서 발생한 군부와 경찰 간의 충돌로 시작되어 군부의 권위주의적 경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 1933년 일본 - 탕구협정
    탕구 협정은 만주사변과 러허 사변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와 일본 제국이 체결한 정전 협정으로, 중국이 만주국을 사실상 인정하고 만리장성 이남에 비무장지대를 설정하여 중일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1931년 일본 - 만주사변
    만주사변은 1931년 일본 관동군이 류탸오후 사건을 자작극으로 일으켜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수립한 사건이며, 일본 군국주의 팽창을 가속화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 1931년 일본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31년 정치테제 초안
문서 정보
제목31년 정치테제 초안
원어 제목31年政治テーゼ草案 (산쥬이치넨세이지테에제소안)
언어일본어
관련 문서일본공산당
내용일본공산당이 1950년대 초기에 작성한 정치 테제 초안
일본공산당의 분열과 재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역사적 배경
시기1950년대 초
관련 사건일본공산당 분열, 일본공산당 재건
내용 개요
주요 주장당시 일본공산당의 노선과 전략 제시
일본 사회의 변화와 혁명 과제 분석
특징급진적인 혁명 노선 지향
일본 사회의 모순과 문제점 비판
영향 및 평가
영향일본공산당 내부의 노선 투쟁 심화
일본공산당의 분열과 재건에 기여
평가일본공산당의 역사적 과오를 보여주는 사례
급진적인 혁명 노선의 한계 드러냄

2. 역사

전전 일본 공산당의 역사는 크게 다음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 제1차 공산당 시대 (1922년-1924년): 창립대회를 통해 결성되었으며, 코민테른의 일본 지부 역할을 하였다.[3] 22년 테제를 발표하였으나, 제1차 공산당 검거 사건으로 조직이 와해되었다.[3]
  • 「뷰로」 시대 (1924년-1926년): 당 조직을 정비하고 상하이 테제를 채택하였다.
  • 제2차 공산당 시대 (1926년-1929년): 27년 테제를 채택하여 활동 방향을 정립했지만, 3·15 사건, 4·16 사건 등 연이은 탄압을 받았다.[4]
  • 「무장 공산당」 시대 (1929년-1931년): 무장 투쟁 노선이 강조되었으며, 당내 분파 발생으로 분열을 겪었다.[5]
  • 「비상시 공산당」 시대 (1931년-1933년): 31년 정치 테제 초안을 통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지만, 코민테른의 32년 테제로 대체되었다. 스파이 M의 지도부 잠입, 누란 사건, 오모리 가와사키 백엔 은행 갱 사건, 아타미 사건 등 여러 사건을 겪었다.
  • 「린치 공산당」 시대 (1933년-1935년): 당내 스파이 침투, 린치 사건 등으로 조직이 와해되는 과정을 겪었다. 고바야시 다키지 학살, 노로 에이타로 고문사, 일본 공산당 스파이 추궁 사건 등이 발생했다.
  • 붕괴 이후 (1935년-1945년): 여러 그룹을 중심으로 당 재건 운동을 진행했다. 일본의 공산주의자에게 보내는 편지와 같은 강령 및 테제가 발표되었고, 인민 전선 운동이 전개되었다. 요코하마 사건, 조르제 사건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그 외에도 아나파, 수요회, 재미 일본인 사회주의자 단 등 다양한 단체들이 활동했으며, 일본 공산 청년 동맹, 일본 노동조합 평의회 등 관련 단체들도 존재했다. 가타야마 센, 모리 모토이 등 주요 인물들이 활동했다.

2. 1. 창당 이전 ( ~ 1922년)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 자유민권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사회주의 사상이 유입되었다. 초기에는 기독교인도주의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발전했지만, 1901년 사회민주당이 결성되면서 본격적인 사회주의 운동이 시작되었다.[1] 하지만, 사회민주당은 곧바로 해산되었고, 이후 아나키즘생디칼리슴이 결합한 형태의 운동이 나타났다.[1]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성공은 일본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20년 일본 사회주의 동맹이 결성되었고,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1922년 일본 공산당이 창당되기 전까지 다양한 사회주의 단체들이 활동했다.[1] 주요 단체로는 매문사, 노동 운동사, 수요회, 재미 일본인 사회주의자 단, 일본 사회주의 동맹, 코민테른 일본 지부 준비회, 효민회(효민공산당) 등이 있었다.[1]

2. 2. 제1차 공산당 시대 (1922년 ~ 1924년)

日本共産党|일본공산당일본어은 1922년 7월 15일 창립대회를 통해 결성되었으며, 코민테른의 일본 지부 역할을 하였다.[3] 초기에는 사카이 토시히코, 야마카와 히토시, 아라하타 칸손 등 주요 인물들이 참여하여 당을 이끌었다.[3]

이 시기 당의 주요 활동과 조직 구조는 다음과 같다:

주요 인물역할 및 활동
사카이 토시히코당 간부, 당 창립 대회 참여[3]
야마카와 히토시당 간부, 당 창립 대회 참여[3]
아라하타 칸손당 간부, 당 창립 대회 참여[3]
타카츠 마사미치당 간부[3]
콘도 에이조당 간부[3]
하시우라 토키오당 간부[3]
토쿠다 큐이치당 간부[3]
노사카 산조당 간부[3]
요시카와 모리쿠니당 간부[3]
우라타 타케오당 간부[3]
아카마츠 카츠마로당 간부[3]



당은 당 창립 대회, 2회 당 대회, 임시 당 대회 등 여러 차례 당 대회를 개최하였다.[3] 이 시기에는 22년 테제와 같은 강령 및 테제가 발표되었다.[3]

그러나, 제1차 공산당 검거 사건으로 인해 조직이 와해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3]

2. 3. 뷰로 시대 (1924년 ~ 1926년)

1924년부터 1926년까지는 일본 공산당 재건 과정에서 '뷰로' 시대라고 불린다. 이 시기에는 당 조직을 정비하고 상하이 테제를 채택하는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2. 4. 제2차 공산당 시대 (1926년 ~ 1929년)

일본 공산당은 재창당 이후 조직을 확대해 나갔다. 27년 테제를 채택하여 활동 방향을 정립했지만, 3·15 사건, 4·16 사건 등 연이은 탄압을 받았다.[4]

2. 5. 무장 공산당 시대 (1929년 ~ 1931년)

1929년부터 1931년까지 일본 공산당은 '무장 공산당' 시대로 불렸다. 이 시기에는 무장 투쟁 노선이 강조되었으며, 당내에서는 '해당파'라고 불리는 분파가 발생하여 분열을 겪기도 했다.[5]

2. 6. 비상시 공산당 시대 (1931년 ~ 1933년)

1931년, 일본 공산당은 '31년 정치테제 초안'을 통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지만, 코민테른은 '32년 테제'를 통해 이를 대체하고 일본의 상황을 반(半)봉건적 사회로 규정하며 천황제 타도를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이러한 기조 아래, 당은 가혹한 탄압 속에서도 지하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기, 당은 스파이 M의 지도부 잠입, 누란 사건, 윤기섭 피살 사건 등 여러 사건을 겪으며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오모리 가와사키 백엔 은행 갱 사건과 아타미 사건은 당의 자금난과 조직 와해를 초래했다.

당 간부로는 카자마 죠키치, 이와타 요시미치, 곤노 요지로 등이 활동했다.

2. 7. 린치 공산당 시대 (1933년 ~ 1935년)

일본 공산당은 1933년부터 1935년까지 '린치 공산당' 시대라 불리는 시기를 겪었다. 이 시기에는 당내에 스파이가 침투하고, 린치 사건이 발생하는 등 조직이 와해되는 과정을 겪었다.

당시 당 간부는 다음과 같다.

  • 야마모토 마사미
  • 노로 에이타로
  • 미야모토 겐지
  • 잇켄 시게오
  • 하카마다 사토미
  • 아키사사 마사노스케


이 시기에 발생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 고바야시 다키지 학살
  • 노로 에이타로 고문사
  • 사노·나베야마 전향 성명
  • 일본 공산당 스파이 추궁 사건


이러한 사건들의 결과, 「일국 사회주의」 그룹, 다수파 등 분파가 발생하고 전향자가 나타났다.

2. 8. 붕괴 이후 (1935년 ~ 1945년)

1935년 이후 일본 공산당은 조직 붕괴 이후, 일본 공산주의자단, 게이힌 그룹, 한신 그룹, 간사이 지방 위원회, 이토·하세가와 그룹, 가미야마 그룹 등 여러 그룹을 중심으로 당 재건 운동을 진행했다.

카스가 쇼지로, 카스가 쇼이치, 키시모토 시게오, 이토 리츠, 가미야마 시게오, 고바야시 요노스케 등이 이 과정에서 활동한 주요 인물들이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공산주의자에게 보내는 편지와 같은 강령 및 테제가 발표되었고, 인민 전선 운동이 전개되기도 했다.

요코하마 사건, 조르제 사건, 키리시마 사건 등의 사건이 이 시기에 발생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 인민 해방 연맹과 같이 중국에서 활동한 조직도 있었다.

3. 이념 및 노선

31年政治テーゼ草案일본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일본 자본주의 분석: 일본 자본주의는 고도로 발전했지만, 봉건적 잔재와 군국주의적 특성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보았다.
  • 혁명 노선: 일본의 혁명은 사회주의 혁명으로 이어지는 2단계 혁명론을 제시했다. 1단계에서는 천황제절대주의 천황제를 타도하고 민주주의를 확립하며, 2단계에서는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생산수단을 국유화하고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당면 과제: 일본 공산당은 노동자, 농민, 도시 소시민 등 광범위한 계층을 인민 전선으로 결집하여 천황제 파시즘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만주사변을 비롯한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전쟁에 반대하고, 식민지 민족 해방 투쟁을 지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코민테른과의 관계: 31年政治テーゼ草案일본어코민테른의 지도적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일본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혁명 노선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테제는 32년 테제로 이어지며, 전전 일본 공산당의 기본 노선으로 자리 잡았다.

4. 조직

組織|조직일본어

전전 일본 공산당은 중앙집권적인 조직 구조를 가졌다. 당의 최고 의결 기관은 당 대회였으며, 당 대회에서 중앙위원을 선출했다. 중앙위원회는 정치국과 서기국을 구성하여 일상적인 당무를 집행했다.

일본 공산당은 산하에 다양한 단체를 두었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일본 공산 청년 동맹(공청), 일본 노동조합 평의회(평의회), 일본 노동조합 전국 협의회(전협), 전국 농민 조합 전국 회의파(전농전회파), 학생 연합회(학련), 전일본 무산자 예술 연맹(납프),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화 연맹(콥), 프롤레타리아 과학 연구소(프로과), 재일본 조선 노동 총동맹, 전국 수평사 청년 동맹, 일본 적색 구원회, 산업 노동 조사소 등이 있었다.

대만 공산당도 일본 공산당의 지도하에 있었다.

일본 공산당은 기관지로 『무산자 신문』, 『아카하타』(잡지), 『전위』(잡지), 『마르크스주의』(잡지) 등을 발행하여 당의 이념과 정책을 선전했다.

참조

[1] 서적 風雪のあゆみ (七) 1989-09
[2] 서적 日本共産党の八十年
[3] 서적 風雪のあゆみ (七) 1989-09
[4] 서적 コミンテルン 日本に関するテーゼ集 青木文庫
[5] 서적 日本共産党の八十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