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80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07년은 당나라 원화 2년, 일본 다이도 2년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과 인물, 문화적 사건 등을 포함하는 해이다. 이 해에는 코르도바 에미레이트의 히샴 1세가 사망하고 알 하캄 1세가 즉위했으며, 아바스 칼리파조의 하룬 알 라시드가 이집트 통치를 위해 우마르 이븐 알-아지즈를 임명했다. 또한 불가리아 제1제국의 크룸이 비잔틴 제국과 전쟁을 벌였으며, 교토에 일본의 새로운 수도가 설립되었다. 중국 당나라에서는 헌종이 황제가 되었고, 흑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유럽에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807년
807년
달력
율리우스력서기 807년
해당 십년
해당 세기
주요 사건
헤이안 시대 (平安時代)일본에서 간무 천황 (桓武天皇)이 사망하고, 헤이제이 천황 (平城天皇)이 즉위함.
프랑크 왕국샤를마뉴 대제 (Charlemagne)가 작센 (Saxony)족에 대한 군사 작전을 수행함.
아바스 왕조 (عباسیان)알아민 (الأمين بن هارون الرشيد)이 칼리파로 즉위함.

2. 연호

원화 2년 및 일본 다이도(다이도/大同일본어) 2년이다.

2. 1. 동아시아

(唐) 원화(元和) 2년 및 일본(日本) 다이도(다이도/大同일본어) 2년이다.

2. 2. 서아시아 및 유럽

3. 기년

4. 주요 사건


  • 코르도바 에미레이트의 히샴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 하캄 1세가 뒤를 이었다.
  • 아바스 칼리파조의 하룬 알 라시드가 이집트를 통치하기 위해 우마르 이븐 알-아지즈를 임명하였다.
  • 불가리아 제1제국크룸이 비잔틴 제국과 전쟁을 벌였다.
  • 교토일본의 새로운 수도가 설립되었다.
  • 중국에서 당나라의 헌종이 황제가 되었다.
  • 4월 - 참의의 호칭을 폐지하였다. 근위부를 좌근위부, 중위부를 우근위부로 하였다.
  • 5월 - 여러 나라의 채녀 공납을 중지하였다.
  • 엔닌이나 구카이,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와 관련된 전승에서, 이 연호가 자주 사용된다. 구카이가 일본에 귀국한 해가 이 해라고 말하는 경우도 많지만, 사료로서는 확실하지 않다.
  • 이케가미 준이치는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의 기요미즈데라 사적과 관련지어 논하고 있다. 후지와라노 아키히라의 '기요미즈데라 연기'에서는 교에이로부터 성지의 위임을 받은 것이 778년, 타무라마로가 그 땅에서 엔친과 조우하여 그의 이야기를 듣고 십일면관음을 만들어 가전에 안치하고 기요미즈데라라고 한 것이 798년, 간무 천황의 어원사가 되어 사찰의 시입을 받은 것이 805년, 아내인 미요시노 타카코 묘부가 자택의 침전을 해체하여 그 목재로 사찰에 불당을 세운 것이 807년(다이도 2년)이다. 그러나 중세에는 기요미즈데라의 건립이 "다이도 2년"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요곡의 '타무라', '화월', 무로마치 이야기의 '타무라 풀이'에서는 모두 다이도 2년은 기요미즈데라의 건립에 관련된 연호로 되어 있다. 이케가미 준이치는 오우에서 각지에 타무라마로 전설이 퍼져, 그곳에서 요곡의 어구를 통해, 이 연호가 오우의 땅에 퍼져, 그 후에 언제부터인지 기요미즈데라와의 관계를 버리고, 단순히 타무라마로와 유연한 연호로서만 기능하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4]
  • 도호쿠 각지의 신사 창건, 아니 광산이나 오타 광산 발견, 나스 연봉의 차우스다케 구 화산의 분화, 오제 원의 히우치가타케의 분화, 자오 카리타다케의 분화, 아키타 코마가타케의 분화, 아이즈 반다이산의 분화, 닛코의 남체산에서 가뭄을 잠재우기 위해 쇼도 쇼닌이 기도를 올린 것, 삼호 전설에서 하치로타로가 대재해를 일으키는 것, 야츠가시산이나 모리요시산, 게센군 등의 귀신 퇴치, 야마가타현의 히지오리 온천 개업 등이 이 해로 전해진다.

4. 1. 아바스 칼리파조와 비잔틴 제국

니케포로스 1세 황제는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인 하룬 알 라시드에게 5만 노미스마를 지불하고 매년 조공을 바치는 조건으로 평화를 요청했다. 니케포로스는 해체된 요새를 재건하지 않겠다고 약속했고, 하룬 알 라시드는 여러 포위 공격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고 비잔틴 영토에서 철수했다.[1][2]

하룬 알 라시드 (재위 786–809)는 아바스 칼리프조의 사령관이자 칼리프였다. 그는 8세기 후반과 9세기 초의 칼리프조-비잔틴 전쟁의 아랍 지도자였다.


후마이드 이븐 마유프 알 하지리가 이끄는 아바스 왕조 함대는 펠로폰네소스, 로도스, 미라를 습격했다.

4. 2. 유럽

알-안달루스(현대 스페인)에서는 메리다에서 우마이야 코르도바 토후국에 대항하는 반란이 일어났다. 파트라스 공방전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남슬라브족의 독립 통치의 종말을 알렸다. 바이킹이 콘월 해안에 상륙하여 콘월인과 동맹을 맺고 웨섹스에 대항하여 싸웠다. 켄트 왕국의 왕 커스레드가 사망하고, 그의 형제인 머시아의 왕 코엔울프가 켄트를 직접 통치하게 되었다.

켄트 왕국의 왕 커스레드 (798–807)의 동전

4. 3. 동아시아

당나라 헌종 재위 기간 동안 이길보가 재상에 임명되었다. 4월에는 참의의 호칭을 폐지하고, 근위부를 좌근위부, 중위부를 우근위부로 고쳤다. 5월에는 여러 나라의 채녀 공납을 중지했다.

엔닌이나 구카이,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와 관련된 전승에서 이 연호가 자주 사용된다. 구카이가 일본에 귀국한 해가 이 해라고 말하는 경우도 많지만, 사료로서는 확실하지 않다.

이케가미 준이치는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의 기요미즈데라 사적과 관련지어 논하고 있다. 후지와라노 아키히라의 '기요미즈데라 연기'에서는 교에이로부터 성지의 위임을 받은 것이 778년, 타무라마로가 그 땅에서 엔친과 조우하여 그의 이야기를 듣고 십일면관음을 만들어 가전에 안치하고 기요미즈데라라고 한 것이 798년, 간무 천황의 어원사가 되어 사찰의 시입을 받은 것이 805년, 아내인 미요시노 타카코 묘부가 자택의 침전을 해체하여 그 목재로 사찰에 불당을 세운 것이 807년(다이도 2년)이다. 그러나 중세에는 기요미즈데라의 건립이 "다이도 2년"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요곡의 '타무라', '화월', 무로마치 이야기의 '타무라 풀이'에서는 모두 다이도 2년은 기요미즈데라의 건립에 관련된 연호로 되어 있다. 이케가미 준이치는 오우에서 각지에 타무라마로 전설이 퍼져, 그곳에서 요곡의 어구를 통해, 이 연호가 오우의 땅에 퍼져, 그 후에 언제부터인지 기요미즈데라와의 관계를 버리고, 단순히 타무라마로와 유연한 연호로서만 기능하게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4]

도호쿠 각지의 신사 창건, 아니 광산이나 오타 광산 발견, 나스 연봉의 차우스다케 구 화산의 분화, 오제 원의 히우치가타케의 분화, 자오 카리타다케의 분화, 아키타 코마가타케의 분화, 아이즈 반다이산의 분화, 닛코의 남체산에서 가뭄을 잠재우기 위해 쇼도 쇼닌이 기도를 올린 것, 삼호 전설에서 하치로타로가 대재해를 일으키는 것, 야츠가시산이나 모리요시산, 게센군 등의 귀신 퇴치, 야마가타현의 히지오리 온천 개업 등이 이 해로 전해진다.

4. 4. 기타 지역

다풀라 2세스리랑카의 왕이 되어 아누라다푸라를 수도로 삼았다. 중국 당나라헌종 재위 기간 동안 이길보가 재상에 임명되었다.

5. 문화

흑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유럽에서 나타났다.

헤이제이 천황의 명으로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고야산 신곤종 사찰인 모토야마지 사찰이 건립되었다. 하룬 알라시드의 명으로 이란의 가즈빈주에 자메 아티크 모스크가 건립되었다. 아르마 대교구의 필사생인 아일랜드의 삽화가 페르돔나크가 ''아르마의 서''를 작성했다.

5. 1. 과학

흑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유럽에서 나타났다.

5. 2. 종교

헤이제이 천황의 명으로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고야산 신곤종 사찰인 모토야마지 사찰이 건립되었다. 하룬 알라시드의 명으로 이란의 가즈빈주에 자메 아티크 모스크가 건립되었다. 아르마 대교구의 필사생인 아일랜드의 삽화가 페르돔나크가 ''아르마의 서''를 작성했다.

6. 탄생


  • 동산 양개(807년 ~ 869년)는 중국 당나라 때의 선불교 승려이다.
  • 유지 내친왕(807년 ~ 847년)은 헤이안 시대의 황족이다. 한시에 능한 한시인이었으며, 가모 사이인이었다.

7. 사망


  • 10월 13일 – 심페르트, 아우크스부르크 교구의 주교
  • 코날 막 타이그, 픽트족의 왕 (추정)
  • 커스레드, 켄트 왕국의 왕
  • 로베르 2세 프랑크 귀족 (추정)
  • 찬미가 작가 스테판, 시리아의 수도승 (출생 725년)
  • 비두킨트, 구 작센의 공작 (추정)
  • 12월 18일 - 이요 친왕, 헤이안 시대의 황족 (* 생년 미상)
  • 12월 18일 - 후지와라노 키시, 간무 천황의 부인 (* 생년 미상)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我が国民間信仰史の研究(一)収録「坂上田村麻呂の伝説」 https://dl.ndl.go.jp[...] 創元社
[4] 서적 修験の道 三国伝記の世界 以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