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40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8240부대는 1951년 7월 미군 지원 하에 KLO 첩보부대 등 한국인 유격부대를 통합하여 확대 개편된 부대이다. 도널드 세이버트 대위의 지휘 아래 대한민국 군대 훈련, 비정규전을 수행하며, 게릴라 특공대 투입, 탈북자 훈련 등 적 후방에서 첩보 수집 작전을 펼쳤다. 1952년 11월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로 개명되었으며, 1953년 휴전 이후 해체되어 1954년 2월까지 대원들은 육군 부대로 분산 배치되었다. 주요 부대로 당나귀 부대, 레오파드 기지, 울프팩, 커클랜드, 베이커 섹션, 전술 연락 사무소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 주한 합동 고문단
주한 합동 고문단은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한국군의 창설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의 지원으로 창설된 기구로, 초기 군사 분야 지원에서 2000년대 이후 사회 전반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며 한국의 발전과 한미 동맹에 기여했으나, 미국의 영향력 행사 논란도 있다. -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 KLO (첩보부대)
KLO는 한국 전쟁 전후 북한 지역에서 첩보 활동 및 유격전을 수행한 한미 연합 첩보부대로, 1948년 찰스 A. 윌로비에 의해 조직되어 북한 내 정보 수집, 요인 암살 등의 임무를 수행했지만, 1951년 8240부대에 흡수되어 해체된 후에도 다른 형태로 첩보 활동을 지속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는 1949년 창설된 해군 예하 상륙전 부대로,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사령부 재창설과 전력 증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병영 부조리 문제도 안고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부대 및 편성 - 카투사
카투사는 한국 전쟁 중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의 합의로 창설되어 미군에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 병사들로, 한국어 능력과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미군의 작전 및 행정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병무청 추첨과 영어 성적을 통해 선발되지만, 법적 근거 미비 등의 논란도 있다.
8240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명칭 | 8240부대 |
영문 명칭 | 8240th Army Unit |
![]() | |
활동 기간 | 1951년 7월 ~ 1952년 11월 |
국가 | 대한민국 미국 |
종류 | 비정규전 부대 |
역할 | 첩보 활동 유격전 사보타주 비행사 및 포로 구출 |
명령 체계 | 극동사령부 유엔사령부 |
참전 | 한국 전쟁 |
지휘관 정보 | |
상세 정보 | |
역할 (영문) | Artillery observer Clandestine operation Close-quarters battle Direct action HUMINT Irregular warfare Long-range penetration Parachuting Raiding Reconnaissance Special operations Special reconnaissance Tracking |
규모 (영문) | 100명 |
부대 지휘관 | 대위 도널드 사이버트 |
2. 역사
1951년 7월, 미군이 지원 및 운영하던 KLO 첩보부대를 비롯한 여러 한국인 유격부대들이 통합되어 '''제8240부대'''로 확대 개편되었다.
1952년, 8240부대 사령부 밴더풀 중령은 조선인민군을 교란시키기 위해 대원 14명에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비밀경찰복(SS uniform)을 입혀 해주 인근 지역으로 투하시키기도 했다.
도널드 세이버트 대위의 지휘 하에 8240부대는 대한민국 군대 훈련과 비정규전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작전에는 적 후방 깊숙이 공중 투하되는 게릴라 특공대 투입, 조선인민군으로 위장해 첩보를 수집하는 탈북자 훈련 등이 포함되었다.[2]
1952년 11월, 이 부대는 다른 게릴라 특공대 부대들과 함께 유엔군 유격부대 한국군(UNPIK)으로 재편성되었다.[3]
1953년 7월 휴전이 되자 예하 부대들이 해체되기 시작하여 1954년 2월까지 대원들은 정식 군번과 계급을 부여받고 육군의 여러 부대들로 분산 배치되었다.
2. 1. KLO 첩보부대 (1948~1951)
극동사령부 찰스 A. 윌로우비는 북한 내부 첩보 활동을 위해 1948년 8월 24일, 정의사와 백의사 등 민간 대북 첩보조직을 통합하여 "Korea Liaision Office영어"를 창설하고 반도호텔 2층 202호실에 본부를 설치하였다. 1949년 6월 1일에 정식 부대가 되었다.미 제8군 G2 부서 감독하에 KLO 파견대원 20명과 제441CIC 분견대를 훈련시켜 제1(I), 9(IX), 10(X) 군단을 지원하는 "제8177부대, 전술 연락국(Tactical Liaision Office (TLO), 8177th Army Unit(Tactical Intelligence)영어)"을 편성하였다.
전쟁 기간 동안 제187연대전투단에 파견되기도 했다. 1951년 7월, KLO는 8240부대에 통합되었다.
2. 2. 제8240부대 (1951~1954)
1951년 7월, 미군이 지원 및 운영하던 KLO 첩보부대를 비롯한 여러 한국인 유격부대들이 통합되어 '''제8240부대'''로 확대 개편되었다.1952년 제8240부대 사령부 밴더풀 중령은 북한군을 교란시키기 위해 대원 14명에게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비밀경찰복(SS uniform)을 입혀 해주 인근 지역으로 투하시키기도 했다.
8240부대는 도널드 세이버트 대위의 지휘 하에 대한민국 군대 훈련과 비정규전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작전에는 적 후방 깊숙이 공중 투하되는 게릴라 특공대 투입, 북한군으로 위장해 첩보를 수집하는 탈북자 훈련 등이 포함되었다.[2]
1952년 11월, 이 부대는 다른 게릴라 특공대 부대들과 함께 유엔군 유격부대 한국군(UNPIK)으로 재편성되었다.[3]
1953년 7월에 휴전이 되자 예하 부대들이 해체되기 시작하여 1954년 2월까지 대원들은 정식 군번과 계급을 부여받고 육군의 여러 부대들로 분산 배치되었다.
3. 주요 부대
당나귀 부대(백호) 22개 부대와 늑대(Wolfpack) 8개 부대가 있었다.
4. 주요 활동
1951년 초, 미 제8군은 게릴라 부대원들을 모아 "당나귀" 분대를 조직했다.[4] 이 부대들은 적 후방에 위치하면서도 유엔 해군 봉쇄와 대한민국 육군 주둔군 덕분에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는 섬 지역을 거점으로 활동하며 전략적 이점을 확보했다. 8240부대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레오파드 기지: 옹진군 남쪽에서 압록강 북쪽까지 작전을 수행했다.
- 울프팩: 인천 남쪽에서 활동했다.
- 커클랜드: CIA와 육군 지휘 하에 원산 남북 지역에서 활동했다.
- 베이커 섹션: 게릴라들을 훈련시켜 공수부대 특공대로 만들었다.
- 전술 연락 사무소: 북한 "월경자"들을 위한 은폐 명칭이었다.
4. 1. 레오파드 기지 (Leopard Base)
압록강 북쪽, 옹진군 남쪽까지 작전을 수행한 레오파드 기지(원래 "윌리엄 에이블 특임대"의 일부)[5]는 11개 게릴라 부대의 본부였다. 북한 서해안을 따라 위치한 이 지역에는 약 400개의 섬이 있었고, 이 섬의 약 70%가 게릴라 부대의 통제 하에 있었다. 이 섬들은 북한으로 진격하기 위한 발판으로서 전략적 요충지였다.
4. 2. 울프팩 (Wolfpack)
울프팩은 인천 남쪽에서 활동하던 10,000명 규모의 게릴라 사령부였다.[4] 울프팩은 서해안에 위치한 "태스크 포스 윌리엄 에이블"의 일부이기도 했다.[5]4. 3. 커클랜드 (Kirkland)
1951년 4월에 창설된[6] 커클랜드는 CIA와 육군 지휘 하에 300명의 게릴라로 구성되었으며, 본토 동쪽에 위치한 두 섬에서 활동했다. 이 유격대는 육군 지휘 임무를 위해 원산 남부 지역에서, CIA 지휘 임무를 위해 북부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임무에는 정보 수집, 해군 포격 및 공중 작전을 위한 목표 식별, 해안 기습 작전 등이 포함되었다.[6] 이 기지는 전쟁 기간 동안 크게 활용되지 않았는데, 절정기에는 4,844명의 유격대원과 32명의 미국 고문관이 활동했다.4. 4. 베이커 섹션 (Baker Section)
베이커 섹션은 게릴라들을 훈련시켜 공수부대 특공대로 만들어 적진 뒤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특수 작전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러한 작전은 중국과 북한의 자원을 제거하고 게릴라 기지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5] 1951년 전쟁이 끝날 무렵, 베이커 섹션은 약 389명의 게릴라 유격대를 투입하여 19차례의 공중 작전을 수행했다.[6] 이 임무는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으며, 전쟁 후에는 무의미한 것으로 여겨졌다.[5]작전 버지니아:[6] 이 작전은 베이커 섹션이 수행한 최초의 공중 작전이었다. 1951년 3월 15일 밤, 미국인 4명과 한국인 20명이 동해에서 약 48.28km 떨어진 내륙에 투하되었다. 철도 파괴 임무였으나, 여러 이유로 실패했다. 눈보라로 인해 팀의 도착이 지연되었고, 투하 구역을 놓쳤으며, 철수를 요청했을 때 3대의 헬리콥터 중 1대가 격추되었다.
4. 5. 전술 연락 사무소 (Tactical Liaison Office)
미군 보병 사단별로 약 25명의 게릴라가 특수 부대의 훈련을 받았다.[4] 이들 중 최대 9명은 북한군 복장을 하고 무기와 신분증을 지닌 채 북한으로 침투하여 적진 정보를 수집했다. 전술 연락 사무소는 북한 "월경자"들을 위한 은폐 명칭이었으며, 이 작전은 2년간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5. 유산
히스토리 채널은 ''히어로즈 언더 파이어'' 시리즈에서 이 부대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다.[7] 이 부대는 미국 육군에서 영구적인 특수 부대(SF) 교리로 나아가는 중요한 단계로 평가받는다.[8]
참조
[1]
웹사이트
In 1953 approximately 100 personnel from the 10th Special Forces Group
https://www.specialf[...]
[2]
웹사이트
Ben Malcom {{!}} 8240th Army Unit, Special Forces - Army
https://www.witnesst[...]
2023-08-09
[3]
웹사이트
The Army’s Guerrilla Command in Korea
https://arsof-histor[...]
[4]
웹사이트
Intelligence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https://www.cia.gov/[...]
2017-04-20
[5]
논문
Review of Dark Moon: Eighth Army Special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White Tigers: My Secret War in North Korea
1997-01-01
[6]
뉴스
Special Warfare - 08.01.2003
https://www.dvidshub[...]
2017-04-25
[7]
웹사이트
"The White Tigers" The History Channel DVD series
http://store.aetv.co[...]
[8]
웹사이트
백호 게릴라 부대 활약상과 말콤 전 대령의 회고
https://www.voakorea[...]
[9]
웹사이트
“켈로부대 처형 장면에 北서 희생된 아버지가…”
https://www.dailynk.[...]
[10]
뉴스
6·25전쟁 숨은 영웅 klo부대원 한국군 특전사 창설에도 큰 공헌
https://news.v.daum.[...]
세계일보
2014-03-03
[11]
뉴스
아버지의 이름으로…무공훈장 받는 '밥퍼' 최일도 목사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4-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