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 란가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 G. 란가라지는 1917년 인도에서 태어난 군인이자 의사이다. 마드라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영국령 인도 육군에 입대하여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 인도 육군 최초의 공수 부대원이 되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60공수야전의무대를 이끌었고, 유엔군을 지원했다. 군 퇴역 후에는 세계 보건 기구 등에서 활동하며 소두창 퇴치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충무무공훈장과 마하 비르 차크라를 수여받았으며, 대한민국 국가보훈부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무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엘모 줌왈트
엘모 줌왈트는 미국의 해군 군인으로, 제19대 해군 작전사령관을 역임한 대장이며,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고, 특히 베트남 전쟁 당시 고엽제 살포 작전을 승인했으며, 전후 해군 문화와 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퇴역 후에는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줌월트급 구축함이 건조되었다.
A. G. 란가라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대령 |
이름 | 아르코트 G. 란가라즈 |
출생일 | 1917년 3월 12일 |
사망일 | 2009년 3월 23일 |
출생지 | 아르코트, 타밀나두 주 |
소속 | |
군 복무 | |
복무 기간 | 1941년–1966년 |
계급 | [[파일:Colonel of the Indian Army.svg|25px]]대령 |
알려진 정보 | 최초의 인도인 낙하산 부대원, 유엔 한국 전쟁 공수 의료 부대 지휘관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버마 전역 일본의 인도 침공 임팔 전투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한국 전쟁 청천강 전투 북한에서의 유엔군 철수 토마호크 작전 가평 전투 마량산 전투 제2차 마량산 전투 후크 고지 전투 사미천 전투 작전 리틀 스위치 작전 빅 스위치 인도의 고아 합병 |
수상 | [[파일:Maha Vir Chakra ribbon.svg|32px]] 마하 비르 차크라 3급 대한민국 무공훈장-충무(2) |
모교 | 마드라스 의과대학 윌링던 항공 착륙 학교 오스마니아 대학교 인도 의학 과학 연구소, 뉴델리 |
2. 초기 생애
란가라지는 1917년 당시 마드라스 관구의 일부였던 타밀나두주 아르코트에서 태어났다. 1930년대에 마드라스 의과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하고 졸업했다.
1941년 영국령 인도 육군의 인도 의무대에 입대하여 군의관으로 복무를 시작했다. 제50 공수 여단에 자원했는데, 이 부대는 인도 육군 최초의 공수 부대였다. 뉴델리의 사프다정 공항(Willingdon Airport) (현재 사프다정 공항으로 알려짐)의 일부인 윌링던의 공중 강하 학교를 졸업했다. 이로써 그는 하빌다르 메이저 마투라 싱과 함께 역사상 최초의 인도 공수 부대원이 되었으며, 제152 인도 공수 대대의 군의관으로 배치되었다.
3. 군 경력
1945년 하티야 섬의 홍수 피해자를 돕는 임무에 참여했다.
인도의 분할 이후, 인도 육군은 사단 본부와 제50, 제77 공수 여단을 유지했으며, 제14 공수 여단은 파키스탄으로 넘어갔다.
하위 섹션
1950년 6월, 북한의 남한 침공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인도는 북한을 침략자로 규정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지지했다. 1950년 7월 31일, 인도 의회는 한국에서 유엔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 부대를 파견하는 데 동의했다. 이에 따라 A. G. 란가라지 중령이 이끄는 제60공수야전의무대가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배치되었다.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카리아파 병원을 운영하며 27개 인도 육군 및 카슈미르 주 군 대대의 요구를 충족시킨 경험이 있었다.
3. 1. 한국 전쟁 참전
1950년 6월, 북한의 남한 침공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인도는 북한을 침략자로 규정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지지했다. 1950년 7월 31일, 인도 의회는 한국에서 유엔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의료 부대를 파견하는 데 동의했다. 이에 따라 A. G. 란가라지 중령이 이끄는 제60공수야전의무대가 유엔군을 지원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배치되었다.
제60공수야전의무대는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카리아파 병원을 운영하며 27개 인도 육군 및 카슈미르 주 군 대대의 요구를 충족시킨 경험이 있었다.
4. 군 퇴역 후 의료 경력
A. G. 란가라지는 군 복무 중이던 1961년 오스마니아 대학교에서 보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 육군에서 퇴역했으며, 1967년 전인도 의학 연구소, 뉴델리(AIIMS 델리)에서 역학 과정을 마쳤다.
유엔 국제 아동 긴급 기금(UNICEF), 세계 보건 기구(WHO), 유엔 난민 기구(UNHCR) 및 국제 이주 보건과 같은 기관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질병 퇴치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1969년, 아프가니스탄의 소두창 퇴치를 위한 WHO 선임 고문으로 임명되어 아프가니스탄 소두창 퇴치 프로그램 책임자인 압둘 모하마드 다르망게르 박사와 함께 분쟁 지역에서 소두창 퇴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은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성공적인 공중 보건 캠페인을 조직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방글라데시로 소두창 퇴치 현장 프로그램의 조정관으로 파견되기도 하였으며, 방글라데시의 소두창 퇴치 임무에 참여했던 주요 인물들은 그가 상황이 좋지 않을 때에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열심히 일하도록 격려했다고 회고했다.
5. 수상
A. G. 란가라지는 충무무공훈장을 1951년 8월 21일과 1951년 11월 30일에 2회 수여받았고, 1951년 3월 24일에는 마하 비르 차크라를 1회 수여받았다.[1] 2020년 7월에는 대한민국 국가보훈부의 이달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되었다.[1]
6. 유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