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모 줌왈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모 줌왈트는 미국의 해군 장교로, 1970년부터 1974년까지 해군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어나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다. 베트남 전쟁에서 고엽제 살포를 명령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해군 참모총장 재임 기간 동안 해군 내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줄이기 위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퇴역 후 1976년 버지니아주 연방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2000년 중피종으로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미 해군의 줌왈트급 구축함이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무무공훈장 외국인 수훈자 - A. G. 란가라지
A. G. 란가라지는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인도 군인이자, 전역 후 유니세프와 세계 보건 기구에서 활동하며 소두창 퇴치에 기여한 공중 보건 전문가이다. - 충무무공훈장 수훈자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충무무공훈장 수훈자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존 케리
존 케리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민주당 소속으로 매사추세츠주 연방 상원의원과 국무장관을 역임하고 200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현재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기후변화 문제 담당 대통령 특사로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엘모 줌왈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버드 |
출생일 | 1920년 11월 29일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
사망일 | 2000년 1월 2일 |
사망지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 |
안장지 | 미국 해군사관학교 묘지 |
소속 | 미국 |
군 종류 | 미국 해군 |
복무 기간 | 1942년 – 1974년 |
최종 계급 | 해군 대장 |
부대 | USS 펠프스 (DD-360) USS 로빈슨 (DD-562) USS 소플리 (DD-465) USS 젤러스 (DD-777) |
지휘 | 미국 해군 작전 사령관 베트남 해군 순양함- 구축함 전대 7 USS 듀이 (DLG-14) USS 아널드 J. 이즈벨 (DD-869) USS 틸스 (DE-748)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레이테 만 해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수상 내역 | 해군 공로 훈장 (3회) 공로 훈장 (2회) 브론즈 스타 훈장 용맹장 포함 해군 commendation 훈장 용맹장 포함 |
배우자 | 제인 캐리 (1942년 결혼, 1944년 이혼) 무자 쿠텔리스-뒤-로슈 (1945년 결혼, 2000년 사망) |
경력 | |
이후 활동 | 없음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엘모 줌왈트는 1939년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42년 6월 19일에 소위로 임관하였다. 펠프스에서 근무를 시작으로, 1943년 8월에는 태평양 작전·훈련 사령부에서 근무하였다. 1944년 1월에는 로빈슨에 승선하여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하였다.[1]
줌왈트는 1939년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42년 졸업 후 소위로 임관했다. 펠프스, 로빈슨 등의 구축함에서 근무하며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했다.[1]
종전 후, 줌왈트는 일본 해군의 포함 아타카 접수 임무를 위해 상하이로 파견되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미국 통제 하의 함정을 지휘하여 황푸 강에 진입한 첫 미군이 되었다. 일본 병사들의 무장 해제를 완료한 후, "아타카"를 중화민국 당국에 인도하는 임무를 완수하였다. 또한, 줌왈트는 상하이에 거주하던 러시아인 어머니와 프랑스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모자 코트레 드 로슈와 결혼하였다.[1]
1946년 3월, 줌왈트는 소프리와 제러스에 승선하였다. 1948년 1월부터 1950년 6월까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예비역 장교 훈련 과정 교관으로 근무하였다. 이후 타일스 함장으로 임명되어 1951년 3월까지 근무하였다. 그 후, 위스콘신에서 근무하였다.[1]
1952년 6월, 줌왈트는 해군대학에 입교하여 1953년 6월에 수료하였다. 이후 해군 인사국에서 근무하며 건강 보험 입법에 관여하였다. 1955년 7월, 아놀드 J. 이즈벨 함장을 역임하고, 1957년 7월 해군 인원국으로 복귀하였다. 1957년 12월부터 1959년 8월까지 해군 장관 사무국에서 전문 보좌관 및 특별 참모로 근무하였다.[1]
1959년 12월, 듀이의 초대 함장을 맡아 1961년 6월까지 근무하였다. 이후 국립 전쟁 대학에 입교하였고, 1962년 6월부터 국방 장관 보좌관으로 근무하며 군축 문제와 대 쿠바 비상 사태 계획에 참여하였다. 1963년 12월부터 1965년 6월 21일까지 폴 니츠 해군 장관의 부 수석 보좌관 겸 고위 참모로 근무하였다.[1]
3. 군 경력
종전 후, 줌왈트는 상하이로 가서 일본 해군의 포함 아타카를 접수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황푸 강에 진입한 첫 미군 군인이 되었고, 일본군 무장 해제 후 "아타카"를 중화민국에 인도했다.[1] 상하이에서 줌왈트는 러시아인 어머니와 프랑스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무자 쿠텔레두로슈(Mouche Coutelais-du-Roche|무자 쿠텔레두로슈프랑스어)와 결혼했다.[1]
1946년에는 소프리, 제러스 등의 구축함에서 근무했다.[1]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예비역 장교 훈련 과정 교관으로 일했다. 1950년에는 훈련함 타일스 함장을 맡았고, 이후 위스콘신에 승선했다.[1]
1952년 해군대학을 졸업하고 해군 인사국에서 건강 보험 입법에 관여했다. 1955년 아놀드 J. 이즈벨 함장을 맡았고, 1957년 해군 인원국 및 해군 장관 사무국에서 근무했다.[1] 1959년에는 듀이 초대 함장을 맡았다. 1962년 국립 전쟁 대학 졸업 후 국방 장관 보좌관으로 군축 문제 등에 참여했고, 1963년부터 1965년까지 폴 니츠 해군 장관의 보좌관으로 근무했다.[1]
3. 1. 제2차 세계 대전
줌왈트는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 6월 19일 소위로 임관하여 구축함 펠프스에 승선했다.[1] 1944년 1월에는 구축함 로빈슨으로 옮겨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했다.[1]
종전 후에는 일본 해군의 포함 아타카 접수 작업을 위해 상하이로 향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미국의 통제 하에 있는 함정을 지휘하여 황푸 강에 진입한 첫 미군 군인이 되었다.[1] 일본 병사의 무장 해제 종료 후, "아타카"를 중화민국 당국에 인도하여 임무를 완수했다.[1] 또한, 상하이에서 프랑스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무자 쿠텔레두로슈(Mouche Coutelais-du-Roche|무자 쿠텔레두로슈프랑스어)와 결혼했다.[1]
3. 2. 한국 전쟁
줌월트는 구축함 소프리와 제러스에서 근무했다.[1] 1950년 6월, 훈련함으로 복귀한 타일스의 함장을 맡아 1951년 3월까지 근무했다.[1] 이후 위스콘신에 승선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1]
3. 3. 베트남 전쟁 이전
1939년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 6월 19일 소위로 임관하여 구축함 펠프스에서 근무했다. 1943년 8월에는 태평양 작전·훈련 사령부에서 근무했고, 1944년 1월에는 로빈슨에 승선하여 레이테 만 해전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에는 일본 해군의 포함 아타카 접수 작업을 위해 상하이로 갔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미국의 통제 하에 있는 함정을 지휘하여 황푸 강에 진입한 첫 미국 군인이 되었다. 일본 병사들의 무장 해제를 마친 후, 중화민국 당국에 아타카를 인도하여 임무를 완수했다. 또한, 상하이에 거주하던 러시아인 어머니와 프랑스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모자 코트레 드 로슈와 결혼했다.
1946년 3월 소프리와 제러스에 승선했다. 1948년 1월부터 1950년 6월까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예비역 장교 훈련 과정 교관으로 근무했다. 같은 달, 훈련함으로 복귀한 타일스의 함장으로 임명되어 1951년 3월까지 근무했다. 이후 위스콘신에서 근무했다.
1952년 6월 해군대학에 입교하여 1953년 6월에 수료하고 해군 인사국에서 근무하며 건강 보험 입법에 관여했다. 1955년 7월 아놀드 J. 이즈벨 함장을 맡았고, 1957년 7월 해군 인원국으로 복귀했다. 1957년 12월부터 1958년 11월까지 해군 장관 사무국에서 인사·예비역 전문 보좌관으로, 1959년 8월까지 특별 참모로 근무했다.
1959년 12월 듀이의 초대 함장을 1961년 6월까지 맡았다. 이후 국립 전쟁 대학에 입교했다. 1962년 6월부터 국방 장관 보좌관으로 근무하며 군축 문제와 대 쿠바 비상 사태 계획에 참여했다. 1963년 12월부터 1965년 6월 21일까지 폴 니츠 해군 장관 부 수석 보좌관 겸 고위 참모로 근무했다.
3. 4. 베트남 전쟁
1965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7순양구축함대 사령관에 취임했다. 1968년 9월에는 남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 해군 고문단장 겸 베트남 파견 해군 부대 총사령관 겸 해군 고문군장에 취임했다. 1968년 10월, 중장으로 진급했다. 줌월트는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군사 원조 사령부 총사령관의 훌륭한 상담역을 맡았다.
그의 역할은 외양 해군 부대를 지휘하는 것이 아니라, 하천, 항만 및 연안역 등에서 활동하는 연안 해군 부대를 동원하여 육군 부대를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부대에는 그의 아들 엘모 러셀 줌월트 3세와 훗날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되는 존 케리가 있었다.
또한, 줌월트는 이 직책에 있는 동안 고엽제 사용 작전을 실행했다. 제조사 측은 군에 고엽제가 인체에 무해하다고 설명했고, 줌월트를 포함한 부대 지휘관들은 이를 믿고 작전을 진행했다. 많은 장병이 고엽제에 노출되었으며, 줌월트의 아들도 그중 한 명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고엽제의 실태가 밝혀졌다. 1977년에 태어난 그의 손자는 선천성 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었고, 1988년에는 아들 줌월트 3세가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5. 해군참모총장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1970년 4월 14일에 줌왈트를 차기 해군 작전부장(해군참모총장)으로 지명했고, 줌왈트는 같은 해 7월 1일에 제19대 해군 작전부장(해군참모총장)으로 취임했다.[1]
줌왈트는 재임 기간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노후 수상함 대체함의 갱신을 추진했다.[1] 제해함 구상에서 보이는 하이-로 계획 내용은 하이먼 G. 리코버를 필두로 한 해군 내 파벌의 반발에 부딪혔다.[1] 리코버는 필요 수의 주력 함정과 다수의 평범한 기능을 가진 함정을 갖추는 것을 희망했다.[1] 이에 대해 줌왈트는 4종류의 함정을 제시했으나, 결국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미사일 프리깃함과 페가수스급 미사일정만 현실화되었다.[1]
1974년 6월 29일, 줌왈트는 해군에서 퇴역했다.[1]
4. 퇴역 이후
1976년 버지니아주에서 상원의원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아메리칸 메디컬 빌딩 사장을 역임했다. 1996년에는 제레미 보더 작전부장의 베트남 종군 훈장 소지 자격 의혹에 대해 옹호했다.
2000년 1월 2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의 듀크 대학교 의료 센터에서 사망했다. 사인은 해군 복무 중 오랫동안 흡입했던 석면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악성 중피종이었다.
2016년, 그의 이름을 딴 스텔스 미사일 구축함 줌월트함이 취역했다. 해당 함에 탑재된 두 척의 복합정은 줌월트와 아들의 이름에서 따와 "엘모"와 "러셀"로 명명되었다.[20]
5. 대한민국과의 관계
엘모 줌왈트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는 현재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6. 기타
줌월트는 시그마 파이 엡실론 형제단의 회원이었다. 미국 해군 기념 재단으로부터 론 세일러 상을 수상했으며, 스웨덴 왕립 해군 과학 협회 명예 회원이었다. 줌월트의 사진은 베트남 전쟁 유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0]
참조
[1]
간행물
Contemporary Authors Online
Gale
[2]
웹사이트
James Gregory Zumwalt
http://www.legacy.co[...]
2019-02-16
[3]
서적
Zumwalt: The Life and Times of Admiral Elmo Russell "Bud" Zumwalt Jr.
HarperCollins
[4]
문서
Berman, Zumwalt, 154
[5]
문서
Berman, Zumwalt, 433.
[6]
문서
Berman, Zumwalt, 171
[7]
서적
Barbara Bush: A Memoir
https://books.google[...]
Scribner
2010
[8]
웹사이트
Admiral Elmo R. ("Bud") Zumwalt, Jr., USN (1920-2000) 19th Chief of Naval Operations, 1 July 1970 - 1 July 1974
https://www.history.[...]
2024-03-13
[9]
웹사이트
Z-grams: A List of Policy Directives Issued by Admiral Zumwalt
http://www.history.n[...]
2016-04-12
[10]
논문
Z-gram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11]
뉴스
Elmo R. Zumwalt 3d, 42, Is Dead; Father Ordered Agent Orange Use
https://www.nytimes.[...]
1988-08-14
[12]
IMDB
My Father, My Son (1988)
https://www.imdb.com[...]
[13]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Death of Elmo R. Zumwalt, Jr.
https://www.presiden[...]
2000-01-02
[14]
웹사이트
Remarks at Funeral Services for Elmo R. Zumwalt, Jr., in Annapolis, Maryland
https://www.presiden[...]
2000-01-10
[15]
웹사이트
Remarks Aboard the U.S.S. John F. Kennedy in New York City
https://www.presiden[...]
2000-07-04
[16]
웹사이트
Kerry'S Photo Raises Eyebrows in Museum in Ho Chi Minh City
http://daily.nysun.c[...]
2016-02-09
[17]
웹사이트
Prominent Alumni
https://sigep.org/ab[...]
2024-06-17
[18]
웹사이트
Renaissance of Brotherhood Program
https://sigep.org/re[...]
2024-06-17
[19]
논문
Matrikel 1996 för Kungl. Örlogsmannasällskapet
https://www.koms.se/[...]
[20]
간행물
異色のステルス軍艦 米駆逐艦「ズムウォルト」初来日''!''
202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