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PS-48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N/SPS-48은 1956년 해군 전술 데이터 시스템(NTDS)의 요구 사항에 따라 개발된 3차원 대공 탐색 레이더이다. AN/SPS-48은 AN/SPS-39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60년에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개량을 거쳐 AN/SPS-48E까지 발전했다. AN/SPS-48은 E 밴드 및 F 밴드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최대 460km의 탐지 거리를 가지고 있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AN/SPS-48E를 AN/SPS-48G로 개조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2050년까지 함대 3D 공중 탐색 요구 사항을 지원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용 레이더 - AN/SPY-1
AN/SPY-1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핵심인 록히드 마틴의 3차원 대공 레이다로, S 밴드 주파수를 사용하는 위상 배열 레이다이며, 함정에 고정된 4개의 안테나로 다수의 목표물을 탐지, 추적, 요격할 수 있고,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군용 레이더 - FCS-3
FCS-3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함대 방공 시스템으로, 하나의 레이더로 수색과 추적을 동시에 수행하며, 신세대 전술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여 대응 시간을 단축하는 특징을 가진 00식 사격 지휘 장치이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해상자위대 함정에 탑재되고 있다. - 레이시온 - FIM-92 스팅어
스팅어는 미국의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로, 적외선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다양한 개량형이 있으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사용되었고, 헬리콥터 탑재형과 함대공형으로도 사용된다. - 레이시온 - AN/APG-77
AN/APG-77은 노스럽 그루먼과 레이시온이 개발한 AESA 방식의 항공 레이더로, 저피탐지 성능과 다목표 동시 추적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개량형인 AN/APG-77(v)1은 지상 공격 능력을 향상시켰다.
AN/SPS-48 | |
---|---|
개요 | |
![]() | |
일반 정보 | |
국가 | 미국 |
도입일 | 1966년 2월 21일 |
수량 | 39기 (-48E) |
종류 | 3차원 대공 탐색 레이더 |
역할 | 수색 및 포착 |
송신기 | 4단 고체화 송신기 (-48E) |
기술 사양 | |
주파수 | E 대역 및 F 대역 (2 ~ 4 GHz), S대역 (3.0±0.1 GHz) |
펄스 반복 빈도 (PRF) | 1,250 ~ 2,000 pps |
펄스 폭 | 3 마이크로초 |
이득 | 38.5 dB |
회전수 (RPM) | 7.5 또는 15 rpm |
안테나 유형 | 평면 배열형 |
소자 | 슬롯 안테나 (76단 -48C / 95단 -48E) |
안테나 크기 | 높이 5.2 m × 폭 5.33 m (17 ft × 17 ft 6 in) |
빔 폭 | 수직 1.5° × 수평 1.6° |
탐지 범위 | (250 해리 마일) |
탐지 고도 | (100,000 ft) |
방위각 | 0 ~ 360° |
앙각 | 0 ~ 65° (7 ~ 45° (-48C)) |
정밀도 | 거리: 210 m, 각도: 0.2도, 고도: 고도, 1/6° 방위각 |
해상도 | 거리: 460 m, 각도: 2도 |
첨두 전력 | 2.2 MW |
평균 전력 | 15 kW (-48C) / 35 kW (-48E) |
무게 | 전체: , 안테나: |
2. 역사
AN/SPS-48은 AN/SPS-39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60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66년 2월 21일 미국 해군 작전 참모에 의해 정식으로 사용 승인을 받았다.[3][5][6]
AN/SPS-48은 미국 해군 함정에만 탑재되었으며, 레이더 시스템 자체는 외국에 수출되지 않았다. AN/SPS-48을 장비한 함정 중 타이완에 매각된 키드급 미사일 구축함을 제외하고는 모두 퇴역 후 미국 내에서 보관되거나 해체될 예정이다.
주로 테리어 시스템이나 타르타르 시스템을 탑재한 방공함 중 비교적 대형 미사일 유도 구축함(DLG / DLGN[18])에 장비되었으나, 1980년대부터 AN/SPY-1 다목적 레이더를 장비한 이지스함의 배치와 냉전 종결 후 군축에 따라 테리어/타르타르 시스템 탑재 함정은 2000년까지 모두 미국 해군에서 퇴역했다. 그 외에 항공모함이나 강습상륙함 등의 대형 함정에 장비되었으며, 이후 함정 자위 시스템(SSDS Mk.2)에 연결되어 주요 대공 수색 센서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2. 1. 개발 배경
NTDS의 기술 및 운용 요구 사항에 따라, 1956년에 두 가지 레이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나는 200해리 이상의 탐지 거리를 가진 3차원 탐색 레이더였고, 다른 하나는 250해리 이상의 거리에서 작은 표적을 탐지할 수 있는 2차원 장거리 탐색 레이더였다. 전자는 AN/SPS-48이 되었고, 후자는 AN/SPS-49가 되었다.[2][3][4][13]AN/SPS-48은 AN/SPS-39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60년에 개발이 시작되었다.[3][5] 1960년 6월에 두 가지 서비스 모델(XN-1, XN-2)에 대한 개발 계약이 체결되었다. XN-1은 1962년 4월에 시스템 테스트를 완료하고 12월까지 육상에서 운용되었다. XN-2는 1962년 7월에 인도되어 USS 프리블에 설치되어 함상 평가를 받았다.[6]
1963년 6월, 13개 레이더 생산 계약이 체결되었다. 6번 유닛은 USS 워든에 설치되어 1965년 3월부터 6월까지 신뢰성 테스트를 받았다. 긍정적인 테스트 결과로 1966년 2월 21일, AN/SPS-48은 해군 작전 참모에 의해 정식 사용 승인을 받았다.[6] 1967년부터 1975년까지 벨크냅급, 쿤츠급 및 리히급 함정에서 AN/SPS-39를 대체했다.[7]
2. 2. 초기 모델 (AN/SPS-48A)
AN/SPS-48A는 초기 모델이다.[2] SPS-48A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잡음과 기상 조건에서도 표적을 볼 수 있도록 이동 표적 지시자(MTI)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업그레이드는 1968년에 평가되었다.[13]2. 3. 자동 탐지 및 추적 기능 추가 (AN/SPS-48C)
AN/SPS-48C는 AN/SPS-48 시스템에 자동 탐지 및 추적(ADT) 기능을 추가한 개량형이다. 1964년 중반, ADT 기능을 갖춘 첫 번째 프로토타입이 제작되었다. 이 프로토타입에는 스캔 간 비교를 통해 동일 위치 근처에 지속되는 블립(blipp, 레이더 상의 점)을 식별하고 저장하는 대용량 메모리를 가진 특수 목적 "파이프라인 프로세서"가 포함되었다.[4] 이 프로세서는 각 360도 스캔에서 클러터(clutter, 불필요한 반사파) 맵을 구축하고, 맵의 변화를 찾아 가능한 표적으로 저장했다.[4] 이렇게 저장된 블립과 클러터 변화는 NTDS로 전송되었고, NTDS는 추가적인 비교를 통해 선박 또는 항공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움직임을 가진 것을 결정했다.[4] 이 시스템은 1967년에 운용 평가를 위해 해상에 투입되었고, 1975년까지 통합되었다.[4] AN/SPS-48C는 이동 표적 식별(MTI, Moving Target Indication) 기능도 갖추고 있다.[4]2. 4. 성능 향상 (AN/SPS-48E)
AN/SPS-48E는 1987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AN/SPS-48C에 비해 부품 수가 280,000개에서 126,000개로 감소했고, 내장 테스트(BIT) 기능이 추가되어 평균 고장 간격(MTBF)과 인력 요구 사항이 감소했다.[12][13] 성능 개선 사항으로는 재밍 및 전자전에 대한 저항력 향상, 더 작은 표적 및 수평선상의 표적 탐지 능력 향상, 고각 추적, 외부 방공 시스템 또는 함상 전투 시스템으로부터 명령을 수락하고 실행하는 능력이 포함되었다. 이는 New Threat Upgrade의 일부였다.[12][13]AN/SPS-48C의 파생형으로 전파 출력이 2배로 강화되고 수신기 감도도 향상되었다. 4단계 고체식 송신기를 채택하여 부품 수를 AN/SPS-48C형의 절반으로 줄이는 동시에 조립 테스트 시 진단이 용이해졌다. 원래 스탠다드 SM-2의 발사 후 탐색(LOS) 기능을 지원하는 NTU 개수(New Threat Upgrade)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주로 NTU 개수를 받은 함선에 탑재되었다.
2. 5. 노후화 개선 (AN/SPS-48G)
AN/SPS-48G 프로그램은 레이더의 신뢰성, 유지보수성, 지원성을 개선하고 수명 주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시스템 재설계이다. 장기적인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개선, 개방형 아키텍처(OA) 설계, 향상된 물류 프로세스를 도입한다.[17][14] 데크 아래 유닛의 레이아웃에만 영향을 미친다.[17][14]기존 AN/SPS-48E를 2011년부터 2020년까지 SPS-48G 유닛으로 개조하는 계획이 진행되었다. 이들은 SPS-48G가 있는 함급에 대해 2050년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함대 3D 공중 탐색 요구 사항을 지원할 것이다.[17][14]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17][14]
- 이전 1단계 및 2단계 RF 증폭기는 고체 트랜스미터로 교체
- 수신기, 프로세서 및 보조 탐지 프로세서는 개별 장비 캐비닛에 보관되었던 것이 단일 캐비닛으로 통합
- 최저 교체 가능 유닛의 수는 87% 감소
- 주요 고장 간 평균 시간은 AN/SPS-48E(V)보다 104% 향상
- 새로운 상용 기성품(COTS) 레이더 프로세서의 컴퓨팅 능력은 계획된 기술 갱신 프로그램을 통해 유지
또한, 보다 직관적이고 상호 작용적인 내장형 테스트 및 내장된 유지 보수 및 운영자 교육을 통해 모든 레이더 기술, 엔지니어링 및 물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지원이 가능하며, 정확하고 시기 적절한 구성 관리를 보장한다.[17][14]
AN/SPS-48G는 구형 레이더 가용성 회복(ROAR, Radar Obsolescence, Availability Recovery) 계획에 기반한 개량형으로, 일부는 신조되지만, 나머지는 기존의 AN/SPS-48E를 개수하여 제조된다. 갑판 아래의 전자 장비를 오픈 아키텍처 방식으로 신형으로 교체함으로써, 신뢰성 향상과 훈련 시간 단축을 도모한다.[19]
3. 운용
AN/SPS-48 레이더는 3차원 레이더로, 표적의 방위각, 거리, 고도 정보를 제공한다. 안테나는 기계적으로 회전하며 방위각을 스캔하고, 빔은 전자적으로 조향되어 고도를 탐지한다.[17] 탐지 거리는 200nmi 이상이며, 최대 69도의 고도까지 표적을 추적할 수 있다.
AN/SPS-48은 함정의 무기 체계와 연결되어 공중 표적 요격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레이더는 이지스 전투 시스템의 전신으로, AN/SPY-1 레이더가 위상 배열 방식인 반면, AN/SPS-48은 주파수 주사 방식을 사용한다. AN/SPS-48E는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표적 정보를 제공하며, 고, 중, 저의 세 가지 전력 모드를 가지고 있다.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여러 빔을 쌓아 고도 범위를 스캔한다.
AN/SPS-48은 미국 해군 함정에만 탑재되었으며, 단독으로 외국에 수출되지는 않았다. AN/SPS-48을 장비한 함정 중 중화민국(타이완)에 매각된 키드급 미사일 구축함을 제외하고는 모두 퇴역 후 해체되었거나 해체될 예정이다.
AN/SPS-48은 주로 테리어 미사일이나 타르타르 시스템을 탑재한 방공함에 장비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이지스함 배치와 냉전 종결로 인해 2000년까지 미국 해군에서 퇴역했다. 이후 항공모함이나 강습상륙함 등 대형 함정에 장착되어 함정 자위 시스템(SSDS Mk.2)의 주요 센서로 사용되었다.
운용 함정
함종 | 함급 | 비고 |
---|---|---|
미사일 순양함 | 롱비치 | 1980년대 SCANFAR에서 교체 |
미사일 구축함 | 파라것급(쿤츠급) | AN/SPS-39에서 교체 |
미사일 순양함 | 리히급 미사일 순양함 | NTU 개조 시 AN/SPS-39에서 교체 |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 베인브리지 | AN/SPS-52에서 교체 |
미사일 순양함 | 벨크냅급 미사일 순양함 | |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 트랙스턴 | |
미사일 구축함 | 미처급 구축함 | DDG 개조함에만 장비 |
구축함 | 포레스트 셔먼급 구축함 | DDG 개조함에만 장비 |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 캘리포니아급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 |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 버지니아급 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 |
미사일 구축함 | 키드급 미사일 구축함 | |
항공모함 | 미드웨이급 항공모함 | 1980년경 장비 |
항공모함 | 포레스탈급 항공모함 | |
항공모함 | 키티호크급 항공모함 | |
원자력 항공모함 | 엔터프라이즈 | 1980년대 SCANFAR에서 교체 |
항공모함 | 니미츠급 항공모함 | |
강습 상륙함 | 타라와급 강습 상륙함 | |
강습 상륙함 | 와스프급 강습 상륙함 | |
강습 상륙함 | 아메리카급 강습 상륙함 | |
도크형 수송 상륙함 | 샌안토니오급 도크형 수송 상륙함 |
- 구축함 (키드급 미사일 구축함): 지룽급 구축함
4. 제원
- 종류: 3차원 대공 레이다
- 밴드 종류: E 밴드, F 밴드 (2 ~ 4 GHz)
- 크기: 5.2m x 5.33m
- 탑재함정: 키드급 구축함
4. 1. 레이다 탐지거리
AN/SPS-48 레이다의 탐지거리는 다음과 같다.탐지 대상 | 탐지 거리 |
---|---|
RCS 1m2 (4.5세대 전투기: 미쓰비시 F-2, 유로파이터) | 300km |
RCS 5m2 (4세대 전투기: F-16) | 420km |
초대형 항공기 (보잉 737, B-52) | 370km |
최대 탐지거리 | 460km |
3차원 레이더는 360도 회전하는 기반에 장착되어 주어진 방위각에서 표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빔이 나가서 수신기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표적의 거리를 식별하며, 해수면 위 표적의 높이도 감지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데이터를 통해 레이더의 중앙 처리 장치는 표적을 X, Y, Z 3차원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17]
SPS-48은 안테나가 기계적으로 회전하여 방위각을 스캔하는 동시에 빔은 전자적으로 조향되어 송신기 주파수를 변경하여 고도를 탐지한다. 약 2041.16kg 안테나는 7.5 또는 15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ITT Exelis[1]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200nmi 이상의 탐지 범위를 가지며 최대 69도의 고도에서 표적을 추적할 수 있다. AN/SPS-48E는 E 밴드 및 F 밴드의 다양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파수 스캔 안테나를 사용하여 표적 거리, 방위각 및 고도 정보를 제공하며, 고, 중, 저의 세 가지 전력 모드를 가지고 있다. SPS-48 레이더는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일련의 펄스로 여러 빔을 쌓아, 서로 다른 고도 영역을 스캔하여 최대 69도의 고도를 커버할 수 있다.
5. 파생형
- AN/SPS-48A
: 초기형[18]
- AN/SPS-48B
: 상세 불명. AN/SPS-48C의 시제품일 가능성이 있음.[18]
- AN/SPS-48C
: AN/SPS-48A의 개량형. 자동 탐지 및 추적 기능을 추가하고, 이동 표적 식별(MTI, Moving Target Indication|무빙 타겟 인디케이션영어) 능력을 부여함.[18]
- AN/SPS-48D
: AN/SPS-48E의 시제품. 1980년대에 NTU 개수를 위한 테스트 베드로 사용된 마한에 탑재되어 운용 시험이 이루어짐.[18]
- AN/SPS-48E
: AN/SPS-48C의 파생형. 전파 출력이 2배로 강화되고, 수신기의 감도도 향상됨. 4단계의 고체식 송신기를 채택하여, 부품 수를 -48C형의 절반으로 줄이는 동시에 조립 테스트 시 진단이 용이해짐.
: 원래 스탠다드 SM-2의 발사 후 탐색(LOS, Launch On Search) 기능을 지원하는 NTU 개수(NTU, New Threat Upgrade|뉴 쓰렛 업그레이드영어)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주로 NTU 개수를 받은 함선에 탑재됨.[18]
- AN/SPS-48G
: 구형 레이더 가용성 회복(ROAR, Radar Obsolescence, Availability Recovery) 계획에 기반한 개량형으로, 일부는 신조되지만, 나머지는 기존의 AN/SPS-48E를 개수하여 제조됨. 갑판 아래의 전자 장비를 오픈 아키텍처 방식의 신형으로 교체함으로써, 신뢰성 향상과 훈련 시간 단축을 도모함.[19]
참조
[1]
웹사이트
ITT Exelis - The Power of Ingenuity
https://web.archive.[...]
Exelisinc.com
2011-10-27
[2]
웹사이트
Building the U.S. Navy's First Seagoing Digital System - Chapter 4 of the Story of the Naval Tactical Data System
https://ethw.org/Fir[...]
2021-05-12
[3]
웹사이트
Moving the Firing Key to NTDS - Chapter 6 of the Story of the Naval Tactical Data System
https://ethw.org/Fir[...]
2015-01-13
[4]
서적
When Computers Went to Sea: The Digitization of the United States Navy
Wiley-IEEE Computer Society Press
2003-04
[5]
서적
When Computers Went to Sea: The Digitization of the United States Navy
Wiley-IEEE Computer Society Press
2003-04
[6]
간행물
AN/SPS-48 Radar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1966-09
[7]
간행물
Professional Notes
https://www.usni.org[...]
2023-02-13
[8]
서적
A Compendium of Armaments and Military Hardware
[9]
간행물
The U.S. Navy's Aircraft Carriers: A Pictorial Report
[10]
간행물
USS SPRUANCE (DD963) CLASS, DESIGNED FOR CHANGE—THE PAYOFF IS NOW
https://onlinelibrar[...]
1975-04
[11]
서적
U.S. Destroyers : 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http://worldcat.org/[...]
[12]
간행물
Cohere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apability for the AN/SPS-48E Radar
https://www.jhuapl.e[...]
[13]
서적
Hard Charger! The Story of the USS Biddle (DLG-34)
[14]
간행물
The AN/SPS-48G Radar System Sustainability Upgrade
https://www.navsea.n[...]
2023-02-13
[15]
간행물
Losing Out on Carrier Radar Improvements
https://www.usni.org[...]
1989-04
[16]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s Systems
Naval Institute Press
[17]
웹사이트
United States Navy Factfile AN/SPS-48G
http://www.navy.mil/[...]
Naval Sea Systems Command
2012-10-24
[18]
문서
1975年の艦種類別変更により、比較的小型の[[ファラガット級駆逐艦 (1958年)|ファラガット級]]は[[ミサイル駆逐艦]](DDG)、その他の艦は[[ミサイル巡洋艦]](CG / CGN)に艦種が変更された
[19]
URL
http://www.navy.m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