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C 코드 V0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당뇨병 진단 시약 (V04CA)
- 3. 지방 흡수 진단 시약 (V04CB)
- 4. 담관 개방성 진단 시약 (V04CC)
- 5. 뇌하수체 기능 진단 시약 (V04CD)
- 6. 간 기능 진단 시약 (V04CE)
- 7. 결핵 진단 시약 (V04CF)
- 8. 위액 분비 진단 시약 (V04CG)
- 9. 신장 기능 진단 시약 (V04CH)
- 10. 갑상선 기능 진단 시약 (V04CJ)
- 11. 췌장 기능 진단 시약 (V04CK)
- 12. 알레르기 질환 진단 시약 (V04CL)
- 13. 유방염 진단 시약 (QV04CQ)
- 14. 호흡 기능 진단 시약 (QV04CV)
- 15. 생식 장애 진단 시약 (V04CM)
- 16. 기타 진단 시약 (V04CX)
- 참조
1. 개요
ATC 코드 V04는 다양한 진단 시약들을 분류하는 해부 치료 화학 분류 시스템(ATC) 코드이다. 이 코드에는 당뇨병, 지방 흡수, 담관 개방성, 뇌하수체 기능, 간 기능, 결핵, 위액 분비, 신장 기능, 갑상선 기능, 췌장 기능, 알레르기 질환, 호흡 기능, 생식 장애, 그리고 기타 질환의 진단을 위한 시약들이 포함된다. 각 하위 분류는 특정 질환 또는 기능 검사에 사용되는 약물이나 물질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TC 코드 - ATC 코드 D
ATC 코드 D는 피부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을 분류하는 해부 치료 화학 분류 시스템의 한 그룹이다. - ATC 코드 - ATC 코드 S01
ATC 코드 S01은 안과용 의약품을 분류하며, 항감염제, 항염증제, 녹내장 치료제 등 다양한 약물로 세분화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ATC 코드 V04 | |
---|---|
일반 정보 | |
ATC 코드 | V04 |
약리학 그룹 | 진단제 |
하위 그룹 | V04C 기타 진단제 V04CA 장 기능 검사 V04CB 지방 대사 검사 V04CC 코 기능 검사 V04CX 기타 진단제 |
수의학 | |
ATCvet 코드 | QV04 |
약리학 그룹 (수의학) | 수의학 목적의 진단제 |
2. 당뇨병 진단 시약 (V04CA)
당뇨병 진단 시약에는 톨부타미드와 포도당이 있다.[1]
2. 1. 톨부타미드 (V04CA01)
톨부타미드는 설폰요소제 계열의 혈당 강하제이다.[1]2. 2. 글루코스 (V04CA02)
포도당는 당뇨병 진단 검사에 사용된다.3. 지방 흡수 진단 시약 (V04CB)
비타민 A 농축액은 지방 흡수 검사에 사용된다.[1]
3. 1. 비타민 A 농축액 (V04CB01)
비타민 A 농축액은 지방 흡수 검사에 사용된다.[1]4. 담관 개방성 진단 시약 (V04CC)
소르비톨, 황산 마그네슘, 신칼라이드, 세룰레티드는 담관 개방성을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시약이다.[1]
4. 1. 소르비톨 (V04CC01)
소르비톨은 담관 개방성 검사에 사용된다.[1]4. 2. 황산마그네슘 (V04CC02)
황산마그네슘은 담관 개방성 검사에 사용된다.4. 3. 신칼라이드 (V04CC03)
신칼라이드[1]4. 4. 세룰레인 (V04CC04)
세룰레티드는 콜레시스토키닌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펩타이드로, 위, 쓸개, 이자의 분비를 촉진한다. 이자의 기능을 평가하거나 방사선 촬영에서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복통, 구역, 구토 등이 있다.5. 뇌하수체 기능 진단 시약 (V04CD)
뇌하수체 기능 평가에 사용되는 시약에는 메티라폰, 세르모렐린, 코르티코렐린, 소마토렐린, 마키모렐린이 있다.[1]
5. 1. 메티라폰 (V04CD01)
메티라폰은 부신겉질기능저하증 진단에 사용되는 약물이다.5. 2. 세르모렐린 (V04CD03)
세르모렐린[1]5. 3. 코르티코렐린 (V04CD04)
코르티코렐린[1]5. 4. 소마토렐린 (V04CD05)
소마토렐린은 ATC 코드 V04CD05로 분류된다.6. 간 기능 진단 시약 (V04CE)
간 기능 진단 시약은 간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들이다. 여기에는 갈락토스, 설포브로모프탈레인, 메타세틴 (13C) 등이 있다.[1]
6. 1. 갈락토스 (V04CE01)
갈락토스는 간 기능 검사에 사용된다.[1]6. 2. 설포브로모프탈레인 (V04CE02)
설포브로모프탈레인[1]7. 결핵 진단 시약 (V04CF)
V04CF 결핵 진단 시약은 결핵 진단에 사용되는 시약들이다. V04CF01 투베르쿨린은 결핵균 배양액에서 추출한 항원 단백질이다.
코드 | 이름 |
---|---|
V04CF01 | 투베르쿨린 |
7. 1. 투베르쿨린 (V04CF01)
Tuberculin|투베르쿨린영어은 결핵균 배양액에서 추출한 항원 단백질로, 결핵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8. 위액 분비 진단 시약 (V04CG)
위액 분비 진단 시약은 위산 분비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종류에는 양이온 교환 수지, 베타졸, 히스타민 인산염, 펜타가스트린, 메틸티오닌 염화물, 카페인 및 벤조산 나트륨 등이 있다.[1]
8. 1. 양이온 교환 수지 (V04CG01)
양이온 교환 수지[1]8. 2. 베타졸 (V04CG02)
베타졸[1]8. 3. 히스타민 인산염 (V04CG03)
히스타민 인산염은 위산 분비 능력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 시약이다.8. 4. 펜타가스트린 (V04CG04)
펜타가스트린[1]8. 5. 메틸티오닌 염화물 (V04CG05)
메틸티오닌 염화물은 위산 분비 검사에 사용되는 진단 시약이다.[1]8. 6. 카페인 및 벤조산 나트륨 (V04CG30)
Caffeine|카페인영어 및 벤조산 나트륨 혼합물은 위산 분비 검사에 사용된다.[1]9. 신장 기능 진단 시약 (V04CH)
이눌린 및 기타 폴리프룩토산, 인디고 카민, 페놀설폰프탈레인, 알삭티드, 아미노히푸르산 등은 신장 기능 진단 시약으로 사용된다.[1]
9. 1. 이눌린 및 기타 폴리프룩토산 (V04CH01)
이눌린 및 기타 폴리프룩토산은 신장 기능을 검사하는 데 사용된다.[1] 특히 사구체 여과율(GFR) 측정에 이용된다.[1]9. 2. 인디고 카민 (V04CH02)
인디고 카민은 ATC 코드 V04CH02에 해당하는 진단 시약이다.9. 3. 페놀설폰프탈레인 (V04CH03)
페놀설폰프탈레인은 신장 기능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용 의약품이다. 주로 페놀설폰프탈레인을 이용한 신장 기능 검사(PSP 검사 등)에 사용된다.9. 4. 알삭티드 (V04CH04)
알삭티드는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ACTH)의 합성 유도체이다. 알삭티드는 부신 피질을 자극하여 코르티솔, 코르티코스테론, 알도스테론과 같은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1]9. 5. 아미노히푸르산 (V04CH30)
아미노히푸르산10. 갑상선 기능 진단 시약 (V04CJ)
갑상선 기능 진단 시약은 갑상선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갑상선자극호르몬과 프로티렐린이 있다.
10. 1. 갑상선자극호르몬 (V04CJ01)
갑상선자극호르몬10. 2. 프로티렐린 (V04CJ02)
프로티렐린은 갑상선 기능 검사에 사용되는 진단용 의약품이다.11. 췌장 기능 진단 시약 (V04CK)
췌장 기능 진단 시약(V04CK)은 췌장의 외분비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시약에는 세크레틴, 판크레오자이민(콜레시스토키닌), 벤티로마이드 등이 있다.
11. 1. 세크레틴 (V04CK01)
세크레틴[1]11. 2. 판크레오자이민 (V04CK02)
판크레오자이민(콜레시스토키닌)11. 3. 벤티로마이드 (V04CK03)
벤티로마이드는 췌장 기능 검사에 사용되는 물질이다.12. 알레르기 질환 진단 시약 (V04CL)
13. 유방염 진단 시약 (QV04CQ)
Diagnostic agents for mastitis영어는 유방염 진단 시약이다.
14. 호흡 기능 진단 시약 (QV04CV)
14. 1. 로벨린 (QV04CV01)
Lobeline|로벨린영어은 호흡 자극제로 사용되는 알칼로이드이다.[1]15. 생식 장애 진단 시약 (V04CM)
고나도렐린은 생식 기능 장애 진단에 사용되는 시약이다.[1]
15. 1. 고나도렐린 (V04CM01)
Gonadorelin영어 (고나도렐린)[1]16. 기타 진단 시약 (V04CX)
ATC 코드 V04CX는 위에 분류되지 않은 기타 진단 시약들을 포함한다.
코드 | 이름 |
---|---|
V04CX01 | 인도시아닌 그린 |
V04CX02 | 엽산 |
V04CX03 | 메타콜린 |
V04CX04 | 만니톨 |
V04CX05 | 13C-요소 |
V04CX06 | 헥사미노레불리네이트 |
V04CX07 | 에드로포늄 |
V04CX08 | 일산화 탄소 |
V04CX09 | 특허 블루 |
V04CX10 | 파폴라시아닌 |
V04CX11 | 염화 리튬 |
16. 1. 인도시아닌 그린 (V04CX01)
인도시아닌 그린은 진단용 의약품으로, ATC 코드 V04CX01에 해당한다.16. 2. 엽산 (V04CX02)
엽산은 엽산 결핍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엽산 결핍은 적혈구 크기가 커지는 거대적혈모구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엽산 결핍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를 통해 엽산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16. 3. 메타콜린 (V04CX03)
Methacholine|메타콜린영어은 무스카린 수용체 작용제이며, 기관지 수축 유발 검사에 사용되어 기관지 과민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1]16. 4. 만니톨 (V04CX04)
Mannitol|만니톨영어은 삼투압 이뇨 검사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만니톨을 이용한 삼투압 이뇨 검사는 신장의 기능, 특히 사구체의 여과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검사를 통해 신부전과 같은 신장 질환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16. 5. 13C-요소 (V04CX05)
Carbon-13|탄소-13영어-요소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을 진단하기 위한 호흡 검사에 사용된다. 13C-요소 호기 검사는 환자가 13C-요소를 복용한 후 내쉬는 숨에서 13CO2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빠르고 정확하게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16. 6. 헥사미노레불리네이트 (V04CX06)
헥사미노레불리네이트는 광역동 진단(PDD)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광역동 진단은 특정 파장의 빛을 쬐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헥사미노레불리네이트는 체내에서 프로토포르피린 IX(PpIX)로 대사되며, PpIX는 암세포에 더 많이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이후 푸른 빛을 쬐면 PpIX가 붉은 형광을 발하여 암세포를 정상 세포와 구별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헥사미노레불리네이트는 특히 방광암 진단에 활용된다.16. 7. 에드로포늄 (V04CX07)
에드로포늄은 중증 근무력증 진단에 사용되는 약물이다.[1]16. 8. 일산화탄소 (V04CX08)
일산화 탄소는 폐 확산능 검사에 사용된다. 폐 확산능 검사는 폐포에서 혈액으로 가스가 얼마나 잘 이동하는지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이 검사를 통해 폐기종이나 폐섬유증과 같은 폐 질환을 진단하거나, 질병의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1]16. 9. 특허 블루 (V04CX09)
특허 블루는 림프관 조영술에 사용되는 색소이다. 림프관에 주입되어 림프관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림프절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16. 10. 파폴라시아닌 (V04CX10)
파폴라시아닌은 형광 영상 유도 수술에 사용되는 진단 시약이다.16. 11. 염화리튬 (V04CX11)
Lithium chloride영어(염화리튬)은 심박출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염화리튬을 정맥 주사한 후, 말초 동맥에서 리튬 이온 농도를 측정하여 심박출량을 계산한다. 이 방법은 최소 침습적이며,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여 중환자 치료 및 수술 중 환자 감시에 유용하다.[1]참조
[1]
웹인용
ATC Index
http://www.whocc.no/[...]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2]
웹인용
ATCvet Index
http://www.whocc.no/[...]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