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TH-81 한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TH-81 한산도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훈련함이다. 2018년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으며, 길이 142m, 4,500t급으로 최대 속력 24kts, 항속 거리 12,000km 이상이다. 4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거주 공간과 3개의 강의실, 실습실을 갖췄다. 한산도라는 이름은 임진왜란 시 삼도수군통제영이 위치하고 한산도 해전이 벌어진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의 한산도에서 유래했다. 76mm 함포, 40mm 함포 및 MASS 기만 발사기를 탑재하며, 헬기 착륙장과 병원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군 함정 - PC-701 백두산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 PC-701 백두산함은 미국 상선학교 훈련함을 인수하여 명명되었으며, 인천 상륙 작전 지원, 대한해협 해전 참전 등의 활약을 펼친 후 퇴역했고, 돛대는 해군사관학교에 보존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해군 함정 - PCE-56 당포
    PCE-56 당포는 대한민국 해군이 미국에서 인수한 호위함으로, 대간첩 작전 지원, 항로 및 어로 보호, 해상 경비 임무를 수행하다 1967년 북한의 공격으로 침몰하여 남북 관계에 긴장을 초래했다.
  • 2018년 선박 - 에버 기븐
    에버 기븐은 이마바리 조선에서 건조되어 20,124TEU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으로, 2021년 수에즈 운하에서 좌초되어 운하를 막는 사고를 일으킨 바 있다.
  • 2018년 선박 - 아카데믹 로모노소프
    아카데믹 로모노소프는 2007년에 건조되어 2019년에 가동된 러시아의 부유식 원자력 발전소이며, KLT-40S 원자로 2기를 탑재하여 전력 생산, 열 공급, 해수 담수화 기능을 수행한다.
ATH-81 한산도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ATH-81 한산도
ATH-81 한산도
함종훈련함
병원선
기공미상
진수2018년 11월 16일
취역2021년 4월 5일
상태현역
소속대한민국 해군
페넌트 번호ATH-81
함명 유래한산도
제원
배수량만재:
추진 방식디젤 엔진
전기 모터
2축 추진
승조원150명
추가 인원400명 이상
기타 시설강의실
진료실
수술실
병상
무장
함포1 x OTO Melara 76 mm
1 x 보포스 40mm
전자전 장비MASS 기만기 발사대
항공 시설
탑재 공간헬기 격납고
헬기 착륙 갑판
건조 정보
제작사현대중공업, 울산

2. 역사

대한민국 해군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가 전용 훈련함을 보유함에 따라, 대한민국 최초의 전용 훈련함을 2018년 11월 16일 현대중공업에서 진수했다.[3]

길이 142m, 4500ton급으로 최대 속력은 24노트(kts)이다. 순항 속력 18노트(kts)로 약 11265.38km 이상을 항해할 수 있다. 400여 명 이상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과 200명 수용 가능한 대형 강의실을 포함한 3개의 강의실, 조함·기관 등의 실습실을 갖추고 있다. 2022년에 처음으로 순항훈련에 참가했다.[3]

2. 1. 함명 제정

해군은 임진왜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영이 위치했고, 한산도 해전의 배경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함명을 한산도함으로 정했다.[1] 한산도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의 주도(主島)로, 임진왜란 때 첫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세계 4대 해전이자 임진왜란 3대첩으로 꼽히는 한산도 해전이 이 섬 인근에서 벌어졌으며, 한산도 해전을 계기로 조선 수군남해의 제해권을 장악했다.[1]

3. 설계 및 특징

미국 해군 병원선인 배수량 7만톤 USS 머시(T-AH 19)


ATH-81 한산도함은 길이 142m, 폭 25m로 헬기 착륙장이 있어 헬기 1대를 탑재할 수 있다. OTO 76mm 함포, 40mm 함포 및 MASS 기만 발사기를 탑재한다. 만재 배수량은 약 4,300톤이며, 승무원은 150명이다. 2축 하이브리드 디젤 및 전기 엔진으로 운용되며, 속도는 24노트, 항속 거리는 6,479해리이다.[1]

3. 1. 병원선 기능

한산도함은 국내 군함 중 최대 규모의 의무실과 병상을 갖췄다. 독도함의 1.8배에 달하는 의무실이 설치되었으며, 중환자 처치를 위한 대수술실 1실을 포함하여 수술실 3개실을 갖추고 있다. 평상시에는 진료실과 수술실은 강의실로, 60실 규모(중환자실, 일반병실 구분)의 병실은 실습생 침실로 사용된다.[1] 한산도함은 병원선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4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과 수술실, 강연실, 진료소 및 병상을 갖추고 있다.[2]

미국 해군은 USS 머시(T-AH 19)과 USS 콤포트(T-AH 20) 등 2척의 병원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병원선들은 비전쟁군사작전(MOOTW)을 상징하는 전력으로 활용된다. 화물선이나 여객선을 개조해 만든 병원선은 바다에 떠다니는 종합병원과 같다. 머시함과 콤포트함은 7만t급으로 병상은 1000개, 수술실은 12개를 갖추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OKN (Modern South Korean Navy) https://www.naval-en[...] 2020-11-20
[2] 웹사이트 ROK Navy took delivery of first-ever dedicated training ship https://www.navalnew[...] 2020-10-27
[3] 웹사이트 "[해군교육사] '해군 최초 훈련함' 한산도함 교육 현장 배치" https://kookbang.d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