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S 방가반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NS 방가반두는 방글라데시 해군이 배타적 경제 수역 경비를 위해 획득한 호위함으로, 대한민국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이 설계하고 건조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호위함 획득을 추진하여, 1996년 대우조선해양의 안을 채택, 1999년 기공, 2001년 취역했다. 정치적 논란으로 인해 2002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가, 2007년 "할리드 빈 왈리드"로 재취역, 2009년 현재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울산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한 DW-2000H 설계를 채택했으며, 함재기 운용이 가능하다. 주요 무장으로는 오토마르 대함 미사일과 40mm 함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선박 - SS-071 이억기
SS-071 이억기는 대한민국 해군이 자체 개발한 초고장력강판으로 건조되어 외화 절감에 기여한 장보고급 잠수함으로, 장거리 단독 항해 및 림팩 훈련 참가 등 다양한 해상 훈련에 참여했다. - 2000년 선박 - 라 아미스타드
라 아미스타드 사건은 1839년 스페인 선박에서 멘데족 노예들이 일으킨 반란으로, 노예 무역 불법성, 노예 권리 옹호, 미국 노예제 폐지 운동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법적 판례를 남겼다.
BNS 방가반두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함명 | BNS 방가반두 |
함명 유래 |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
별칭 | BNS BB |
함정 경력 | |
기국 | 방글라데시 |
발주 | 1998년 |
건조 | 대우조선해양, 대한민국 |
기공 | 1999년 5월 12일 |
진수 | 2000년 8월 29일 |
취역 | 2001년 6월 20일 |
퇴역 | 2002년 2월 13일 (예비역으로 강등) |
재취역 | BNS "할리드 빈 왈리드"로 2007년 7월 13일 재취역 |
재명명 | 2009년 BNS "방가반두"로 재명명 |
모항 | 치타공 |
식별 번호 | 페넌트 번호: F 25 |
상태 | 현역 |
특징 | |
함급 | 수정된 |
배수량 | 2400-2500톤 |
길이 | 103.7m |
폭 | 12.5m |
흘수 | 3.8m |
추진 방식 | CODAD: 4 x SEMT-Pielstick 12V PA6V280 STC 디젤 엔진; 22,501마력(16.8MW); 2 x 샤프트 |
속도 | 25노트 (46km/h) |
항속 거리 | 4,000해리 (7,400km) |
승조원 | 186명 (장교 16명) |
센서 및 처리 시스템 | |
레이더 | DA08 (SPQ-501/RAWS03) E/F 대역 (S-대역) 대공 수색 레이더 LIROD Mk 2 K-대역 TWT 화력 통제 레이더 VARIANT 수상 수색 레이더 MIRADOR 광학 감시 및 추적 시스템 345형 화력 통제 레이더 (FM-90용) |
전자전 장비 | ECM: Racal Scorpion 2; 재머 기만체: 2 x 15연장 SLQ-261 어뢰 음향 대항책 2 × Super Barricade 채프 발사기 |
무장 | |
미사일 | 2 × 4 Otomat Mk 2 Block IV AShM; 1 × 8 FM-90N SAM; |
함포 | 1 × Otobreda 76 mm/62 Super Rapid;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2 × DARDO 40 mm 2연장 CIWS; |
어뢰 | 6 (2 x 3연장) x 324 mm B-515 어뢰 발사관 (Whitehead A244S 어뢰용) |
항공기 | 1 × AgustaWestland AW109 SAR 헬리콥터 |
추가 정보 | |
이전 함명 | BNS "할리드 빈 왈리드" (BNS Khalid Bin Walid) |
2. 역사
BNS 방가반두는 방글라데시의 국부인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는 일반적으로 '방가반두'(벵골의 친구)라고 불린다.[3] 이 함선은 1998년 3월에 발주되어, 1999년 5월 12일 대한민국 대우조선해양에서 기공되었다. 2000년 8월 29일에 진수되었고, 2001년 6월 20일에 취역했다.[4] 2007년에 BNS ''할리드 빈 왈리드''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취역했다가, 2009년에 BNS ''방가반두''로 개명되었다.
이후 방가반두함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수행했다.
- 2012년 11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다국적 위기 관리 훈련인 "맹렬한 매"에 참가했고, 훈련 이동 중 인도 코치 항구를 방문했다.[5]
-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해군과의 연례 양자 훈련인 협력 해상 준비 및 훈련(CARAT)에 참가했다.[6]
- 2013년 8월 29일에는 ''국가 표준''을 받았다.[7]
- 2014년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당시 벵골만에서 잔해를 찾기 위해 BNS 우마르 파루크와 함께 수색 작전에 참여했다.[8]
- 2016년 5월 31일, 사이클론 로아누로 인한 홍수와 산사태 피해자들을 위해 150톤의 구호 물품을 싣고 스리랑카 콜롬보로 출발하여 구호 활동에 참여했다. 구호 물품에는 의약품, 정수기, 식수, 텐트, 식료품, 발전기 등이 포함되었다.[9]
- 2018년 2월 22일, 제6회 ''도하 국제 해양 전시회 및 컨퍼런스(DIMDEX-2018)'' 참가를 위해 카타르로 출발, 2018년 3월 2일부터 5일까지 인도 뭄바이 항구,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스리랑카 콜롬보 항구를 친선 방문하고 3월 29일 모항인 치타공으로 귀환했다.[10][11]
2. 1. 도입 배경
방글라데시 해군은 1990년대 중반부터 배타적 경제 수역 경비를 위해 새로운 호위함 획득을 희망하여, 두 차례에 걸쳐 입찰을 실시했다. 첫 번째 입찰에서는 중국 기업이 최저가를 제시했으나 결정에 이르지 못했고, 1996년에 걸쳐 진행된 두 번째 입찰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안이 채택되었다. 아시아 통화 위기로 인해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이 악화되면서 실제로 건조가 가능한지가 문제시되었으나, 요원 훈련 등에 대해 대한민국 해군이 전면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되었다.[1] 함은 1999년 5월 12일에 기공되었고, 2000년 8월 29일에 진수되어 2001년 6월 20일 "방가반두"(''Bangabandhu''; F-25)로 취역했다.[1]2. 2. 건조 및 취역
''방가반두''는 방글라데시의 국부인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는 일반적으로 ''방가반두''(벵골의 친구)라고 불린다.[3] 이 함선은 1998년 3월에 발주되었다. 1999년 5월 12일 대한민국 대우조선해양에서 기공되었고, 2000년 8월 29일에 진수되었으며, 2001년 6월 20일에 취역했다.[4] 2007년에 BNS ''할리드 빈 왈리드''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취역했다가, 2009년에 BNS ''방가반두''로 개명되었다.방글라데시 해군은 1990년대 중반부터 배타적 경제 수역 경비를 위해 새로운 호위함 획득을 희망하여, 두 차례에 걸쳐 입찰을 실시했다. 첫 번째 입찰에서는 중국 기업이 최저가를 제시했으나 결정에 이르지 못했고, 1996년에 걸쳐 진행된 두 번째 입찰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안이 채택되었다. 아시아 통화 위기로 인해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이 악화되면서 실제로 건조가 가능한지가 문제시되었으나, 요원 훈련 등에 대해 대한민국 해군이 전면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되었다.
2. 3. 정치적 논란과 재취역
2001년 10월 1일 총선에서 당시 집권당이었던 아와미 연맹이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에 패배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이와 동시에 BNS 방가반두 함선의 조달에 많은 의혹이 제기되었는데, 가장 큰 의문점은 입찰에서 4위를 차지했던 대우조선해양이 계약을 체결하게 된 경위였다.[4] 또한 소나 덮개 파손 등 38개소에 달하는 초기 불량이 발생하여 해당 함선 조달을 둘러싼 의혹은 방글라데시 정계를 뒤흔들었고, 셰이크 하시나 전 총리와 해군 참모총장이 기소되었다. 이러한 소동으로 해당 함선은 취역 8개월 만인 2002년 2월 13일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4]그러나 예비역 기간에도 해당 함선에는 거의 정원에 달하는 요원이 배치되었고, 장비와 탄약도 충분히 갖춰져 사실상 취역 상태와 다름없었다. 2006년에는 중국산 개함 방공 미사일인 FM-90M을 추가 장비하는 개조가 이루어져 개함 방공 능력이 강화되었다. 2007년 7월 13일 해당 함선은 "할리드 빈 와리드"로 재취역했으나, 이 기간의 경위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4]
2. 4. 함명 변경 및 활약
''방가반두''는 방글라데시의 국부인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는 일반적으로 ''방가반두''(벵골의 친구)라고 불린다.[3] 이 함선은 1998년 3월에 발주되었다. 1999년 5월 12일 대한민국 대우조선해양에서 기공되었고, 2000년 8월 29일에 진수되었으며, 2001년 6월 20일에 취역했다.[4]2001년 10월 1일 총선에서 아와미 연맹이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에 패배하여 정권이 교체되면서 함선 조달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었다. 특히 입찰에서 4위를 한 대우조선해양이 계약을 체결하게 된 경위와 소나 덮개 파손 등 38개소의 초기 불량이 발생한 점이 문제가 되어 셰이크 하시나 전 총리와 해군 참모총장이 기소되었다. 이로 인해 2002년 2월 13일, 취역 8개월 만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예비역 기간에도 정원에 가까운 요원이 배치되고 장비와 탄약도 충분히 갖춰져 사실상 취역 상태와 다름없었다. 2006년에는 중국산 개함 방공 미사일인 FM-90M을 추가 장비하는 개조가 이루어졌다. 2007년 7월 13일, "할리드 빈 와리드"라는 이름으로 재취역했지만, 이 기간의 경위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
2009년에는 BNS ''방가반두''로 함명이 다시 변경되었다.
이후 2012년 11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다국적 위기 관리 훈련 "맹렬한 매"에 참가했고, 훈련 이동 중 인도 코치 항구를 방문했다.[5]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해군과의 연례 양자 훈련인 협력 해상 준비 및 훈련(CARAT)에 참가했다.[6] 2013년 8월 29일에는 ''국가 표준''을 받았다.[7]
2014년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실종 사건 당시 벵골만에서 잔해를 찾기 위해 수색 작전에 참여했다.[8]
2016년 5월 31일, 사이클론 로아누로 인한 홍수와 산사태 피해자들을 위해 150톤의 구호 물품을 싣고 스리랑카 콜롬보로 출발하여 구호 활동에 참여했다.[9]
2018년 2월 22일, 제6회 ''도하 국제 해양 전시회 및 컨퍼런스(DIMDEX-2018)'' 참가를 위해 카타르로 출발, 2018년 3월 2일부터 5일까지 인도 뭄바이 항구, 3월 22일부터 25일까지 스리랑카 콜롬보 항구를 친선 방문하고 3월 29일 모항인 치타공으로 귀환했다.[10][11]
3. 설계
BNS 방가반두는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을 기반으로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이 수출용으로 개발한 'DW-2000H형' 설계를 채택했다. 선체는 배수량 기준 200톤 더 커졌고, 평갑판형에서 중앙 선루형으로 변경하여 함내 공간을 확보했다. 선체 및 상부 구조는 경사지게 설계되어 스텔스 성능을 고려했다. 추진 기관은 CODOG 방식 대신 연비를 중시한 CODAD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원형 함은 한국 연안에서 북한의 소형 함정 및 잠수정과 교전하는 것을 상정하여 함포와 대수상 화력이 충실하고 대잠 화력도 상당한 수준인 반면, 대공 능력은 비교적 빈약했다. 이러한 경향은 방글라데시 해군의 연안 초계 요구에 부합한다. 함재기 운용에 대응한다는 점도 변경점 중 하나이다.
3. 1. 개요
본 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울산급 호위함을 바탕으로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이 수출용 호위함으로 개발한 'DW-2000H형'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선체는 배수량 기준 200톤 대형화되었으며, 선형도 평갑판형에서 중앙 선루형으로 변경하여 함내 공간을 확보했다. 선체 및 상부 구조는 경사지게 설계되어 스텔스 성능을 고려했다. 추진 기관은, 원형 함이 고속성을 중시하여 CODOG 방식을 채택한 데 반해, 연안 초계 임무를 상정한 본 함에서는 연비를 중시하여 CODAD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원형 함은 한국 연안에서 북한의 소형 함정 및 잠수정과 교전하는 것을 상정하여 함의 크기에 비해 충실한 함포 화력과 대수상 화력, 상당한 수준의 대잠 화력을 갖춘 반면, 대공 능력은 비교적 빈약했다. 이러한 경향은 본 함에서도 이어져, 연안 초계라는 방글라데시 해군의 요구에 부합한다.
또한, 원형 함과의 큰 변경점으로는 함재기 운용에 대응한다는 점이 있다. 탑재 기종으로는 아구스타 A109가 예정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나, 중국으로부터 Z-9C초계 헬리콥터를 도입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3. 2. 선체
본 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울산급 호위함을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수출용 호위함으로 개발한 ''DW-2000H형''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선체는 배수량 기준 200톤 대형화되었으며, 선형도 평갑판형에서 중앙 선루형으로 변경하여 함내 공간을 확보했다. 선체 및 상부 구조는 경사지게 설계되어 스텔스 성능을 고려했다. 추진 기관은, 원형 함이 고속성을 중시하여 CODOG 방식을 채택한 데 반해, 연안 초계 임무를 상정한 본 함에서는 연비를 중시하여 CODAD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원형 함은 한국 연안에서 북한의 소형 함정 및 잠수정과 교전하는 것을 상정하여 함의 크기에 비해 충실한 함포 화력과 대수상 화력, 상당한 수준의 대잠 화력을 갖춘 반면, 대공 능력은 비교적 빈약했다. 이러한 경향은 본 함에서도 이어져, 연안 초계라는 방글라데시 해군의 요구에 부합한다.
또한, 원형 함과의 큰 변경점으로는 함재기 운용에 대응한다는 점이 있다. 탑재기종으로는 아구스타 A109가 예정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나, 중국으로부터 Z-9C초계 헬리콥터를 도입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3. 3. 추진 체계
본 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울산급 호위함을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수출용 호위함으로 개발한 ''DW-2000H형''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 원형 함이 CODOG 방식을 채택한 데 반해, 연안 초계 임무를 상정한 본 함에서는 연비를 중시하여 추진 기관을 CODAD 방식으로 변경하였다.[1]3. 4. 무장
BNS 방가반두는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을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수출용으로 개발한 ''DW-2000H형'' 설계를 채택했다. 선체는 배수량 기준 200톤 더 커졌고, 평갑판형에서 중앙 선루형으로 변경하여 함내 공간을 확보했다. 선체 및 상부 구조는 경사지게 설계되어 스텔스 성능을 고려했다. 추진 기관은 CODOG 방식 대신 연비를 중시한 CODAD 방식으로 변경되었다.원형 함은 한국 연안에서 북한의 소형 함정 및 잠수정과 교전하는 것을 상정하여 함포와 대수상 화력이 충실하고 대잠 화력도 상당한 수준인 반면, 대공 능력은 비교적 빈약했다. 이러한 경향은 방글라데시 해군의 연안 초계 요구에 부합한다.
함재기 운용에 대응한다는 점도 변경점 중 하나이다. 탑재기종으로는 아구스타 A109가 예정되어 있다고 알려졌으나, 중국으로부터 Z-9C초계 헬리콥터를 도입했다고도 알려져 있다.
3. 4. 1. 미사일
이 함정은 사거리 180km의 오토마르 Mk 2 Block IV 대함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다.[1] 2018년 4월, 방글라데시 해군은 함정에 탑재된 2문의 40mm 패스트 포티포를 새로운 40mm 쌍열포 시스템으로 교체하기 위한 입찰을 실시했다.[2]3. 5. 함재기
본 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을 바탕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수출용 호위함으로 개발한 ''DW-2000H형'' 설계를 채택하고 있다. 원형 함과 가장 큰 차이점은 함재기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탑재 기종으로는 아구스타 A109가 예정되었으나, 중국에서 Z-9C 초계 헬리콥터를 도입했다는 정보도 있다.[1]참조
[1]
뉴스
OTOMAT MK2 BLOCK IV - MBDA
https://www.mbda-sys[...]
MBDA
2021-03-02
[2]
웹사이트
Tender Specification Replacement of 2 X 40 L 70 Naval Gun - BNS Bangabandhu
https://web.archive.[...]
DGDP
2018-04-02
[3]
Opinion
Bangladesh still far from achieving founding father's dreams
https://www.ucanews.[...]
Union of Catholic Asian News
2021-03-19
[4]
서적
Jane's Fighting Ships 2014-2015
IHS Jane's
[5]
뉴스
BNS Bangabandhu berths at Kochi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5-05-24
[6]
뉴스
US-Bangla jt exercise begins today
http://www.theindepe[...]
The Independent
2015-09-30
[7]
뉴스
PM confers National Standard to BNS Bangabandhu
http://newsworld365.[...]
NewsWorld365.com
2015-05-25
[8]
뉴스
Bangladesh sends 2 navy ships to verify MH370 wreckage claim
http://www.thedailys[...]
The Daily Star
2015-05-24
[9]
웹사이트
Bangladesh Navy's ship starts for Sri Lanka with more aid for flood victims
http://m.bdnews24.co[...]
2016-06-01
[10]
웹사이트
BNS Bangabandhu sails for Doha
https://web.archive.[...]
The Bangladesh Post
2018-02-22
[11]
웹사이트
কাতারে অনুষ্ঠিত আন্তর্জাতিক সমুদ্র মহড়া ও প্রদর্শনীতে অংশগ্রহণ শেষে দেশে ফিরেছে নৌবাহিনী যুদ্ধজাহাজ ‘বঙ্গবন্ধু’
https://www.ispr.gov[...]
ISPR
2019-03-21
[12]
웹사이트
BNS Bangabandhu Frigat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5-10-14
[13]
웹사이트
Bangladesh military procurement on target
http://www.upi.com/B[...]
UPI通信
2015-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