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ANN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특징
- 3. 분류
- 3.1. 디아페로트리테스 (Diapherotrites)
- 3.2. 파르바르키오타 (Parvarchaeota)
- 3.3. 마이크로아르키오타 (Micrarchaeota)
- 3.4. 워서키오타 (Woesearchaeota)
- 3.5. 페이스아키오타 (Pacearchaeota)
- 3.6. 에니그마르키오타 (Aenigmarchaeota)
- 3.7. 나노할로아르키오타 (Nanohaloarchaeota)
- 3.8. 나노아르키오타 (Nanoarchaeota)
- 3.9. 알트아르케오타 (Altarchaeota)
- 3.10. 이아인아르케오타 (Iainarchaeota)
- 3.11. 웁딘아르케오타 (Undinarchaeota)
- 3.12. 후버아르케오타 (Huberarchaeota)
- 3.13. 마마르케오타 (Mamarchaeota)
- 3.14. 비안나마트아르케올레스 (Wiannamattarchaeales)
- 4. 계통 분류
- 참조
1. 개요
DPANN군은 크기가 작고 제한적인 대사 능력을 가진 고세균 집단으로, 다른 유기체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극한 환경이나 퇴적물에서 발견되며, 디아페로트리테스, 파르바르키오타, 워서키오타, 에니그마르키오타, 나노할로아르키오타, 나노아르키오타 등을 포함한 여러 문으로 분류된다. DPANN군의 계통 분류는 연구에 따라 고세균의 초기 분기군이거나 에우리고세균 내의 다계통군으로 나타나며, 알티고세균의 포함 여부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생물학 - GFAJ-1
GFAJ-1은 고농도 비소 환경에서 생장하며 비소를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다는 논란이 있었던 박테리아이다. - 미생물학 - 발효
발효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젖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며, 식품 보존, 발효식품 제조,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는 이화 작용이다. - 고균 - 메탈로스파에라속
메탈로스파에라속은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고세균의 한 속으로, 16S rRNA와 53개 마커 단백질을 이용한 계통 분류가 이루어지며, 유해 금속 처리 활용 가능성이 연구된다. - 고균 - 스튀기올로부스속
스튀기올로부스속은 혐기성, 극호열성, 극산성 환경에 서식하는 고세균 속으로, 바이러스 감염 연구, 특히 루디바이러스와 CRISPR 항바이러스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연구를 통해 생명체의 방어 기작 연구에 기여하며, 과학 서적과 세균 분류 체계 연구에서도 다루어진다.
DPANN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분류 | |
역 | 고균 |
상문 | DPANN 상문 |
하위 분류 | 아이니그마고세균 (Aenigmarchaeota) 알티고세균 (Altiarchaeota) 후베르고세균 (Huberarchaeota) 디아페로트리테스 (Diapherotrites, Iainarchaeota) 미크르고세균 (Micrarchaeota) 마이크로칼도타 (Microcaldota) 나노브델로타 (Nanobdellota, Nanoarchaeota) 나노할로아르카에오타 (Nanohaloarchaeota, Nanohalarchaeota) 운딘고세균 (Undinarchaeota) |
명명 | |
명명자 | Rinke et al., 2013 |
유효하게 발표된 이름 | Nanobdellati (괴커, 오렌, 2024) |
추가 정보 | |
특징 | 다양한 환경 및 대사 특징을 보이는 고균 분류군을 그룹화함 |
2. 특징
DPANN군은 다른 고세균에 비해 크기가 작고(나노미터 크기), 작은 유전체에 맞춰 자유로운 생활을 영위하기에 충분하지만 제한적인 이화작용 능력을 가지고 있다. 많은 경우, 다른 유기체와의 공생 또는 기생 관계에 의존하는 에피심비온트로 여겨진다. DPANN군의 많은 특징은 초소형 세균 (CPR 그룹)의 특징과 유사하다.[4]
다음은 고세균의 계통 분류이다.[41][42][43]
제한적인 대사 능력은 작은 유전체의 산물이며, 많은 DPANN군이 뉴클레오타이드, 아미노산, 지질에 대한 중심 생합성 경로가 부족하다는 사실에 반영된다. 따라서 ARMAN 고세균과 같은 대부분의 DPANN 고세균은 생물학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른 미생물에 의존한다. 그러나 자유롭게 살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종들은 발효를 하고 호기성 종속영양생물이다.[4]
대부분 혐기성 생물이며 배양되지 않았다. 이들은 고온, 고산성, 고염성 또는 금속 저항성과 같은 극한 환경이나 해양 및 호수 퇴적물의 온화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육지나 망망대해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4]
3. 분류
DPANN군은 운딘고세균, 후베르고세균, 아이니그므고세균, 나노호염고세균, 나노고세균, 알티고세균, 디아페로트리테스, 미크르고세균, 프로테오고세균을 포함한다.
DPANN군에 속하는 소분류군은 다음과 같다.3. 1. 디아페로트리테스 (Diapherotrites)
"디아페로트리테스"(Diapherotrites)는 미국의 버려진 금 광산 지하수 여과를 통해 얻은 게놈의 계통 발생학적 분석을 통해 발견된 DPANN군에 속하는 한 문(門)이다.[8][9]
1999년, 메이진 해산 수심 1330m에 있는 블랙 스모커에서 처음 보고되었다.[30] 지금까지 몇 개의 샘플이 보고되었지만, 모두 순수 배양에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Candidatus' Iainarchaeum andersonii"라고 불리는 균주에 대해 게놈의 대부분이 분석되었다.[31]
3. 2. 파르바르키오타 (Parvarchaeota)
2006년에 강산성 배수에서 발견되었다.[32] 알칼리 온천에서도 발견되고 있다.[33] "'Ca.' Parvarchaeum acidiphilum", "'Ca.' P. acidophilus"의 게놈 크기는 각각 801kbp, 921kbp이다.[34] 이들은 테르모플라스마목 고세균에 부착하여 생육한다고 생각된다.
3. 3. 마이크로아르키오타 (Micrarchaeota)
ARMAN(Archaeal Richmond Mine acidophilic nanoorganisms, 고세균 리치몬드 광산 산성 선호 나노생물)은 이전에 파르바르키오타와 함께 불리던 이름이다. "'Ca.' Micrarchaeum acidiphilum"은 길이 200nm × 폭 60nm, 체적 0.009µm3~0.04µm3이며[35], 게놈 크기는 999kbp이다. 파르바르키오타와 마찬가지로 테르모플라스마목 고세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3. 4. 워서키오타 (Woesearchaeota)
대수층과 호수의 퇴적물과 표면수에서 모두 확인되었으며, 특히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풍부하다.[4][13]
3. 5. 페이스아키오타 (Pacearchaeota)
대수층과 호수의 퇴적물 및 표면수에서 모두 확인되었으며, 특히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 많이 발견된다.[4][13]
3. 6. 에니그마르키오타 (Aenigmarchaeota)
에니그마르키오타(Aenigmarchaeota)는 광산의 폐수와 온천의 퇴적물에서 발견되었다.[14] 심해 열수 분출공에 존재하는 계통으로 "'Ca.' Aenigmarchaeum subterraneum"이라고 불리는 균주 등은 게놈의 일부가 해독되었다. DHVE3, DUSEL2, 104A5 등으로 불리는 계통도 여기에 속한다.
3. 7. 나노할로아르키오타 (Nanohaloarchaeota)
나노호염고세균은 염도가 높은 환경에 분포한다.[15] 분포는 매우 광범위하다. 고도호염균보다 세포 및 게놈 크기가 작다. "'Ca.' Nanosalina sp." J07AB43(), "'Ca.' Nanosalinarum sp." J07AB56()[37]의 2계통에 대해 전체 게놈이 해독되었다. 평균 크기는 0.6μm 정도이다.[37]
3. 8. 나노아르키오타 (Nanoarchaeota)
2002년 아이슬란드 해안 근처의 열수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다른 고세균과 공생하며 산다.[16][17] 2002년에 발견된 ''Ignicoccus hospitalis''에 기생하는 고세균 "''Ca.'' Nanoarchaeum equitans"에 대해 제안되었다. 이 외에 설포로부스목 고세균에 기생하는 "'Ca.' Nanobsidianus stetteri" Nst1 등이 알려져 있다. 세포 크기는 "N. equitans"가 400 nm, 게놈 크기는 각각 499 kbp("N. equitans")[38], 593 kbp("N. stetteri")[39]로 매우 작으며, "N. equitans"의 게놈 크기는 고세균 최소이다.
3. 9. 알트아르케오타 (Altarchaeota)
Altarchaeotala는 DPANN군에 속하는 고세균의 계통군 중 하나이다. 파르바르키오타(Parvarchaeota)와 마이크로아르키오타(Micrarchaeota)는 2006년 미국 광산의 산성 광산 배수(acidic mine drainage)에서 발견되었다.[10][11][12]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으며 임시로 ARMAN(Archaeal Richmond Mine acidophilic nanoorganisms, 고세균 리치몬드 광산 산성 선호 나노생물)으로 불린다.
3. 10. 이아인아르케오타 (Iainarchaeota)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이아인아르케오타 (Iainarchaeota)'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한다.
3. 11. 웁딘아르케오타 (Undinarchaeota)
Undinarchaeota영어는 DPANN군에 속하는 고세균 계통군 중 하나이다.[41][42][43]
3. 12. 후버아르케오타 (Huberarchaeota)
DPANN군에 속하는 소분류군이다. 후베르고세균, 아이니그므고세균, 나노호염고세균, 나노고세균을 포함하고 있다.[41][42][43]
3. 13. 마마르케오타 (Mamarchaeota)
마마르케오타(Mamarchaeota)는 DPANN군에 속하는 고세균 분류군의 하나이다. 아래는 마마르케오타에 대한 정보를 나열한 것이다.3. 14. 비안나마트아르케올레스 (Wiannamattarchaeales)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비안나마트아르케올레스 (Wiannamattarchaeales)'에 대한 정보가 없어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4. 계통 분류
톰 A. 윌리엄스 외 2017, 카스텔 외 2015 및 돔브로프스키 외 2020 | 조던 외 2017, 캐벌리어-스미스 2020 및 펑 외 2021 |
---|---|
style="vertical-align:top" | | style="vertical-align:top" | |
참조
[1]
논문
Major New Microbial Groups Expand Diversity and Alter our Understanding of the Tree of Life
[2]
논문
Valid publication of names of two domains and seven kingdoms of prokaryotes
https://www.research[...]
2024-01-22
[3]
논문
Insights into the phylogeny and coding potential of microbial dark matter
https://cloudfront.e[...]
2013-07
[4]
논문
Genomic expansion of domain archaea highlights roles for organisms from new phyla in anaerobic carbon cycling
2015-03
[5]
논문
Genomic exploration of the diversity, ecology, and evolution of the archaeal domain of life
2017-08
[6]
논문
Assessing biosynthetic potential of agricultural groundwater through metagenomic sequencing: A diverse anammox community dominates nitrate-rich groundwater
2017-04-06
[7]
논문
Valid publication of names of two domains and seven kingdoms of prokaryotes
https://www.research[...]
2024-01-22
[8]
웹사이트
Genomes Online Database
http://genomesonline[...]
[9]
논문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ecology of a novel, ultra-small archaeon
2009-02
[10]
논문
Lineages of acidophilic archaea revealed by community genomic analysis
2006-12
[11]
논문
Metatranscriptomic analysis of microbes in an Oceanfront deep-subsurface hot spring reveals novel small RNAs and type-specific tRNA degradation
2012-02
[12]
논문
Enigmatic, ultrasmall, uncultivated Archaea
2010-05
[13]
논문
High occurrence of Pacearchaeota and Woesearchaeota (Archaea superphylum DPANN) in the surface waters of oligotrophic high-altitude lakes
2016-04
[14]
논문
Archaeal diversity in waters from deep South African gold mines
2001-12
[15]
논문
De novo metagenomic assembly reveals abundant novel major lineage of Archaea in hypersaline microbial communities
2012-01
[16]
논문
The genome of ''Nanoarchaeum equitans'': insights into early archaeal evolution and derived parasitism
2003-10
[17]
논문
Insights into archaeal evolution and symbiosis from the genomes of a nanoarchaeon and its inferred crenarchaeal host from Obsidian Pool, Yellowstone National Park.
2013-12
[18]
간행물
The Evolutionary Origins of Extreme Halophilic Archaeal Lineages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21
[19]
논문
Integrative modeling of gene and genome evolution roots the archaeal tree of life
2017-06
[20]
논문
Undinarchaeota illuminate DPANN phylogeny and the impact of gene transfer on archaeal evolution
2020-08
[21]
간행물
Genomic diversity, lifestyles and evolutionary origins of DPANN archaea
https://academic.oup[...]
Nature
2019
[22]
간행물
Culture Independent Genomic Comparisons Reveal Environmental Adaptations for Altiarchaeales
https://www.ncbi.nlm[...]
Frontiers
2017
[23]
논문
Multidomain ribosomal protein trees and the planctobacterial origin of neomura (Eukaryotes, archaebacteria)
[24]
웹사이트
Parvarchaeota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21-06-27
[25]
웹사이트
Parvarchaeota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taxonomy database
2021-03-20
[26]
웹사이트
GTDB release 09-RS220
https://gtdb.ecogeno[...]
2024-05-10
[27]
웹사이트
ar53_r220.sp_label
https://data.gtdb.ec[...]
2024-05-10
[28]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4-05-10
[29]
논문
Rooting the Domain archaea by phylogenomic analysis supports the foundation of the new kingdom proteoarchaeota.
[30]
간행물
Genetic diversity of Archaea in deep-sea hydrothermal vent environments.
[31]
웹사이트
http://genomesonline[...]
[32]
간행물
Lineages of acidophilic archaea revealed by community genomic analysis
[33]
간행물
Metatranscriptomic analysis of microbes in an ocean-front deep subsurface hot spring reveals novel small RNAs and type-specific tRNA degradation.
[34]
간행물
Enigmatic, ultrasmall, uncultivated Archaea
[35]
간행물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ecology of a novel, ultra-small archaeon
[36]
논문
Archaeal diversity in waters fromdeep south african gold mines
2001
[37]
논문
De novo metagenomic assembly reveals abundant novel major lineage of Archaea in hypersaline microbial communities
2012
[38]
논문
The genome of Nanoarchaeum equitans: insights into early archaeal evolution and derived parasitism
2003
[39]
논문
Insights into archaeal evolution and symbiosis from the genomes of a nanoarchaeon and its inferred crenarchaeal host from Obsidian Pool, Yellowstone National Park
2013
[40]
저널
Insights into the phylogeny and coding potential of microbial dark matter
https://cloudfront.e[...]
2013-07
[41]
웹인용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1-12-06
[42]
웹인용
ar53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43]
웹인용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1-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