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HSL 자위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SL 자위트는 1973년 네덜란드 고속선 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1988년에 착공된 고속철도 노선이다.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연결하며, 스키폴 공항을 경유하여 브레다를 거쳐 벨기에 HSL 4와 연결된다. NS, KLM의 합작 회사인 하이 스피드 얼라이언스(HSA)가 운영하며, 탈리스, 유로스타, 인터시티 다이렉트 등의 열차가 운행한다. V250 열차의 기술적 문제와 2022년 육교 균열 발견으로 인해 속도 제한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철도 노선 - 알멜로-잘츠베르겐선
    알멜로-잘츠베르겐선은 네덜란드와 독일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양국 간의 교류 증진에 기여했으며, 복선화 및 전철화, 그리고 알멜로 시내 구간 지하화 공사를 거쳐 현재 네덜란드 철도청에서 다양한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 20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은 강서구 개화역에서 강동구 중앙보훈병원역을 잇는 노선으로, 2009년 1단계 개통 후 순차적인 연장을 거쳐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급행 및 일반 열차를 운영하고 수도권 전철 통합요금제를 적용하고 있다.
  • 200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9년 개통하여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TGV - KTX (차량)
    KTX-I는 프랑스 TGV Réseau를 기반으로 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으로, 알스톰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일부는 프랑스에서, 일부는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최고 시속 305km로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등에서 운행되고, 초기에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개선을 통해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 TGV - 유로스타
    유로스타는 영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를 연결하는 국제 고속철도 서비스로, 영불 해저터널을 통과하며 다양한 노선과 높은 정시 운행률을 제공하고 서비스 개선과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한다.
HSL 자위트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HSL 자위트 (호헤스넬헤이트스레인 자위트)
원어 이름Hogesnelheidslijn Zuid (네덜란드어)
영어 이름South high-speed line (남부 고속선)
HSL-Zuid 노선
HSL-Zuid 노선도
HSL-Zuid 노선도 다이어그램
HSL-Zuid 노선도
일반 정보
위치노르트홀란트주, 자위트홀란트주, 노르트브라반트주, 네덜란드
개통일2009년 9월 7일
소유주ProRail
운영자네덜란드 철도
NS International
탈리스
유로스타
궤간표준궤 ()
전철화 방식가공 전차선
노선 길이125 km
최고 속도300 km/h
신호 시스템ETCS 레벨 2, ETCS 레벨 1 (백업)

2. 역사

1973년 덴 윌 내각에서 네덜란드 고속선 계획을 시작하였고, 1988년 HSL 자위트, HSL 노르드, HSL 오스트 계획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네덜란드 철도(NS)의 레일 21(Rail 21) 계획의 일부로 추진되었으나, 초대 코크 내각에서 해당 계획을 거부하면서 내용이 대폭 수정되었다.

인터시티 다이렉트 국내선 열차가 모어데이크 다리를 건너고 있다.


도르트셰 킬 아래를 지나는 HSL 자위트 철도 터널


로테르담 공항 인근을 통과하는 HSL 자위트 터널 구간


2009년 9월 7일, 암스테르담로테르담을 잇는 국내선 인터시티 다이렉트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후 2009년 12월 13일부터는 국제 고속열차인 탈리스암스테르담-파리, 암스테르담-브뤼셀 구간에서 HSL 자위트 노선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2012년 12월에는 피라(Fyra) V250 열차가 암스테르담브뤼셀 사이의 국제선 노선에 투입되었으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운행 한 달여 만인 2013년 1월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2014년에는 NS와 열차 제작사인 안살도브레다 간의 합의가 이루어졌다.

2022년에는 라이프웨터링(Leijfwetering) 인근 육교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안전 문제로 인해 해당 구간의 열차 운행 속도가 제한되었다. 2024년에는 추가적인 구조적 문제가 확인되어 속도 제한 조치가 더욱 강화되었다.

HSL 자위트 개통으로 암스테르담을 출발하는 국제선 및 국내선의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다.

구간거리소요 시간 (단축 후)소요 시간 (기존)
암스테르담 - 로테르담70km43분58분
암스테르담 - 브레다113km59분1시간 44분
암스테르담 - 앤트워프164.5km1시간 10분2시간
암스테르담 - 브뤼셀212km1시간 44분2시간 40분
암스테르담 - 파리531km3시간 13분4시간 11분



그러나 로센달에서 출발하는 경우, 브레다에서의 환승 시간을 제외하더라도 브뤼셀까지의 이동 시간은 기존 1시간 8분에서 1시간 16분(82km 구간)으로 오히려 늘어났다.

탈리스는 2009년 12월 운행 시작 당시, 노선 속도를 점진적으로 높일 계획에 따라 파리-암스테르담 구간을 3시간 45분, 브뤼셀-암스테르담 구간을 2시간 23분에 운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같은 해 6월에는 동일 구간 운행에 각각 3시간 18분과 1시간 58분이 걸렸다. 현재 파리-암스테르담 구간은 3시간 13분, 브뤼셀-암스테르담 구간은 1시간 44분이 소요된다.

3. 노선

암스테르담 중앙역에서 스히폴 공항역까지는 기존선인 웨스트탁 링스푸르반을 이용한다.

유럽의 고속철도 기술 도입 전(빨간색)과 후(파란색)의 파리와 암스테르담 간 노선


조터르메르 근처의 HSL 자위트


라허 스발루어 근처의 선로


스히폴 공항 남쪽에서 전용 고속선이 시작되며, 니우-베네프까지는 기존 철도 노선과 나란히 이어진다. 이후 동쪽으로 갈라져 라이더도르프 동쪽에서 터널로 진입하는데, 이 터널은 흐로네 하르트 지역의 자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단선 쌍굴 형태로 건설되었다.[1][2] 터널 반대쪽 끝인 조터르메르 북쪽에서 터널을 빠져나온 노선은 고가 구간과 또 다른 터널을 거쳐 로테르담 중앙역 북쪽에서 기존 노선과 다시 합류한다.[1][2] 이 구간의 최소 곡선 반경은 4250m이다.[1]

로테르담 중앙역 북쪽과 남역 사이는 지하 터널로 연결된다.[1] 로테르담 남역을 통과한 후 바렌드레흐트에서 선로가 입체 교차하며 통행 방향이 바뀐다.[1][2] 로테르담 북쪽 구간은 다른 네덜란드 철도처럼 우측 통행이지만, 남쪽 구간부터는 벨기에, 프랑스, 영국처럼 좌측 통행을 한다.[1][2]

로테르담 남쪽에서 노선은 기존선 및 베튀어루트 화물 노선과 나란히 이어지며,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터널과 교량 위주로 건설되었다.[1] 도르드레흐트를 우회하며, 이후 브레다로 향하는 지선이 분기된다.[2] 본선은 계속 남하하여 벨기에 국경까지 이어지며, 이 구간은 네덜란드에서 관리한다.[1] 국경에서 벨기에의 HSL 4 노선과 직결되어 안트베르펜 방면으로 연결된다.[1][2]

3. 1. 주요 경유지

암스테르담 중앙역에서 출발하여 스히폴 공항역을 거쳐 로테르담 중앙역까지 이어진다. 로테르담 남쪽에서는 벨기에 국경으로 연결되어 벨기에 HSL 4 노선과 직결된다.

주요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4. 운영

네덜란드 교통부는 공개 입찰을 통해 HSL 자위트의 운영사를 선정하였다. NS는 이 운영사와 협의하여 열차 시각표를 작성해야 했으며, 입찰에도 직접 참여했다. 정부는 인프라 건설에 많은 투자를 했지만, 초기 입찰에서는 운영사들이 만족할 만한 이익을 제안하지 못했다. 이후 재입찰을 통해 NS와 KLM의 합작 회사인 하이 스피드 얼라이언스(HSA)가 15년간의 운영권을 낙찰받았다.

HSA의 운영안은 NS가 단독으로 제안했던 안보다 더 엄격한 조건을 포함했다. 예를 들어, 에인트호번행 직통 열차 계획은 삭제되었다. 또한, 정부에 지불해야 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기존 NS 열차보다 높은 요금이 책정되었다. 국제 열차 노선은 독점 운영권이 없기 때문에, 탈리스 역시 HSL 자위트 노선을 운행하게 되었다. 현재 HSA가 네덜란드 국내 열차를 독점 운영하고 있지만, 향후 국제 열차가 국내선 기능을 일부 수행하도록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HSL 자위트 개통 이전, NS, KLM, NMBS/SNCB가 공동 출자한 NS 하이스피드는 피라(Fyra)라는 이름으로 고속 열차 서비스를 준비했다. 개통 전까지는 기존 객차와 임대한 TRAXX 기관차를 사용하여 암스테르담로테르담 사이를 최고 시속 160km/h로 운행했다. 고속선 개통 후 NS 하이스피드는 HSA에 편입되었고, 2010년 12월부터 도입이 지연되던 안살도브레다 V250 열차로 교체될 예정이었다. 덴하흐, 브레다, 안트베르펀, 브뤼셀 방면으로도 고속 열차 운행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안살도브레다는 V250 열차 제작을 여러 차례 지연시켰고, 도입된 차량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여 피라 서비스는 결국 폐지되었다.

2009년 9월 7일, 운영사 NS 인터내셔널은 암스테르담로테르담 간 국내 열차 서비스를 인터시티 다이렉트라는 이름으로 시작했다. 초기에는 평일에만 시간당 1편성, TRAXX 기관차와 ICR 객차를 이용해 최고 시속 160km/h로 운행했다. 이후 서비스는 점차 확대되어 2010년 4월 12일부터 주말에도 운행했고, 2010년 10월 4일부터는 시간당 2편성으로 증편되었다. 2011년 4월 3일에는 브레다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이 서비스는 2013년까지 피라였지만 현재는 인터시티 다이렉트로 불린다. 원래 더 많은 운행 횟수가 계획되었으나, V250 차량 문제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HSL 자위트는 최신 ERTMS 신호 설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열차들이 이 노선을 운행하려면 해당 장비 탑재가 필요하다. 탈리스 역시 ERTMS 준비가 되지 않아 2009년 12월 13일까지는 기존 선로를 이용했다. 이 날짜 이후 고속선 운행을 시작했지만, 초기에는 신호 장비의 한계로 최고 속도가 시속 160km/h로 제한되었다. 유로스타는 2007년 11월 HSL 자위트 운행 가능성을 검토했으나, 2009년 당시 ERTMS 장비를 갖춘 유로스타 차량이 없어 장기 계획으로 전환했다.

피라(Fyra) 폐지 이후, 네덜란드 내에서는 '''인터시티 브뤼셀'''로도 알려진 기존의 베네룩스 열차가 새로운 도색을 하고 운행을 재개했다. 이 열차는 암스테르담과 브뤼셀 미디역 사이를 운행하며, 브레다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스히폴-안트베르펜 고속선을 이용한다. 로테르담브뤼셀 사이를 매시간 운행하며, 로테르담 북쪽으로는 스히폴과 암스테르담 중앙역까지 운행한다. 2022년 1월부터 헤이그행 운행은 중단되었고, 대신 HSL 자위트를 경유하여 암스테르담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암스테르담-브레다-브뤼셀 노선의 운행 횟수는 하루 왕복 12회에서 16회로 증가했지만, 브뤼셀과 헤이그 간 이동 승객은 로테르담이나 브레다에서 환승해야 한다. 총 이동 시간은 약간 단축되었다.[5]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2025년부터 NS ICNG-B 차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유로스타(탈리스 포함)는 HSL 자위트에서 하루 여러 차례 운행하며, 최고 속도는 300km/h에 달한다. 2020년 말 영국 정부와의 협정에 따라 런던행 유로스타는 브뤼셀 미디역에서 환승 없이 직통 운행이 가능해졌다. 이전에는 영국행 승객들이 브뤼셀에서 내려 세관 검사를 받아야 했다.

현재 HSL 자위트를 운행하는 주요 열차는 다음과 같다.

'''인터시티 다이렉트 (Intercity Direct)'''

등급그림유형최고 속도 (km/h)수량운행 노선제작 연도비고
NS 186 클래스
NS 186 기관차
기관차16035[2]암스테르담 ↔ 스히폴 ↔ 로테르담 ↔ 브레다
암스테르담 ↔ 스히폴 ↔ 로테르담
헤이그 ↔ 로테르담 ↔ 브레다 ↔ 아인트호벤
2008–2009, 2014–2015
NS ICRm (Prio)
NS ICRm 객차
객차16060[3]상동1980–1988[4]
NS ICNG
NS ICNG 전동차
전동차20079암스테르담 ↔ 스히폴 ↔ 로테르담
헤이그 ↔ 로테르담 ↔ 브레다 ↔ 아인트호벤
2018-
V250
V250 전동차
전동차25019암스테르담 ↔ 스히폴 ↔ 로테르담2008–2012더 이상 운행하지 않음



'''베네룩스 열차 (인터시티 브뤼셀)'''

등급그림유형최고 속도 (km/h)수량운행 노선제작 연도비고
SNCB 28급 또는 NS 186급
SNCB 28급 기관차
기관차160-암스테르담 ↔ 스히폴 ↔ 로테르담 ↔ 브레다 ↔ 노르데르켐펜 ↔ 안트베르펜 ↔ 메헬렌 ↔ 브뤼셀 공항 ↔ 브뤼셀 북 ↔ 브뤼셀 중앙 ↔ 브뤼셀 미디-
NS ICRm (Prio)
NS ICRm 객차 (베네룩스 도색)
객차160--
NS ICNG-B
NS ICNG-B 전동차
전동차20020상동2018-2025년부터 운행 예정


  • '''베네룩스 열차 운행 역:''' 암스테르담 중앙역, 스히폴 공항역, 로테르담 중앙역, 브레다역, 노르데르켐펜역 (브레흐트), 안트베르펜 중앙역, 안트베르펜-베르켐역, 메헬렌역, 브뤼셀 국립 공항역, 브뤼셀 북역, 브뤼셀 중앙역, 브뤼셀 남역


'''유로스타 (Eurostar, 탈리스 포함)'''

등급그림유형최고 속도 (km/h)대수운행 노선제작 연도
탈리스 PBA
탈리스 PBA
전동차3009암스테르담 ↔ 스히폴 ↔ 로테르담 ↔ 안트베르펜 ↔ 브뤼셀 미디파리 북
(릴 유럽 경유 노선 포함)
1996
탈리스 PBKA
탈리스 PBKA
전동차30017상동1997
유로스타 e320
유로스타 e320
전동차32017암스테르담 ↔ 로테르담 ↔ 브뤼셀 미디 ↔ (릴 유럽) ↔ 런던 세인트 판크라스2011-2018


  • '''유로스타 주요 운행 노선:'''
  • * 하루 11회: 암스테르담 중앙역 ↔ 스히폴 ↔ 로테르담 중앙역 ↔ 안트베르펜 ↔ 브뤼셀 미디 ↔ 파리 북역
  • * 하루 4회: 암스테르담 중앙역 ↔ 로테르담 중앙역 ↔ 브뤼셀 미디 ↔ 릴 유럽 ↔ 런던 세인트 판크라스 국제역
  • * 하루 1회: 암스테르담 중앙역 ↔ 스히폴 ↔ 로테르담 중앙역 ↔ 안트베르펜 ↔ 브뤼셀 미디 ↔ 파리 CDG 공항 ↔ 마른라발레 (디즈니랜드)
  • * 겨울 계절 운행 (주 1회): 암스테르담 중앙역 ↔ 스히폴 ↔ 로테르담 중앙역 ↔ 안트베르펜 ↔ 브뤼셀 미디 ↔ 샹베리 ↔ 부르생모리스
  • * 여름 계절 운행 (주 1회): 암스테르담 중앙역 ↔ 스히폴 ↔ 로테르담 중앙역 ↔ 안트베르펜 ↔ 브뤼셀 미디 ↔ 발랑스 TGV ↔ 마르세유 생샤를

5. 운행 열차

인터시티 브뤼셀 (암스테르담 ~ 브뤼셀)2008–2009,
2014–2015인터시티 다이렉트 및 인터시티 브뤼셀 견인NS ICRm (Prio)객차16060인터시티 다이렉트 (암스테르담 ~ 브레다)
인터시티 브뤼셀 (암스테르담 ~ 브뤼셀)1980–1988NS 186 또는 벨기에 28형 기관차와 함께 운행NS ICNG전동차20079인터시티 다이렉트 (암스테르담 ~ 로테르담, 헤이그 ~ 아인트호벤)
인터시티 브뤼셀 (ICNG-B)2018–순차적으로 도입 중V250전동차25019암스테르담 ~ 브뤼셀 (피라 인터내셔널)2008–2012운행 중단 (기술적 결함)



HSL-자위트 노선 개통으로 주요 구간의 열차 소요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다. 예를 들어, 암스테르담 - 로테르담 구간은 기존 58분에서 37분으로, 암스테르담 - 브뤼셀 구간은 기존 2시간 51분에서 1시간 44분으로 줄어들었다.

6. 기술 문제

HSL 자위트 노선은 개통 초기 ETCS 레벨 2 시스템의 운영 준비 미비와 신뢰성 문제, TRAXX 기관차의 ETCS 소프트웨어 인증 지연 등으로 인해 레벨 1 시스템을 사용하며 최고 속도가 160km/h로 제한되었다.[9] 2011년 소프트웨어 인증 완료 후[10] 단계적으로 레벨 2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탈리스 열차는 최고 300km/h 운행이 가능해졌고, 궤도변 시스템과 차상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도 확보되었다.

이러한 초기 기술 문제들을 겪는 과정에서 2015년 NS의 운영권 변경으로 HSL 서비스는 국가 운영권으로 통합되었다. 새로운 광역 철도 열차 도입 전까지 임시 방편으로 TRAXX 기관차와 프리오(Prio) 객차 투입을 늘리기로 하였고, 이를 위해 NS는 2013년 12월 봄바디어에 TRAXX 기관차 19대를 추가 주문했다.[11]

6. 1. ETCS (유럽 열차 제어 시스템)

HSL 자위트 노선은 개통 초기 ETCS 레벨 1 시스템을 사용하여 남쪽의 로테르담-브레다 구간과 북쪽의 로테르담-스히폴 공항역 구간 모두 최고 속도가 160km/h로 제한되었다. 이는 ETCS 레벨 2 시스템의 운영 준비가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다양한 신뢰성 문제로 인해 레벨 2 시스템을 안정적인 상업 운행에 즉시 적용하기 어려웠다.[9] 또한, TRAXX 기관차에 탑재된 ETCS 소프트웨어가 레벨 2 운영에 대한 인증을 받지 못한 문제도 있었다.

2011년 4월, 해당 소프트웨어의 인증이 완료되었고,[10] 같은 해 5월부터 남부 구간에서 ETCS 레벨 2 운영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퓌라 서비스는 최고 속도 160km/h를 유지했지만, 탈리스 열차는 최고 속도 300km/h로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10] 2011년 9월에는 북부 구간에서도 레벨 2 운영이 시작되어 탈리스 열차가 해당 구간에서도 300km/h 운행이 가능해졌다. V250 퓌라 열차는 2011년 12월부터 시험 운행(승객 미탑승)을 시작했으며, 2012년 4월경 승객 운행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궤도변 ETCS 시스템(탈레스)과 차상 ETCS 시스템(TRAXX: 봄바디어, 탈리스 & V250: 안살도 STS) 간의 상호 운용성은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확보되었다.

6. 2. V250 열차 문제

피라 인터내셔널(Fyra International)은 V250 열차로 운행되는 암스테르담 중앙역 – 스히폴 공항 – 로테르담 중앙역 – 안트베르펜 – 브뤼셀 남역 간 국제 고속 열차 서비스였다. 그러나 V250 열차의 심각한 기술적 문제로 인해 이 서비스는 2012년 12월 8일부터 2013년 1월 17일까지 단 40일 동안만 운행된 후 중단되었고, 결국 열차는 제작사인 안살도브레다로 반환되었다.

V250 열차는 이탈리아의 안살도브레다에 주문되었으나, 도입 초기부터 문제가 발생했다. 2013년 5월 31일, 벨기에 철도 회사인 NMBS/SNCB는 V250 열차의 기술적 결함을 이유로 Fyra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주문한 열차의 인도를 거부했다.[12] 이어 2013년 6월 3일, 네덜란드 국영 철도 회사인 NS 역시 V250 프로젝트를 중단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3][14] 네덜란드 재무부는 NS의 결정을 지지하며 안살도브레다로부터 최대한의 환불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15]

이에 대해 제조사인 안살도브레다는 2013년 6월 6일 기자 회견을 열어, 눈이 오는 악천후 속에서 열차를 너무 빠른 속도(최대 상업 운행 속도 250km/h)로 운행하는 등 철도 회사 측이 열차를 부적절하게 취급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안살도브레다는 명예 훼손을 이유로 철도 회사를 고소하겠다고 위협했다.[16][17]

결국 양측은 합의에 이르렀다. 2014년 3월 17일, NS는 안살도브레다와 합의하여 보유 중이던 V250 열차 9대를 반환하고, 지불 금액보다 8800만유로 적은 1.25억유로를 환불받기로 했다. NS는 향후 해당 열차가 재판매될 경우, 차량당 최대 2100만유로의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18] 벨기에의 NMBS/SNCB 역시 2014년 5월, 안살도브레다 및 모회사인 핀메카니카와 합의하여 열차 주문을 공식적으로 취소하고, 250만유로를 지급받는 것으로 문제를 마무리했다.[19] 이로써 V250 열차는 HSL 자위트 노선에서 완전히 퇴출되었다.

6. 3. 균열 발견 및 속도 제한

2022년 10월, 라이프웨터링 인근에 위치한 자위트베흐 육교의 용접부에서 균열이 발견되었다. 이는 고무 지지 블록의 변형과 관련된 설계상의 문제로 추정된다. 해당 육교의 궤도는 수평으로 약 80cm 가량 이동한 상태였으며, 이는 2009년 건설 이후 지속적으로 관찰되어 온 현상이다. 고속으로 운행하는 열차의 하중을 육교의 파일(기초 말뚝)이 견딜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건설된 다른 9개의 육교( 호프도르프에서 기존 노선과 합류하는 지점과 8.67km 길이의 흐로네하르트 터널 북쪽 입구 사이에 위치)에 대해서도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구간에는 시속 160km의 속도 제한이 적용되었다.[20]

2024년 1월, 교량 및 육교를 포함한 9개의 구조물이 고속 열차 운행을 견딜 만큼 충분히 튼튼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속도 제한은 시속 160km에서 120km로 더욱 강화되었다.[21]

프로레일의 추가 조사 결과, 2024년 7월에는 문제가 된 10개의 육교 중 5개에 대해 속도 제한이 시속 80km까지 낮아졌다. 이는 해당 육교들이 너무 가볍게 설계되어 고속 열차 통과 시 불안정하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다.[22] 구조물의 수평 이동은 계속해서 감시되고 있으며, 10개의 구조물 모두 교체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프로레일은 관련 작업을 2026년 이전에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이로 인해 HSL 자위트 북부 구간의 열차 운행 시간은 기존 지연 시간에 더해 최대 10분, 추가로 2~3분가량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23]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열차 시간표가 변경되어, 현재 해당 노선은 시간당 5편 대신 3편의 열차만 운행하고 있다. 국제 열차는 계속 운행되지만, 소요 시간은 더 길어졌다.[21]

7. 미래

2010년 10월, 도이치반 (DB)은 채널 터널을 이용하여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을 런던과 직접 연결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구상은 런던발 열차를 도이치반의 407형 (Class 407) 국제 ICE 차량 2개로 편성하여 브뤼셀에서 분리한 후, 한 대는 프랑크푸르트로, 다른 한 대는 암스테르담으로 운행하는 방식이었다. 거의 동시에 유로스타 역시 신형 e320 열차를 사용하여 암스테르담까지 직행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이 열차는 HSL 자위트뿐만 아니라 네덜란드의 일반 철도망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도이치반의 계획은 이후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사실상 무산되었다.

8. 사진

안트베르펜 북쪽 HSL 4


HSL 자위트

참조

[1] 웹사이트 NS Hispeed launches HSL-Zuid services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9-09-07
[2] 웹사이트 Somda nieuws - Somda http://www.somda.nl/[...]
[3] 웹사이트 Materieelsamenstellingen - Somda http://www.somda.nl/[...] 2015-04-07
[4] 문서 nl:Intercityrijtuig
[5] 뉴스 Tienminutentrein vanaf 2022 op trajecten Nijmegen-Schiphol en Schiphol-Rotterdam https://www.spoorpro[...] 2020-09-01
[6] 웹사이트 Bilan de l'année 2008 : Perspectives 2009 http://www.sncf.com/[...] SNCF 2009-02-12
[7] 웹사이트 Timetables http://www.thalys.co[...]
[8] 웹사이트 Intercity Direct Toeslag https://www.ns.nl/ab[...] NS
[9] 뉴스 Fyra launch delayed again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0-07-01
[10] 웹사이트 ETCS Level 2 Compatibility Achieved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11] 웹사이트 NS bestelt 19 nieuwe Traxx-locomotieven http://www.volkskran[...] 2013-12-19
[12] 웹사이트 NMBS bevestigt: Belgische spoorwegen stoppen met Fyra http://www.hln.be/hl[...] 2013-05-31
[13] 웹사이트 NS stopt met Fyra http://www.nu.nl/bin[...] 2013-06-03
[14] 웹사이트 Ook NS ziet niets meer in Fyra http://nos.nl/artike[...] 2013-06-03
[15] 뉴스 Alternatives investigated as NS drops Fyra V250s too http://www.railwayga[...] 2013-06-11
[16] 뉴스 AnsaldoBreda feuds with Belgian, Dutch railways http://www.railwayag[...] 2013-06-10
[17] 웹사이트 V250 – Press Conference, Naples http://www.ansaldobr[...] AnsaldoBreda 2013-06-06
[18] 뉴스 NS stuurt Fyra terug naar Italië en krijgt 125 miljoen http://www.volkskran[...] 2014-03-17
[19] 웹사이트 The Belgian Railways NMBS/SNCB, AnsaldoBreda and Finmeccanica conclude V250 case http://www.finmeccan[...] 2015-03-17
[20] 뉴스 Cracked viaduct on Netherlands high speed rail sees speed restriction extended for two years https://www.newcivil[...] 2023-08-01
[21] 뉴스 Minder treinen op hsl-traject tussen Amsterdam en Rotterdam door scheurvorming https://nos.nl/artik[...] 2024-01-25
[22] 뉴스 Snelheid op HSL verder omlaag: nog maar 80 kilometer per uur bij vijf viaducten https://nos.nl/artik[...] 2024-07-09
[23] 뉴스 Speed restrictions tightened on HSL-South https://www.railjour[...] 2024-07-11
[24] 웹사이트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9-09-07
[25] 웹사이트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09-07-07
[26] 웹인용 NS Hispeed launches HSL-Zuid services http://www.railwayga[...] 2010-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