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ISS 원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ISS 원칙은 "Keep it simple, stupid"의 약자로, 단순함을 강조하는 디자인 철학이다. 이 원칙은 켈리 존슨이 록히드 스컹크 웍스에서 엔지니어들에게 전투 상황에서도 정비공이 쉽게 수리할 수 있는 제트기를 설계하도록 지시한 일화에서 유래되었다. KISS 원칙은 군사, 소프트웨어 개발, 애니메이션,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불필요한 복잡성을 피하고 효율성을 추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유사 개념으로 오컴의 면도날,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격언 등이 있으며, 골드버그 장치는 KISS 원칙에 반하는 사례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프트웨어 개발 철학 -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은 1990년대에 등장하여 개인과 상호작용,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고객과의 협력, 변화에 대한 대응을 핵심 가치로 삼고 적응형 계획과 반복적 실행을 통해 시장 출시 속도와 위험 완화를 추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 소프트웨어 개발 철학 - 유닉스 철학
    유닉스 철학은 단순성, 모듈성, 재사용성을 중시하며, 한 가지 일을 잘하는 프로그램, 협력적인 프로그램, 텍스트 스트림 처리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으로, 현대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설계에 영향을 주지만 비판도 존재한다.
  • 디자인 -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대한민국디자인대상은 디자인 산업 진흥과 디자인 경영 성과를 포상하기 위해 1999년에 제정되어 디자인 경영, 디자인 공로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디자인 - 세계 디자인 수도
    국제산업디자인단체협의회가 디자인을 통한 도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 도시를 2년마다 선정하는 세계 디자인 수도는 선정된 도시에서 국제적인 디자인 행사 및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리고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는 제도이며, 2008년 토리노를 시작으로 2026년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까지 선정되었다.
KISS 원칙

2. 유래

KISS 원칙은 록히드 스컹크 웍스의 수석 엔지니어였던 켈리 존슨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 약어는 미국 해군미국 공군을 포함한 미국 군대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다.

2. 1. 켈리 존슨과 스컹크 웍스

켈리 존슨은 록히드 마틴(록히드 U-2, SR-71 블랙버드 정찰기 등을 제작한) 록히드 스컹크 웍스의 수석 엔지니어였다.[4]

존슨은 "Keep it simple stupid"라고 쉼표 없이 썼으며, 이 표기는 많은 저자들에게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5]

이 원칙은 존슨이 설계 엔지니어 팀에게 몇 개의 도구를 건네주면서, 그들이 설계하는 제트기가 전투 상황에서 이 도구만 가지고 평균적인 정비공에 의해 현장에서 수리 가능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한 이야기로 가장 잘 설명된다. 따라서 "stupid(멍청한)"은 고장 방식과 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정교함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 말은 록히드 스컹크 웍스 기술자인 켈리 존슨(1910-1990)이 만들었다.

존슨 자신은 "simple"과 "stupid" 사이에 구두점이 없는 Keep it simple stupid.영어(단순하고 멍청하게)라고 썼다. 따라서 원래 이 말에 엔지니어를 바보 취급하는 의도는 없었다.

이 원칙의 실례로 존슨이 설계팀에게 한 줌의 공구를 건네주고, 평범한 정비병이 전투 상황에서 이 공구만 사용하여 수리할 수 있는 제트 전투기를 개발하라는 과제를 낸 일화가 있다.

2. 2. 초기 용례

"Keep it Short and Simple"이라는 변형은 1938년판 ''미니애폴리스 스타''에서 처음 나타났다.[4]

3.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KISS 원칙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KISS 원칙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하지만, 기능이 점차 복잡해지는 "야금야금 기능 추가주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0] 이는 소프트웨어 사용의 어려움, 조작 혼란, 중요 기능 파악의 어려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요구 사양 증가나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대다수 사용자가 극히 일부 기능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 부담과 개발 비용을 고려하면,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생산성이 높을 수 있다.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거장 리처드 윌리엄스는 그의 저서 ''애니메이터 생존 기술''에서 KISS 원칙을 설명한다.[11] 디즈니의 나인 올드 맨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생명의 환상''에서 이 원칙을 언급한다.[12] 초보 애니메이터들은 종종 캐릭터를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너무 많은 행동을 하게 하는 "과도한 애니메이션"을 하는 경향이 있다. 윌리엄스는 애니메이터들에게 "KISS"할 것을 강조한다.
  • 정치: 킵 잇 심플 솔루션스, 뉴브런즈윅(KISS NB)은 KISS 원칙을 당명에 사용한 캐나다 뉴브런즈윅의 군소 정당이다. 킵 잇 스트레이트 앤 심플 당도 당명에 KISS 원칙을 활용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소 정당이다.

3. 1. 군사 분야

이 원칙은 미국 해군미국 공군을 포함한 미국 군대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KISS 원칙은 존슨이 설계 엔지니어 팀에게 몇 개의 도구를 건네주면서, 그들이 설계하는 제트기가 전투 상황에서 이 도구만 가지고 평균적인 정비공에 의해 현장에서 수리 가능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한 이야기로 가장 잘 설명된다. 여기서 "stupid(멍청한)"은 고장 방식과 수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정교함의 관계를 의미한다.[5]

3. 2. 소프트웨어 개발

켈리 존슨은 록히드 마틴록히드 스컹크 웍스 수석 엔지니어로, 록히드 U-2, SR-71 블랙버드 정찰기 등을 제작하였다. 그는 설계 엔지니어 팀에게 몇 개의 도구를 주면서, 그들이 설계하는 제트기가 전투 상황에서 평균적인 정비공이 이 도구만 가지고 현장에서 수리 가능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했다. 여기서 "stupid(멍청한)"은 고장 방식과 수리에 필요한 정교함의 정도를 의미한다.

KISS 원칙은 미국 해군미국 공군을 포함한 미국 군대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사양이 점차 복잡해지는 "야금야금 기능 추가주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0]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사용법이 어려워지거나, 조작에 혼란을 겪거나, 중요한 기능을 파악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요구 사양이 높아지거나 제품 가격이 상승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대다수 사용자가 극히 일부 기능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 부담과 개발 비용을 고려하면,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친화적이고 생산성이 높을 수 있다.

3. 3.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거장 리처드 윌리엄스는 그의 저서 ''애니메이터 생존 기술''에서 KISS 원칙을 설명하고 있으며, 디즈니의 나인 올드 맨은 장르의 상당한 작품인 ''디즈니 애니메이션: 생명의 환상''에서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11][12] 초보 애니메이터들은 자신의 작품에서 "과도한 애니메이션"을 할 수 있다는 문제에 직면하는데, 즉 캐릭터가 너무 많이 움직이고 너무 많은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윌리엄스는 애니메이터들에게 "KISS"할 것을 촉구한다. 경험이 부족한 애니메이터는 종종 불필요하게 많이 움직이거나 과도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몸짓, 표정, 입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이다.

3. 4. 정치

킵 잇 심플 솔루션스, 뉴브런즈윅(KISS NB)은 KISS 원칙을 당명에 사용한 캐나다 뉴브런즈윅의 군소 정당이다. 킵 잇 스트레이트 앤 심플 당도 당명에 KISS 원칙을 활용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소 정당이다.

4. 유사 개념

KISS 원칙은 다음과 같은 유사한 미니멀리즘 개념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 오컴의 면도날
  • "단순함은 궁극의 정교함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 셰익스피어의 "간결함은 지성의 정수이다"
  •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적을수록 좋다"
  • 비야네 스트롭스트루프의 "단순한 작업은 단순하게 하라!"
  • 닥터 수스의 간결함에 대한 찬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단어를 만들어내는 작가는 독자에게 읽는 숙제를 만드는 것이다"
  • 요한 크루이프의 "축구는 매우 단순하지만 단순한 축구를 하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이다"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의 "완벽함은 더할 것이 없을 때가 아니라 뺄 것이 없을 때 도달하는 것 같다"
  • 로터스 자동차의 창립자인 콜린 채프먼은 그의 디자이너들에게 "단순화하고 가볍게 하라"고 촉구했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귀속되지만, 이는 그가 한 강연을 편집자가 의역한 것일 수 있다.[6] "모든 것을 가능한 한 단순하게 하되, 더 단순하게는 하지 마라"
  • 스티브 잡스의 "단순화, 단순화, 단순화"[7][8]는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인용구 "단순화하라, 단순화하라, 단순화하라"를 강조하기 위해 단순화한 것이다.
  • 노스코트 파킨슨은 이 아이디어를 "파킨슨의 세 번째 법칙"으로 표현했다. (1957년경): "확장은 복잡성을 의미하고 복잡성은 쇠퇴를 의미한다. 더 분명히 말하면, 더 복잡할수록 더 빨리 죽는다"


골드버그 장치와 골드버그 머신은 간단한 작업이나 문제에 대한 의도적으로 과도하게 복잡한 해결책으로, "KISS 원칙"이 아닌 해결책의 유머러스한 예이다.

5. KISS 원칙에 반하는 사례

골드버그 장치는 간단한 작업이나 문제에 대한 의도적으로 과도하게 복잡한 해결책으로, KISS 원칙에 반하는 유머러스한 예시이다.[6]

소련소유스 로켓은 단순한 설계 덕분에 신뢰성이 높아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다. 반면, "인류가 지금까지 제조한 가장 복잡한 기계" 등으로 불리는 미국제 우주왕복선부품이 250만 개나 될 정도로 복잡하여, 사고를 여러 번 일으키고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결국 우주왕복선은 5기 중 2기를 잃고, 막대한 유지보수 비용 때문에 2011년에 폐지되었다.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사양이 점차 복잡해지는 현상이 흔히 발생하는데, 이를 "야금야금 기능 추가주의"라고 부른다.[10]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지면 사용법을 익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조작이 어려워지며, 어떤 기능이 중요한지 헷갈리게 된다. 또한 하드웨어 요구 사양이 높아지거나 제품 가격이 상승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기능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사용자 부담과 개발 비용을 고려하면,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친화적이고 생산성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KISS 원칙은 한국 사회에 여러 시사점을 제시한다. 과도한 경쟁과 복잡성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순함과 효율성을 통해 사회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6. 1. 과도한 경쟁과 복잡성 문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흔히 발생하는 "야금야금 기능 추가주의"는 KISS 원칙에 반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10]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지면 사용법을 익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작이 어려워지며, 어떤 기능이 중요한지 파악하기 힘들어진다. 또한, 하드웨어 요구 사양이 높아지거나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러나 대다수 사용자는 실제로 이러한 기능 중 극히 일부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 부담과 개발 비용을 고려하면,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친화적이고 생산성이 높을 가능성이 크다.

6. 2. 단순함과 효율성을 통한 사회 혁신

KISS 원칙과 반대로, 사양이 점차 복잡해지는 현상은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흔히 나타나며, "야금야금 기능 추가주의"라고 불린다.[10] 소프트웨어가 복잡해지면 사용법을 익히는 시간이 늘어나거나 조작에 어려움을 겪고, 어떤 기능이 중요한지 헷갈리게 된다. 또한, 하드웨어 요구 사양이 높아지거나 제품 가격이 상승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다수 사용자는 실제로 극히 일부 기능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 부담과 개발 비용을 고려하면,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 친화적이고 생산성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

6. 3.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

KISS 원칙은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자원 낭비를 줄이고, 환경 부담을 최소화하며,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데 필요한 단순하고 명확한 가치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iss principle definition by MONASH Marketing Dictionary https://www.monash.e[...] 1994-11-18
[2] 서적 Officers' Call https://books.google[...] Print Media Branch, Command Information Unit, Office, Chief of Public Affairs, HQDA 1986
[3] 뉴스 Sunday Post-Crescent (Appleton, WI) 1973-11-04
[4] 뉴스 Keep It Short and Simple (1938). https://www.newspape[...] 2022-08-21
[5] 간행물 Global IT Outsourcing: Metrics for Success of All Parties http://eies.njit.edu[...] 2004
[6] 웹사이트 Everything Should Be Made as Simple as Possible, But Not Simpler http://quoteinvestig[...] Quote Investigator 2011-05-13
[7] 웹사이트 Simplify Simplify Simplify Message on the wall of... https://blog.ramonvu[...] 2014-02-18
[8] 웹사이트 Inside Apple #2 https://www.forbes.c[...] 2022-04-03
[9] AV media Segurista Neo Films 1996
[10] 웹사이트 Keep it Simple Stupid http://catb.org/jarg[...] The Jargon File, version 4.4.7 2009-04-11
[11] 문서 The Animator's Survival Kit
[12] 문서 Disney Animation: The Illusion of Life
[13]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Modern American Slang and Unconventional English http://books.google.[...] 2009
[14] 서적 The Concise New Partridge Dictionary of Slang Psychology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