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M-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TM-5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소련에서 대량 생산된 노면 전차 모델이다. 1976년 공식 명칭은 71-605로, 우스트카타프 차량 제조 공장(UKVZ)에서 생산되었다. KTM-5는 4축 보기차로, 2~3량 편성 운행이 가능하며, 여러 차례의 개량을 거쳐 KTM-5M, KTM-5M3(71-605), KTM-5A(71-605A), KTM-5U(71-605U) 등의 파생형이 존재한다. 1990년 이후에는 71-605A, 71-605U 차량이 제조되었으며, 노후화된 차량을 개조하여 운행을 연장하는 사례도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KTM-5 | |
---|---|
개요 | |
![]() | |
서비스 시작 | 1963년 |
제조사 | UKVZ (우스치=카타프스키 차량 제조 공장) |
설계자 | 알 수 없음 |
조립 장소 | 소련, 우스티-카타프 |
대체 차량 | KTM-2/KTM-3 |
후계 차량 | 71-608 (KTM-8) 71-619 (KTM-19) |
차체 | 알 수 없음 |
차량 수 | 14,991대 |
궤간 | 광궤 (1,524mm) 표준궤 (1,435mm) |
생산 | |
생산 기간 | 1963년, 1965년, 1967년, 1969년-1992년 |
생산 모델 | KTM-5 (2대) KTM-5M (620대) KTM-5M3 (12,493대) 71-605A (1,381대) 71-605U (45대) |
총 생산량 | 15,036대 |
규격 | |
차폭 | 2,600mm |
바닥 높이 | 900mm |
차륜 직경 | 700mm |
축거 | 1,940mm (차축), 7,500mm (대차) |
최소 곡선 반경 | 16m |
성능 | |
최고 속도 | KTM-5M3: 65km/h |
설계 최고 속도 | KTM-5M3: 75km/h |
가속도 | KTM-5M3: 1.50m/s² |
감속도 | KTM-5M3: 1.52m/s² (상용), 3.70m/s² (비상) |
중량 및 수용량 | |
중량 | KTM-5M3: 18.0t |
정원 | KTM-5M3: 좌석 46명, 입석 61명 (5인/m²), 최대 168명 (10인/m²) |
동력 장치 | |
전기 시스템 | 직류 550V |
집전 방식 | 활대, 판타그래프, 트롤리 폴 |
견인 모터 수 | 4개 |
모터 출력 | 45kW, KTM-5: 31kW |
총 출력 | 180kW, KTM-5: 124kW |
구동 방식 | 직각 카르단 구동 방식 |
기타 정보 | |
문 개수 | 3개 |
대차 수 | 2개 |
브레이크 | 회생 제동, 디스크 브레이크, 전자기 흡착 브레이크 |
2. 명칭
1976년 이전에는 'KTM'이 UKVZ에서 트램 모델의 상표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키로프 모터 트램'('''К'''ировский '''Т'''рамвай '''М'''оторный|ru)의 약자였다. '-5'는 5세대 트램 모델임을 의미했다.[3] 1965년부터 1971년까지는 '우랄'(УРАЛ|ru)이라는 이름이 흔히 사용되었고, 이 기간 동안 트램 차체에도 이 이름이 새겨졌다.[12]
1950년대 중반 소련의 도시 노면 전차는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생산된 노후 차량이었으며, 특히 작고 오래된 2축 차량이 많아 늘어나는 승객 수송에 한계를 보였다. 유럽 러시아의 대도시에서는 비교적 현대적인 4축 보기 차량을 운용했지만, 전국적인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기존의 MTV-82와 같은 모델은 설계가 구식이었고 여러 차량을 연결해 운행하는 전기 연동 기능도 없었다.
1976년 7월, 소련에서는 트램과 지하철 차량에 대한 새로운 명명 표준이 도입되었다. 이에 따라 KTM-5는 공식적으로 '71-605'로 지정되었는데, 여기서 '71-'은 트램, '6'은 UKVZ 우스트카타프 생산 공장, '05'는 트램 세대를 나타냈다.[4] 이후 개발된 변형 모델들은 이 명칭 뒤에 접미사를 붙여 구분했다.
3. 역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59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장관 회의는 우스트-카타프 차량 제작 공장(UKVZ)에 전기 연동 운전이 가능한 새로운 4축 보기 노면 전차의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지시했다.[5] 이는 이후 KTM-5 시리즈 개발의 시작점이 되었다.
3. 1. 개발 배경
1950년대 중반까지 소련 도시의 노면 전차 차량은 기술적으로 노후화되었으며, 운행 중인 차량의 대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생산된 것이었다. 당시 소련에서 생산된 노면 전차의 대다수는 작고 2축 차량이었기 때문에, 계속 확장되는 노면 전차 노선망에서 승객 수송 능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었다.
유럽 러시아의 대도시는 비교적 넓은 4축 2중 보기 노면 전차를 운행했다. 모스크바는 체코슬로바키아의 타트라 T2를 수입하고,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RVR에서 생산한 MTV-82 노면 전차를 사용했다.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지역 노면 전차 제작 업체인 레닌그라드 차량 수리 공장에서 차량을 공급받았다. 처음에는 RVR이 MTV-82를 대량 생산하여 소련 전역에 공급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생산 규모를 충분히 확대하지 못했다. 또한 MTV-82 노면 전차는 설계가 구식이었고, 다른 차량과 연결하여 운행하는 전기 연동 기능이 없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59년 12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장관 회의는 우스트-카타프 차량 제작 공장(UKVZ)에 복수 유닛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4축 2중 보기 노면 전차의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지시했다.[5]
3. 2. 초기 모델 (KTM-5)
1963년에 2량의 프로토타입으로 제작된 초기 모델이다.[6] 차체 디자인은 당시 소련의 다른 보크차량들, 특히 체코슬로바키아 타트라 T2를 기반으로 한 소련 RVZ-6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다시 북미 PCC 전차의 라이선스 기반 모델이었다.[6] 또한 최근 도입된 타트라 T3 및 LM-57 전차의 영향도 받아 유선형의 완전 강철 차체를 특징으로 했다.[6] 창문은 고정식이었고, 환기는 지붕 위에 설치된 벤틸레이터로 이루어졌다. 승강문은 오른쪽에 3개가 설치되었으며, 양쪽으로 열리는 접이문 방식이었다.
전기 장치는 리가 차량 제작 공장에서 양산하던 RVZ-6과 동일한 것이 사용되었으며, 레오스타트 제어 시스템을 채택했다.[6] 주전동기의 출력은 31kW였다.
1964년 프로토타입 차량은 시험을 위해 첼랴빈스크로 보내졌다.[5] 첼랴빈스크 시 전차 노선에서 시험 주행이 이루어졌으나, 잇따른 고장으로 인해[5] 1965년에 개조를 위해 우스티-카타프스키 차량 제작 공장(UKVZ)으로 반환되었다.[5] 그러나 보다 진보적인 차량을 개발하려는 공장 측의 의향과 맞물려, 초기 KTM-5 모델은 결국 양산되지 못했다. 시험 종료 후 차량은 공장으로 반환되었고, 2020년 기준으로 두 차량 모두 해체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3. 3. KTM-5M
KTM-5M은 1966년에 처음 제조된 KTM-5의 개량형 모델이다.[7] "개량형"을 의미하는 '''M'''을 붙여 KTM-5M으로 명명되었으며, "우랄"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었다. 초기 소량 생산은 1965년에 시작되었으나, UKVZ 공장의 개조 작업 지연으로 대차의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1969년까지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가지 못했다. 이 기간 동안 UKVZ는 설계를 수정하고 테스트를 진행했다.[7]
기존 KTM-5의 외관이 구식으로 평가받으면서, KTM-5M의 디자인은 VNIITE의 스베르들로프스크 지부가 주도하여 완전히 새롭게 변경되었다. 각진 모서리와 큰 창문이 특징이었으며, 가장 큰 변화는 금속 차체를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패널로 대체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차량 무게를 약 2ton 줄일 수 있었고, 더 가볍고 강력한 견인 전동기와 함께 수송 능력, 가속도, 최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8]
1965년 12월, 시제차 두 대(#1, #2)가 제작되어 모스크바에서 테스트를 거쳤다. 두 차량은 창문과 환기 시스템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1 차량은 수동 환기를 위한 슬라이딩 창틀을, #2 차량은 밀폐된 창문과 강제 환기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9] 최종 생산 모델에는 슬라이딩 창틀과 강제 환기 시스템이 모두 적용되었다. 1966년 3월 모스크바에 도착한 #1 차량은 국민 경제 성과 전시회에 전시되었고, 같은 해 7월부터 #2 차량과 함께 승객을 태우고 시범 운행에 들어갔다.[10][11] 1968년에는 이 시제차 중 한 대가 LM-68과 함께 소콜니키 전시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Interbytmash-68"(Интербытмаш-68|인테르비트마시-68ru) 전시회에 출품되기도 했다.[12] 또한, 1967년 12월에는 혹독한 시베리아 기후 환경에서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세 대의 시제차가 추가로 제작되어 옴스크로 보내졌다.[7] 모스크바에서 테스트 중이던 #2 차량은 1968년 7월에, #1 차량은 1969년에 옴스크로 이동하여 테스트에 합류했다.[13]
시범 운행 결과가 성공적으로 평가되면서 1968년부터 양산을 위한 준비가 재개되었다. 같은 해 12월 UKVZ 공장 개조가 완료되었고, 1969년 첫 양산 차량이 옴스크에 인도되면서 본격적인 대량 생산이 시작되었다.[7]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총 620량의 KTM-5M이 생산되었다. 공교롭게도 UKVZ는 이 시기에 2축 트램 생산을 중단했다.
1970년에는 실험적으로 사이리스터 펄스 제어 시스템을 장착한 KTM-5MT 차량이 제작되어 모스크바에서 테스트되었으나, 승객 운송 허가를 받지 못하고 UKVZ 공장으로 반환되어 다시 일반적인 레오스타트 제어 방식의 KTM-5M으로 개조되었다.[14][7]
그러나 "우랄" 트램은 운행 초기 2년 동안 심각한 문제점을 드러냈다. 특히 전기 계통 및 제동 장치 고장이 잦았고, 화재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했다.[7] 유리 섬유로 만들어진 차체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여 불이 붙으면 몇 분 안에 차량 전체가 전소되고 유독 가스를 내뿜는 심각한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1971년 톰스크에서 발생한 트램 화재 사고에서는 정확한 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유독 가스 흡입으로 인한 화학 중독 피해를 입었다.[14] 이 사건을 계기로 공공 시설 관리부와 일반 기계 제작부는 설계 변경을 명령했고, 운행 중이던 모든 KTM-5M 차량은 개조를 위해 리콜되었다. 이 개조를 통해 탄생한 모델이 KTM-5M3이다.
3. 4. KTM-5M3 (71-605)
1970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한 KTM-5M의 화재 사고를 계기로, 1971년부터 생산된 차량은 화재 예방 대책을 강화한 KTM-5M3로 개선되었다.[7] KTM-5M, 일명 "우랄" 트램은 운행 초기 2년간 전기 및 브레이크 고장, 잦은 화재 등 심각한 안전 문제를 겪었다.[7] 특히 유리섬유로 제작된 차체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여 몇 분 만에 전소되고 유독 가스를 발생시킬 위험이 있었다. 1971년 톰스크에서는 트램 화재로 인해 정확한 수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다수가 유독 가스 흡입으로 화학 중독 증세를 보이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했다.[14] 이 사건 이후 관계 당국은 설계를 변경하도록 지시했고, 운행 중이던 모든 KTM-5M 차량이 개조를 위해 회수되었다.
개선된 모델인 KTM-5M3 ('''M3'''는 세 번째 개정판을 의미)는 기존의 유리섬유 차체를 골판 가공된 금속판으로 교체했다. 다만, 전선 부품과 팬터그래프를 절연 표면에 장착해야 했기 때문에 지붕은 플라스틱 재질을 유지했으며, 차량의 전면과 후면 역시 플라스틱으로 남겨두었다. 기존에 생산된 KTM-5M 약 620~900대 중 60%는 우스티카타프 차량 제작 공장(UKVZ)으로 회수되어 개조되었고, 나머지 40%는 각 지역의 트램 차량 기지에서 자체적으로 개조 작업을 진행했다. 이 외에도 문을 구동하는 케이블이 체인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새로운 휠 아치 디자인으로 대차가 외부로 노출되었으며, 조명은 형광등에서 백열등으로 교체되었다.[4]
하지만 1970년대 초반, 트램 운영자들은 초기 KTM-5M3 차량의 조립 품질 불량과 낮은 신뢰성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 차체 재질 변경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브레이크 고장, 문 작동 불량, 전기 관련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에 대해 UKVZ는 운영 인력의 낮은 숙련도를 문제 삼기도 했다. 197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UKVZ의 조립 품질이 향상되었고, 운영 및 정비 담당자들도 복잡한 차량 구조에 익숙해지면서 점차 안정화되었다.[4]
KTM-5M3는 1971년부터 1990년까지 총 12,943량이 생산되었으며, 이는 소련에서 생산된 단일 노면전차 모델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이다. 1976년 7월, 소련의 철도 차량 형식 분류 체계 변경에 따라 KTM-5M3는 71-605라는 새로운 형식명을 부여받았다. 형식명 "71-605"에서 "71"은 노면전차를, "6"은 제조사인 우스티카타프 차량 제작 공장을, "05"는 5세대 모델임을 의미한다.
생산 기간 동안 몇 차례의 추가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 1976년부터는 KTM-6 모델용으로 개발된 새로운 팬터그래프가 표준으로 장착되었다. 1981년부터는 별도의 주차 브레이크가 설계에서 제외되고, 기존의 드럼 브레이크가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겸하도록 변경되었다. 1986년에는 방향 지시등과 브레이크 등의 배열이 수정되었다.[4]
KTM-5M3는 단독 운행이 가능한 대차를 가진 차량(단차)이며, 루프선이 있는 노선에서의 운용을 전제로 설계되어 운전대는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다. 총괄 제어 기능을 지원하여 2~3량 편성으로도 운행할 수 있다. 차체는 모노코크 구조를 채택했으며, 외판은 지붕과 차체 전후부를 제외하고 강판으로 제작되었다. 강도를 높이기 위해 측면 창문 아래 부분에는 골판 가공이 적용되었다. 차내 마감은 초기 차량의 경우 래커 도장을 한 합판이었으나, 후기형은 플라스틱으로 변경되었다. 바닥은 미끄럼 방지 고무로 덮여 있다. 철도 차량의 좌석은 진행 방향을 바라보는 1인용 크로스 시트이며, 오른쪽에는 2열, 왼쪽에는 1열로 배치되어 있다. 승강문은 차체 외부에 장착된 형태의 한쪽 열림 문이며, 개폐는 체인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대차는 미국의 PCC 카용으로 개발되어 타트라 차량에도 사용된 B-3 대차를 기반으로 설계된 인사이드 프레임 방식이다. 차축 상자와 차축 보를 일체화하고 방진 고무를 사용하여 진동을 억제하며, 탄성 차륜과 베개 스프링에도 고무를 사용하여 상태가 좋지 않은 궤도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제동 장치로는 전기식 드럼 브레이크와 비상용 전자기 흡착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각 대차에는 출력 45kW의 주전동기가 2대씩 장착되어 있으며, 자재 이음매와 하이포이드 기어를 통해 차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직각 카르단 구동 방식을 사용한다. 제어 장치는 PCC 카나 타트라 차량과 동일한 저항 제어 방식이지만, 이들이 다단식 회전형 제어기를 사용한 것과 달리, KTM-5M3는 이전 모델부터 사용된 캠축 방식 제어 장치를 계속 사용했다. 속도 제어 역시 페달 방식이 아닌 핸들 방식을 사용한다. 와이퍼나 승강문 구동에는 보조 전원 장치(전동 발전기 또는 충전지)에서 공급되는 24V 전력이 사용된다.
3. 5. KTM-5A (71-605A) 및 KTM-5U (71-605U)
1989년부터 1992년까지 생산된 KTM-5의 최종 증비 차량으로, 전자 기기와 차내 조명 등이 변경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KTM-5는 초기 개발 이후 디자인이 거의 변하지 않아 구식 모델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소련 중공업부에서도 이러한 노후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우스트카타프 수레 제조 공장(UKVZ)은 중공업부를 안심시키고 차량 가격 인상을 위해 최소한의 설계 개선을 거쳐 새로운 모델을 '71-605A'로 명명했다. 여기서 'A'는 첫 번째 개량형임을 의미한다. 이 모델에는 기존보다 소음이 줄어든 새로운 견인 전동기와 새로운 연결 시스템, 그리고 형광등 조명이 적용되었다.[15] 첫 71-605A 차량은 1989년 6월 프로코피예프스크에 인도되었다. 한편, UKVZ는 1988년부터 후속 모델인 71-608의 시제품 제작을 시작했으나, 대량 생산은 1991년에야 시작되었다.[16]
71-605A는 궤간 1524mm의 광궤 노선용으로 제작되었다. 1990년 5월에는 로스토프나도누의 표준궤(1435mm) 노선 시스템에 맞춰 특별히 제작된 파생형 모델인 71-605U(71-605У|71-605우ru)가 도입되었다. 로스토프나도누의 적재 한계가 넓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기존 71-605A 차량에 표준궤용 대차를 장착하는 비교적 간단한 개조만 이루어졌다.
그러나 소련의 해체 시기를 거치면서 제조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후속 모델인 71-608이 도입되면서 71-605A와 71-605U의 생산은 1992년 말에 중단되었고, 이로써 23년간 이어져 온 KTM-5 모델의 연속적인 대량 생산 시대가 막을 내렸다.[4]
4. 구조
KTM-5는 단독 운전이 가능한 보기차(단차)이며, 총괄 제어에도 대응하여 2량 또는 3량 편성으로 운행할 수 있다.[1][2] 차체는 모노코크 구조를 채택했으며, 초기 모델인 KTM-5M은 차체 외판에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을 사용했으나, 이후 개량된 KTM-5M3 모델부터는 지붕과 차체 전후 부분을 제외하고 강판으로 변경되었다.[1][2]
대차는 미국의 PCC 카 및 체코슬로바키아 타트라 사의 전차에 사용된 B-3 대차 설계를 기반으로 한 인사이드 프레임 방식의 대차를 사용한다.[1][2] 제동 장치로는 전기식 드럼 브레이크를 주 제동 장치로 사용하며, 비상 제동용으로 전자기 흡착 브레이크를 장비하고 있다.[1][2]
제어 장치는 저항 제어 방식이며, 캠축 제어 장치를 통해 속도를 조절한다.[1][2] 운전석의 속도 제어는 핸들 방식을 사용한다.[1][2]
5. 제원 (KTM-5M3 기준)
항목 | 내용 |
---|---|
편성 | 1량 |
축 배치 | Bo'Bo' |
궤간 | 1524mm (KTM-5U 모델은 1435mm) |
설계 최고 속도 | 75km/h |
차량 정원 | 착석 32 ~ 35명, 입석 187 ~ 192명 |
차량 중량 | 18.6ton |
길이 | 15094mm |
전체 너비 | 2550mm |
전체 높이 | 3120mm |
전동기 | DK-259 |
전동기 출력 | 45kW × 4 |
총 출력 | 180kW |
6. 운용
KTM-5는 소비에트 연방 시절부터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의 여러 도시에서 널리 운용되었다. 주요 운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7. 개조
KTM-5는 오랜 기간 운용되면서 노후화가 진행되었고, 이에 따라 여러 도시에서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개조가 이루어졌다.
새로운 트램 구매 비용보다 저렴하게 차량을 현대화하는 방법 중 하나로 차체 교체가 선택되기도 했다. 이 방식은 기존 차량의 대차(보기) 등 일부 부품만 재활용하고 차체와 내부 설비 대부분을 새롭게 교체하는 대규모 개조이다. 예를 들어 고리존트 LLC에서 개조한 71-605RM13 모델은 마그니토고르스크, 즈라토우스트, 사라토프 등에서 운행 중이다.[18][19] 이 외에도 크라스노다르에서는 '71-605TH',[20] 옴스크에서는 '71-605EP',[21] 첼랴빈스크와 미콜라이우에서도 자체적인 현대화 개조가 진행되었다.[22]
크라스노야르스크 시 전차에서는 2010년대 이후 현지 수리 공장(Красноярский электровагоноремонтный завод|크라스노야르스크 전기 자동차 수리 공장rus, КрЭВР3) 주도로 지속적인 근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16년 이후에는 신조 차체로 교체하고 유도 전동기나 사이리스터 위상 제어 장치를 도입하는 등 대규모 개량이 진행 중이다.[38][39]
벨라루스의 수송 장비 제조업체 벨콤문마쉬에서 개발한 부분 저상 노면 전차인 AKSM-62103 모델 중 일부는 KTM-5의 부품을 재활용하여 제작되기도 했다. 노보시비르스크 시전철에서는 2017년부터 현지 자회사(BKM 시베리아)를 통해 KTM-5M3의 대차나 차륜을 재활용한 AKSM-62103 기기 유용차(차체 갱신차)를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40][41][42]
조지아의 트빌리시 시전차에서는 독특한 개조 사례가 있었다. 1991년에는 트빌리시 전기 기관차 공장에서 트램 차체를 이용해 철도 버스를 제작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된 노선에서 개인적으로 운행하기도 했다.[17] 또한, 독립 후 사회 정세 악화로 전력 공급이 불안정해져 운행에 어려움을 겪자 일부 KTM-5 차량에 디젤 엔진을 탑재하고 보닛을 장착하여, 가선이 철거된 노선에서 노면 기동차로 활용하기도 했다.[43]
'''사업용 차량으로 개조된 사례'''
7. 1. 71-605RM

오랜 사용으로 노후화가 진행된 KTM-5(71-605)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근대화 공사를 거쳐 탄생한 형식이다. 보로네시에 있었던 Воронежский ремонтный трамвайно-троллейбусный завод|보로네시 노면전차·트롤리버스 수리 공장rus(ВРТТЗ)과 우스티카타프스키 차량 제조 공장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개조 과정에서 기존 차량의 대차를 제외한 차체는 완전히 새롭게 제작되었다. 전면 디자인은 시제품으로만 제작되었던 КТМ-6|KTM-6rus(71-606)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둥근 형태로 변경되었다. 승객 편의를 위해 출입문은 양쪽으로 열리는 플러그 도어 방식으로 바뀌었고, 차내 조명으로는 형광등이 채택되었다. 전기 장치 역시 대대적으로 갱신되어, 보조 전원 장치로는 정지형 인버터가 도입되었고 제어 시스템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적용되었다. 다만, 주 제어 장치는 도입된 도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부 형식으로 나뉜다.
- '''71-605RM (71-605РМ)''': 2001년에 1량이 시범적으로 개조된 형식이다. 제어 장치는 기존 KTM-5와 동일한 캠축식 저항 제어 방식을 그대로 사용했다. 이 차량은 보로네시 시가 전차에 도입되었으나, 도입된 해부터 보로네시 시가 전차의 노선 축소가 진행되면서 실제 운행 기간은 길지 않았고 조기에 운용에서 제외되었다. (보로네시 시가 전차는 2009년에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26]
- '''71-605RM2 (71-605РМ2)''': 주 회로 제어 장치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제어 시스템(КТСУ)을 도입한 형식이다. 우솔리에시비르스코예 시가 전차에 2004년과 2006년에 각 1량씩, 총 2량이 도입되었고, 케메로보 시가 전차에도 2003년과 2005년에 각 1량씩, 총 2량이 도입되었다. 두 도시 모두 최종 조립 작업은 각 도시의 전차 수리 공장에서 이루어졌다.[27]
7. 2. 71-605RM13
일부 도시에서는 새로운 트램을 구매하는 것보다 저렴한 대안으로 기존 차량의 차체를 교체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 경우, 대차(보기)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품이 교체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업그레이드는 새로운 트램 구매 비용(2800만러시아 루블)에 비해 훨씬 저렴한 10만러시아 루블 정도의 비용이 든다.[18]71-605RM13 모델은 고리존트 LLC(Gorizont LLC)에서 진행한 차체 교체 개조 차량이다. 이 개조에는 완전히 새로운 차체와 더불어 운전자를 위한 터치 스크린, 냉난방 장치, 새로운 조명, 새로운 견인 변환기 및 새로운 바닥재 등이 포함된다.[18] 이 71-605RM13 모델은 마그니토고르스크, 즈라토우스트, 사라토프 등의 도시에서 운행되고 있다.[19]
7. 3. 71-605EP
옴스크에서 운용되는 KTM-5 트램의 개조 모델 중 하나이다.[21] 이는 크라스노다르의 '71-605TH', 첼랴빈스크 및 미콜라이우의 현대화 차량과 같이, 각 도시의 필요에 따라 KTM-5를 기반으로 다양한 개조가 이루어진 사례 중 하나이다.[20][22] 71-605EP 모델의 구체적인 개조 내용이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정보는 원본 자료에서 명확히 확인되지 않는다.7. 4. KTM-5VP
2010년대 이후 '''옴스크 시내 전차'''를 위해 근대화 공사가 시행되고 있는 차량이다. 기존 차량과 비교하여 측면의 골판 가공이 없어졌으며, 중앙 출입문 부근이 저상 구조로 변경되어 해당 부분의 창문이 아래 방향으로 확대되었다. 제어 장치로는 사이리스터 위상 제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22]8. 보존
우크라이나의 폴리테크노서비스(ООО «Политтехносервис»uk)는 KTM-5 차량의 근대화 개조 공사를 시행했다. 이 개조를 통해 차체 전면은 유선형 디자인으로 새롭게 바뀌었으며, 승강문, 창유리, 도색 등 여러 부분이 개선되었다. 개조에 드는 초기 비용은 인건비를 포함하여 약 900만우크라이나 흐리우냐으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새로운 차량을 도입하는 비용의 약 1/3 수준으로 저렴하다. 이 개조 프로젝트에는 미콜라이우의 미콜라이우에렉트로트란스(Николаевэлектротрансuk)도 협력했으며, 첫 번째 개조 차량은 2021년부터 '''미콜라이우 시내 전차'''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6][37]
참조
[1]
웹사이트
Самаратранс.info: Изображение:71605 chertezh.png — Общественный транспорт Самарской области
http://samaratrans.i[...]
2008-12-27
[2]
웹사이트
About the Company {{!}} Ust-Katav car-building plant
https://www.ukvz.ru/[...]
2024-03-10
[3]
웹사이트
КТМ-1 / КТP-1
http://vagons.tramva[...]
2021-04-12
[4]
웹사이트
КТМ-5М3 / 71-605
http://vagons.tramva[...]
2021-04-13
[5]
웹사이트
KTM-5
http://vagons.tramva[...]
2021-04-12
[6]
웹사이트
Харьков транспортный. Трамвай. Подвижной состав. КТМ-5
https://bxqccv4k7kzn[...]
2021-04-13
[7]
웹사이트
KTM-5M "Ural"
http://vagons.tramva[...]
2021-04-13
[8]
뉴스
"УРАЛ" В Москве (English: "Ural" in Moscow)
https://transphoto.o[...]
1966-03
[9]
서적
Chelyabinsk Tram - Chelyabinsk Trolleybus
https://transphoto.o[...]
Elephant
2013-04
[10]
웹사이트
1966 Павильон "Космос"
https://pastvu.com/p[...]
1966
[11]
웹사이트
Omsk, car # 212
https://transphoto.o[...]
2021-04-15
[12]
웹사이트
Трамвайный вагон КТМ-5М3 (71-605) в музее трамвайного депо Набережных Челнов
https://techmonument[...]
2021-04-13
[13]
웹사이트
Omsk, tramway — Roster
https://transphoto.o[...]
2021-04-15
[14]
웹사이트
Самый массовый трамвайный вагон
http://lugansktrams.[...]
2021-04-13
[15]
웹사이트
Трамваи Ростова-на-Дону
http://transport.nov[...]
[16]
웹사이트
71-608 / 71-609 / 71-614
http://vagons.tramva[...]
2021-05-04
[17]
웹사이트
71-605 TEVZ Railbus
https://transphoto.o[...]
2021-04-26
[18]
웹사이트
Всего за 100 тысяч! В Магнитогорске появился трамвай с климат-контролем, сенсорным дисплеем и ксеноном
https://www.verstov.[...]
2021-04-26
[19]
웹사이트
71-605RM13
https://transphoto.o[...]
2021-04-26
[20]
웹사이트
71-605ТН (КТМ-5М3Р8)
https://transphoto.o[...]
2021-04-26
[21]
웹사이트
71-605EP
https://transphoto.o[...]
2021-04-26
[22]
웹사이트
Mykolaiv, car # 2120
https://transphoto.o[...]
2021-04-26
[23]
웹사이트
Vehicle Statistics Pavlodar, Tramway
https://transphoto.o[...]
Urban Electric Transit
2020-04-05
[24]
웹사이트
Судьба Алматинского трамвайного депо в руках граждан!
https://yvision.kz/p[...]
yvision.kz
2020-04-05
[25]
서적
Московский трамвай: страницы истории
https://books.google[...]
KMK Scientific Press
2020-03-13
[26]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воронежского электротранспорта
http://vrntram.org/i[...]
Комитет "Воронежцы за трамвай"
2020-04-03
[27]
웹사이트
支部の紹介
http://www.i-russia.[...]
石川県ロシア協会
2020-09-07
[28]
웹사이트
В конце сентября Межведомственной комиссией (МВК) под председательством заместителя генерального директора НИИГЭТ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орэлектротранспорта) был принят в промышлен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 трамвайный вагон КТМ-5М3Р8 с комплектом транзисторного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го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НПФ "АРС ТЕРМ". (Новосибирск).
https://www.advis.ru[...]
Advis.ru
2020-04-03
[29]
웹사이트
KTM-5MZ tram wagons for Krasnodar
http://tmzv.ru/en/ne[...]
http://tmzv.ru/ TMCP V.V.Vorovsky
2020-04-03
[30]
웹사이트
Муниципаль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http://www.maggortra[...]
МП «Маггортранс»
2021-04-21
[31]
웹사이트
Около 15 километров трамвайных путей отремонтируют в Магнитогорске
https://tr.ru/news/5[...]
TR.ru
2021-04-21
[32]
웹사이트
Не новые, но тоже пополнение: города приобретают трамвайные вагоны экономичными способами
https://tr.ru/news/3[...]
TR.ru
2021-10-13
[33]
웹사이트
Модернизация трамвайных вагонов
https://horizont-npp[...]
ООО «Горизонт»
2021-10-13
[34]
웹사이트
Трамваи: закупки и поставки для Волгограда, Иркутска, Перми, Петербурга, Самары и Саратова
https://tr.ru/news/5[...]
TR.ru
2024-06-19
[35]
웹사이트
Старый новый омский трамвай
https://mib55.livejo[...]
Livejournal
2020-04-03
[36]
웹사이트
В Николаеве обновленный трамвай «КТМ» проходит техиспытания
https://svidok.info/[...]
СВІДОК.info
2023-10-03
[37]
웹사이트
В первый рейс вышел трамвай,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 в “Николаевэлектротранс” своими силами
https://inshe.tv/eco[...]
INSIE.TV
2023-10-03
[38]
웹사이트
Модернизированный трамвай с Wi-Fi появится в Красноярске в ноябре
https://tr.ru/news/1[...]
TR.ru
2021-04-21
[39]
웹사이트
На улицы Красноярска выпустили современный трамвай
https://newslab.ru/n[...]
ОО «Лаборатория Новоcтей»
2021-04-21
[40]
웹사이트
WAS CREATED A JOINT VENTURE FOR TRAMWAYS MODERNIZATION
https://bkm.by/en/ne[...]
ベルコムンマッシュ
2020-04-03
[41]
웹사이트
Почему меня не радует «новый» новосибирский трамвай
https://news.tut.by/[...]
НДН.Инфо
2020-04-03
[42]
웹사이트
«БКМ Сибирь» модернизирует для Новосибирска 10 трамваев в 2020 году
http://nsknews.info/[...]
МКУ ИА «Новосибирск»
2020-04-03
[43]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е трамваи и троллейбусы Тбилиси: наследие Шеварнадзе и Саакашвили (ФОТО)
https://uc.od.ua/new[...]
The Messenger
2020-04-03
[44]
웹사이트
В Витебске продают кузова списанных трамвайных вагонов. Не желаете приобрести?
https://vkurier.by/1[...]
Витебский Курьер
2020-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