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레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레이션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에게 지급된 휴대용 전투 식량으로, 1941년 미네소타 대학교의 생리학자 앤설 키스에 의해 개발되었다. 초기에는 비스킷, 마른 소시지, 초콜릿 바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1942년 공수 부대에 처음 지급되었다. K-레이션은 가볍고 휴대성이 좋았지만, 칼로리 및 비타민 부족, 단조로운 식단 등의 문제로 인해 장기간 섭취 시 영양실조를 유발하기도 했다. 결국 C-레이션으로 대체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전투식량 - 타바스코 소스
    타바스코 소스는 1868년 에드먼드 매킬러니가 타바스코 고추를 사용하여 루이지애나주 에이버리 섬에서 처음 생산한 핫소스로, 독특한 병 디자인과 매콤한 맛으로 유명하며 전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하여 대중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지만, 그 역사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미국의 전투식량 - MRE
    MRE는 미군이 야전에서 간편하게 섭취하도록 개발된 전투 식량으로, 휴대성과 보존성을 높였으며 다양한 메뉴와 구성품을 갖춰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한다.
K레이션
개요
K-레이션의 다양한 구성품을 보여주는 사진.
K-레이션의 다양한 구성품
종류전투 식량
개발 배경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병사들을 위한 휴대용 식량 필요성 증대
개발자앤설 키스 박사
개발 국가미국
사용 국가미국, 영국 등
주요 특징가볍고 휴대하기 용이하며, 단기 전투 상황에 적합
단점영양 불균형, 맛의 다양성 부족
역사
개발 시기1941년 ~ 1942년
개발 목적병사들의 단기 전투 식량 보급
주요 사용 전투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개선 및 대체MRE (Meal, Ready-to-Eat)으로 대체
구성
아침 식사압착 시리얼 바
통조림 햄과 계란 혼합물 또는 치즈
비스킷
커피
설탕
씹는 껌
점심 식사비스킷
통조림 치즈 또는 가공육
설탕
소금 정제
담배
성냥
저녁 식사통조림 고기 (닭고기 또는 돼지고기)
야채 비스킷
디저트 (초콜릿 바 또는 캐러멜)
수프 분말
커피
설탕
영양 정보
총 칼로리약 2,830 kcal
주요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기타
관련 인물앤설 키스
참고 자료Soldiers' Rations Through History: From Live Hogs to Indestructible MREs
History of Rations
Ration Breakdown Point Operations

2. 역사

1941년, 미네소타 대학교 생리학자 앤설 키스가 미국 전쟁부의 요청으로 K-레이션 개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강하병 식량'으로 불렸으며, 실험적인 평가를 거쳐 1942년에 정식 채택되었다.[4][5] 파나마 정글 등에서 제한적인 테스트를 거쳤으나, 극한 환경 및 장기 섭취에 대한 충분한 검증은 부족했다.[7]

K-레이션은 산악 식량, 정글 식량 등 특수 목적 식량을 대체하며 일반 전투 식량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그러나 유럽 전선, 중국-버마-인도 전구 등에서 장기 섭취로 인한 영양 불균형 및 맛의 단조로움 문제가 보고되었다.[9][10] 특히, 버마 전선에서는 영국군, 중화민국군 병사들에게서 각기병, 펠라그라 (나이아신 결핍증) 등 영양 결핍 질환이 발생하기도 했다.[14]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K-레이션은 C-레이션으로 대체되었다.

2. 1. 개발 배경

앤설 키스는 1941년에 미국 전쟁부로부터 병사 주머니에 들어갈 수 있는 즉석식량 설계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는 슈퍼마켓에서 딱딱한 비스킷, 마른 소시지, 하드 캔디, 초콜릿 바를 구매하여 3200kcal의 식단을 구성, 미국 육군 기지 병사 6명에게 시험했다. 병사들은 "먹을 만하다",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평가했지만, 배고픔을 덜고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데에는 성공했다.[4]

K-레이션의 프로토타입은 미국 육군 항공대(USAAF)의 요청으로 보급 연구소 (SRL)에서 개발한 강하병용 포켓 식량이었다.[5] 초기 샘플은 페미칸 비스킷, 땅콩 바, 건포도, 부용 페이스트 등으로 구성되었고, 이후 아침-저녁-저녁 식사 조합으로 발전했다.[5] 군수 사령부는 일부 구성 요소를 변경하고 야전 식량, K형, "K-레이션"으로 명명했으며 최종 버전은 2830kcal였다.[6][17] 1942년 5월에 K-레이션의 첫 조달이 이루어졌다.[5] K-레이션의 "K"는 다른 문자 이름 식량과 구별하기 위해 선택되었다.[2]

K-레이션은 1942년에 공수 부대에 처음 지급되었고, 가벼운 무게로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정글 테스트는 파나마에서 단 3일 동안, 개척된 도로에서 평평하거나 완만한 경사 지형에서 하루 평균 약 17.70km 행군하는 조건으로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7] 장기간의 순찰, 무거운 탄약 및 물 개별 하중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테스트는 수행되지 않았다.[7] 3일 후 체중 감소가 없어 K-레이션은 성공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고, 산악 식량과 정글 식량 생산 중단 결정에 사용되었다.[8]

K-레이션은 비상 식량으로 설계되었지만, 군수 사령부 관계자들은 K-레이션이 모든 최전선 병력의 경량 완전 야전 식량 요구 사항을 충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식량이 단기 돌격 식량으로 사용될 의도는 미국 군대가 전투에 투입되면서 곧 무시되었다.

K-레이션은 칼로리 및 비타민 함량 부족, 장기간 지급 시 단조로움 등의 비판을 받았다.[9][10] 극한 조건에서 싸우는 병사들은 더 많은 칼로리를 필요로 했지만, K-레이션 할당량은 하루에 한 명당 한 레이션이었다. 군인들은 C-레이션 등으로 보충했다.[17]

K-레이션은 원래 공수 부대, 전차 부대, 오토바이 부대 및 기타 이동 부대가 단기간에 섭취하는 비상 휴대 식량으로 개발되었다. 개발 당시 공수 부대에 시제품이 지급되었으며, 소형 경량인 점이 호평을 받았다. 파나마에서 실지 시험도 실시되었지만, 그 기간은 3일로 짧았고, 시험 내용은 배낭을 메지 않은 경장비의 병사들이 정비된 도로를 하루 평균 18km 행군하는 경미한 것이었다. 시험 후 피험자들의 체중이 유지되었다는 평가에 따라 1942년에 채택되었다. 이때, 경량 레이션을 K레이션으로 일원화하기 위해 이전부터 채택되었던 Mountain ration영어 (M-Ration)과 Jungle ration영어 (J-Ration)이 폐지되었다.

수송에는 나무 또는 판지 재질의 컨테이너가 사용되었으며, 각각 12일 분의 K레이션을 수납할 수 있었다.

K-레이션은 원래 단기간용 비상 휴대 식량으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육군 병참과는 다양한 전선 부대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하는 경량 레이션이라고 주장하며, 일반용 레이션으로 널리 지급되었다. 그 때문에 연식에 기인하는 비타민 부족, 중노동에 종사하거나 가혹한 환경에 있는 병사에 대한 칼로리 부족, 식미의 단조로움이 지적되었다. 이는 체중의 급격한 감소로 나타났으며, K레이션에 질린 장병들이 내용물의 일부를 버림으로써, 섭취 칼로리가 더욱 감소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버마 전투에서는 미군 외 영국군, 국민 정부군에도 지급되어, 유사한 문제가 발생했다. 이 전장에서는 K-레이션의 연식이 각기나 펠라그라(나이아신 결핍증)의 발병, 더 나아가 저항력 저하로 인해 열대병의 이환율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K레이션은 일반 전투 식량으로는 최종적으로 C레이션으로 대체되었다.

K-레이션에 붙여진 기호 '''K'''는, 다른 레이션과 구별하기 쉽도록 선택된 것으로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았지만, 초기 연구에 참여한 앤설 키스 박사의 성의 이니셜이라는 속설도 있다.

2. 2. 채택 및 보급

1942년 5월, K-레이션이 처음으로 조달되었다.[5] 초기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 공수 부대와 같은 특수 부대에 우선 지급되었으나, 점차 일반 보병 부대에도 널리 보급되었다. 미 육군 병참과는 K-레이션을 경량화된 완전 야전 식량으로 간주하고 하루 1인당 K-레이션 1개(아침, 점심, 저녁)를 기준으로 보급했다. 그러나 가혹한 환경에서 장기간 작전을 수행하는 부대에게는 이 기준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7]

2. 3. 문제점 및 한계

K-레이션은 원래 단기간 섭취를 위한 비상 식량으로 설계되었으나, 실제로는 장기간 섭취되는 경우가 많았다.[4] K-레이션은 칼로리와 비타민 함량이 부족하고 맛이 단조로워 장기 섭취 시 영양실조, 체중 감소, 사기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9][10] 특히 활동량이 많은 병사들에게는 칼로리 부족이 심각했다.[7]

K-레이션은 활동량이 많거나 극심한 더위나 추위 속에서 일하는 병사들에게 필요한 칼로리보다 부족했다.[7] 이 때문에 영양실조가 나타나기도 했다.[7] K-레이션을 별도의 일일 식사로 포장하면서 지휘관들이 일일 칼로리 섭취가 충분하다고 잘못 판단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7]

1943년 유럽 전구에서 작성된 보고서에 따르면, 활동적인 병사들에게 10일 이상 연속으로 K-레이션을 지급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았다.[11] 이탈리아 전역에 참전한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체중 감소, 지방 감소, 근육 소모 등이 나타났으며, 이는 충분한 식사와 휴식,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공급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12]

중국-버마-인도 전구에서도 K-레이션의 문제점이 드러났다.[7] 메릴의 약탈자를 포함한 많은 병사들은 5개월 동안 주로 K-레이션을 섭취했으며, 심각한 체중 감소와 비타민 결핍을 겪었다.[7][13] 이는 열대성 질병에 대한 저항력 감소로 이어졌다.[7][13] 한 영국 군의관은 검사받은 209명의 병사 중 182명이 최대 약 13.61kg까지, 27명이 약 13.61kg 에서 약 31.75kg까지 체중이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펠라그라각기병과 같은 결핍 질환도 진단되었다.[14]

K-레이션의 일부 구성 요소(지방이 많은 돼지고기 덩어리, 산도가 높은 레몬 가루 등)는 맛이 좋지 않아 많은 사용자들이 버렸고,[15] 이는 실제 섭취 칼로리 함량을 더욱 감소시켰다. D-레이션 바 또는 신선한 오렌지와 같은 이차적인 식량을 제공하여 칼로리와 비타민 함량을 늘리려는 시도도 있었다.

1943년, 배급 위원회는 현장 테스트를 통해 K-레이션의 칼로리 부족 문제를 지적하고, 덱스트로스와 맥아 정제를 더 만족스러운 대체품으로 교체하고, 과일 가루 성분을 아스코르브산 공급원으로 교체할 것을 권고했다.[9]

결국 K-레이션은 C-레이션으로 대체되었고, 전후에는 전투용 개별 식사(MCI)와 같은 통조림 배급품이 주로 사용되었다.[5]

2. 4. 종전 및 대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K-레이션 생산이 중단되었고, 백만 개의 재고가 남았다. 남은 K-레이션은 5년 뒤 일어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군에게 보급되면서 모두 소모되었다.

3. 구성

K-레이션은 하루 3끼(아침, 점심, 저녁)를 기준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식사는 별도의 상자에 포장되었다. 각 식사는 주 통조림, 비스킷, 부식(초콜릿 바, 과일 바, 시리얼 바 등), 음료 분말, 껌, 담배, 성냥, 정수제 등으로 구성되었다. K-레이션의 각 식사(아침, 점심, 저녁)는 내용물에 따라 다른 종류의 통조림과 비스킷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공통적으로 껌, 담배, 설탕 등이 포함되었다. 초기 버전과 후기 버전에 따라 구성품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K-레이션의 포장은 미 육군 M1943 제복의 큰 주머니에 넣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3. 1. 아침 식사

K-레이션의 아침 식사 구성은 다음과 같다.

K-레이션 아침 식사 구성
주 통조림다진 햄과 달걀 (모든 후속 버전), 송아지 고기 (초기 버전)
비스킷K1 및 K2 타입 2종
기타압착 시리얼 바, 말린 과일 바, 또는 미리 혼합된 오트밀 시리얼
추가 구성품인스턴트 커피, 설탕, 껌, 각설탕, 담배 4개비, 정수제, 캔따개, 화장지, 스푼



초기 버전에는 통조림 송아지 고기와 비스킷, 덱스트로스 또는 맥아 우유 정제가 포함되었고, 이후 버전에는 통조림 다진 햄과 계란, 말린 과일 바, 미리 혼합된 오트밀 시리얼이 포함되었다.[4] 덴틴 또는 리글리 껌, 할라존 물 정화 정제, 담배 4개비, 인스턴트 커피, 화장지 티슈 한 묶음, 설탕 (과립, 큐브 또는 압축)도 포함되었다.[5]

3. 2. 점심 식사

K레이션의 점심 식사 유닛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성품
주 통조림: 다진 고기와 계란 캔 1개[4]
비스킷 (K1 및 K2 타입 2종)[4]
농축 분말 부용[4]
설탕[과자][4]
[4]
인스턴트 커피[4]
각설탕[4]
담배 4개비[4]
캔따개[4]
스푼[4]



초기 버전에는 돼지고기 런천 미트 통조림, 비스킷, 덱스트로스 또는 맥아 우유 정제, 설탕, 소금, 담배, 성냥, 껌, 레몬 맛 가루 음료가 포함되었다.[5] 이후 버전에는 가공 아메리칸 치즈, 스위스 및 아메리칸 치즈 또는 베이컨과 치즈, 비스킷, 캐러멜, 설탕, 소금, 담배, 성냥, 껌, 오렌지 또는 포도 맛 분말 음료가 포함되었다.[5]

3. 3. 저녁 식사

저녁 식사 유닛의 주 통조림으로는 체르벨라트 소시지(초기 버전), 돼지고기 런천 미트에 당근 또는 사과(첫 번째 발행), 쇠고기 및 돼지고기 로프 (두 번째 발행)가 사용되었다. 비스킷은 K1 및 K2 타입 2종이 제공되었다. 이 외에 캔디, 껌, 합성 비타민 음료 분말(오렌지, 레몬, 포도 등), 설탕, 정제 소금이 포함되었다. 또한 담배 4개비, 종이 성냥, 캔따개, 스푼이 제공되었다.[4]

K레이션 저녁 식사 구성품
주 통조림체르벨라트 소시지 (초기), 돼지고기 런천 미트 (당근/사과 첨가, 첫 번째 발행), 쇠고기/돼지고기 로프 (두 번째 발행)
비스킷K1 및 K2 타입 2종
기타캔디, 껌, 합성 비타민 음료 분말(오렌지/레몬/포도), 설탕, 정제 소금, 담배 4개비, 종이 성냥, 캔따개, 스푼


3. 4. 포장

K-레이션의 포장은 화학 처리된 골판지 외부 상자와 방수 처리된 왁스 칠 골판지 내부 상자로 구성되었다. 군인들은 왁스 칠 상자를 물을 데우는 데 활용하기도 했다.[6] 주 통조림은 금속 캔에 들어 있었으며, 이를 열기 위한 "트위스트 키" 또는 P-38 캔 오프너가 함께 제공되었다.

"사기 증진 시리즈"는 식별을 쉽게하기 위해 색상 및 문자 코딩된 포장 디자인을 사용했다. 아침 식량 상자는 갈색 인쇄와 갈색 대문자 "B", 점심 식량 상자는 파란색 인쇄와 파란색 대문자 "D", 저녁 식량 상자는 올리브 드랩 인쇄와 올리브 드랩 대문자 "S"가 표시되었다.

4. 한국 전쟁에서의 활용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생산이 중단되었을 때, 백만 개의 K-레이션 재고가 남았다. 이 재고는 5년 뒤 발발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군에게 보급되면서 완전히 소모되었다.

5. 평가 및 영향

K-레이션은 가벼운 무게와 휴대성 면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영양과 맛에서는 비판을 받았다.[9][15] K-레이션 개발 경험은 이후 미군의 전투 식량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초기 보고서에서는 K-레이션의 가벼운 무게를 칭찬했다.[2] 그러나 극한의 기후 및 작전 환경에서의 테스트는 매우 부족했다.[7] 파나마 정글에서의 테스트는 3일 동안만 진행되었고, 병사들은 가벼운 짐만 휴대하고 정비된 도로를 행군했다.[7]

K-레이션의 주요 비판점은 칼로리와 비타민 함량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실제 사용 결과, K-레이션을 장기간 섭취하면 단조로움 때문에 병사들이 질려 하는 문제가 있었다.[10] K-레이션은 원래 단기 비상 식량으로 개발되었지만, 실제로는 장기간 지급되어 영양실조를 일으키기도 했다.[7]

유럽 전구에서 전투를 벌이는 병사들은 K-레이션에 금방 싫증을 냈고, 일부는 며칠 이상 K-레이션만 먹어야 했다. 이 때문에 영양실조가 발생했으며, 특히 더위나 추위 속에서 활동하는 병사들에게는 더 심각했다.[7]

중국-버마-인도 전구에서도 K-레이션은 비판받았다. 메릴의 약탈자를 포함한 많은 병사들은 5개월 동안 K-레이션을 주식으로 먹었고, 심각한 체중 감소와 비타민 결핍을 겪었다.[7][13]

K-레이션의 맛도 문제였다. 일부 구성 요소는 맛이 없어 버려졌고, 이는 실제 섭취 칼로리를 더 줄였다.[15]

1943년, 배급 위원회는 전투 식량 현장 테스트 결과, K-레이션의 칼로리 부족을 지적하고, D 레이션은 보충제로만 사용하고 C 및 K 레이션 사용은 5일로 제한하며, K 레이션의 덱스트로스와 맥아 정제를 더 나은 대체품으로 바꿀 것을 권고했다.[9]

전쟁이 끝날 무렵, K-레이션은 구식이 되었고, 대부분 해외 민간 급식 프로그램에 나눠졌다.[5]

참조

[1] 웹사이트 Soldiers' Rations Through History: From Live Hogs to Indestructible MREs https://www.history.[...] 2010-03-13
[2] 간행물 "Rations: The History of Rations" http://old.qmfound.c[...] U.S. Army Quartermaster Museum 1949-01
[3] 서적 Ration Breakdown Point Operations http://worldcat.org/[...] U.S. Government Publication Office 1967
[4] 뉴스 Rations in Review The Quartermaster Review 1946-05
[5] 웹사이트 Army Operational Rations – Historical Background http://old.qmfound.c[...] U.S. Army Quartermaster Museum
[6] 서적 The Great Starvation Experiment: The Heroic Men Who Starved So That Millions Could Live Simon and Schuster 2006
[7] 문서 Jungle Snafus...And Remedies Oregon Institute 1996
[8] 문서 Jungle Snafus...And Remedies Oregon Institute 1996
[9] 서적 Preventive Medicine in World War II, Vol III: Personal Health Measures and Immunizati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9
[10] 서적 The US Army in World War II (1): The Pacific Osprey Publishing 2000
[11] 문서 Field Trial, Special Rations: European Theater of Operations U.S. Army 1943-07
[12] 문서 Essential Technical Medical Data, North African Theater of Operations, U.S. Army for December 1943 1944-01-27
[13] 뉴스 The Marauders and The Microbes: A Record of Righteous Indignation http://history.amedd[...] 1949-03
[14] 서적 Internal Medicine in World War II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15] 뉴스 Dinner Goes to War: The Long Battle for Edible Combat Rations is Finally Being Won 1998
[16] 웹사이트 Table 4-1, Energy and Protein Content of Operational Rations https://www.ncbi.nlm[...] 1999
[17] 웹사이트 US Army Quartermaster Corps http://www.90thidp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