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옵티머스 Q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G 옵티머스 Q2는 LG전자가 출시한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이다. 2013년 1월 18일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쿼티 키보드와 LCD 유격, 3G망 미수신 등의 결함이 있었다. 3G망 미수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펌웨어 출시와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으며, 커스텀 커널 및 펌웨어 개발도 이루어졌다. MPEG-4, H.264, H.263, DivX HD/ XviD 등의 영상 코덱과 다양한 영상 및 오디오 포맷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싸이언 - LG 싸이언
LG 싸이언은 1995년 금성 화통으로 시작하여 2000년 CYON으로 변경된 LG전자의 휴대폰 브랜드이며, 2012년 LG Mobile로 공식 변경되었다. - 싸이언 - 싸이언 아트터치
- 2011년 도입된 휴대 전화 - 모토로라 드로이드 바이오닉
모토로라 드로이드 바이오닉은 블랙 색상으로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스마트폰으로, 랩탑 도킹 스테이션에 연결하여 데스크톱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웹탑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 2011년 도입된 휴대 전화 - 삼성 웨이브 III
삼성 웨이브 III는 삼성전자가 출시한 바다 2.0 운영체제 기반의 스마트폰으로, 4.0인치 Super LCD 터치스크린, 1.4 GHz 스콜피온 프로세서,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하고 픽셀 뷰어를 통한 오피스 문서 열람 및 삼성 앱스토어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커스텀 롬을 통해 안드로이드 4.4까지 사용 가능하다. - LG전자의 스마트폰 - LG G4
LG G4는 LG전자가 2015년에 출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G3의 후속 모델이며 후면 버튼 디자인, 퀀텀 IPS 디스플레이, 스냅드래곤 808 프로세서, 16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하고 다이아몬드 패턴 플라스틱/가죽 커버 옵션을 제공하지만, 터치스크린 및 무한 부팅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 LG전자의 스마트폰 - LG 옵티머스
LG 옵티머스는 LG전자에서 만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시리즈로, 초기 모델은 안드로이드 1.6으로 출시되었고, 업그레이드와 사용자 포팅을 거쳤으며,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블루투스 호환성 문제가 있었다.
LG 옵티머스 Q2 | |
---|---|
휴대 전화 정보 | |
제목 | LG 옵티머스 Q2 LG-LU6500 |
제조사 | LG전자 |
통신사 | LG유플러스 |
슬로건 | 쿼티, 그 이상의 슬림쿼티! |
형태 | 쿼티 슬라이드 |
시리즈 | 옵티머스 |
발매일 | 2011년 9월 24일 |
시스템 | |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2.3.4 진저브레드 4.0.4 아이스크림샌드위치 |
사양 | |
전원 | 착탈식 리튬 이온 배터리 1,500 mAh |
통신 방식 | 블루투스 3.0, Wi-Fi 802.11 b/g/n, EV-DO Rev. B, WiFi Direct |
연결 방식 | USB 2.0 Hi-Speed |
CPU | NVIDIA AP25 듀얼 코어 1.2 GHz |
GPU | ULP GeForce (Ultra Low Power Geforce) / 쿼드 코어 400 MHz |
화면 | 4.0" IPS LCD/ NOVA Display 480 × 800 (WVGA) |
입력 | 정전식 터치스크린, 쿼티 자판 |
RAM | DDR 1 GB RAM |
내장 메모리 | 8 eMMC |
외장 메모리 | 마이크로SD 최대 32 GB 지원, 비공식 SDXC 지원 |
전면 카메라 | 30만 화소 |
후면 카메라 | 500만 화소, AF, MF |
크기 | 세로: 123 mm 가로: 65 mm 두께: 12.3 mm |
무게 | 147 g |
연관 기종 | |
이전 기종 | LG 옵티머스 3D LG 옵티머스 Q |
후속 기종 | LG 옵티머스 EX LG Mach 옵티머스F3Q |
2. 운영 체제 업그레이드
LG전자는 2013년 1월 18일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다. 펌웨어 버전은 137펌웨어이며, 옵티머스 UI 3.0이 적용되었다. 퀵메모가 추가되었으나 Q보이스, Q슬라이드 등 다른 기기들의 주력 기능은 추가되지 않았고, 옵티머스 Q2의 쿼티키보드를 이용한 "빠른 실행" 기능은 제거되었다.
2. 1.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LG전자 최초로 안드로이드 2.3 진저브레드 OS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LG전자 스마트폰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전작인 옵티머스 Q는 진저브레드 OS 업그레이드 대상에서 제외되어 사용자들의 원성을 샀다.[1]2. 2. 안드로이드 4.0.4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업그레이드
LG전자는 2013년 1월 18일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업그레이드를 공식적으로 진행하였다. 펌웨어 버전은 137펌웨어이다. 옵티머스 UI 3.0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퀵메모가 추가 탑재되었으나 타 기기의 주력 기능인 Q보이스, Q슬라이드 등은 추가되지 않았다. 옵티머스 Q2의 쿼티키보드를 사용하여 앱을 실행할 수 있는 "빠른 실행" 기능은 제거되었다.3. 제품의 결함
옵티머스 Q2는 소프트웨어 자체 결함으로 한 차례 자발적 리콜이 있었으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끝났다. 28000번대 이후 제품은 정상 제품이다.[1] 그러나 초기 불량을 제외하고도 다음과 같은 여러 결함이 보고되었다.[1]
- 쿼티 자판과 LCD 부분 사이에 공간이 남아 유격이 발생한다.[1]
- 순정 이어폰 외 다른 이어폰 사용 시 화이트 노이즈가 발생한다.[1]
- 3G망을 잡지 못하는 버그가 있어, 3G 통신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3G 재탐색을 위해 기기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배터리 소모가 심하다.[1]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버전 업그레이드 이후 3G망 미수신(일명 '3G 가출') 현상은 줄었으나, 3G 표시만 뜨고 실제로는 망을 잡지 못하는 현상이 드물게 발생한다.[1]
4. 업그레이드 논란
옵티머스 Q2는 소프트웨어 자체 결함으로 한 차례 자발적 리콜이 있었으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끝났다. 그러나 초기 불량을 제외하고도 쿼티 자판과 LCD 부분 사이의 공간으로 인한 유격, 순정 이어폰 외 다른 이어폰 사용 시 화이트 노이즈 발생, 3G망 미수신 등의 여러 결함이 있었다. 특히 3G망 미수신 문제는 3G 통신 불가능뿐 아니라 배터리 소모를 유발했다.
LG전자는 3G망 미수신 문제 해결을 위해 128 펌웨어를 내놓았으나 큰 효과가 없었고, 아이스크림 샌드위치(ICS) 업그레이드를 통해 해결하겠다고 밝혔다.[1] 그러나 당초 2012년 3분기로 예정되었던 ICS 업그레이드는 2013년에야 이루어졌다.[1] 2013년 1월 18일에 정식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펌웨어인 137 펌웨어가 출시되었다.[1]
잦은 결함과 늦은 업그레이드는 소비자들의 불만을 야기했으며, 특히 전작인 옵티머스 Q 사용자들이 진저브레드 업그레이드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더 큰 원성을 샀다.
5. 커스텀 커널 및 펌웨어 개발
네이버 카페 안드로이더스를 중심으로 개발이 되었으나, 광고와 관리 부재로 인한 불편함 때문에 옵티머스 Q2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카페 Q2포럼으로 이동되었다.[1]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첫 정식 펌웨어가 나온 지 2시간도 되지 않아 부트로더 크랙, 루팅에 성공한 유저가 나왔다.[1]
유명하지 않은 마이너 폰이지만 커스텀 커널 개발이 이루어졌다. 진저브레드용으로는 오류를 잡는 것을 주 목표로 만들어진 커널과 오버클럭 커널이 존재한다.[1]
유저 "백원만"이 옵티머스 2X와 Optimus X(옵티머스 EX 일본판)의 커널 소스를 사용하여 유출된 ICS 펌웨어인 131펌웨어의 커스텀 커널을 만들었다.[1]
정식 펌웨어는 오픈 소스가 공개되어 크게 3가지의 커널이 존재하고 있다. 유저 "백원만"이 성능을 중심으로 만들거나 새로운 기능을 중심하여 릴리즈 하는 커널, 유저 "Icaros"이 배터리와 편리성을 중심하여 릴리즈 하는 커널, 유저 "Escape Miner"이 반시위적 뜻을 중심하여 릴리즈 하는 커널이 있다.[1]
커스텀 리커버리로는 ClockWorkMod Recovery v6.0.2.7까지 포팅이 되어있다.[1]
커스텀 롬으로는 CyanogenMod 7.2.0 (비공식)과 이 롬 기반의 커스텀 롬 Lewa OS가 있다.[1]
2013년 6월 즈음 유저 "Icaros"이가 옵티머스 EX의 커스텀 롬을 옵티머스Q2 용으로 CyanogenMod 10.0 (비공식)과 함께 여러 커스텀롬을 개발하였다. 현재 나와있는 커스텀 JB 롬들은 Provision, CynogenMod, MIUI, PAC-MAN, AOKP가 있다.[1]
LG 137펌웨어 (2013년 8월 18일 기준 최신 펌웨어)를 기반으로 제작된 최적화를 중심하여 만들어진 기반롬도 존재한다.[1]
6. 미디어 지원
LG 옵티머스 Q2는 다양한 영상 및 오디오 코덱과 포맷을 지원한다. 지원하는 영상 코덱으로는 mpeg4, H.264, H.263, DivX HD/XviD가 있다. 지원하는 영상 포맷으로는 MPEG-4, WMV(ASF), AVI(divx), MKV, FLV, Xvid가 있다. 오디오 코덱/포맷으로는 WAV, Vorbis, MP3, AAC, AAC+, eAAC+, AAC-LC, WMA, WMA9, SBC, AC3를 지원한다.
6. 1. 지원 영상 코덱
mpeg4, H.264, H.263, DivX HD/XviD를 지원한다.6. 2. 지원 영상 포맷
6. 3. 지원 오디오 코덱/포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