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37 105 mm 자주곡사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37 105 mm 자주곡사포는 미국에서 개발된 105mm 곡사포를 탑재한 자주포로, M24 채피 경전차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M7 프리스트의 후속 모델로 개발되었으며, 1945년 1월에 M37 HMC로 제식화되어 316대가 생산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에는 투입되지 못하고 한국 전쟁에서 미군의 주력 포병으로 활약했다. M24 경전차 차체를 활용한 "라이트 컴뱃 팀" 구상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M4 105mm 곡사포를 장착하여 M7보다 사거리와 포탄 탑재량이 향상되었다. 전쟁 이후에는 스페인 육군 등 미국의 동맹국에 제공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 M52 HMC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자주곡사포 - M7 프리스트
    M7 프리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미국 육군이 개발한 자주포로, M3 리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105mm 곡사포를 탑재하여 기갑 부대의 화력 지원을 담당했으며, 다양한 전장에서 활약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프리스트"라는 별칭을 얻었다.
  • 미국의 자주곡사포 - M110 자주포
    M110 자주포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냉전 시대에 전술 핵포탄 발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베트남 전쟁과 걸프 전쟁 등에서 사용되었지만, M270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대체되어 퇴역했다.
  • 미국의 자주포 - M107 자주포
    M107 자주포는 미국 육군이 1961년에 도입한 175mm 자주포로, M53 및 M55 자주포의 후계 기종이며, M110 자주포와 차대 구성품을 공유하고 항공 수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전쟁에서 긴 사거리를 활용해 적의 지휘 시설 및 포병 기지 제압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대부분 퇴역하였다.
  • 미국의 자주포 - M7 프리스트
    M7 프리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미국 육군이 개발한 자주포로, M3 리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105mm 곡사포를 탑재하여 기갑 부대의 화력 지원을 담당했으며, 다양한 전장에서 활약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프리스트"라는 별칭을 얻었다.
M37 105 mm 자주곡사포
기본 정보
M37 105mm 자주유탄포
명칭M37 105mm 자주유탄포
종류자주포
개발 국가미국
제원
전장5.52m
전폭2.75m
전고2.23m
중량18.0t
현가 방식토션바 방식
행동 거리241km
엔진 명칭캐딜락 시리즈 44T4 액랭식가솔린 엔진
속도56.4km/h
출력296hp
주 무장105mm유탄포M4×1
부무장12.7mm 중기관총 M2×1
장갑12.7-28.5mm
승무원7명
성능
활역 각도42.8~-10.5도
포구 초속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사정거리일반 포탄 기준, 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최대 사정거리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탄약 공급수동
포미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반동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포가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좌우 회전각좌측 25.4°, 우측 26.3°, 수동 조작
구경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탄약 적재량주포: 126발
기관총: 990발
엔진 형식이중 캐딜락 시리즈 44T24
엔진 출력각 엔진당 220hp (164kW) @ 3,400rpm
변속기하이드라매틱 8단 전진, 4단 후진
연료 용량110 미국 갤런 (420리터)
마력 대 중량비21hp (15.66kW) / 톤
최대 도로 속도30-35 mph (48-56 km/h)
생산 및 운용
설계정보 없음 (제공된 문서에 없음)
제작사캐딜락
생산 기간1945년 1월 ~ 1953년
생산 대수316대
사용 국가미국
스페인
참전한국 전쟁
미군 운용 기간1950년~1953년

2. 개발 및 생산 역사

M37 105mm 자주곡사포는 M24 채피를 기반으로 미국에서 개발되었으며, 105mm M7 프리스트의 후속 모델이다. 1943년 7월 8일부터 '''T76 105mm HMC'''로 개발이 시작되었다.[3] M4 셔먼 중형 전차에 장착된 것과 동일한 105mm 곡사포 M4를 사용했다. M37 HMC는 폭이 41cm (16 인치) 인 토션 바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개방형 차량이었다. 주포 성능은 M7 프리스트와 비슷했지만 M24 채피의 더 가벼운 섀시를 사용하여 자주포를 다루기가 더 쉬워졌다.[4] 1945년 1월 캐딜락 제너럴 모터스 (Cadillac Division of General Motors)에 의해 모든 유닛이 건설되면서 생산을 위해 표준화되었으나, 제 2 차 세계 대전에는 투입되지 못했다.[3]

2. 1. 한국 전쟁에서의 활약

M37은 제2차 세계 대전에는 투입되지 못했지만, 한국 전쟁에서 미군의 주요 포병 전력으로 활약했다.[3] 미군이 주문한 448대 중 316대의 M37 HMC가 생산되었다.[4] M37의 얇은 장갑(0.5인치 또는 1.3cm)은 소형 무기 및 포병 파편으로부터는 보호할 수 있었지만, 그 이상의 공격에는 취약했다. M7 사제와 같은 "강단" 기관총은 대공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105mm 곡사포 M4는 총 51.7도 회전할 수 있었다.[4] M24 채피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M37은 탄약의 양(126발), 반동 시스템, 그리고 105mm 곡사포 M4의 무게 때문에 결과적으로 훨씬 느려졌다.[5]

M24 경전차 차체를 사용하여 각종 자주포를 개발하는 "라이트 컴뱃 팀" 구상의 일환으로, M7 자주포의 후계 차량으로서 개발된 것이 M37이었다.

포탑을 제거한 M24 경전차 차체 위에 후부 기관실까지 닿는 상자형 오픈탑식 전투실을 설치하고, 전방 중앙에 105mm 유탄포 M4를 장비했다. 또한 오른쪽 전방에 대공용 링 마운트를 설치하여 12.7mm 중기관총 M2를 장비했다.

주포의 최대 앙각은 42.8도로 사거리는 11.16km였으며, 이는 M7의 최대 앙각 35도, 사거리 10.4km를 능가하는 성능이었다. 또한 탑재 포탄 수는 126발로, M7의 69발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T76은 1945년 1월에 '''M37 HMC (Howitzer Motor Carriage)'''로 제식화되어 10월까지 316대가 생산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는 투입되지 못하고 한국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일부 M37은 스페인 군대와 같은 외국으로 보내졌다.[5] M37과 M7은 모두 1950년대 후반 M41 경전차에 내장된 자주포인 M52 HMC로 대체되었다.[6] 미국의 동맹국에도 제공되었으며, 스페인 육군은 1957년부터 28대를 주력 자주포 중 하나로 1970년까지 사용했다.

3. 제원

M24 경전차 차체에 포탑을 제거하고, 후부 기관실까지 닿는 상자형 오픈탑식 전투실을 설치하였다. 전방 중앙에는 105mm 유탄포 M4를 장비했으며, 오른쪽 전방에 대공용 링 마운트를 설치하여 12.7mm 중기관총 M2를 장비했다.[1]

주포 최대 앙각은 42.8도, 사거리는 11.16km이다. 이는 M7 자주포의 최대 앙각 35도, 사거리 10.4km보다 향상된 수치이다. 탑재 포탄 수는 126발로, M7의 69발에 비해 크게 늘었다.[1]

4. 운용 국가


  • United States영어 - 미국[3][4][5][6]: 생산된 448대 중 316대가 미군에 배치되어 한국 전쟁에 투입되었다.
  • Ejército de Tierraes - 스페인[5]: 1957년부터 28대를 주력 자주포 중 하나로 1970년까지 사용했다.

4. 1. 일본에서의 M37

M37은 M24 전차 및 M24의 파생형인 M19 대공자주포와 함께 육상자위대에 공여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당시 방위청이 M24 전차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105mm 자주포를 국산화할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소수만이 "참고용"으로 제공되었다.[1]

기술 해석과 각종 시험에 사용된 M37은 용도 폐기 후 처분되었지만, 고철로 매각된 것을 복원한 차량이 민간 기업에 의해 현재도 보관되어 있다. 일반 전시는 실시되지 않고 있다.[1]

5. 파생형

미국군은 "경전투 부대" 구상의 일환으로 M37과 동일한 차체를 사용하여 M2 107mm 박격포를 탑재한 자주박격포인 '''T38 MC'''(Mortar Carrier)를 개발했다.[2]

T38은 장비된 포와 탄약 랙 외에는 M37과 동일하지만, 포를 전방으로 내밀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포탑이 없으며, 전투실 전면에는 포를 내려 지상에서 운용할 때를 위해 박격포의 포판이 탑재되어 있다.[2]

T38은 종전 후인 1945년 9월부터 개발 작업이 시작되었지만, 1950년 시험 종료를 기점으로 개발이 중단되어 시제 차량만 제작되었다.[2]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영화 패튼 대전차 군단에서 미 육군의 자주곡사포로 등장하며, 촬영에는 스페인 육군이 보유하던 실제 M37이 사용되었다.[1] 게임 R.U.S.E.에서 미국의 자주포로, 월드 오브 탱크에서 미국 자주포 "M37"로 개발 가능하다.

6. 1. 게임

R.U.S.E.에서 미국의 자주포로 등장한다. 월드 오브 탱크에서 미국 자주포 "M37"로 개발 가능하다.

6. 2. 영화

영화 패튼 대전차 군단에서 미 육군의 자주곡사포로 등장한다. 촬영에는 스페인 육군이 보유하던 실제 M37이 사용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カマド「社長の小部屋」web版|2010-08|「中田商店コレクション」 http://shachonokobey[...] 2024-10-09
[2] 웹사이트 TankArchives|Yuri Pasholok|Saturday 7 September 2019|A Fast Howitzer on a Light Chassis: Victim of peace https://www.tankarch[...] 2024-10-13
[3] 웹인용 M37 105 mm Howitzer Motor Carriage http://olive-drab.co[...] 2017-11-28
[4] 웹인용 105 mm HMC M37 http://afvdb.50megs.[...] Chris Conners 2017-12-01
[5] 웹인용 M37 Gun Motor Carriage (GMC) Self-Propelled Gun (SPG) https://www.military[...] 2017-12-01
[6] 서적 M7 Priest 105 mm Howitzer Motor Carriage https://books.google[...] Osprey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