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IH 증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IH 증후군은 'Not Invented Here'의 약자로, 다른 사람이나 조직에서 개발한 기술, 아이디어, 작품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심리적, 사회적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두려움, 질투심, 부족주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컴퓨터 및 IT 산업, 군수 산업, 미디어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특히 군수 산업에서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이유로 NIH 증후군이 강하게 나타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의 사례가 그 폐해를 보여준다. 반대 개념으로는 PFE(proudly found elsewhere)가 있으며, 외부의 우수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정적 호소 -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이나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 감정적 호소 -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
    결과에 호소하는 논증은 주장의 결과가 바람직한지 여부에 따라 주장의 진위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긍정형과 부정형으로 나뉘며 정치, 사회, 법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 객관적 판단을 위해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
  • 안티패턴 - 기술 부채
    기술 부채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발생하는 개념으로, 현재의 편의적인 설계가 미래에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여 개발 비용 증가, 프로젝트 지연, 경쟁력 약화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안티패턴 - 난독화
    난독화는 프로그램 코드의 가독성을 낮춰 이해를 어렵게 하는 기술로, 역공학을 방지하여 보안을 강화하며 소스 코드와 바이너리 난독화로 구분되고, 코드 분석을 어렵게 만들지만 불가능하게 하지는 않아 다른 보안 기술과 함께 사용된다.
NIH 증후군
NIH 증후군
"NIH 증후군"이라는 문구를 나타내는 이미지
기본 정보
다른 이름Not invented here
NIH
설명다른 곳에서 개발된 아이디어나 제품을 조직 내에서 기꺼이 사용하지 않거나 개발 또는 채택하지 않으려는 경향
영향내부 혁신 저해
협업 기회 감소
불필요한 중복 개발
원인자만심
지적 재산 통제 욕구
기존 방식 고수
외부 아이디어에 대한 불신
조직 문화
해결책개방적인 혁신 문화 조성
외부 협력 장려
가치 평가 시스템 개선
학습 및 공유 문화 구축
관련 개념발명되지 않은 곳 증후군 (Not invented there)
개방형 혁신
클로즈드 이노베이션
관련 정보
관련 정보Build Vs. Buy: Why Most Businesses Should Buy Their Next Software Solution (Forbes, 2020)
P&G's New Innovation Model (Harvard Business School Working Knowledge, 2006)

2. 원인

NIH 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심리적으로는 타인이 개발한 것을 이해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이나 질투심이 작용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다른 문화에서 유래한 것을 배척하는 부족주의와 비슷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2. 1. 심리적 요인

심리학적으로 다른 사람, 다른 조직의 기술이나 아이디어, 작품을 이용하지 않으려는 이유는 다양하다. 타인이 개발한 작품을 이해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도 있고,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종의 질투심도 작용하여 타인의 기술이나 아이디어 등을 수용하지 않으려고 할 수도 있다. 사회적으로 보면 이러한 태도는 부족주의 형태의 일환으로 다른 문화에서 유래한 물품이나 제도를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것과 비슷하다.

2. 2. 사회적 요인

심리학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다른 조직의 기술, 아이디어, 작품을 이용하지 않으려는 이유는 다양하다. 타인이 개발한 작품을 이해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과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질투심이 작용하여 타인의 기술이나 아이디어 등을 수용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보면 이러한 태도는 다른 문화에서 유래한 것을 배척하는 부족주의와 유사하다.[1]

2. 3. 조직 문화적 요인

심리학적으로 다른 사람, 다른 조직의 기술이나 아이디어, 작품을 이용하지 않으려는 이유는 다양하다. 타인이 개발한 작품을 이해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도 있고,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일종의 질투심도 작용하여 타인의 기술이나 아이디어 등을 수용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보면 이러한 태도는 부족주의 형태의 일환으로 다른 문화에서 유래한 물품이나 제도를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것과 비슷하다.

3. 컴퓨터 및 IT 산업

컴퓨터 및 IT 산업은 NIH 증후군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영국제 홈 컴퓨터가 일본에서는 거의 팔리지 않고, 반대로 일본제 홈 컴퓨터가 영국에서 거의 팔리지 않은 사례가 있다. 예를 들어, ZX 스펙트럼은 영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일본에서는 거의 팔리지 않았다. 반대로 MSX는 일본뿐만 아니라 네덜란드 등에서도 제조되었지만, 영국과 미국에서는 거의 팔리지 않았다. 이는 최종 사용자가 기피했다기보다는 판로 개척이나 마케팅의 문제가 크지만, 일종의 NIH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다.

3. 1. 통신 프로토콜

과거 컴퓨터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은 벤더마다 독자적인 규격이 난립했기 때문에 상호 운용성을 확립하고자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OSI)의 제정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OSI 프로토콜은 지나치게 복잡하여 구현이 매우 어려웠다. 또한 이행 방법은 기존 프로토콜의 사용을 중지하고 모든 것을 한 번에 교체하는 방식이었다. 이 때문에 많은 벤더들은 보다 유용한 기술을 우선시하게 되었고, 제정 중에 TCP/IP가 사실상의 표준 규격이 되었다.

3. 2.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소스 커뮤니티

자유 소프트웨어 또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는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NIH 증후군의 예로 자주 언급된다. 예를 들어, 리눅스 배포판은 수백 개나 존재한다. 각각은 겉으로 보기에는 목적이 다르며, 응용 분야가 다르다고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게다가 리눅스 배포판이 다수 출현한 결과, 그 대부분은 활발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떤 기능을 구현한 기존 프로그램이 모두 자유롭지 않은 경우, 그 기능을 자유로운 것으로 구현하는 것은 NIH가 아니다. 오픈 소스 커뮤니티는 클로즈드 소스 구현의 대체가 될 구현을 제공하려 한다. NIH라는 용어는 기술 또는 법률 이외의 이유로 자체 개발을 하려는 것을 가리킨다. 이를 "바퀴의 재발명"이라고도 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정당하다고 할 수 없으며, 자존심, 무지, 기존 해결책에 대한 불만, 만들고 싶어서 만든다는 이유이다. 이러한 경향은 오픈 소스 프로그래머에게만 고유한 것은 아니다.

3. 3. 한국 IT 산업의 문제점

한국 IT 산업에서도 NIH 증후군이 관찰된다. 자체 기술 개발을 우선시하고 외부 기술 도입에 소극적인 태도는 글로벌 경쟁력 약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 군수 산업

군수 산업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NIH 증후군이 강하게 나타나는 분야이다. 설계자나 관료에게 일자리를 주기 위해 국내 작업을 중시하는 경향이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관찰도 있다.[7] 다만, 군수 산업에서는 전시에 대비해 자국 내 병기 생산·정비 능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조사에 일자리를 줄 필요"가 정책으로 주장되기도 한다.

4. 1. 한국 군수 산업의 특수성

한국은 분단 상황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자체적인 무기 개발 및 생산 능력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1. 1.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일본의 사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일본에서는 육군과 해군이 모든 분야에서 각각 독자적인 병기 개발을 진행했으며, 기관총과 같은 것까지 각자 개발한 호환성 없는 것을 사용했다.[7] 육군이 수송용 소형 잠수정의 필요성을 느꼈을 때조차 해군에 협상하여 건조받는 것이 아니라, '''육군 스스로 잠수정을 건조'''하는 길을 택했다. 동일한 다임러-벤츠제 항공기용 엔진의 라이선스 생산권을 독일에서 구매하는 데 있어서, 육해군이 별도로 협상·라이선스료를 지불하여 독일 측을 어이없게 했다는 일화도 있다(이 당시에는 일본 내 제조사까지 달랐다).[7]

5. 미디어 산업

미디어 산업에서도 NIH 증후군이 나타나는데, 미국의 방송 업계가 대표적인 사례이다.[8]

5. 1. 미국 방송 업계의 사례

미국 텔레비전 업계에는 일종의 NIH 증후군이 존재한다. 네트워크와 특정 제작사가 제휴 관계에 있어, 해당 제작사가 제작한 프로그램의 구매 비율이 크다. 예를 들어 ABC와 ABC 스튜디오, NBC와 유니버설 미디어 스튜디오, CBS와 CBS 파라마운트 텔레비전, FOX와 20세기 폭스 텔레비전의 관계가 있다. 이는 수직 통합에 재정적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네트워크와 제휴 관계에 있는 스튜디오의 작품을 다른 네트워크가 구매하는 경우, 이를 시리즈화하는 과정에서 제휴 관계에 있는 스튜디오에서 제작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예를 들어, 『CSI: 과학수사대』는 당초 터치스톤 텔레비전(현 ABC 스튜디오)이 제작했지만, CBS가 스탭과 함께 가져갔다[8]

6. 긍정적 측면 (PFE)

NIH의 반대 개념은 '자랑스럽게 다른 곳에서 발견했다'(proudly found elsewhere, '''PFE''')이다.[9] 이는 외부의 우수한 기술,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조

[1] 논문 Distant Search, Narrow Attention: How Crowding Alters Organizations' Filtering of Suggestions in Crowdsourcing 2014-06-26
[2] 서적 The Innovation Playbook: A Revolution in Business Excellence John Wiley and Sons 2010
[3]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Modern Britai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 간행물 Build Vs. Buy: Why Most Businesses Should Buy Their Next Software Solution https://www.forbes.c[...] 2021-10-29
[5] 웹사이트 P&G's New Innovation Model https://hbswk.hbs.ed[...] 2020-04-18
[6] 논문 Investigating the Not Invented Here (NIH) syndrome: A look at the performance, tenure, and communication patterns of 50 R & D Project Groups https://onlinelibrar[...] 1982-01
[7] 문서 Katz & Allen, Investigating the Not Invented Here (NIH) Syndrome: a look at the performance, tenure and communication patterns of 50 R&D project groups 1982
[8] 서적 Desperate Networks Doubleday 2006
[9] 웹인용 P&G's New Innovation Model http://hbswk.hbs.edu[...] 2017-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