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ike+iPod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ike+iPod는 나이키와 애플이 협력하여 개발한 운동 추적 시스템이다. 2006년부터 출시되어 센서와 아이팟을 연동하여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기록하고, 나이키 웹사이트와 연동하여 운동 통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센서는 신발에 장착되어 걸음 수, 거리, 시간 등의 정보를 수집하며, 아이팟을 통해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운동 목표 설정, 보정, 유명인 피드백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운동 중 아이팟 컨트롤 휠의 기능이 변경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키의 제품 - 컨버스
    컨버스는 1908년 마르키스 M. 컨버스가 설립한 미국의 신발 회사로, 농구화 캔버스 올스타 출시 후 성장했으나 경쟁 심화로 나이키에 인수되어 현재는 자회사로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상표권 분쟁 등의 법적 문제도 겪고 있다.
  • 나이키의 제품 - 스우시
    1971년 캐롤린 데이비슨이 디자인한 스우시는 그리스 신화의 여신 니케의 날개에서 영감을 받아 움직임과 속도감을 상징하며 나이키의 핵심적인 상표가 되었다.
  • 아이팟 - 애플
    애플은 스티브 잡스 등이 1976년 설립한 다국적 기술 기업으로, 혁신적인 제품 출시로 성장했으나 위기도 겪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적 이슈에도 직면하고 있다.
  • 아이팟 - 아이팟 클래식
    애플이 2007년에 출시한 아이팟 클래식은 클릭 휠 인터페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6세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로서, 음악, 동영상, 사진 재생 기능을 제공하며 80GB, 120GB, 160GB 용량으로 출시되었다가 2014년 9월에 단종되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Nike+iPod
기본 정보
Nike+iPod 로고
로고
제조사나이키
유형아이팟 장치
연결압전기 센서, 수신기
출시일2006년 7월 13일
웹사이트nike.com/nike-app

2. 역사

나이키와 애플의 협업으로 탄생한 Nike+iPod는 조깅이나 운동 기록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플랫폼이다. 2006년 첫 선을 보인 이후, 여러 차례의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사용자 기반을 확장해왔다.

2. 1. 초기 모델 (2006~2008)

2006년 5월 20일, 나이키와 애플은 조깅이나 운동 중 시간, 거리, 페이스, 칼로리 소모량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와 아이팟 키트를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아이팟, 무선 칩, 무선 칩을 수용하는 나이키 신발, 아이튠즈 멤버십, 나이키+ 온라인 커뮤니티로 구성되었다. 아이팟에 센서와 리모컨을 연결하여 사용했다.

2008년 4월에는 아이팟 나노 없이도 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Sportband 키트가 발표되었다.[4] 이 키트는 손목 밴드형 고무 홀딩 스트랩과 USB 키 디스크 형태의 수신기로 구성되었다. 수신기의 내장 디스플레이는 아이팟 키트와 유사한 정보를 표시했으며, 운동 후 USB 포트에 연결하면 자동으로 운동 정보가 나이키+ 웹사이트에 업로드되었다.

2. 2. Sportband와 Gym 연동 (2008~2010)

2008년 4월에 발표된 Sportband 키트는 아이팟 나노 없이도 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업그레이드 제품이었다.[4] Sportband는 손목에 착용하는 고무 홀딩 스트랩과 USB 키 디스크와 유사한 수신기,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는 내장된 디스플레이에 아이팟 키트와 유사한 정보를 표시하며, 운동 후 수신기를 USB 포트에 직접 연결하면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운동 정보를 나이키+(Nike+) 웹사이트에 업로드한다.

2008년 8월, "Gym용 나이키+아이팟"이 출시되어 사용자는 심박수 운동을 아이팟에 직접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스포츠 키트나 신발 센서 없이, 호환되는 아이팟(1~6세대 아이팟 나노 또는 2/3세대 아이팟 터치)과 지원되는 심박수 운동 장비만 있으면 된다. 2009년 3월 기준으로 Life Fitness, Technogym, Precor USA, Star Trac, Cybex International, Matrix Fitness, Free Motion의 7개 주요 상업 장비 제공업체가 지원 장비를 출시했다. 호환 장비 모델에는 트레드밀, 고정식 자전거, 스텝 클라이머, 일립티컬 및 Precor의 Adaptive Motion Trainer 등이 있다. 사용자가 아이팟을 아이튠즈와 동기화하면 심박수 운동이 자동으로 Nikeplus.com에 저장되며, 각 운동은 소모된 칼로리 수를 기준으로 시각화 및 추적된다. 칼로리는 "CardioMiles"로 변환(100:1 비율)되어 심박수 운동 사용자가 Nikeplus.com의 모든 기능을 활용하고, 다른 사용자와 공통 통화를 사용하여 챌린지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2. 3. 스마트 기기 통합 (2010~현재)

애플은 2008년 2세대 아이팟 터치를 출시하면서 Nike+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내장하여 아이팟이 무선 센서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했다.[4] 이로써 외부 수신기를 연결할 필요가 없어졌다. 애플은 이 기능을 아이폰 3GS(2009년 출시), 아이폰 4(2010년), 그리고 3세대 아이팟 터치(2009년)에도 추가했다. 이 기기들은 Broadcom Bluetooth 칩셋을 사용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2010년 6월 7일, 폴라(Polar)와 나이키는 Nike+와 함께 작동하는 Polar WearLink+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Nike+ SportBand 및 5세대 아이팟 나노와 Nike+ 아이팟 스포츠 키트와 함께 작동한다. Polar WearLink+는 5세대 아이팟 나노 및 Nike+ SportBand와 직접 통신하며, 대부분의 Polar 훈련 컴퓨터와도 호환된다.[5]

Nike+는 2013년 4월 기준으로 전 세계 1,8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했으며,[6] 1년 후에는 2,800만 명으로 늘었다.[7]

iOS 6.1.2 이상 버전에서는 앱 호환성 문제로 인해 탈옥된 아이패드 사용자가 네이티브 Nike+ 아이팟 아이폰 및 아이팟 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8][9]

2018년 4월 30일, 나이키는 나이키+ 퓨얼밴드(FuelBand) 및 나이키+ 스포츠워치 GPS와 같은 구형 나이키 웨어러블 장치와 나이키 런 클럽 및 나이키 트레이닝 클럽 버전 4.X 이하를 포함한 이전 버전의 앱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했다. 나이키는 더 이상 나이키플러스 프로필 또는 나이키+ 퓨얼/퓨얼밴드 및 나이키+ 무브 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나이키+ 커넥트 소프트웨어를 지원하지 않았다.[10]

3. 구성 요소

Nike+iPod 키트는 압전 센서, 노르딕 세미컨덕터 nRF2402 송신기, 아이팟 연결 수신기로 구성된다. 센서는 신발 안창 밑에 장착되며, 2.4 GHz 무선 통신과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ShockBurst"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1] 무선 데이터는 암호화되지만, 일부 고유 식별 데이터는 평문 전송된다.[12] 이 프로토콜은 2011년 드미트리 그린버그가 리버스 엔지니어링했다.[13]

나이키는 센서용 주머니가 있는 Nike+ 신발을 권장하지만, 센서는 개별 구매할 수 있고 배터리 교체는 불가능하다. 신발 끈 고정용 애프터마켓 솔루션도 있으며, 센서 흔들림 방지가 중요

3. 1. 하드웨어

이 키트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발 안창 밑에 장착되는 압전 센서와 노르딕 세미컨덕터 nRF2402 송신기가 있으며, 아이팟에 연결되는 수신기가 있다. 이들은 2.4 GHz 무선 통신을 사용하며,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ShockBurst"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1] 무선 데이터는 전송 중에 암호화되지만, 일부 고유 식별 데이터는 평문으로 전송된다.[12] 이 무선 프로토콜은 2011년 드미트리 그린버그[13]에 의해 리버스 엔지니어링되어 문서화되었다.

나이키는 장치를 넣을 수 있는 특별한 주머니가 있는 나이키+ 모델 신발을 권장한다. 나이키는 센서를 개별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는 더 이상 전체 세트(아이팟 수신기 및 센서)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센서 배터리는 교체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가 소모될 때마다 새 센서를 구매해야 한다.

발 센서를 위한 내장형 주머니나 수제 주머니가 있는 신발을 사용하고 싶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신발 끈에 센서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신발 파우치 및 고정 장치와 같은 애프터마켓 솔루션이 있다. 사용자의 신발에 센서가 통합되는 방식에 관계없이, 센서가 사용 중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여 정확도를 저하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구분구성
발 센서[14]
아이팟 수신기[14]


3. 2. 온라인 플랫폼

2006년 5월 20일에 센서와 아이팟 키트가 공개되었는데, 이 키트는 조깅이나 운동의 경과 시간, 이동 거리, 페이스, 개인이 소모한 칼로리와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나이키+(Nike+)는 나이키와 애플의 협업으로 탄생했으며, 이 플랫폼은 아이팟, 무선 칩, 무선 칩을 수용하는 나이키 신발, 아이튠즈 멤버십, 그리고 나이키+(Nike+) 온라인 커뮤니티로 구성되었다.[4]

2008년 8월에는 "Gym용 나이키+아이팟"이 출시되어, 사용자가 심박수 운동을 아이팟에 직접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호환되는 심박수 운동 장비 모델에는 트레드밀, 고정식 자전거, 스텝 클라이머, 일립티컬 등이 있다. 사용자가 아이팟아이튠즈와 동기화하면 심박수 운동이 자동으로 Nikeplus.com에 저장되며, 각 운동은 소모된 칼로리 수를 기준으로 시각화되고 추적된다. 칼로리는 "CardioMiles"로 변환되어, 심박수 운동 사용자가 Nikeplus.com의 모든 도구와 기능을 활용하고, 다른 사용자와 공통 통화를 사용하여 챌린지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4]

2010년 6월 7일, 폴라(Polar)와 나이키는 나이키+(Nike+)와 함께 작동하는 Polar WearLink+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나이키+ SportBand 및 5세대 아이팟 나노와 나이키+ 아이팟 스포츠 키트와 함께 작동한다. 대부분의 Polar 훈련 컴퓨터와도 호환된다.[5]

개인 운동 통계를 추적하는 것 외에도, 나이키+(Nike+)는 나이키 웹사이트와 직접 통합된다. 운동 데이터는 아이튠즈를 통한 아이팟 동기화 중에 웹사이트에 자동으로 업로드될 수 있다. 2006년 10월 19일, 나이키+ 웹사이트에 달리기에 이름을 지정하는 기능, 사용자가 서로 만나 도전하고 질문하며 피드백을 제공하는 포럼 등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모든 사용자가 생성한 챌린지를 볼 수 있는 챌린지 갤러리, 달리기 경로에 이름을 지정하는 기능, 새로운 아이팟 나노와의 호환성, 모든 사람의 총 이동 거리를 볼 수 있는 거리 클럽 등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다.

4. 작동 원리

이 키트는 압전 센서와 노르딕 세미컨덕터 nRF2402 송신기, 아이팟에 연결되는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2.4 GHz 무선 통신을 사용한다.[11]

나이키는 장치를 넣을 수 있는 특별한 주머니가 있는 나이키+ 모델 신발을 권장한다. 센서는 개별 판매되므로, 소비자는 전체 세트(아이팟 수신기 및 센서)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센서 배터리는 교체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가 소모될 때마다 새 센서를 구매해야 한다.

신발 끈에 센서를 고정하는 신발 파우치 및 고정 장치와 같은 애프터마켓 솔루션도 있다. 센서가 사용 중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여 정확도를 유지해야 한다.

4. 1. 데이터 전송 및 보안

이 키트는 신발 안창 밑에 장착되는 압전 센서와 노르딕 세미컨덕터 nRF2402 송신기, 아이팟에 연결되는 수신기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2.4 GHz 무선 통신을 사용하며,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ShockBurst"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11] 무선 데이터는 전송 중에 암호화되지만, 일부 고유 식별 데이터는 평문으로 전송된다.[12] 이 무선 프로토콜은 2011년 드미트리 그린버그[13]에 의해 리버스 엔지니어링되어 문서화되었다.

신발 센서는 사용자가 걷거나 달리는 동안, 그리고 사용자가 움직임을 멈춘 후 10초 동안 초당 한 번씩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며, 다른 충격도 센서가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한다. 이 프로토콜은 연결 지향적이지 않으며 쉽게 스니핑될 수 있다. 대부분의 데이터는 암호화되지만, 장치의 일련 번호의 일부는 암호화 없이 전송된다. 이 고유한 32비트 번호는 특정 Nike+ 발 센서를 식별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기술은 자동차 잠금 장치 원격 조작,[15] 고객 추적, 스토킹 등에 사용될 수 있다.[12]

장치가 매초 전송하는 데이터는 장치가 처음 사용된 이후 누적되므로 사용자의 운동 습관과 전반적인 생활을 잘 보여줄 수 있다. 데이터에는 달린 걸음 수, 걸은 걸음 수, 달린 거리, 걸은 거리, 장치가 켜져 있던 시간(시간)이 포함된다.

5. 사용 방법

나이키+ 아이팟 송신기가 장착된 나이키+ 신발


스포츠 키트를 사용하여 달리기를 추적할 수 있다. 달리기는 "운동"으로 지칭된다.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려면 수신 장치를 아이팟에 연결한 다음 아이팟 메뉴 시스템을 탐색해야 한다. 사용자는 특정 거리 달리기, 특정 칼로리 소모, 지정된 시간 동안 운동 등 운동 목표를 선택하거나, 목표 없이 "기본 운동"을 시작할 수도 있다. 운동 목표가 설정되면 수신기는 센서를 찾고, 사용자에게 "센서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변을 걸어 다니라"고 요청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아이팟의 가운데 버튼을 눌러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5. 1. 운동 중 기능

스포츠 키트는 달리기를 추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달리기는 "운동"으로 지칭된다. 새로운 운동은 수신 장치를 아이팟에 연결한 다음 아이팟 메뉴 시스템을 탐색하여 시작된다. 사용자는 특정 거리를 달리기, 특정 칼로리 소모, 지정된 시간 동안 운동 등 운동 목표를 선택할 수 있다. 목표 없이 운동을 시작할 수도 있는데, 이를 "기본 운동"이라고 한다. 운동 목표가 설정되면 수신기는 센서를 찾고, 사용자에게 "센서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변을 걸어 다니라"고 요청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아이팟의 가운데 버튼을 눌러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운동 유형에 따라 아이팟은 일반 남성 또는 여성 목소리로 오디오 피드백을 제공한다. 목표 지향 운동의 경우, 피드백은 목표를 향한 중요한 이정표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거리 운동에서는 각 마일 또는 킬로미터가 완료될 때, 운동의 중간 지점, 그리고 운동 종료 시 100미터 간격 4회의 카운트다운을 알려준다.

운동 중에는 아이팟의 컨트롤 휠 기능이 약간 변경된다. 일시 정지 버튼은 이제 음악뿐만 아니라 운동도 일시 정지한다. 마찬가지로, 메뉴 버튼은 운동을 종료하는 데 사용되는 컨트롤에 접근하는 데 사용된다. 앞으로 및 뒤로 버튼은 변경되지 않고 오디오 트랙 건너뛰기 및 되감기 기능을 수행한다. 가운데 버튼에는 두 가지 기능이 있다. 버튼을 한 번 탭하면 현재 거리, 시간 및 페이스에 대한 오디오 피드백이 제공되는 반면, 버튼을 길게 누르면 아이팟이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트랙인 "파워송"으로 건너뛴다. 파워송은 일반적으로 동기 부여를 위해 사용된다.

운동 중 오디오 피드백 외에도, 사용자가 개인 최고 기록(가장 빠른 마일, 가장 빠른 5K, 가장 빠른 10K, 가장 긴 달리기 등)을 달성하거나 특정 장기적인 이정표(250마일, 500킬로미터 등)에 도달할 때마다 랜스 암스트롱, 타이거 우즈, 조안 베노이트 사무엘슨, 폴라 래드클리프가 미리 녹음한 축하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 "유명인 피드백"은 일반적인 달리기 종료 통계 후에 들린다.

스포츠 키트는 구매 직후에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첫 사용 전에 보정하고 그 후 정기적으로 보정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보고한다. 보정을 위해 사용자는 최소 약 0.40km 또는 400m의 고정된 알려진 거리를 찾은 다음 해당 거리에 대해 걷거나 달리기 위해 나이키+를 보정 모드로 설정한다. 걷거나 달리기가 완료되면 장치가 스스로 보정되며, 이후 운동 보고서는 해당 개별 사용자의 운동 스타일에 더 가까운 통계를 반영한다. Consumer Reports 잡지는 이 장치를 테스트했으며 일정한 페이스를 유지하는 한 정확하다고 밝혔다. 다양한 페이스의 운동에서는 정확도가 90% 미만인 경우도 있었다. 걷기와 달리기의 보폭은 상당히 다를 수 있으므로 각 장치에 대해 보정을 수행해야 한다.

5. 2. 보정

스포츠 키트는 구매 직후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처음 사용하기 전과 그 후 정기적으로 보정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정하려면 최소 400m(약 0.40km)의 정해진 거리를 찾아야 한다. 그 다음, 나이키+를 보정 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거리를 걷거나 달린다. 걷기나 달리기가 완료되면 장치가 자동으로 보정되며, 이후 운동 기록은 사용자의 운동 스타일에 더 가깝게 반영된다.

컨슈머 리포트의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 장치가 정확하게 측정한다. 그러나 다양한 속도로 운동할 경우 정확도가 9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걷기와 달리기는 보폭이 크게 다를 수 있으므로, 각 활동에 대해 별도로 보정을 수행해야 한다.

6. 한계와 비판

신발 센서는 사용자가 걷거나 달릴 때, 그리고 사용자가 움직임을 멈춘 후 10초 동안 초당 한 번씩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다른 충격도 센서가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한다. 이 프로토콜은 연결 지향적이지 않으며 쉽게 스니핑될 수 있다. 대부분의 데이터는 암호화되지만, 장치의 일련 번호의 일부는 암호화 없이 전송된다. 이 고유한 32비트 번호는 특정 Nike+ 발 센서를 식별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기술은 자동차 잠금 장치 원격 조작,[15] 고객 추적, 스토킹 등에 사용될 수 있다.[12]

장치가 매초 전송하는 데이터는 장치가 처음 사용된 이후 누적되므로 사용자의 운동 습관과 전반적인 생활을 잘 보여줄 수 있다. 데이터에는 달린 걸음 수, 걸은 걸음 수, 달린 거리, 걸은 거리, 장치가 켜져 있던 시간(시간)이 포함된다.

7. 한국에서의 나이키+

(요약과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과 동일하게 '한국에서의 나이키+'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남겨둡니다.)

참조

[1] 웹사이트 Nike and Apple Team Up to Launch Nike+iPod https://www.apple.co[...] Apple 2020-08-24
[2] 웹사이트 Nike releases new Nike+ GPS app for runners http://www.macworld.[...] MacWorld 2015-05-22
[3] 웹사이트 Nike finally introduces a Fuelband app for Android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5-05-22
[4] webarchive http://forums.nike.c[...] 2011-07-14
[5] 간행물 Polar and Nike Introduce Heart Rate Training to Millions of Nike+ Runners — BEAVERTON, Ore., June 7 /PRNewswire/ http://www.prnewswir[...] Prnewswire.com 2012-09-14
[6] 뉴스 Nike Redefines 'Just Do It' with New Campaign http://nikeinc.com/n[...] Nike, Inc. 2013-08-21
[7] 웹사이트 Nike+ Fuel Lab Launches in San Francisco http://www.marketwat[...]
[8] 웹사이트 Nike+ iPod App on iPad 2! Take That Apple! http://modmyi.com/fo[...] ModMyi 2013-05-11
[9] 웹사이트 Nike+ iPod App on iPad 2 https://www.youtube.[...] YouTube 2013-10-25
[10] 웹사이트 Why can't I sync my FuelBand or SportWatch to my NikePlus Profile? https://help-en-us.n[...]
[11] 웹사이트 Description of ShockBurst technology http://www.semicondu[...] Semiconductorstore.com 2013-10-25
[12] 웹사이트 Devices That Tell On You : The Nike+iPod Sport Kit https://www.microsof[...] microsoft.com 2018-02-15
[13] 웹사이트 Nike+iPod reverse engineering (protocol too) - Dmitry Grinberg http://dmitry.gr/?r=[...] Dmitry.gr 2023-09-09
[14] 웹사이트 Teardown http://i.cmpnet.com/[...] I.cmpnet.com 2013-10-25
[15] 웹사이트 iFOBing A Mazda — SparkFun Electronics http://www.sparkfun.[...] Sparkfun.com 2009-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