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엔진 코어그래픽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C 엔진 코어그래픽스는 1989년에 출시된 가정용 게임기로, PC 엔진의 디자인을 개선한 모델이다. 텔레비전 출력 단자를 RF 단자에서 AV 단자로 변경하고, 컨트롤러에 연사 기능을 추가하여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짙은 회색 본체에 청색 포인트를 사용했으며, 확장 버스를 통해 CD-ROM2 등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1991년에는 본체 색상을 변경한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II가 발매되었다. 주변 기기로는 터보 패드, 멀티탭, AV 케이블, 백업 부스터 II, CD-ROM2, SUPER CD-ROM2, 다양한 형태의 컨트롤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PC 엔진 - 슈퍼 CD-ROM²
슈퍼 CD-ROM²는 허드슨과 NEC 홈 일렉트로닉스가 개발한 PC 엔진 주변기기로, CD-ROM²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로딩 속도를 개선한 것이 특징이나, 주변기기 자체의 판매량은 부진했다. - PC 엔진 - CD-ROM²
CD-ROM²는 1988년에 발매된 PC 엔진용 주변기기로, CD-ROM 드라이브와 인터페이스 유닛으로 구성되어 CD-ROM 게임 실행, CD-DA 음악 재생, 성우 음성 지원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SUPER CD-ROM² 등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 허드슨 소프트 - PC 엔진
PC 엔진은 허드슨과 NEC가 협력하여 개발한 가정용 게임기로, NEC의 하드웨어 기술과 허드슨의 게임 개발 기술이 결합되어 1987년 일본에서 출시되었으며, 세계 최초로 CD-ROM2를 채용한 게임기이다. - 허드슨 소프트 - PC-FX
NEC와 허드슨이 공동 개발하여 1994년 일본에서 출시된 PC-FX는 PC 엔진의 후속 32비트 게임기로, 타워형 디자인과 CD-ROM을 사용하고 풀 모션 비디오 재생에 특화되었으나, 3D 기능 부재와 부족한 소프트웨어로 상업적 실패를 겪으며 NEC의 가정용 게임 시장 철수를 야기했다. - 가정용 게임기 - 드림캐스트
드림캐스트는 세가가 출시한 가정용 게임기로, 당시 최고 수준의 그래픽 성능과 온라인 기능을 지원했으나, 경쟁 심화와 재정 악화로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혁신적인 기술과 게임 라인업으로 마니아층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다. - 가정용 게임기 - 엑스박스
Xbox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비디오 게임 브랜드로,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한 하드웨어,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출시하며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의 Wii 및 스위치와 경쟁한다.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NEC 홈 일렉트로닉스 |
종류 | 거치형 게임기 |
세대 | 4세대 |
출시일 | 1989년12월 8일 |
CPU | MOS 65C02 |
GPU | HuC62 |
저장 매체 | HuCARD 아케이드 카드 CD-ROM² SUPER CD-ROM² |
저장 공간 | 배터리 백업 |
컨트롤러 | 케이블 |
외부 연결 단자 | 해당사항 없음 |
온라인 서비스 | 통신 Booster |
판매 대수 | 392만 대 |
호환 하드웨어 | PC 엔진 |
이전 세대 하드웨어 | 해당사항 없음 |
다음 세대 하드웨어 | PC-FX |
2. 하드웨어
PC 엔진 코어그래픽스는 이전 모델인 PC 엔진에서 디자인과 기능이 일부 개선된 모델이다. 본체 색상이 짙은 회색으로 변경되었고, 텔레비전 출력 단자는 기존의 RF 단자에서 화질이 개선된 AV 단자로 바뀌었다[2]. 또한, 기본으로 제공되는 컨트롤러에는 연사 기능이 추가되어 게임 플레이의 접근성을 높였다[2]. 전작과 동일하게 확장 버스를 갖추고 있어 CD-ROM2 등의 주변 기기 연결이 가능했다.
2. 1. 디자인
전작에서 디자인이 일부 개선되었다. 본체 색상은 짙은 회색으로 변경되었고, 로고나 문자 등에는 청색을 포인트 색상으로 사용했다. 텔레비전 출력 단자는 기존의 RF 단자에서 AV 단자로 변경된 것이 큰 특징이다.[2] 기본으로 제공되는 컨트롤러 역시 본체와 같은 짙은 회색으로 변경되었으며, 연사 기능이 추가되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었다.[2] 이 연사 기능은 이후 출시되는 PC 엔진 컨트롤러의 표준 사양이 되었다.전작과 마찬가지로 확장 버스를 갖추고 있어, CD-ROM2 등의 각종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2. 2. 기능 및 단자
이전 모델과 비교하여 몇 가지 개선점이 있다. 가장 큰 특징은 텔레비전 출력 단자를 기존의 RF 단자에서 AV 단자로 변경하여 화질을 개선한 점이다[2]. 본체에는 확장 버스가 탑재되어 있어, CD-ROM2를 비롯한 다양한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함께 제공되는 컨트롤러에는 연사 기능이 추가되어 게임 플레이의 접근성을 높였다[2]. 이 연사 기능은 이후 출시되는 PC 엔진 컨트롤러의 표준 사양이 되었다. 본체와 컨트롤러의 기본 색상은 짙은 그레이이며, 로고나 문자 등에는 청색을 액센트 색상으로 사용했다.
2. 3.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II

1991년 6월 21일에는 동시 발매된 SUPER CD-ROM2에 맞춰 색상을 변경한 마이너 체인지 버전인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II''' (''PC Engine CoreGrafx II'')가 발매되었다. 본체 및 컨트롤러의 색상은 옅은 회색으로, 악센트 색상은 오렌지색으로 바뀌었다. 당시의 메이커 희망 소매 가격은 1.98만엔였다. 이 모델은 PC-FX가 발매된 해까지 공식 카탈로그에 실려 있었으며, 초판 모델과 합하면 PC 엔진 기기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판매된 기종이었다.
3. 주변기기
PC 엔진 코어그래픽스는 게임 경험을 확장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주변기기를 지원했다. 기존의 PC 엔진(초대)용 주변기기 역시 모두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었다.[2]
주요 주변기기로는 게임 플레이를 위한 컨트롤러(터보 패드 등), 게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백업 부스터 II, 메모리 베이스 128 등), 그리고 CD-ROM 게임을 즐기기 위한 확장 시스템(CD-ROM2, SUPER CD-ROM2) 등이 있었다. 특히, 여러 명이 동시에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멀티탭의 보급은 PC 엔진 플랫폼의 특징 중 하나였다.[2] 또한, 특정 게임 플레이에 특화된 컨트롤러(애비뉴 패드 3, 애비뉴 패드 6 등)나 무선 컨트롤러 시스템(코드리스 멀티탭, 코드리스 패드) 등도 발매되어 사용자의 선택 폭을 넓혔다.
3. 1. 기본 주변기기
롤플레잉 게임(RPG) 등의 게임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코어그래픽스」용 「백업 부스터 II」도 「PC 엔진 코어그래픽스」와 동시에 발매되었다.[2] 백업 기능을 지원하는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저장 용량은 2KB이다.[2] 이 외에도 기존 PC 엔진(초대)의 주변 기기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2]
형번 | 명칭 | 발매일 | 비고 |
---|---|---|---|
PAD-106 | AC 어댑터 | 본체에 동봉된 전원 공급 장치. | |
PI-PD002 PI-PD06 PI-PD8 | 터보 패드 | 1987년 10월 30일 | 코어그래픽스의 색상에 맞춘 연사 기능이 탑재된 컨트롤러. 초대 PC 엔진에서는 별도 구매였으나, PC 엔진 코어그래픽스 이후 기종부터는 각 기기의 색상에 맞춘 연사 패드가 기본으로 포함되었다. |
PI-PD003 | 멀티탭 | 컨트롤러를 최대 5개까지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 본체에는 컨트롤러 단자가 하나뿐이었기 때문에, 여러 명이 동시에 플레이하는 게임의 보급을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2인용이나 4인용 서드파티 제품도 출시되었다. | |
PI-AN2 | AV 케이블 | 1989년 11월 22일 | 텔레비전 연결을 위한 영상/음성 일체형 케이블. 본체에 동봉되었다. |
PI-AN3 | RF 유닛 | 컴포지트 영상 신호 출력만 가능한 기기에서 RF 신호(안테나선 연결 방식)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 |
PI-AD8 | 백업 부스터 II | 1989년 12월 8일 | 게임 저장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백업용 전원이 콘덴서로 변경되어, 게임기 사용 중 통전을 통해 충전되는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AV 출력을 기본으로 탑재한 코어그래픽스에서의 사용을 고려하여 AV 부스터 기능이 삭제되고 가격이 낮아졌다. |
3. 2. 저장 장치
롤플레잉 게임(RPG) 등 게임 진행 상황 저장이 필요한 게임을 위해, 게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주변기기들이 발매되었다.- '''백업 부스터 II''' (PI-AD8): 1989년 12월 8일 발매.[2] 게임 데이터 저장 장치로, 저장 용량은 2KB이다.[2] 기존 모델과 달리 백업용 전원으로 캐패시터(콘덴서)를 사용하여, 본체에 연결해 전기가 통하면 자동으로 충전되는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또한 AV 출력 단자가 있는 코어그래픽스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AV 부스터 기능을 제외하고 가격을 낮췄다.[2]
- '''메모리 베이스 128''' (PI-AD19): 1993년 3월 발매. 게임 패드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외부 메모리 장치이다. 후기 게임들의 세이브 데이터 용량 증가에 대응하여 128KB의 대용량을 제공했지만, 이 장치를 지원하는 특정 게임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코에이에서 발매한 '세이브군'도 동일한 기능을 하는 주변 기기였다. 일부 대응 게임(에메랄드 드래곤, 린다 큐브, 프라이빗 아이 돌, 팝플 메일)에는 본체의 백업 메모리와 메모리 베이스 128 간에 세이브 데이터를 복사하는 등의 조작을 할 수 있는 관리 유틸리티가 내장되어 있었다.
3. 3. CD-ROM 관련 기기
PC 엔진은 CD-ROM을 게임 매체로 활용하기 위한 확장 시스템을 도입했다.'''CD-ROM2 (CDR-30)'''
1988년 12월 4일 발매된 PC 엔진용 CD-ROM 드라이브이다.[2] PC 엔진 본체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유닛 (IFU-30)'''이 필요했다. 인터페이스 유닛은 PC 엔진과 CD-ROM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역할 외에도 AV 출력 단자와 게임 데이터 저장을 위한 2KB 용량의 백업 메모리(콘덴서 전원 방식)를 내장하고 있었다.[2]
CD-ROM2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카드'''라는 HuCard가 필요했다.
- '''시스템 카드 Ver 1.0''': 초기 버전으로, 백업 메모리를 직접 편집할 수 있는 바이너리 에디터 기능이 숨겨져 있었다 (타이틀 화면에서 I+II+오른쪽 위+SELECT 입력).[2]
- '''시스템 카드 Ver 2.0''': 디버깅용 에디터 기능이 삭제되고 CD+G 기능이 추가되었다.[2]
- '''시스템 카드 Ver 2.1''': 1990년 7월 6일 발매되었으며, 슈퍼 시스템 카드 발매 이전까지 유일하게 별도로 판매된 시스템 카드이다.[2]
'''SUPER CD-ROM2 (PI-CD1)'''
1991년 12월 13일 발매된 상위 규격의 CD-ROM2 시스템이다.[2] 기존 CD-ROM2 시스템 사용자는 1991년 10월 25일에 발매된 '''슈퍼 시스템 카드 (PI-SC1, Ver 3.0)'''를 HuCard 슬롯에 장착하여 SUPER CD-ROM2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다.[2] 슈퍼 시스템 카드는 SUPER CD-ROM2 대응 게임을 플레이하기 위해 필수적이었다.[2]
'''아케이드 카드'''
CD-ROM2 게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확장 카드로, D램을 추가로 내장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했다. 1994년 3월 12일에 두 종류가 발매되었다.[2]
- '''아케이드 카드 PRO (PCE-AC2)''': 기존 CD-ROM2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아케이드 카드. D램이 내장되어 있다는 점 외에는 슈퍼 시스템 카드와 동일한 기능이며, 하부에 T자형 보강 커버가 있다.[2]
- '''아케이드 카드 DUO (PCE-AC1)''': PC 엔진 Duo 계열의 기종이나 SUPER CD-ROM2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아케이드 카드.[2]
3. 4. 기타 주변기기
롤플레잉 게임(RPG) 등의 게임 상태를 저장할 수 있는 코어그래픽스용 주변기기인 '백업 부스터 II'가 PC 엔진 코어그래픽스와 동시에 발매되었다.[2] 백업 기능을 지원하는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었으며, 저장 용량은 2KB였다.[2] 또한, 기존의 초대 PC 엔진용 주변기기도 모두 코어그래픽스에서 이용할 수 있었다.[2]주요 기타 주변기기는 다음과 같다.
형번 | 명칭 | 발매일 | 비고 |
---|---|---|---|
PI-AD8 | 백업 부스터 II | 1989년 12월 8일 | 게임 데이터 백업용 주변기기. 전원으로 캐패시터를 사용하여 통전 시 충전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코어그래픽스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AV 부스터 기능이 삭제되고 가격이 낮아졌다. |
NAPD-1001 | 애비뉴 패드 3 | 1991년 1월 31일 | 3버튼 조작이 필요한 게임(포고튼 월드 등)을 위해 발매된 컨트롤러. III 버튼은 SELECT 또는 RUN 버튼 중 하나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었고, 연사 기능 및 슬로우 모션(RUN 버튼 설정 시) 기능도 지원했다. |
PI-PD11 | 코드리스 멀티탭 | 1992년 12월 18일 | 적외선 통신을 이용해 컨트롤러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장치. PC 엔진 본체의 패드 단자에 연결하며, 코드리스 패드를 최대 5개까지 연결하여 5인 동시 플레이가 가능했다. 수신 거리는 약 3m까지였다. PC 엔진 Duo에 맞춰 디자인되었다. |
PI-PD12 | 코드리스 패드 | 코드리스 멀티탭과 함께 사용되는 무선 컨트롤러. 작동을 위해 AAA 건전지 4개가 필요했다. | |
PI-AD19 | 메모리 베이스 128 | 1993년 3월 | 패드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대용량(128KB) 외부 저장 장치. 후기 게임들의 늘어난 저장 데이터 용량에 대응하기 위해 출시되었지만, 지원하는 특정 게임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코에이에서 발매한 세이브군이라는 유사한 주변기기도 있었다. 일부 대응 게임에는 본체 백업 메모리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관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었다. |
NAPD-1002 | 애비뉴 패드 6 | 1993년 5월 28일 | 6버튼 컨트롤러. 캡콤의 스트리트 파이터 II 이식에 맞춰 발매되었다. |
PCE-TP1 | 아케이드 패드 6 | 1994년 6월 25일 | 6개의 버튼을 갖춘 아케이드 스틱 형태의 컨트롤러. |
참조
[1]
웹사이트
PCEngine博物館
http://www.nehe-et.g[...]
1999-01-16
[2]
간행물
PCEngineファミリーに新機種登場 PCEngine CoreGrafix / PCEngine Shuttle
電波新聞社
199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