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K 선택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K 선택 이론은 생태학적 선택 압력을 r-선택과 K-선택이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분류하는 진화 가설이다. r-선택은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높은 번식률과 빠른 성장을 강조하며, K-선택은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원 효율성과 경쟁 생존을 중시한다. 이 이론은 1970년대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정의의 모호성, 경험적 데이터 해석의 어려움, 예측 불일치 등의 이유로 비판을 받아왔다. 현재는 연령별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패러다임과 다른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생명사 진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학 이론 - 가이아 이론
가이아 이론은 지구를 생물권, 대기권, 수권, 지권이 상호작용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 하나의 거대한 자기조절 시스템으로 보는 이론으로, 지구 시스템 과학의 연구 대상이자 환경 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선택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선택 - 집단 선택
집단 선택은 진화론에서 개체 수준뿐 아니라 집단 수준에서도 자연 선택이 작용하여 진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이론으로, 찰스 다윈의 초기 아이디어 제시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나, 논리적 오류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 집단생태학 - 인구
인구는 특정 지역 또는 국가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총수를 의미하며, 출산율, 사망률, 이주 등의 요인에 따라 시대별로 변화하면서 현재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경제,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 집단생태학 - 인구 밀도
인구 밀도는 특정 지역의 인구수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인구 분포와 과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다양한 계산 방법과 함께 도시 계획, 환경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높거나 낮은 밀도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R/K 선택 이론 | |
---|---|
이론 개요 | |
설명 | r/K 선택 이론은 생태학에서 생물 종의 생활사 전략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목표 | 개체군 성장률(r)과 환경 수용력(K) 사이의 균형을 설명한다. |
r-선택 | 높은 번식률과 짧은 수명을 가진 종을 선호한다. |
K-선택 | 낮은 번식률과 긴 수명을 가진 종을 선호한다. |
핵심 개념 | |
r | 개체군 성장률 (intrinsic rate of increase) |
K | 환경 수용력 (carrying capacity) |
r-선택 종 | |
특징 | 작은 몸집 빠른 성숙 높은 번식력 짧은 수명 불안정한 환경 적응 |
예시 | 곤충 잡초 일부 설치류 |
K-선택 종 | |
특징 | 큰 몸집 느린 성숙 낮은 번식력 긴 수명 안정적인 환경 적응 |
예시 | 코끼리 고래 인간 |
환경적 요인 | |
r-선택 | 예측 불가능한 환경 자원 풍부 낮은 개체군 밀도 |
K-선택 | 예측 가능한 환경 자원 제한적 높은 개체군 밀도 |
비판 및 한계 | |
단순화 | 실제 생태계는 더 복잡하며, r/K 선택은 지나치게 단순화된 모델이라는 비판이 있다. |
연속체 | 대부분의 종은 r과 K 선택 사이의 연속체에 위치하며,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
기타 요인 | 생활사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지 못한다. |
관련 연구 | |
Pianka (1970) | r 및 K 선택에 대한 초기 연구 American Naturalist 논문 |
MacArthur & Wilson (1967) | 섬 생물지리학 이론에서 r/K 선택 개념 도입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서적 |
Margalef (1959) | 생태학적 천이와 종 진화 방식에 대한 연구 XVTH International Congress of Zoology |
참고 문헌 | |
Roff, Derek A. (1993) | Evolution of Life Histories: Theory and Analysis Google Books |
Stearns, Stephen C. (1992) | The Evolution of Life Histories Archive.org |
Jeschke & Kokko (2009) | 몸 크기와 계통 발생이 빠르고 느린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Evolutionary Ecology 논문 |
2. r/K 선택 이론의 개념
r/K 선택 이론은 생물의 번식 전략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개체군 생태학의 핵심 개념이다. 이 이론은 선택 압력이 ''r''-선택 또는 ''K''-선택이라는 두 가지 일반적인 방향 중 하나로 진화를 유도한다고 가정한다.[54]
''r''과 ''K''라는 용어는 개체군 역학의 단순화된 표준 생태 대수학에서 유래했다.[55]
:
여기서 N은 개체군, r은 최대 성장률, K는 지역 환경의 수용력, dN/dt(시간 t에 대한 N의 도함수)는 시간에 따른 인구 변화율이다. 이 방정식은 개체군 N의 성장률을 현재 개체군 크기와 관련시키며, 두 상수 매개변수 r과 K의 영향을 통합한다. 문자 K는 독일어 Kapazitätsgrenze(용량 제한)에서 온 반면, r은 rate에서 왔다.
r/K 선택 이론은 로버트 매카서와 E.O. 윌슨이 1967년에 제창했으며, 도서생물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들은 도서 지역에서 절멸은 특수한 사건이 아니라, 섬 밖으로부터의 생물종 유입과 섬 내에서의 생물종 절멸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섬에서의 생물 종 수와 섬의 크기, 대륙과의 거리 관계를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
매카서와 윌슨은 섬에서의 생물종 유입 성공에 대해 논하면서, 우연히 여러 개체가 침입할 기회가 있고, 그 종이 들어갈 생태적 지위가 비어 있을 때, 그 개체군이 정착할 수 있을지는 그 종이 빠르게 개체수를 증가시킬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개체군 성장의 수학적 모델인 로지스틱 방정식에서 내적 증가율을 ''r''로 나타내고, 섬에서의 정착과 개체수 복구 등에 ''r''을 크게 하는 자연 선택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하여 '''r선택'''이라고 불렀다.
한편, 절멸과 관련된 요소에 대해서는 개체수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섬에서의 생물 개체군은 좁은 면적만을 가질 수밖에 없고, 외부 개체군과 격리되어 있어 개체수 감소는 절멸로 직결된다. 따라서 동일 면적에서 최대한 많은 개체가 생존하고 유지하는 방향의 선택이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여, 환경 수용력을 의미하는 ''K''를 따서 '''K선택'''이라고 명명했다.
r/K 선택이라는 말은 많은 생태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이 진행되면서 점차 내용이 변하여 r선택과 K선택이 대립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2. 1. r-선택
r-선택은 높은 번식률과 빠른 성장을 강조하는 전략으로, 불안정하거나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빠른 번식 능력이 중요하며, 다른 유기체와의 경쟁에서 이점을 얻기 위한 적응은 큰 의미가 없다.[56] r-선택 종은 일반적으로 높은 번식력, 작은 몸집, 조기 성숙, 짧은 세대, 그리고 자손을 널리 퍼뜨리는 능력을 특징으로 가진다.[9]r-선택 전략을 따르는 생물을 r-전략가 또는 r-선택 종이라고 부른다. r-선택 종의 예시로는 민들레, 세균, 규조류, 곤충, 풀, 다양한 반생식 두족류, 작은 포유류, 특히 설치류 등이 있다.[56]
r-선택은 내적 자연 증가율(r)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내적 증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일 시간 내에 더 많은 자손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개체수가 적은 상태에서는 더 많은 자손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때 얼마나 많은 자손이 생길 수 있는가는 얼마나 많은 자손을 낳을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배에 낳는 알의 수를 늘리거나, 산란 횟수를 늘리거나, 더 빠른 시기에 번식을 시작하는 것 등으로 r을 크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리화학적 환경이 어려운 곳에서는 r-선택 전략이 채택되기 쉽다. 예를 들어, 극지방 근처에서는 추위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해 추위가 심한 해에는 많은 개체가 목숨을 잃고 개체군의 규모가 크게 변동한다. 그러한 조건에서는 다산하는 개체가 유리하다. 순록은 일반적인 사슴이 2년째부터 매년 2마리를 출산하는 데 반해, 1년째에 1마리를 출산하는데, 이는 번식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r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손의 생존이 우연에 좌우되는 경우에도 r-선택 전략을 취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생식 구역이 일정하지 않고 매년 생식 가능한 장소가 바뀌는 경우가 그렇다. 안정된 식생이 교란된 곳에만 나타나는 잡초는 교란이 없어지고 식생이 안정된 천이를 거치는 곳에서는 생육할 수 없다. 자손이 확실하게 교란된 장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자를 널리 뿌릴 필요가 있다. 기생성 생물은 새로운 숙주에 도달할 수 있는지 여부에 우연의 요소가 크므로, 많은 자손을 만들어야 한다.
2. 2. K-선택
K-선택은 경쟁적인 환경에서 생존과 효율적인 자원 사용을 강조하는 전략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유리하다. K-선택 종은 일반적으로 큰 몸집, 긴 기대 수명을 가지며, 더 적은 수의 자손을 낳고, 자손에게 많은 투자를 하는 특징을 가진다.[57] 이러한 K-선택 전략을 가진 생물들을 K-전략가(K-strategist)라고 부른다.
K-선택종은 환경 수용력에 가까운 밀도에서 생활하며, 혼잡한 환경에서 강력한 경쟁자이다. 이들은 더 적은 수의 자손에게 더 많은 부모 투자를 하며, 각 자손은 성인이 될 확률이 비교적 높다.[9] 안정적인 환경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두고 경쟁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K-선택 유기체의 개체군은 일반적으로 환경이 유지할 수 있는 최대치에 가깝게 유지된다.
K-선택 특성을 가진 유기체의 예시로는 코끼리, 인간, 고래와 같은 대형 유기체뿐만 아니라 북극 제비갈매기,[58] 앵무새, 독수리와 같은 작지만 수명이 긴 유기체도 포함된다.[10][11]
2. 3. 연속 스펙트럼
r/K 선택은 이분법적인 분류가 아니라 연속적인 스펙트럼으로 이해해야 한다. 대부분의 생물은 r-선택과 K-선택의 중간적인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나무는 K-선택종의 특징인 장수와 강한 경쟁력을 가지지만, 번식에 있어서는 수천 개의 자손을 낳고 널리 퍼뜨리는 r-선택종의 특성을 보인다.[59]바다거북 또한 r-선택과 K-선택의 특성을 모두 가진다. 이들은 수명이 긴 대형 유기체이지만, 많은 수의 양육되지 않은 자손을 낳는다.
r/K 이분법은 화폐의 시간가치라는 경제 개념을 사용하여 연속 스펙트럼으로 다시 표현될 수 있으며, r-선택은 큰 할인율에 해당하고 K-선택은 작은 할인율에 해당한다.[60]
3. r/K 선택 이론의 수학적 배경
r/K selection theory영어에서 선택 압력은 ''r''-선택 또는 K-선택이라는 두 가지 일반화된 방향 중 하나로 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가정된다.[54] 이러한 항 ''r'' 및 ''K''는 인구 역학의 단순화된 표준 생태 대수학에서 가져온 것이다.[55]
이 가설은 로버트 매카서와 E.O. 윌슨이 1967년에 처음 제기했으며, 도서생물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그들에 따르면, 도서 지역에서 절멸은 특수한 사건이 아니라, 섬 밖으로부터의 생물종 유입과 섬 내 생물종의 절멸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당연한 현상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들은 도서 지역에서의 생물 종수와 섬의 크기, 대륙과의 거리 관계를 설명하는 데 성공했다.
r/K 선택이라는 용어는 많은 생태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매카서와 윌슨은 이 두 가지 선택을 반드시 대립하는 것으로 여기지 않았지만, 다양한 분석이 진행되면서 점차 내용이 변하여 이 양자가 대립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3. 1. 로지스틱 성장 모델
r/K 선택 이론에서 사용되는 로지스틱 성장 모델은 개체군의 성장을 설명하는 수학적 모델이다. 이 모델은 다음과 같은 방정식으로 표현된다.[55]:
여기서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이 방정식을 통해 개체군 N의 성장률은 현재 인구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장률은 두 상수 매개변수 r과 K의 효과를 통합하여 결정된다. (개체군 크기가 최대 수용 능력보다 클 때 1 - N/K가 음수가 되어 개체군 감소 또는 음수 성장을 나타낸다.) 여기서 K는 독일어 Kapazitätsgrenze(용량 제한)에서 온 것이고, r은 rate에서 왔다.[8]
3. 2. r과 K의 의미
r/K 선택 이론에서 ''r''과 ''K''는 생태학적 대수학에서 유래된 용어이다.[55]:
여기서 N은 개체군, r은 최대 성장률, K는 지역 환경의 수용력, dN/dt(시간 t에 대한 N의 도함수)는 시간에 따른 인구 변화율이다.
- r: 개체군이 얼마나 빨리 증가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내적 성장률을 의미한다. 로지스틱 방정식에서 ''r''로 나타내며, 도서 지역에서의 정착이나 개체수가 급감했을 때의 회복과 같이, ''r''을 크게 하는 자연 선택이 일어나는 것을 '''r선택'''이라고 한다.
- K: 주어진 환경에서 유지될 수 있는 최대 개체군 크기를 나타내는 환경 수용력을 의미한다. 로지스틱 방정식에서 ''K''로 나타내며, 독일어 ''Kapazitätsgrenze'' (최대 수용 능력)에서 유래되었다. 섬과 같이 좁은 면적에서 최대한 많은 개체가 생존하고 유지해 나가는 방향으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을 '''K선택'''이라고 한다.
r선택은 높은 r 값을, K선택은 높은 K 값을 가지는 경향을 보인다.
4. r/K 선택 이론의 활용과 비판
r/K 선택 이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지만, 동시에 여러 비판에 직면해 왔다.
일반적으로 종 수준에서 적용되지만, 아프리카 꿀벌(''A. m. scutellata'')과 이탈리아 꿀벌(''A. m. ligustica'')과 같은 아종 간의 생태적, 생애사적 차이의 진화를 연구하는 데에도 유용하다.[63]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전체 생물 그룹의 진화 생태학 연구에도 사용되었다.[64] 일부 연구자들은 인간 염증 반응의 진화가 r/K 선택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65]
리 엘리스, J. 필립 러시턴, 아우렐리오 호세 피게레도 등 일부 연구자들은 r/K 선택 이론을 범죄,[66] 성적 문란함, 다산, IQ 등 생활사와 관련된 다양한 인간 행동 이론에 적용했다.[67][68] 러시턴은 인종 간 행동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차등 ''K'' 이론"을 개발하기도 했다.[68][69]
1970년대에 r/K 선택 이론은 널리 사용되었지만,[70][71][72][73] 비판적인 시각도 증가하기 시작했다.[74][75][76][77] 생태학자 스티븐 C. 스턴스는 이론의 격차와 경험적 데이터 해석의 모호성에 주목했다.[78]
1981년 Parry의 연구는 r-선택과 K-선택 정의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의 불일치를 보여주었다.[79] 1982년 Templeton과 Johnson의 연구에서는 K-선택 환경에 있는 ''Drosophila mercatorum'' 개체군에서 r-선택 관련 형질이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80] 1977년과 1994년 사이에는 r/K 선택 이론의 예측과 모순되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81][82][83][84]
Stearns는 1992년 이론의 상태를 검토하면서, 1977년부터 1982년까지 BIOSIS 문헌 검색 서비스에서 연평균 42건의 이론 참조가 있었지만 1984년부터 1989년까지 평균은 16건으로 감소했고, 계속 감소 추세에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r/K 이론이 한때 유용한 발견법이었지만 더 이상 생명사 이론의 목적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85][86]
최근에는 C. S. 홀링과 Lance Gunderson의 Panarchy 이론이 적응 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통해 r/K 선택 이론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고, 사회 시스템, 경제 및 생태학을 통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87]
2002년 Reznick과 동료들은 r/K 선택 이론 논쟁을 검토하며, 밀도 의존적 선택 외에 연령별 사망률 등 다른 요인이 생명사 진화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r/K 선택 패러다임이 연령별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되었다고 결론지었다.[90]
4. 1. 활용
r/K 선택 이론은 생태학적 천이 과정에서 r-선택 종과 K-선택 종의 역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14] 주요 생태계가 파괴된 후, r-선택 종은 높은 번식률과 생태적 기회주의를 바탕으로 1차 정착자 역할을 한다. 이후 경쟁이 심화되면서 K-선택 종이 우세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중간 교란 가설에 따르면, 중간 수준의 교란은 r-선택 종과 K-선택 종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도 한다.[15]이 이론은 꿀벌,[16] 박테리오파지[17] 등 다양한 생물 그룹의 진화 생태학 연구에도 활용되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인간의 염증 반응 진화[18]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리 엘리스, J. 필립 러시턴 등 일부 연구자들은 r/K 선택 이론을 범죄,[19] 성적 문란함, 출산율, IQ 등 인간 행동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는 데 적용하려 시도했다.[20][21] 러시턴은 인종 간의 행동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차등 K 이론"을 개발했으나,[21][22] 이는 과학적 인종차별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3][24][25]
4. 2. 비판
r/K 선택 이론은 1970년대에 널리 사용되었지만,[70][71][72][73] 비판적인 관심도 받기 시작했다.[74][75][76][77] 특히 생태학자 스티븐 C. 스턴스는 이론의 격차와 경험적 데이터 해석의 모호성에 주목했다.[78]1981년 Parry의 연구에 따르면, r-선택과 K-선택의 정의에 대해 연구자들 사이에 일치가 없었다.[79] 1982년 Templeton과 Johnson의 연구에서는 K-선택 환경에 있는 ''Drosophila mercatorum'' 개체군에서 r-선택과 관련된 형질이 더 많이 나타났다.[80] 1977년과 1994년 사이에는 r/K 선택 이론의 예측과 모순되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81][82][83][84]
1992년 Stearns는 r/K 이론 관련 문헌 참조 빈도가 1977~1982년 연평균 42건에서 1984~1989년 연평균 16건으로 감소했다고 언급하며, r/K 이론이 더 이상 생명사 이론에서 유용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결론지었다.[86]
최근에는 C. S. 홀링과 Lance Gunderson의 Panarchy 이론이 적응 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통해 r/K 선택 이론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고 있다.[87]
2002년 Reznick과 동료들은 r/K 선택 이론 논쟁을 검토하며, 밀도 의존적 선택 외에 연령별 사망률 등 다른 요인이 생물 생활사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90] 그들은 r/K 선택 패러다임이 연령별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되었다고 결론지었다.
5. r/K 선택 이론과 대안적 접근
1970년대에 r/K 선택 이론이 널리 사용되었지만,[26][27][28][29] 비판적인 시각 또한 증가하기 시작했다.[30][31][32][33] 특히, 생태학자 스티븐 C. 스턴스는 1977년 논평을 통해 이론의 격차와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경험적 데이터 해석의 모호성에 주목했다.[34]
1981년, 패리의 연구는 r-선택 및 K-선택의 정의에 대한 연구자들 사이의 합의가 없음을 보여주었고,[35] 템플턴과 존슨의 1982년 연구는 K-선택 하의 ''초파리'' 개체군에서 실제로 r-선택과 관련된 특성이 더 높은 빈도로 나타났음을 보여주었다.[36] 1977년과 1994년 사이에는 r/K 선택 이론의 예측에 반하는 몇몇 다른 연구들도 발표되었다.[37][38][39][40]
스턴스는 1992년에 이론의 현황을 다시 검토하면서, r/K 이론이 한때 유용한 발견법이었지만 더 이상 생명사 이론에서 목적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결론 내렸다.[41][42]
최근에는 C. S. 홀링과 랜스 건더슨이 주창한 판아키 이론이 적응 능력과 회복력을 촉진하면서 이 이론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났고, 사회 시스템, 경제학, 생태학을 통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43]
2002년에 레즈닉과 동료들은 r/K 선택 이론과 관련된 논쟁을 검토하고, r- 및 K-선택 패러다임이 밀도 의존적 선택에 초점을 맞춘 것은 중요했지만, 연령별 사망률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환경과 최적 생명사 간의 더 기계적인 인과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해지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되었다고 결론 내렸다.[46]
현재는 생명사 진화를 연구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법(예: 연령 구조 개체군에 대한 레슬리 행렬)과 밀도 의존적 선택을 위한 대안적 접근법(예: 가변 밀도 로터리 모델[47])이 이용 가능하다.
5. 1. 연령 구조 모델
r영어/K영어 선택 패러다임은 연령별 사망률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환경과 최적 생명사 간의 더 기계적인 인과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지면서 도전을 받았다.[74][78][88][90] 그 결과, 연령별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생명사 패러다임으로 대체되었다.[88][89] 이 새로운 패러다임은 연령 구조 모델을 프레임워크로 사용하여 r영어/K영어 패러다임의 주요 주제들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90]따라서, 현재는 생명체의 진화를 연구하기 위해 연령 구조화된 인구에 대한 레슬리 행렬과 같은 대안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90]
5. 2. 밀도 의존적 선택 모델
r/K 선택 이론에서 밀도 의존적 선택은 개체군 밀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선택압을 중요하게 다루는 모델이다. 이와 관련된 모델에는 가변 밀도 로터리 모델[91] 등이 있다.2002년 Reznick과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r/K 선택 패러다임은 밀도 의존적 선택을 생명사 선택의 주요 요인으로 강조했다.[90] 그러나 연령별 사망률과 같은 다른 요인들이 환경과 최적 생명사 간의 더 명확한 인과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이 패러다임은 도전을 받았다.[74][88][78] 결국 r/K 선택 패러다임은 연령별 사망률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대체되었다.[88][89]
6. 한국 생태계와 r/K 선택 이론
한국의 생태계는 다양한 환경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생물들이 r/K 선택 스펙트럼 상의 다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짧은 여름과 긴 겨울과 같은 환경에서는 빠른 번식과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r-선택 전략을 가진 곤충, 설치류, 식물 등이 나타난다. 반면, 안정적인 산림 생태계에서는 반달가슴곰과 두루미와 같은 K-선택 전략을 따르는 대형 포유류와 조류를 볼 수 있다.
6. 1. 한국의 r-선택 종
한국의 짧은 여름과 긴 겨울은 일부 곤충, 설치류 및 식물들이 빠른 번식과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r-선택 전략을 택하게 만들었다. 불안정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빠른 번식 능력으로 인해 r-선택종이 우세하다.[56]r-선택 형질을 나타내는 유기체는 박테리아, 규조류, 곤충, 풀, 다양한 반생식 두족류와 작은 포유동물, 특히 설치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56]
극지방과 같이 추위로 인해 많은 개체가 목숨을 잃고 개체군 규모가 크게 변동하는 환경에서는 다산(多産)하는 개체가 유리하다. 예를 들어, 순록은 일반적인 사슴이 2년째부터 매년 2마리를 출산하는 것과 달리, 1년째에 1마리를 출산하여 번식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r 값을 높인다.
6. 2. 한국의 K-선택 종
한국의 안정적인 산림 생태계에서는 대형 포유류와 조류들이 K-선택 전략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반달가슴곰은 비교적 긴 수명과 낮은 번식률을 가지는데, 이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두루미는 한국의 대표적인 K-선택 종으로, 긴 수명, 낮은 번식률, 새끼에 대한 높은 투자(보호)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안정적인 환경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특히, 두루미는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 멸종 위기종으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멸종 위기종 보호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ath|''r''}} and {{math|''K''}} selection"
http://www.bio.miami[...]
2020-10-27
[2]
논문
On r and K selection
https://www.research[...]
[3]
서적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Mode of evolution of species in relation to their places in ecological succession
[5]
서적
Evolution Of Life Histories: Theory and Analy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6]
서적
The Evolution of Life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The roles of body size and phylogeny in fast and slow life histories
2009
[8]
논문
Notice sur la loi que la population pursuit dans son accroissement
https://books.google[...]
[9]
논문
Distribution and Life Strategies of Two Bacterial Populations in a Eutrophic Lake
1998-10-01
[10]
웹사이트
"{{math|''r''}} and {{math|''K''}} selection"
http://www.bio.miami[...]
University of Miami
2011-02-04
[11]
서적
Concepts in Toxicology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12]
서적
Mother Nature: Maternal instincts and how they shape the human species
Ballantine Books
[13]
논문
The discounted reproductive number for epidemiology
[14]
서적
Panarchy: Understanding Transformations In Human And Natural Systems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15]
논문
Lessons of the past: Forests and biodiversity
[16]
논문
Evidence for genetic variation in worker task performance by African and European honeybees
[17]
논문
Tradeoffs in bacteriophage life histories
[18]
논문
Regulation of human life histories: The role of the inflammatory host response
[19]
논문
Criminal behavior and {{nobr|{{math|''r''/''K''}}}} selection: An extension of gene-based evolutionary theory
1987-01-01
[20]
논문
The {{math|''K''}}-factor, covitality, and personality
2007-03-01
[21]
논문
Differential {{math|''K''}} theory and racial hierarchies
[22]
논문
Cross-cultural evaluation of predicted associations between race and behavior
[23]
웹사이트
Scientific Racism and North American Psychology
https://oxfordre.com[...]
2020-05-29
[24]
논문
Scientific racism in contemporary psychology
https://psycnet.apa.[...]
1989
[25]
웹사이트
Statement from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regarding research conducted by Dr. J. Philippe Rushton
https://psychology.u[...]
[26]
논문
Concept of {{math|''r''}}-selection and {{math|''K''}}-selection — evidence from wild flowers and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
http://repository.ia[...]
[27]
논문
Effects of {{math|''r''}}-selection and {{math|''K''}}-selection on components of variance for 2 quantitative traits
[28]
논문
Reproductive effort and {{math|''r''}}-selection and {{math|''K''}}-selection in 2 species of ''Lacuna'' (Gastropoda-Prosobranchia)
[29]
논문
r and K selection in experimental populations of ''Escherichia coli''
[30]
논문
Environmental certainty, trophic level, and resource availability in life history evolution
[31]
논문
Are still {{math|''r''}}-selection and {{math|''K''}}-selection operative concepts?
[32]
논문
Some strange properties of the logistic equation defined with {{math|''r''}} and {{math|''K''}} – inherent defects or artifacts
[33]
논문
Metaphysiological and evolutionary dynamics of populations exploiting constant and interactive resources – {{math|''r''}}-K selection revisited
[34]
논문
"The Evolution of Life History Traits: A Critique of the Theory and a Review of the Data"
http://faculty.washi[...]
[35]
논문
The meanings of {{math|''r''}}- and {{math|''K''}}-selection
1981-03
[36]
서적
Ecological genetics and evolution: The cactus-yeast-drosophila model system
Academic Press
[37]
저널
Lifespan and fecundity patterns in rotifers: The cost of reproduction
1977-12
[38]
저널
"{{math|''r''}}- and {{math|''K''}}-selection in ''Drosophila pseudoobscura''"
1980-11
[39]
저널
"The molecular through ecological genetics of abnormal abdomen in ''Drosophila mercatorum'' VI. The non-neutrality of the Y chromosome rDNA polymorphism"
http://www.genetics.[...]
1994-04
[40]
저널
"The molecular through ecological genetics of abnormal abdomen in ''Drosophila mercatorum'' V. Female phenotypic expression on natural genetic backgrounds and in natural environments"
http://www.genetics.[...]
1993-06
[41]
서적
The Evolution of Life Hist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42]
저널
What a tangled web he weaves: Race, reproductive strategies and Rushton's life history theory
[43]
서적
Panarchy: Understanding transformations in human and natural systems
"{{Google books |pla[...]
Island Press
[44]
저널
Life history tactics: A review of the ideas
1976
[45]
서적
Evolution in age structured popu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46]
저널
"{{math|''r''}}-and {{math|''K''}}-selection revisited: the role of population regulation in life-history evolution"
http://www2.hawaii.e[...]
2013-05-11
[47]
저널
Density-dependent selection and the limits of relative fitness
2019-10
[48]
웹인용
r and K selection
http://www.bio.miami[...]
2020-10-27
[49]
서적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50]
저널
[51]
서적
"{{Google books |pla[...]
[52]
서적
https://archive.org/[...]
[53]
저널
[54]
저널
https://www.research[...]
[55]
저널
"{{Google books |pla[...]
[56]
저널
[57]
웹사이트
"r and K selection"
http://www.bio.miami[...]
2014-09-05
[58]
서적
"{{Google books |pla[...]
[59]
문서
Mother Nature: Maternal Instincts and How They Shape the Human Species
Ballantine Books
2000
[60]
저널
[61]
서적
"{{Google books |pla[...]
[62]
저널
[63]
저널
[64]
저널
[65]
저널
[66]
저널
[67]
저널
[68]
저널
[69]
저널
[70]
저널
http://repository.ia[...]
[71]
논문
Effects of r-selection and K-selection on components of variance for 2 quantitative traits
1974
[72]
논문
Reproductive effort and r-selection and K-selection in 2 species of ''Lacuna'' (Gastropoda-Prosobranchia)
1977
[73]
논문
r and K selection in experimental populations of ''Escherichia coli''
1978
[74]
논문
Environmental certainty, trophic level, and resource availability in life history evolution
1974
[75]
논문
Are still r-selection and K-selection operative concepts?
1987
[76]
논문
Some strange properties of the logistic equation defined with r and K – inherent defects or artifacts
1991
[77]
논문
Metaphysiological and evolutionary dynamics of populations exploiting constant and interactive resources – r-K selection revisited
1993
[78]
논문
Evolution of life-history traits – critique of theory and a review of data
https://web.archive.[...]
1977
[79]
논문
The Meanings of r- and K-selection
1981-03
[80]
서적
Ecological genetics and evolution: the cactus-yeast-drosophila model system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82
[81]
논문
Lifespan and Fecundity Patterns in Rotifers: The Cost of Reproduction
1977-12
[82]
논문
r- and K-Selection in Drosophila pseudoobscura
1980-11
[83]
논문
The molecular through ecological genetics of abnormal abdomen in Drosophila mercatorum. VI. The non-neutrality of the Y chromosome rDNA polymorphism
http://www.genetics.[...]
1994-04
[84]
논문
The molecular through ecological genetics of abnormal abdomen in Drosophila mercatorum. V. Female phenotypic expression on natural genetic backgrounds and in natural environments
http://www.genetics.[...]
1993-06
[85]
서적
The Evolution of Life Histori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86]
논문
What a tangled web he weaves Race, reproductive strategies and Rushton's life history theory
2002
[87]
서적
Panarchy: Understanding Transformations in Human and Natural Systems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2001
[88]
논문
Life history tactics: a review of the ideas
1976
[89]
서적
Evolution in age structured popul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
[90]
논문
''r''-and ''K''-selection revisited: the role of population regulation in life-history evolution
https://web.archive.[...]
2013-05-11
[91]
논문
Density-dependent selection and the limits of relative fitness
201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