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3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36은 1960년대 초 소련에서 개발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로, R-16 미사일 개발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R-36은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NATO에서는 '사탄'이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다. R-36M은 다탄두 개별 목표 재돌입(MIRV) 기술을 통해 여러 개의 핵탄두를 각기 다른 목표물에 투발할 수 있으며, R-36을 기반으로 한 인공위성 발사 로켓인 사이클론 로켓과 드네프르 로켓이 개발되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R-36의 운용 수를 줄여왔으며, R-36을 대체할 신형 ICBM인 RS-28 사르마트를 개발하여 2023년 9월에 실전 배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RS-24 야르스
RS-24 야르스는 러시아에서 개발된 다탄두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미사일 방어 시스템 무력화를 목표로 RT-2UTTKh 토폴-M을 향상시킨 모델이며 이동형 및 사일로형 발사 방식이 존재하고 SS-18, SS-19 미사일 대체 예정이며 START 조약 위반 논란과 함께 야르스-S, BZhRK 바르구진 등 파생형이 개발되고 있다. - 러시아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RT-2PM2 토폴-M
RT-2PM2 토폴-M은 러시아가 개발한 3단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사일로 또는 이동식 발사대에 배치되어 최대 11,000km 사거리에 핵탄두 또는 MIRV 탄두를 탑재하며,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 회피를 위해 설계되었다. - 소련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R-7 세묘르카
R-7 세묘르카는 소련이 개발한 2단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사용되어 우주 개발 경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소련의 주요 우주 발사체 개발의 토대가 되어 현재까지도 소유스 로켓 형태로 사용된다. - 소련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R-16 (미사일)
R-16은 소련의 1세대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R-7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되었으며 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과 적연 질산을 연료로 사용, 네델린 참사라는 개발 과정의 사고에도 불구하고 실전 배치되어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운용되며 소련 핵전력 강화에 기여했다. - 소련의 핵무기 - OTR-21 토치카
OTR-21 토치카는 소련에서 개발된 단거리 전술 탄도 미사일로, 핵무기 등을 장착하여 이동식 발사 시스템으로 전술 목표에 정밀 타격을 가하며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다. - 소련의 핵무기 - 차르 봄바
차르 봄바는 소련에서 개발된 TNT 50Mt 폭발력의 수소 폭탄으로, 냉전 시대 미국에 대한 시위 성격으로 개발 및 실험되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핵무기로 기록된다.
R-36 | |
---|---|
개요 | |
![]() | |
종류 | 대륙간 탄도 미사일 |
개발 국가 | 소비에트 연방 |
사용 국가 | 러시아 전략 로켓군 |
제작사 | 공장: 유즈니 기계 제작 공장 |
개발사 | 유즈노예 설계국 |
설계 시작 | 1962년부터 |
대당 가격 | '$7,000,000' |
추진제 | N2O4/UDMH |
생산 시기 | 해당 사항 없음 |
실전 배치 | 1966년–1979년 (원래 버전) 1988년–현재 (R-36M2 보예보다 버전) |
엔진 | |
엔진 | 2단 또는 3단 액체 연료 로켓 단계 |
1단 엔진 | 1x RD-251 (R-36) 1x RD-251P (R-36P) 1x RD-251M (R-36-O) 1x RD-264 (R-36M) 1x RD-264 (R-36MUTTKh) 1x RD-264 (R-36M2) |
2단 엔진 | 1x RD-252 (R-36) 1x RD-252 (R-36P) 1x RD-0228 (R-36M) 1x RD-0255 (R-36MUTTKh) 1x RD-0255 (R-36M2) |
3단 엔진 | 1x RD-864 (R-36MUTTKh) 1x RD-869 (R-36M2) |
제원 | |
중량 | '209600 kg' |
길이 | '18900 mm' - (R-36-O) '32200 mm' |
직경 | '3050 mm' |
사거리 | 10,200–16,000 km |
탄두 | |
탄두 | 변형에 따라 다름 (변형 참조). 최신 (R-36M2), 10 × 550–750 킬로톤 MIRV 탄두와 다량의 기만체 및 기타 침투 보조 장치. 원래 (R-36), 1 × 8–20 메가톤 탄두. |
유도 방식 | 관성, 자율 |
명중률 | 220–1,300 m CEP |
발사 플랫폼 | 사일로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SS-9 스카프 (Scarp), SS-18 사탄 (Satan) |
헬름스, 후드 설명 | 최초의 소비에트 MIRV |
관련 뉴스 | 캔소 우주 기지, 1,050만 달러 확보, 내년 첫 발사 목표 |
2. 역사
R-36의 개발은 1962년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OKB-586)에서 R-16 프로그램의 연구를 기반으로 시작되었다. 수석 설계자는 미하일 얀겔이었다. 초기에는 경량, 중량, 궤도형으로 개발되었으며, 1962년부터 1966년까지 비행 시험을 거쳐 초기 작전 능력을 갖추었다.[26] 궤도형 R-36 개발 소식은 부분 궤도 폭격 시스템을 통해 요격할 수 없는 대량의 핵무기를 궤도에 투입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서방 세계에 경고를 주었다. 이러한 우려로 우주 조약이 체결되어 우주 공간에 대량 살상 무기 배치가 금지되었다.
1970년에는 다탄두 탑재가 가능한 네 번째 버전 개발이 시작되어 이듬해 시험 비행이 이루어졌다. R-36M은 1973년 처음 시험되었으나 실패했고, 여러 차례 지연 끝에 1975년 12월에 배치되었다. R-36M은 여섯 가지 변형을 거쳤으며, 마지막 변형인 R-36M-2 "보예보다" (NATO 암호명 SS-18 mod 6)는 1988년 8월에 배치되었다.
R-36의 첫 발사는 1963년 9월 28일에 이루어졌지만, 발사 후 1초 만에 추진력을 상실하여 실패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시험 발사 실패와 사고가 있었지만, 1968년 5월 20일에 비행 시험이 완료되었고, 같은 해 11월 19일에 실전 배치되었다. 1963년부터 1975년까지 총 139기의 8K67이 발사되었으며, 그 중 16번 실패했다.
우크라이나에서 개발된 민간 우주 발사체인 치클론 시리즈는 R-36orb (8К69) 또는 R-36-O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20]
냉전 시기 개발된 R-36은 핵무기 운용 능력이 국가 존속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였던 당시 상황을 반영한다. 서방 국가에서 사탄(악마)이라는 이름으로 두려워했던 이 미사일은 냉전 시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병기이다.
R-36M은 미국의 미니트맨 계획에 대항하고 노후화된 R-36 (SS-9)를 대체하기 위해 1969년에 설계가 승인되었다.
2. 1. 소련 붕괴와 R-36
1991년 소련 붕괴 당시 308기의 R-36M 발사 사이로가 있었으며, 이 중 204기는 러시아에, 104기는 카자흐스탄에 위치했다.[7] 카자흐스탄의 R-36 시설은 장기즈-토베(솔네치니)의 제57로켓 사단과[7] 데르자빈스크에 위치한 제38로켓 사단이었다.[8] 카자흐스탄의 R-36은 1996년 9월에 모두 해체되었다.[7]러시아는 제1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 조약에 따라 R-36M 발사 사이로 수를 154기로 줄였다. 제2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I)은 모든 R-36M 미사일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발효되지 않아 미사일은 계속 배치되었다. 러시아는 R-36M의 운용 수를 꾸준히 줄여 2013년 3월 현재 55기만 남아 있다.
미국 공군 국가 항공우주 정보 센터는 2017년 6월 기준으로 약 50개의 R-36M2 발사대가 작전 배치되어 있다고 추정한다.[9] 약 40기의 미사일은 2020년까지 운용 수명이 연장될 예정이며, 후속 미사일인 RS-28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27]

2. 2. 러시아의 R-36 운용과 퇴역
SALT I 조약으로 소련은 R-36 308기를 실전배치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204기는 러시아에, 104기는 카자흐스탄에 배치되어 있었다. 카자흐스탄의 R-36은 1996년 9월에 모두 해체가 완료되었고, 러시아는 START I 조약으로 R-36을 154기로 줄였다. START II 조약으로 러시아는 모든 R-36을 퇴역시키기로 했으나, 조약이 발효되지 않아 미사일은 계속 배치되었다.[28]1991년 소련 붕괴 전 완전 배치 당시 308개의 R-36M 발사 사이로가 운영되었다. 소련 붕괴 후 이 중 204기는 러시아 연방 영토에, 104기는 새로 독립한 카자흐스탄 영토에 위치했다. 이후 몇 년 동안 러시아는 제1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 조약에 따라 R-36M 발사 사이로 수를 154기로 줄였다. 카자흐스탄에 위치한 104기의 발사대 해체는 1996년 9월에 완료되었다.
제2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I)은 모든 R-36M 미사일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발효되지 않아 미사일은 계속 배치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러시아군은 운용 수명이 설계된 기간을 넘긴 R-36M 미사일을 철수시키면서 실전 배치된 R-36M 미사일의 수를 꾸준히 줄여왔다. 2020년 1월 기준으로 전략 로켓군은 46기의 R-36M2(또는 RS-20V)를 실전 배치했다.[10]
약 40기의 미사일은 2020년까지 운용 수명이 연장될 예정이었다.
2018년 러시아는 R-36M 시리즈를 대체할 새로운 중 ICBM, RS-28 사르마트를 공개했으며,[13] 이는 2023년 9월에 실전 배치되었다.[14]
3. 파생형
R-36은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주요 파생형으로는 R-36M, R-36MUTTKh, R-36M2 보예보다 등이 있으며, 각 파생형은 탄두 수, 위력, 사거리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1970년대 중반 소련은 R-36M을 기반으로 9.5톤의 더 큰 투하 중량을 가진 15A17 미사일 개발을 고려했다.[15] 이 미사일은 38 x 250kt, 24 x 500kt, 15–17 x 1Mt의 일반 탄두 또는 28 x 250kt, 19 x 500kt의 유도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다.[15] 그러나 SALT II 조약과 선제 공격 취약성 문제로 개발되지 않았다.
R-36M의 실전 배치는 10개의 500kt 탄두를 탑재한 R-36MUTTKh와 10개의 800kt 탄두를 탑재한 R-36M2(15A18M)로 구성되었다 (8.3Mt 또는 20Mt 단일 탄두 버전도 존재).[16] 또한, 조약 회피를 위해 40개의 미끼를 장착하여 탄도 미사일 방어를 무력화했다.[16]
우크라이나에서 개발된 민간 우주 발사체인 치클론 시리즈는 R-36orb (8К69) 또는 R-36-O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20]
3. 1. R-36M 계열
R-36M은 여러 번 개량되었다. 주요 개량형은 다음과 같다.- R-36M (SS-18 Mod 1): 단일 대형 재진입체를 탑재, 탄두 위력 18~25 Mt, 사거리 약 6000nmi.[7] 1975년 12월 30일 배치, 1984년 R-36MUTTKh로 교체.
- R-36M (SS-18 Mod 2): 최대 8개 재진입 핵탄두 탑재 (각 0.5~1.5Mt), 사거리 약 5500nmi.[7] 1975년 배치, 1983년 R-36MUTTKh로 교체 (설계 결함).
- R-36MUTTKh (SS-18 Mod 3): 단일 대형 재진입체 탑재 (18~25 Mt), 1979년 11월 29일 배치 시작, 현재 실전 배치 없음.[7]
- R-36M2 보예보다 (SS-18 Mod 5): MIRV 10개 탑재, 사거리 11,000km, 정확도 향상. 1989년 9월 시험 완료, 1991년 8월 배치 시작, 10기 배치.[7] 2009년 말 퇴역.
- R-36M2 보예보다 (SS-18 Mod 6): 단일 대형 탄두, 사거리 16,000km. 1988년 8월 배치.[7]
R-36M 계열은 큰 투하 중량(START I에 명시된 8.8톤)을 가졌다. R-36MUTTKh는 10개의 500kt 탄두, R-36M2(15A18M)는 10개의 800kt 탄두를 탑재했다(8.3Mt 또는 20Mt 단일 탄두 버전도 존재).[16]
3. 2. 우주 발사체 파생형
R-36을 기반으로 한 인공위성 발사 로켓은 사이클론 로켓과 드네프르 로켓 두 종류가 있다.[20]사이클론은 R-36 미사일에서 파생된 로켓이다. 초기형부터 사이클론-2까지는 2단 로켓이었으며, 사이클론-3부터 3단이 추가되었다. 주로 RORSAT와 메테오르 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극궤도로 발사되었다. 2012년 현재 사이클론-3을 마지막으로 사이클론 시리즈는 퇴역했다. 현재 유즈마쉬에서 사이클론-4를 개발 중이다.
우크라이나의 유즈노예 설계국에서 R-36M을 기반으로 한 인공위성 발사 로켓 "드네프르"를 제조하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로켓은 몇몇 미국의 위성도 발사했다.
2004년12월 27일, JAXA는 이 로켓을 사용하여 광 위성 간 통신 실험 위성 (OICETS)을 카자흐스탄에서 발사한다고 발표했다. 발사 비용은 10억엔 정도이다. 발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합작 회사인 ISC 코스모트라스사에 의해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2005년8월 24일 오전 6시 10분(JST)에 진행되었으며, OICETS는 예정대로 고도 약 610km의 궤도에 진입하여 "키라리"로 명명되었고, 함께 발사된 소형 기술 실증 위성(INDEX)는 "레이메이"로 명명되었다.
4. 기술적 특징
R-36은 최초로 앰플화된 소련 미사일이다. 저장성 액체 추진제가 이미 주입된 채로 컨테이너에 밀봉되어 있어, 언제든지 즉시 발사할 수 있다. 이는 발사 준비에 30분이 걸렸던 R-1, R-2, R-5, 24시간이 걸렸던 R-9A와는 대조적이다. R-12, R-14, R-16의 저장성 액체 추진제는 보관 기간이 30일이었지만, R-36은 5년간 발사 대기 상태를 보장한다.
R-36은 이원 추진제 액체 로켓으로, UDMH를 연료로, 사산화 질소를 산화제로 사용한다. 이 미사일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두 가지 유형의 재진입 비행체 (RV) 중 하나를 탑재한다.[26]
- 20메가톤 TNT의 단일 핵 탄두 (NATO 코드명 SS-9 Mod 1).
- 8.3메가톤 TNT의 단일 핵 탄두 (NATO 코드명 SS-9 Mod 2).
R-36의 첫 발사는 1963년 9월 28일에 이루어졌지만, 발사 후 1초 만에 로켓 추진력이 상실되어 발사대로 다시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면서 실패했다.[18] 이후 여러 차례의 시험 발사를 거쳐 1968년 5월 20일에 비행 시험이 완료되었고, 같은 해 11월 19일에 실전 배치되었다.[19] 1963년부터 1975년까지 총 139개의 8K67가 발사되었으며, 그 중 16번 실패했다.
우크라이나에서 개발된 민간 우주 발사체인 치클론 시리즈는 R-36orb (8К69) 또는 R-36-O 설계를 기반으로 한다.[20]
구분 | 내용 |
---|---|
구성 | 2단식 액체 연료 로켓 + 탄두 or 버스 |
1단 엔진 | RD-251 (추력 460ton) |
2단 엔진 | RD-252 (추력 77ton) |
연료 | UDMH |
산화제 | 사산화 질소 |
유도 방식 | 관성 유도 |
배치 방식 | 경화 사이로, 콜드 런치 방식 |
미군 명칭 | SS-18 |
NATO 명칭 | Satan |
러시아군 명칭 | R-36M (SS-18 Mod-1, 2, 3) / R-36M UTTKh (SS-18 Mod-4) / R-36M2 Voevoda (SS-18 Mod-5, 6) |
전체 길이 | 36.3m |
발사 중량 | 211ton |
투사 중량 | 8.8ton |
사정거리 | 11500km |
명중 정밀도 | 920m (CEP) |
4. 1. 발사 방식
R-36은 콜드 런치 방식으로 발사된다. 미사일은 발사 시 미사일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엔진 점화 전에 사일로에서 발사된다. 미사일은 유리 섬유로 제작된 수송/발사 캐니스터에 격납되어 개수된 R-36의 사일로에 그대로 배치되며, 설계 수명인 10년 동안은 정비가 필요 없다. 사일로 내의 캐니스터는 에어백에 의해 유지되며 핵폭발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미사일 발사 시에는 사일로 지하에 설치된 고체 연료 가스 발생 장치에서 폭발적으로 발생하는 가스의 힘에 의해 미사일은 발사 캐니스터에서 공중으로 발사되어 공중에서 메인 엔진에 점화된다. 이 방식은 1960년대 초 체로메이 설계국에서 UR-100 미사일을 위해 개발된 방식을 바탕으로 얀겔리 설계국에서 개발되었다.4. 2. 다탄두 개별 목표 재돌입 (MIRV)
R-36M은 여러 개의 핵탄두를 각기 다른 목표물에 투발할 수 있는 (MIRV) 기술을 적용했다. R-36M 초기형은 MIRV를 탑재하지 않았지만, 이후 개량형은 이 기술을 도입하여 서방의 경쟁 기종인 LGM-118 피스키퍼보다 더 많은 탄두를 탑재할 수 있게 되었다.R-36M의 실전 배치에는 10개의 500kt 탄두를 탑재한 R-36MUTTKh와 10개의 800kt 탄두를 탑재한 R-36M2 (15A18M)가 포함되었다. 이 미사일들은 조약상의 제한을 부분적으로 회피하기 위해 40개의 미끼를 장착하여, 탄도 미사일 방어를 무력화했다.[16]
R-36M의 한 변형은 최대 8개의 재진입 핵탄두를 탑재한 포스트 부스트 차량을 갖추고 있었으며, 각 탄두는 0.5~1.5Mt 사이의 위력을 가졌다. 이 변형의 비행 시험은 1973년에 시작되었고, 1975년에 초기 작전 배치가 이루어졌으나, 설계 결함으로 인해 1983년까지 R-36MUTTKh로 교체되었다.
1970년대 중반 소련은 R-36MUTTKh(15A18)의 후속 모델인 15A17 미사일을 고려했는데, 이 미사일은 더 큰 투하 중량(9.5톤)과 더 많은 수의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다. 38 x 250kt, 24 x 500kt, 15–17 x 1Mt 위력의 일반 탄두와 유도 탄두를 탑재하는 방안이 고려되었으나, SALT II 조약으로 인해 개발되지 않았다.[15]
4. 3. 추진 시스템
R-36은 2단 액체 연료 로켓이다. 1단에는 RD-251 엔진을, 2단에는 RD-252 엔진을 사용한다.[26] 연료로는 UDMH(비대칭 디메틸히드라진)를, 산화제로는 사산화 질소를 사용한다.구분 | 내용 |
---|---|
1단 엔진 | RD-251 (추력 460ton) |
2단 엔진 | RD-252 (추력 77ton) |
연료 | UDMH |
산화제 | 사산화 질소 |
5. 운용 현황
2020년 1월 기준으로, 러시아 전략 로켓군은 46기의 R-36M2 미사일을 운용하고 있었다.[10] 이 미사일들은 오렌부르크주 야스니의 제13 적기 로켓 사단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우주르의 제62 로켓 사단에 배치되어 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전에는 308기의 R-36M 미사일 사일로가 있었으나,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영토에 204기, 카자흐스탄 영토에 104기가 위치하게 되었다. 러시아는 제1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에 따라 R-36M 발사 사일로 수를 154기로 줄였다. 카자흐스탄에 있던 미사일은 1995년까지 모두 폐기되었다.
제2차 전략무기감축협정(START II)은 모든 R-36M 미사일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조약은 발효되지 않았고 미사일은 계속 배치되었다. 러시아는 R-36M의 운용 수를 꾸준히 줄여왔으며, 미국 공군 국가 항공우주 정보 센터는 2017년 6월 기준으로 약 50개의 R-36M2 발사대가 작전 배치되어 있다고 추정했다.[9]
현재 R-36M2는 신형 ICBM인 RS-28 사르마트로 대체되고 있다.[28]
6. 한국과의 관계
R-36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제시된 자료에 나타나 있지 않다. 다만, 한국과 러시아 간의 우주 개발 협력 사례는 다음과 같이 언급할 수 있다.
나로호 개발 과정에서 한국은 러시아 흐루니체프 국가우주과학생산센터와 협력하여 1단 액체 엔진 개발에 참여했다.[22] 또한, 드네프르 로켓을 이용한 일본 JAXA의 위성 발사 사례가 있으며,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합작 회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6. 1. 나로호 개발과 기술 협력
Р-36 개발과 관련하여, 한국은 우주 발사체 개발 과정에서 러시아와 기술 협력을 진행했다. 특히 나로호 개발 과정에서 러시아의 흐루니체프 국가우주과학생산센터와 협력하여 1단 액체 엔진 개발에 참여했다.[22]6. 2. 드네프르 로켓과 과학기술위성 발사
2004년 12월 27일, JAXA는 드네프르 로켓을 사용하여 광 위성 간 통신 실험 위성 (OICETS)을 카자흐스탄에서 발사한다고 발표했다. 발사 비용은 10억엔 정도였다. 발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합작 회사인 ISC 코스모트라스사에 의해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2005년 8월 24일 오전 6시 10분(JST)에 진행되었으며, OICETS는 예정대로 고도 약 610킬로미터의 궤도에 진입하여 "키라리"로 명명되었고, 함께 발사된 소형 기술 실증 위성(INDEX)는 "레이메이"로 명명되었다.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NPO Energomash list of engines
http://www.npoenergo[...]
NPO Energomash
2014-11-07
[2]
웹사이트
R-36 (SS-9, Scarp) ICBM
https://space.skyroc[...]
2022-07-25
[3]
웹사이트
R-36M Voivode (SS-18, Satan) ICBM
https://space.skyroc[...]
2022-07-25
[4]
서적
A Look Over My Shoulder: A Life in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2004
[5]
뉴스
Canso spaceport secures $10.5M, aims for first launch next year
https://www.cbc.ca/n[...]
CBC News
2021-05-12
[6]
웹사이트
Krivonosov, Khartron: Computers for rocket guidance systems
http://web.mit.edu/s[...]
2014-11-14
[7]
웹사이트
57th Missile Division
http://www.ww2.dk/ne[...]
Ww2.dk
2011-09-26
[8]
웹사이트
38th Missile Division
http://www.ww2.dk/ne[...]
Ww2.dk
2011-09-26
[9]
웹사이트
Ballistic and Cruise Missile Threat
http://www.nasic.af.[...]
Defense Intelligence Ballistic Missile Analysis Committee
[10]
웹사이트
Strategic Rocket Forces –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http://russianforces[...]
2020-01-07
[11]
간행물
Russia and Ukraine will maintain R-36M2 missiles – Blog –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http://russianforces[...]
2008-01-24
[12]
웹사이트
Russia to dispose of two "Voevoda" intercontinental missiles in 2020
https://www.interfax[...]
Interfax
2020-01-03
[13]
웹사이트
In the (weapon) magazine - "Sarmat", "Kinzhal", "Avangard"...
http://www.redstar.r[...]
2018-03-12
[14]
뉴스
Russia puts advanced Sarmat nuclear missile system on 'combat duty'
https://www.aljazeer[...]
Aljazeera
2023-09
[15]
웹사이트
Multiple (as in "up to 38") warheads – Blog – Russian strategic nuclear forces
http://russianforces[...]
[16]
뉴스
Moscow extends life of 144 cold war ballistic missil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2-08-20
[17]
보고서
Joint DOD/DOE Trident Mk4/Mk5 Reentry Body Alternate Warhead Phase 2 Feasibility Study Report (U)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and Department of Energy
1994-01
[18]
서적
Called by time – From confrontation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Part I, Chapter 3: A competitive environment (1965–1971)
https://epizodyspace[...]
АРТ-Пресс (ART-Press)
[19]
웹사이트
R-36
http://www.astronaut[...]
2022-09-25
[20]
웹사이트
CYCLONE-2
https://www.yuzhnoye[...]
[21]
웹사이트
R-36M family
http://www.russiansp[...]
RussianSpaceWeb.com
2015-11-20
[22]
웹사이트
Russian nuclear weapons, 2024
https://thebulletin.[...]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2024-11-16
[23]
뉴스
Russian scientist: Soviet-era missiles can destroy asteroids
http://www.spacedail[...]
SpaceDaily
2013-06-23
[24]
웹사이트
R-36M / SS-18 SATAN
https://fas.org/nuke[...]
FAS
2015-11-20
[25]
웹사이트
Pavel Podvig: ''The Window of Vulnerability That Wasn't: Soviet Military Buildup in the 1970s--A Research Note.'' International Security, Summer 2008, Vol. 33, No. 1: 118–138
http://russianforces[...]
2014-11-14
[26]
웹사이트
Nuclear Notebook: U.S. and Soviet/Russi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1959–2008
http://bos.sagepub.c[...]
2014-11-14
[27]
웹사이트
ロシア、新型ICBM発射実験の映像公開
https://www.cnn.co.j[...]
CNN
2018-04-01
[28]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