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26 루베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S-26 루베즈는 2단 고체연료 추진 방식의 러시아의 이동식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이다. 201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서유럽의 주요 도시를 목표로 한다. 2011년 시험 발사 실패 이후, 2012년에 성공적인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고, 2018년에는 2027년까지의 국가 무장 계획에서 조달이 중단되었다. RS-26은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 위반 논란이 있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처음으로 실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가우리 2호
가우리 2호는 파키스탄이 개발한 탄도 미사일로, 샤힌-II 프로그램과 함께 인도군에 대한 보복 공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북한의 노동 1호 기술의 영향을 받아 1999년 첫 시험 발사를 했다.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샤하브-2
샤하브-2는 이란에서 생산되어 이란과 시리아에서 운용 중인 사거리 750km의 액체 연료 단거리 지대지 탄도 미사일로, 샤하브 미사일 계열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RS-24 야르스
RS-24 야르스는 러시아에서 개발된 다탄두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미사일 방어 시스템 무력화를 목표로 RT-2UTTKh 토폴-M을 향상시킨 모델이며 이동형 및 사일로형 발사 방식이 존재하고 SS-18, SS-19 미사일 대체 예정이며 START 조약 위반 논란과 함께 야르스-S, BZhRK 바르구진 등 파생형이 개발되고 있다. - 러시아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 RT-2PM2 토폴-M
RT-2PM2 토폴-M은 러시아가 개발한 3단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사일로 또는 이동식 발사대에 배치되어 최대 11,000km 사거리에 핵탄두 또는 MIRV 탄두를 탑재하며,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 회피를 위해 설계되었다. - 러시아의 핵무기 - RS-24 야르스
RS-24 야르스는 러시아에서 개발된 다탄두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미사일 방어 시스템 무력화를 목표로 RT-2UTTKh 토폴-M을 향상시킨 모델이며 이동형 및 사일로형 발사 방식이 존재하고 SS-18, SS-19 미사일 대체 예정이며 START 조약 위반 논란과 함께 야르스-S, BZhRK 바르구진 등 파생형이 개발되고 있다. - 러시아의 핵무기 - RT-2PM2 토폴-M
RT-2PM2 토폴-M은 러시아가 개발한 3단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 미사일로, 사일로 또는 이동식 발사대에 배치되어 최대 11,000km 사거리에 핵탄두 또는 MIRV 탄두를 탑재하며,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 회피를 위해 설계되었다.
RS-26 루베즈 | |
---|---|
미사일 정보 | |
종류 | 중거리 탄도 미사일 |
제작 국가 | 러시아 |
사용 국가 | 러시아 전략 로켓군 |
설계 | 모스크바 열기술 연구소 |
생산 시기 | 2011년 |
실전 배치 | 해당 없음 |
추진제 | 고체, 3단 또는 4단 (탄두 블록) 액체 가능 |
엔진 | 고체 연료 (마지막 단계 또는 탄두 블록은 액체 가능) |
중량 | 36,000kg |
속도 | 마하 20 이상 |
사거리 | 5,800km (입증) |
최대 고도 | 수십 km |
탄두 | 150/300kt 다탄두 개별 유도 재돌입 탄두 4개, 탑재물; 아방가르드 개량형 |
탄두 중량 | 800kg |
유도 방식 | 관성 + 글로나스 |
정확도 | 90-250m CEP (원형 공산 오차) |
발사 플랫폼 | 도로 이동식 이동식 발사대 |
2. 역사
1970년대 소련은 3단 고체연료 이동식 ICBM SS-16으로 미국을, 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 SS-20으로 서유럽을 겨냥했다. 2010년대에도 비슷한 전략을 취하여, 3단 고체연료 이동식 ICBM RS-24 야르스는 미국을, 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 RS-26 루베즈는 서유럽의 수도들을 목표로 개발되었다.[1]
구분 | 내용 |
---|---|
1976년 | 소련 최초 트럭이동식 ICBM SS-16 (3단 고체연료, 무게 43톤) |
1976년 | 소련 최초 트럭이동식 IRBM SS-20 (2단 고체연료, 무게 37톤) |
1987년 | 미국과 소련은 INF 조약(중거리 핵전력 조약)을 체결하여 IRBM SS-20을 폐기[22] |
2019년 | 미러 INF 조약 종료[1] |
2024년 현재 | RS-24 야르스, 트럭이동식 ICBM SS-29 (3단 고체연료, 무게 49톤) |
2024년 현재 | RS-26 루베즈, 트럭이동식 IRBM SS-31 (2단 고체연료, 무게 36톤) |
2. 1. 냉전
1970년대 소련은 서유럽을 겨냥한 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 SS-20을 개발하여 배치했다. 이에 대응하여 미국은 서독에 퍼싱-2 IRBM을 배치하고,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 나토 회원국에 BGM-109G 그리폰 지상 발사 순항미사일을 배치했다. 이러한 핵미사일 배치는 유럽에서 반핵 시위를 불러일으켰지만, 소련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했다. 특히 퍼싱-2는 발사 7분 만에 모스크바를 타격할 수 있어 소련에게 큰 위협이었다. 조기경보레이더로 탐지할 수 없었고, 당시에는 미사일 방어체계도 없었기 때문이다.[22] 1987년 미국과 소련은 INF 조약(중거리 핵전력 조약)을 체결하여 IRBM SS-20을 폐기했다.2. 2. 신냉전
1970년대 소련은 3단 고체연료 이동식 ICBM SS-16으로 미국을, 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 SS-20으로 서유럽을 겨냥했다. 2010년대에도 비슷한 전략을 취하여, 3단 고체연료 이동식 ICBM RS-24 야르는 미국을, 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 RS-26 루베즈는 서유럽 수도들을 목표로 개발되었다.[1]2015년 3월, RS-24 야르에서 1단을 제거한 것이 RS-26 루베즈라고 알려졌다. 이는 SS-16의 사거리를 줄인 SS-20과 같은 개념이다.[1]
1987년 미국과 러시아 간 INF 조약이 체결되어 SS-20이 폐기되었으나, 2019년 해당 조약이 종료되었다.[1] 현재 러시아, 중국, 북한, 한국은 트럭 이동식 IRBM을 보유하고 있다.[1]
국가 | 미사일 | 특징 |
---|---|---|
중국 | DF-26 | 2단 고체연료, 무게 20톤, 사거리 5,000 km |
한국 | 현무-5 | 2단 고체연료, 무게 36톤 |
북한 | 2단 고체연료 | |
러시아 | RS-26 루베즈 | 2단 고체연료, 무게 36톤, 사거리 5,800 km |
RS-26 루베즈는 RS-24 야르 고체연료 3단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에서 1단을 제거하여 사거리를 줄인 모델이다. 이는 1970년대 SS-16 ICBM에서 1단을 제거하여 SS-20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을 만든 것과 유사한 개념이다.[8][9]
RS-26 루베즈는 2단 고체연료 추진 방식의 이동식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이다. 무게는 36톤, 사거리는 5,800km이며, 차량 이동식 발사대를 사용하여 은닉 및 기동성이 뛰어나다.[1] RS-24 야르(3단 고체연료 이동식 ICBM)에서 1단을 제거한 형태로, 개발 기간과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보인다.[1]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으로 미국과 소련은 지상 배치형 단거리, 중거리 핵미사일 보유를 금지하면서, 서유럽과 소련, 러시아는 전투기와 폭격기용 수소폭탄만 상호 배치해왔다. 단거리 핵미사일은 발사 직후 몇 분 만에 목표 지점에 핵폭발을 일으켜 긴급 협상, 취소, 번복, 자폭 명령이 어렵다. 반면 전투기용 수소폭탄은 장착, 발진 등 핵 공격에 수십 분 이상이 걸려 군사 핫라인으로 우발적 핵전쟁 발발을 저지할 시간적 여유가 있다. 미국과 러시아 간 지상 배치형 ICBM은 폐기 조약이 체결된 적이 없는데, 모스크바에서 워싱턴까지 거리가 멀어 ICBM 발사 후 목표 지점 핵폭발까지 30분 이상 걸려 핫라인으로 우발적 핵전쟁 발발을 막고 자폭 명령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RS-26 루베즈는 서유럽 주요 도시를 타격할 수 있어 유럽에 대한 전략적 위협으로 간주된다. 서방 군사 전문가들은 RS-26이 러시아 국경에 더 가까이 위치한 NATO의 새로운 동부 회원국을 지원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무기라고 분석한다.[21] 2010년대에 개발된 RS-26은 1970년대 소련의 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중거리 탄도 미사일)인 SS-20과 유사하게 서유럽 수도들을 목표로 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루베즈를 최초로 실전 발사했다. 유즈마쉬를 공격했다.[14]
한국은 RS-26 루베즈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 현무-5 IRBM을 개발하여 보유하고 있다.[1] 현무-5는 2단 고체연료 추진 방식이며, 무게는 36톤이다.[1] 현무-5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한국의 핵심 전략 무기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무-5와 같은 고위력 탄도미사일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지해 왔다.
[1]
웹사이트
RS-26 Rubezh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http://www.military-[...]
3. 개발 과정
다음은 RS-26 루베즈와 관련된 미사일들의 제원을 비교한 표이다.미사일 배치 연도 무게 사거리 단수 연료 이동 방식 SS-16 1976년 43톤 10,500 km 3단 고체연료 차량이동식 SS-20 1976년 37톤 5,500 km 2단 고체연료 차량이동식 RS-24 야르 2010년 49톤 11,000 km 3단 고체연료 차량이동식 RS-26 루베즈 2016년 36톤 5,800 km 2단 고체연료 차량이동식 현무-5 미정 36톤 미정 2단 고체연료 차량이동식
2011년 초 시험 발사는 실패했지만, 2012년 5월 26일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첫 성공적인 시험 발사가 이루어졌다.[8][9] 미사일은 몇 분 후 5,800km 떨어진 쿠라 시험장의 목표 지점에 명중했다. 2012년[10][11]과 2013년에는 카푸스틴 야르에서 사리샤간까지 추가적인 성공적인 시험이 수행되었다.[12]
2018년에는 2027년까지의 국가 무장 계획에 따라 RS-26의 조달이 중단되고, 아반가르드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의 지속적인 조달로 자금이 전환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13]
4. 제원 및 특징
RS-26 루베즈는 RS-24 야르와 마찬가지로 2010년대에 개발되어 서유럽의 수도들을 목표로 한다.[1] 이는 1970년대 소련의 SS-16(3단 고체연료 이동식 ICBM)이 미국을, SS-20(2단 고체연료 이동식 IRBM)이 서유럽을 겨냥했던 것과 유사한 전략적 배치이다.[1]
다음은 RS-26 루베즈와 관련된 주요 미사일들의 제원을 비교한 표이다.구분 미사일 배치 연도 무게 사거리 연료 단수 이동 방식 소련 최초 SS-16 1976년 43톤 10,500 km 고체연료 3단 차량이동식 소련 최초 SS-20 1976년 37톤 5,500 km 고체연료 2단 차량이동식 러시아 RS-24 야르 2010년 49톤 11,000 km 고체연료 3단 차량이동식 러시아 RS-26 루베즈 2016년 36톤 5,800 km 고체연료 2단 차량이동식 한국 현무-5 36톤 고체연료 2단 차량이동식
5. INF 조약 위반 논란
RS-26 미사일은 서방의 국방 관찰자들로부터 INF 조약을 간접적으로 위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INF 조약은 미국과 러시아가 핵무기 및 재래식 지상 발사 탄도 미사일, 순항 미사일 및 500km(단거리 중거리) 및 1000km(중거리) 사거리의 미사일 발사기를 보유하는 것을 금지했다. RS-26 미사일은 가벼운 탑재 또는 비탑재 상태로 시험되어, 사거리를 조약에서 금지된 5500km 제한 이상으로 연장했다는 의혹을 받았다.[19] 그러나 그 이후의 모든 시험은 조약의 금지 범위 내에 드는 2000km 정도의 짧은 사거리로 비행했다.[19] ''더 내셔널 인터레스트''에 따르면, RS-26은 RSD-10 파이어니어(SS-20 세이버)와 동일한 개념이며 이를 직접 대체하는 것으로, INF 조약에 의해 금지되었다.[20]
RS-26은 유럽 주요 도시에 전략적 위협을 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서유럽의 NATO 군대를 목표로 할 수 있다. 제프리 루이스는 "러시아 미사일의 문제점"이라는 기사에서 이 무기의 목적은 서방 군대가 러시아 국경에 더 가까이 위치한 NATO의 새로운 동부 회원국을 지원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21]
2015년 미국은 1단 SS-26 단거리 탄도 미사일(SRBM) 배치와, 1970년대의 2단 SS-20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과 동일한 2단 RS-26 루베즈 IRBM의 시험 발사가 INF 조약 위반이라고 러시아를 비난했다. INF 조약이 깨지면 현재 서유럽에 전투기용 수소폭탄만 배치 중인 미국이 다시 모스크바 공격용 단거리, 중거리 핵미사일을 배치할 것이라고 위협하고 있다.[26]
6. 전략적 위협
2016년 러시아는 서유럽의 미국 미사일 방어(MD) 시스템 배치에 반발하여 칼리닌그라드에 SS-26 단거리 핵미사일을 배치하겠다고 밝혔다.[28] SS-26은 칼리닌그라드에서 독일 베를린을 타격할 수 있을 정도로 위협적이다.[28] 칼리닌그라드에서 서유럽 끝인 포르투갈까지는 3000km 거리이다.
INF 조약으로 미국과 러시아는 지상 발사형 단거리(SRBM), 중거리(MRBM, IRBM) 핵미사일의 생산 및 배치를 금지하고 있다. 이 조약으로 인해 서유럽과 소련, 러시아는 전투기와 폭격기용 수소폭탄만 상호 배치해왔다. 단거리 핵미사일은 발사 후 몇 분 만에 목표 지점에 핵폭발을 일으켜 긴급 협상이나 명령 취소가 어렵지만, 전투기용 수소폭탄은 핵 공격까지 수십 분 이상 걸려 우발적 핵전쟁 발발을 저지할 시간적 여유가 있다.
7. 우크라이나 전쟁에서의 사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최신 러시아 중거리 미사일 시스템 중 하나를 시험했다"며 핵탄두를 장착하지 않은 이 극초음속 미사일의 이름이 '오레시니크'(개암나무)로 명명됐다고 소개했다. 그는 "시험은 성공적이었고, 발사 목표가 달성됐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오레시니크에 대해 "초속 2.5∼3㎞인 마하 10의 속도로 목표물을 공격한다"며 "현재 이런 무기에 대응할 수단은 없다. 전 세계에 있는 최신 방공 시스템과 미국·유럽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도 이런 미사일을 요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17][18]
우크라이나 매체 RBC 우크라이나에 따르면, 해당 미사일은 러시아 아스트라한 지역에서 발사돼 15분 만에 드니프로를 강타했으며, 6개의 탄두가 장착됐고 마지막 구간에서의 속도는 마하 11 이상이었다.
2024년 11월 21일, 우크라이나 공군과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은 재래식 RS-26 미사일을 불특정 다수 발사하여 우크라이나를 공격했으며, 이는 드니프로 시의 핵심 기반 시설을 목표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14] 러시아 정부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이 사실을 확인해달라는 요청에 "이 주제에 대해 할 말이 없다"고 답했다.[15] 한 서방 관계자는 해당 공격에 사용된 미사일이 ICBM이 아니라고 밝혔다.[16] 이후, 블라디미르 푸틴은 해당 공격이 실제로 ICBM이 아닌, 비핵 극초음속 탄두를 사용하는 새로운 IRBM 모델인 오레시니크에 의해 수행되었음을 확인했다.[17][18]
8. 한국의 현무-5 미사일
참조
[2]
웹사이트
https://www.forcesne[...]
[3]
웹사이트
Missile Defense Project, "RS-26 Rubezh," Missile Threat,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ttps://missilethrea[...]
2024-04-23
[4]
웹사이트
Russian ICBM Force Modernization: Arms Control Please!
https://fas.org/blog[...]
2021-07-25
[5]
웹사이트
RS-26 Rubezh / Avangard - Road Mobile ICBM
http://www.globalsec[...]
2015-01-17
[6]
웹사이트
Russia's hypersonic trump card edges closer to reality
https://www.rbth.com[...]
2015-01-17
[7]
웹사이트
Russia's New Intermediate Range Missiles - Back to the 1970s
http://www.atlanticc[...]
2017-04-06
[8]
뉴스
Russia tests secret missile after Nato shield launched
https://www.bbc.co.u[...]
BBC
2015-01-17
[9]
간행물
Russia tests prototype of a new ICBM
http://russianforces[...]
2015-01-17
[10]
웹사이트
Russia to create new missiles to compete with U.S.
http://missilethreat[...]
Missile Threat
2015-01-17
[11]
간행물
New ICBM tested in Kapustin Yar
http://russianforces[...]
2015-01-17
[12]
간행물
Russia continues tests of new ICBM, named Rubezh
http://russianforces[...]
2015-01-17
[13]
웹사이트
Avangard hypersonic missiles replace Rubezh ICBMs in Russia's armament plan through 2027
http://tass.com/defe[...]
[14]
웹사이트
Russians launch Rubezh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at Ukraine for first time ever
https://www.pravda.c[...]
2024-11-21
[15]
뉴스
Ukraine-Russia war live: Russia 'fire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at Ukraine for first time
https://www.telegrap[...]
2024-11-21
[16]
웹사이트
The latest on Russia's war in Ukraine: Live updates
https://www.cnn.com/[...]
2024-11-21
[17]
웹사이트
Ukraine war latest: Putin says Russia hit Ukraine with new intermediate-range ballistic missile
https://www.bbc.co.u[...]
2024-11-21
[18]
뉴스
Putin says Russia fired experimental ballistic missile into Ukraine
https://www.theguard[...]
2024-11-21
[19]
뉴스
Russia's Rubezh Ballistic Missile Disappears off the Radar
https://jamestown.or[...]
[20]
뉴스
Russia's Dangerous Nuclear Forces are Back
http://nationalinter[...]
2017-02-14
[21]
간행물
The problem with Russia's missiles
https://foreignpolic[...]
2014-07-29
[22]
뉴스
美 첩보위성, 러 핵무기 발트해 배치 확인
연합뉴스
2001-02-16
[23]
뉴스
체코 “美 MD 기지 수용”…‘스타워즈’ 첫번째 확장
쿠키뉴스
2007-01-22
[24]
뉴스
美-러, 신냉전 군비경쟁 불붙나
동아일보
2007-05-31
[25]
뉴스
‘미국 MD기지 설치’ 조약 체코, 하원비준 요청 철회
경향신문
2009-03-18
[26]
뉴스
미-러, 유럽서 핵미사일 경쟁 재연?…배경은
연합뉴스
2015-06-17
[27]
뉴스
러시아 "유럽MD, 1000% 우릴 겨냥" 반발
조선일보
2016-05-14
[28]
뉴스
푸틴 "나토 확장 안 멈추면 핵미사일 배치" 돌직구 위협
뉴스1
2016-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