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urse of Blondi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Curse of Blondie》는 블론디의 여덟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3년 발매되었다. 앨범 작업 중 데모 테이프 분실로 인해 제작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록, 댄스 팝, 일본 전통 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했다.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싱글 "Good Boys"는 영국에서 12위에 올랐지만, 앨범 자체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음반 - Beloved (쥬얼리의 음반)
쥬얼리의 《Beloved》는 사랑에 대한 다양한 감정을 담은 곡들을 수록한 음반으로, 타이틀곡 〈Be My Love〉와 〈니가 참 좋아 (I Really Like You)〉가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이별의 아픔을 노래한 〈바보야 (Fool)〉를 포함한 12곡이 수록되어 있다. - 2003년 음반 - Anugerah Aidilfitri
말레이시아 가수 시티 누르할리자가 발표한 Anugerah Aidilfitri는 "Anugerah Aidilfitri", "Sesuci Lebaran" 등 라야 히트곡 모음과 P. 람리의 "Suara Takbir" 커버, 라야 테마 연주곡들, 그리고 VCD/DVD 버전에는 콘서트 실황과 뮤직 비디오가 수록된 앨범이다.
The Curse of Blondi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음반명 | The Curse of Blondie |
종류 | 음반 |
아티스트 | 블론디 |
![]() | |
발매일 | 2003년 10월 13일 |
녹음 | 2003년 |
장르 | 뉴 웨이브,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
길이 | 65분 19초 |
레이블 | 생츄어리 레코드 (미국) 에픽 레코드 (영국) |
프로듀서 | 스티브 톰슨 ("Good Boys" 제외, 제프 보바 프로듀싱) |
이전 음반 | No Exit |
이전 음반 발매일 | 1999년 |
다음 음반 | Panic of Girls |
다음 음반 발매일 | 2011년 |
싱글 | |
싱글 1 | Good Boys |
싱글 1 발매일 | 2003년 10월 6일 |
추가 음반 커버 | |
![]() |
2. 배경 및 녹음
2002년 말, 비욘드 뮤직이 분쟁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고,[1] 블론디는 소니 뮤직과 계약했다. ''The Curse of Blondie''의 가제는 ''Phasm 8''이었으며, 이는 앨범 발매 전에 진행했던 투어의 이름이기도 했다. 이들의 이전 히트 앨범인 ''No Exit''을 프로듀싱했던 크레이그 레온이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나, 영국 공항에서 앨범의 유일한 데모 테이프가 든 수하물이 사라지면서 다시 녹음해야 했기 때문에 제작에 4년이 걸렸다. 레온은 결국 이 앨범을 프로듀싱하지 않았으며, 주로 스티브 톰슨이 제작하고, 제프 보바가 "Good Boys" 한 곡을 프로듀싱했다.
이 앨범은 블론디의 초기 녹음을 연상시키는 록 스타일의 편곡 방식을 통합했다. 주로 록("Golden Rod", "Rules for Living", "End to End", "Hello Joe", "Last One in the World", "Diamond Bridge") 리듬과 댄스 팝("Good Boys", "Undone", "The Tingler") 리듬이 사용되었다. 다른 시도로는 일본의 전통 음악("Magic (Asadoya Yunta)"), 레게("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재즈("Desire Brings Me Back", "Songs of Love (For Richard)") 및 랩("Shakedown")이 있다. "Hello Joe"는 조이 라몬에게 바치는 오마주이며, "블리츠크리크 밥"을 언급하고 있다("hey ho, let's go!" 대신 "hey ho, ¡hola Joe!").
2. 1. 제작 과정
2002년 말, 비욘드 뮤직이 분쟁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고,[1] 블론디는 소니 뮤직과 계약했다. ''The Curse of Blondie''의 가제는 ''Phasm 8''이었으며, 이는 앨범 발매 전에 진행했던 투어의 이름이기도 했다. 이들의 이전 히트 앨범인 ''No Exit''을 프로듀싱했던 크레이그 레온이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나, 영국 공항에서 앨범의 유일한 데모 테이프가 든 수하물이 사라지면서 다시 녹음해야 했기 때문에 제작에 4년이 걸렸다. 레온은 결국 이 앨범을 프로듀싱하지 않았으며, 주로 스티브 톰슨이 제작하고, 제프 보바가 "Good Boys" 한 곡을 프로듀싱했다.이 앨범은 블론디의 초기 녹음을 연상시키는 록 스타일의 편곡 방식을 통합했다. 주로 록("Golden Rod", "Rules for Living", "End to End", "Hello Joe", "Last One in the World", "Diamond Bridge") 리듬과 댄스 팝("Good Boys", "Undone", "The Tingler") 리듬이 사용되었다. 다른 시도로는 일본의 전통 음악("Magic (Asadoya Yunta)"), 레게("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재즈("Desire Brings Me Back", "Songs of Love (For Richard)") 및 랩("Shakedown")이 있다. "Hello Joe"는 조이 라몬에게 바치는 오마주이며, "블리츠크리크 밥"을 언급하고 있다("hey ho, let's go!" 대신 "hey ho, ¡hola Joe!").
2. 2. 프로듀서 및 참여 음악가
크레이그 레온은 블론디의 이전 히트 앨범인 ''No Exit''을 프로듀싱했으며, ''The Curse of Blondie'' 작업도 시작했다.[1] 그러나 레온은 영국 공항에서 앨범 데모 테이프가 든 수하물이 사라지는 사고를 겪은 후 앨범 프로듀싱을 하지 않았다. 앨범의 프로듀싱은 주로 스티브 톰슨이 맡았으며, 제프 보바는 "Good Boys" 한 곡을 프로듀싱했다.2. 3. 녹음 비화
2002년 말, 비욘드 뮤직이 분쟁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고,[1] 블론디는 소니 뮤직과 계약했다. ''The Curse of Blondie''의 가제는 ''Phasm 8''이었으며, 이는 앨범 발매 전에 진행했던 투어의 이름이기도 했다. 이들의 이전 히트 앨범인 ''No Exit''을 프로듀싱했던 크레이그 레온이 앨범 작업을 시작했으나, 영국 공항에서 앨범의 유일한 데모 테이프가 든 수하물이 사라지면서 다시 녹음해야 했기 때문에 제작에 4년이 걸렸다. 레온은 결국 이 앨범을 프로듀싱하지 않았으며, 주로 스티브 톰슨이 제작하고, 제프 보바가 "Good Boys" 한 곡을 프로듀싱했다.3. 음악 스타일
3. 1. 록
3. 2. 댄스 팝
3. 3. 일본 오키나와 전통 음악
3. 4. 레게
3. 5. 재즈
3. 6. 랩
3. 7. 조이 라몬 헌정
4. 발매
《The Curse of Blondie》는 일부 지역에서 다양한 보너스 트랙과 함께 발매되었으며, 미국판에는 싱글 〈Good Boys〉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2] 이 앨범은 2004년 미국에서 듀얼디스크 형식으로 재발매되었다.[2] CD 면에는 일반적인 앨범이, DVD 면에는 앨범 전체 5.1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Good Boys〉 뮤직 비디오, 사진 갤러리, ROM 콘텐츠가 수록되었다.[2]
이 앨범은 인도네시아에서 카세트 테이프로도 발매되었다.
이 앨범의 유일한 싱글은 〈Good Boys〉였으며, 영국에서 12위에 올랐고[3] 미국에서 댄스 히트를 기록했다. 〈Undone〉의 프로모 싱글이 라디오에 보내졌지만, 공식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
4. 1. 앨범 발매 정보
《The Curse of Blondie》는 일부 지역에서 다양한 보너스 트랙과 함께 발매되었으며, 미국판에는 싱글 〈Good Boys〉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2] 이 앨범은 2004년 미국에서 듀얼디스크 형식으로 재발매되었다.[2] CD 면에는 일반적인 앨범이, DVD 면에는 앨범 전체 5.1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Good Boys〉 뮤직 비디오, 사진 갤러리, ROM 콘텐츠가 수록되었다.[2]이 앨범은 인도네시아에서 카세트 테이프로도 발매되었다.
이 앨범의 유일한 싱글은 〈Good Boys〉였으며, 영국에서 12위에 올랐고[3] 미국에서 댄스 히트를 기록했다. 〈Undone〉의 프로모 싱글이 라디오에 보내졌지만, 공식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
4. 2. 다양한 버전 및 보너스 트랙
《The Curse of Blondie》는 일부 지역에서 다양한 보너스 트랙과 함께 발매되었으며, 미국판에는 싱글 〈Good Boys〉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2] 2004년 미국에서는 듀얼디스크 형식으로 재발매되었는데,[2] CD 면에는 일반적인 앨범이, DVD 면에는 앨범 전체 5.1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Good Boys〉 뮤직 비디오, 사진 갤러리, ROM 콘텐츠가 수록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카세트 테이프로도 발매되었다.이 앨범의 유일한 싱글은 〈Good Boys〉였으며, 영국에서 12위에 올랐고[3] 미국에서 댄스 히트를 기록했다. 〈Undone〉의 프로모 싱글이 라디오에 보내졌지만, 공식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
4. 3. 추가 콘텐츠
《The Curse of Blondie》는 일부 지역에서 다양한 보너스 트랙과 함께 발매되었으며, 미국판에는 싱글 〈Good Boys〉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2] 2004년 미국에서는 듀얼디스크 형식으로 재발매되었는데, CD 면에는 일반적인 앨범이 수록되었고, DVD 면에는 앨범 전체 5.1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Good Boys〉 뮤직 비디오, 사진 갤러리, ROM 콘텐츠가 포함되었다.[2] 이 앨범은 인도네시아에서 카세트 테이프로도 발매되었다.이 앨범의 유일한 싱글은 〈Good Boys〉였으며, 영국에서 12위에 올랐고[3] 미국에서 댄스 히트를 기록했다. 〈Undone〉의 프로모 싱글이 라디오에 보내졌지만, 공식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
4. 4. 카세트 테이프 발매
《The Curse of Blondie》는 인도네시아에서 카세트 테이프로도 발매되었다.[2]5. 싱글
"Good Boys"는 이 음반의 유일한 싱글로, 영국에서 12위에 올랐고,[3] 미국에서 댄스 히트를 기록했다. "Undone"의 프로모 싱글이 라디오에 보내졌지만, 공식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 미국판에는 싱글 "Good Boys"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2]
"Undone"은 프로모 싱글로 라디오에 배포되었지만, 공식적으로 발매되지는 않았다.[4]
5. 1. "Good Boys"
"Good Boys"는 이 음반의 유일한 싱글로, 영국에서 12위에 올랐고,[3] 미국에서 댄스 히트를 기록했다. "Undone"의 프로모 싱글이 라디오에 보내졌지만, 공식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4] 미국판에는 싱글 "Good Boys"의 뮤직 비디오가 포함되었다.[2]5. 2. "Undone"
"Undone"은 프로모 싱글로 라디오에 배포되었지만, 공식적으로 발매되지는 않았다.[4]6. 평가
''The Curse of Blondie''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6] 언컷은 이 앨범을 "팝의 마스터 클래스"라고 칭하며 밴드의 작곡과 사운드 제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27] 블렌더는 밴드가 다양한 장르를 실험하며 성숙함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21] 반면, 롤링 스톤[28]과 Slant Magazine[29]은 낮은 점수를 주었다.
이러한 평가와는 별개로, 블론디는 앨범 발매 후 2년 동안 전 세계를 돌며 160회 이상의 공연을 펼쳤다. 이들은 투데이 쇼, 데이비드 레터맨 쇼 등 여러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16]
싱글 "Good Boys"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앨범 자체는 영국 앨범 차트에서 36위, 미국 빌보드 200에서 160위에 그치는 등 상업적으로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17] 2005년 8월까지 미국에서 34,000장이 판매되었다.[17]
6. 1. 엇갈린 평가
''The Curse of Blondie''는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6] 언컷은 이 앨범을 "팝의 마스터 클래스"라고 칭하며 밴드의 작곡과 사운드 제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27] 블렌더는 밴드가 다양한 장르를 실험하며 성숙함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했다.[21] 반면, 롤링 스톤[28]과 Slant Magazine[29]은 낮은 점수를 주었다.이러한 평가와는 별개로, 블론디는 앨범 발매 후 2년 동안 전 세계를 돌며 160회 이상의 공연을 펼쳤다. 이들은 투데이 쇼, 데이비드 레터맨 쇼 등 여러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16]
싱글 "Good Boys"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앨범 자체는 영국 앨범 차트에서 36위, 미국 빌보드 200에서 160위에 그치는 등 상업적으로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17] 2005년 8월까지 미국에서 34,000장이 판매되었다.[17]
6. 2. 긍정적 평가
''The Curse of Blondie''는 평론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 음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다른 평론가들은 밴드의 쇠퇴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16]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평론가들은 밴드의 작곡 능력과 사운드 프로덕션("팝의 마스터 클래스", ''언컷'')을 높이 평가했다.[27] 또한, 다양한 장르를 실험하는 밴드의 성숙함에 주목하며 "그들은 젊은이와 같은 그들이 아닌 척하지 않는다"(''블렌더'')고 평했다.[21]6. 3. 부정적 평가
''The Curse of Blondie''는 발매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일부 평론가들은 밴드의 음악적 성숙함과 다양한 장르 실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16] 다른 평론가들은 이 음반을 밴드의 쇠퇴를 보여주는 증거로 여겼다.[16] 언컷은 이 음반을 "팝의 마스터 클래스"라고 평가한 반면, 블렌더는 "그들은 젊은이와 같은 그들이 아닌 척하지 않는다"고 평했다.[16]"Good Boys" 싱글의 상대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음반 자체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영국 음반 차트에서 36위,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160위에 그쳤다.[17] 2005년 8월 9일 기준으로 미국 내 판매량은 34,000장에 불과했다.[17]
7. 투어 및 활동
7. 1. 월드 투어
7. 2. TV 출연
7. 3. 라이브 바이 리퀘스트
8. 상업적 성과
wikitable
차트 (2003–04)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8] | 83 |
프랑스 앨범 | 113 |
독일 앨범 | 84 |
스코틀랜드 앨범 | 37 |
영국 앨범 | 36 |
미국 빌보드 200 | 160 |
```
《The Curse of Blondie》는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판매 순위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ARIA 차트에서는 83위를 기록했고,[18] 프랑스에서는 113위, 독일에서는 84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37위, 영국에서는 36위를 기록했으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160위에 올랐다.
8. 1. 차트 순위
wikitable차트 (2003–04)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8] | 83 |
프랑스 앨범 | 113 |
독일 앨범 | 84 |
스코틀랜드 앨범 | 37 |
영국 앨범 | 36 |
미국 빌보드 200 | 160 |
8. 2. 판매량
《The Curse of Blondie》는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판매 순위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ARIA 차트에서는 83위를 기록했고,[18] 프랑스에서는 113위, 독일에서는 84위를 기록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37위, 영국에서는 36위를 기록했으며,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160위에 올랐다.9. 곡 목록
번호 | 곡 제목 | 작사 | 작곡 | 길이 |
---|---|---|---|---|
1 | Shakedown | 데비 해리 / Romy Ashby | 크리스 스타인 | 5:05 |
2 | Good Boys | 케빈 그리핀 / 해리 | 그리핀 | 4:18 |
3 | Undone | 해리 | 크레이그 바톡 / 존 비탈레 | 4:28 |
4 | Golden Rod | 해리 | Leigh Foxx | 5:23 |
5 | Rules for Living | 지미 데스트리 | 데스트리 | 5:12 |
6 |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 데스트리 / 해리 | 데스트리 / 해리 | 3:54 |
7 | Magic (Asadoya Yunta) | 해리 / Ashby | 전통 오키나와현 민요 | 4:05 |
8 | End to End | 해리 / Ashby | 스타인 | 3:59 |
9 | Hello Joe | 해리 / Ashby | 스타인 | 4:06 |
10 | The Tingler | 해리 | 스타인 | 3:52 |
11 | Last One in the World | 데스트리 | 데스트리 | 4:31 |
12 | Diamond Bridge | 해리 | 데스트리 | 4:07 |
13 | Desire Brings Me Back | Carla Olla | Gretchen Langheld | 5:31 |
14 | Songs of Love | Langheld | Langheld | 6:43 |
유럽판에는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가, 일본판에는 서머 소닉 03에서 녹음된 The Tide Is High와 Rapture 라이브 버전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9. 1. 기본 트랙
번호 | 곡 제목 | 작사 | 작곡 | 길이 |
---|---|---|---|---|
1 | Shakedown | 데비 해리 / Romy Ashby | 크리스 스타인 | 5:05 |
2 | Good Boys | 케빈 그리핀 / 해리 | 그리핀 | 4:18 |
3 | Undone | 해리 | 크레이그 바톡 / 존 비탈레 | 4:28 |
4 | Golden Rod | 해리 | Leigh Foxx | 5:23 |
5 | Rules for Living | 지미 데스트리 | 데스트리 | 5:12 |
6 |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 데스트리 / 해리 | 데스트리 / 해리 | 3:54 |
7 | Magic (Asadoya Yunta) | 해리 / Ashby | 전통 오키나와현 민요 | 4:05 |
8 | End to End | 해리 / Ashby | 스타인 | 3:59 |
9 | Hello Joe | 해리 / Ashby | 스타인 | 4:06 |
10 | The Tingler | 해리 | 스타인 | 3:52 |
11 | Last One in the World | 데스트리 | 데스트리 | 4:31 |
12 | Diamond Bridge | 해리 | 데스트리 | 4:07 |
13 | Desire Brings Me Back | Carla Olla | Gretchen Langheld | 5:31 |
14 | Songs of Love | Langheld | Langheld | 6:43 |
유럽판에는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가, 일본판에는 서머 소닉 03에서 녹음된 The Tide Is High와 Rapture 라이브 버전이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9. 2. 보너스 트랙
《The Curse of Blondie》에는 여러 지역별 보너스 트랙이 수록되었다.유럽판에는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4:06)가 추가되었으며, 작사는 케빈 그리핀과 데비 해리, 작곡은 그리핀이 맡았다. 일본판에는 서머 소닉 03에서 녹음된 라이브 버전 〈The Tide Is High〉 (4:35)와 〈Rapture〉 (7:16)가 수록되었다. 〈The Tide Is High〉는 존 홀트, Tyrone Evans, Howard Barrett이, 〈Rapture〉는 해리와 크리스 스타인이 작사/작곡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곡들이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는데, 〈Shakedown〉(5:05)은 데비 해리와 Romy Ashby가 작사하고, 크리스 스타인이 작곡했다. Good Boys (4:18)는 케빈 그리핀과 해리가 작사하고, 그리핀이 작곡했다. Undone (4:28)은 해리가 작사하고, 크레이그 바톡과 존 비탈레가 작곡했다. Golden Rod (5:23)는 해리가 작사하고, Leigh Foxx가 작곡했다. Rules for Living (5:12)과 Last One in the World (4:31)는 지미 데스트리가 작사/작곡했다.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3:54)는 데스트리와 해리가 작사/작곡했다. Magic (Asadoya Yunta) (4:05)는 해리와 Ashby가 작사하고, 전통 오키나와현 민요를 편곡했다. End to End (3:59)와 Hello Joe (4:06)는 해리와 Ashby가 작사하고, 스타인이 작곡했다. The Tingler (3:52)는 해리가 작사하고 스타인이 작곡했다. Diamond Bridge (4:07)는 해리가 작사하고, 데스트리가 작곡했다. Desire Brings Me Back (5:31)은 Carla Olla가 작사하고, Gretchen Langheld가 작곡했다. Songs of Love (6:43)는 Langheld가 작사/작곡했다.
10. 참여진
'''블론디(Blondie)'''
'''추가 연주자'''
- 지미 K. 본스
- 폴 카보나라
- 그레첸 랑헬드
- 프랭크 파가로
- 리 폭스
- 제임스 매즐런
- 카일 휠런 – 소프라노 색소폰 (Songs of Love)
'''제작 및 디자인'''
- 스티브 톰슨 – 프로듀서 ("Good Boys" 제외), 믹싱 ("Magic (Asadoya Yunta)" 제외)
- 제프 보바 – 프로듀서 ("Good Boys")
- 케빈 그리핀 – 추가 프로듀싱 ("Good Boys")
- 앨런 코백 – 총괄 프로듀서
- 크레이그 레온 – 프로듀서 (기본 트랙, "Good Boys", "Undone" 및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제외)
- 제임스 마이클 – 추가 프로듀싱 (기본 트랙, "Good Boys", "Undone" 및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제외)
- 랜디 니클러스 – 추가 프로듀싱 (기본 트랙, "Good Boys", "Undone" 및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제외)
- 김진수 – 믹싱 ("Magic (Asadoya Yunta)")
- 크리스티나 잉그램 – 믹싱 ("Magic (Asadoya Yunta)")
- 존 굿맨슨 – 엔지니어, 믹싱
- 폴 로거스 – 엔지니어
- 대니 베르니니 – 엔지니어
- 로이 헨드릭슨 – 엔지니어
- 톰 웨어 – 엔지니어
- 로스 피터슨 – 보조 엔지니어
- 숀 스푸엘러 – 프로그래밍
- 하위 베노 – 프로그래밍
- 제임스 매즐런 – 프로그래밍
- 조지 마리노 – 마스터링
- 조르지오 모로더 – 추가 프로듀싱 및 리믹스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토미 쇼벨 – 프로그래밍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패트릭 셰벨린 – 프로그래밍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스티브 셰퍼드 – 리믹스 엔지니어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로버트 로스 – 아트 디렉터, 사진 작가
- 키티 부츠 – 의상 스타일리스트
- 말라 벨트 – 메이크업
10. 1. 블론디 멤버
'''블론디(Blondie)'''는 데비 해리(보컬), 크리스 스타인(기타), 지미 데스트리(키보드), 클렘 버크(드럼)로 구성된다.10. 2. 추가 연주자
- 지미 K. 본스
- 폴 카보나라
- 그레첸 랑헬드
- 프랭크 파가로
- 리 폭스
- 제임스 매즐런
- 카일 휠런 - 소프라노 색소폰 (Songs of Love)
10. 3. 제작진
'''블론디(Blondie)''''''추가 연주자'''
- 지미 K. 본스
- 폴 카보나라
- 그레첸 랑헬드
- 프랭크 파가로
- 리 폭스
- 제임스 매즐런
- 카일 휠런 – 소프라노 색소폰 (Songs of Love)
'''제작 및 디자인'''
- 스티브 톰슨 – 프로듀서 ("Good Boys" 제외), 믹싱 ("Magic (Asadoya Yunta)" 제외)
- 제프 보바 – 프로듀서 ("Good Boys")
- 케빈 그리핀 – 추가 프로듀싱 ("Good Boys")
- 앨런 코백 – 총괄 프로듀서
- 크레이그 레온 – 프로듀서 (기본 트랙, "Good Boys", "Undone" 및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제외)
- 제임스 마이클 – 추가 프로듀싱 (기본 트랙, "Good Boys", "Undone" 및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제외)
- 랜디 니클러스 – 추가 프로듀싱 (기본 트랙, "Good Boys", "Undone" 및 "Background Melody (The Only One)" 제외)
- 김진수 – 믹싱 ("Magic (Asadoya Yunta)")
- 크리스티나 잉그램 – 믹싱 ("Magic (Asadoya Yunta)")
- 존 굿맨슨 – 엔지니어, 믹싱
- 폴 로거스 – 엔지니어
- 대니 베르니니 – 엔지니어
- 로이 헨드릭슨 – 엔지니어
- 톰 웨어 – 엔지니어
- 로스 피터슨 – 보조 엔지니어
- 숀 스푸엘러 – 프로그래밍
- 하위 베노 – 프로그래밍
- 제임스 매즐런 – 프로그래밍
- 조지 마리노 – 마스터링
- 조르지오 모로더 – 추가 프로듀싱 및 리믹스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토미 쇼벨 – 프로그래밍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패트릭 셰벨린 – 프로그래밍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스티브 셰퍼드 – 리믹스 엔지니어 ("Good Boys (Giorgio Moroder Single Mix)")
- 로버트 로스 – 아트 디렉터, 사진 작가
- 키티 부츠 – 의상 스타일리스트
- 말라 벨트 – 메이크업
10. 4. 디자인 및 기타
로버트 로스는 아트 디렉터 및 사진 작가로 참여했다. 키티 부츠는 의상 스타일리스트를 담당했다. 메이크업은 말라 벨트가 담당했다.11. 차트
wikitable
차트 (2003–04) | 최고 순위 |
---|---|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8] | 83 |
프랑스 앨범 | 113 |
독일 앨범 | 84 |
스코틀랜드 앨범 | 37 |
영국 앨범 | 36 |
빌보드 200 | 160 |
참조
[1]
간행물
Industry Vet Kovac Forms New Management Firm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Inc.
2003-01-18
[2]
웹사이트
THE CURSE OF BLONDIE [album]
http://www.deborah-h[...]
deborah-harry.com
2014-02-01
[3]
웹사이트
Blondie – UK Chart Positions
http://www.officialc[...]
2014-01-30
[4]
웹사이트
UNDONE [single]
http://www.deborah-h[...]
deborah-harry.com
2014-02-01
[5]
웹사이트
The Curse Of Blondie by Blondie
http://www.metacriti[...]
2017-03-08
[6]
AllMusic
[7]
웹사이트
Blondie - The Curse of Blondie
http://www.blender.c[...]
2004-04-06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9]
뉴스
2004-04-09
[10]
뉴스
Blondie, The Curse of Blondie
https://www.theguard[...]
2017-03-08
[11]
웹사이트
Blondie: The Curse of Blondie
http://www.popmatter[...]
2017-03-08
[12]
웹사이트
The Curse Of Blondie
https://www.rollings[...]
2017-03-08
[13]
웹사이트
Slant Magazine review
http://www.slantmaga[...]
[14]
웹사이트
Stylus Magazine review
http://www.stylusmag[...]
2012-05-05
[15]
간행물
Blondie - The Curse Of Blondie
http://www.uncut.co.[...]
2012-09-22
[16]
웹사이트
Shakedown: Blondie's "The Curse of Blondie" Turns 10
http://theqhblend.wo[...]
wordpress.com
2014-02-01
[17]
간행물
Ask Billboard
https://www.billboar[...]
2018-04-21
[18]
학술지
The ARIA Report: Issue 710
http://www.aria.com.[...]
2020-02-22
[19]
웹인용
The Curse Of Blondie by Blondie
http://www.metacriti[...]
2017-03-08
[20]
올뮤직
[21]
웹사이트
Blender review
http://www.blender.c[...]
[22]
웹인용
The Curse of Blondie
http://www.ew.com/ew[...]
2017-03-08
[23]
웹인용
Blondie, The Curse of Blondie
https://www.theguard[...]
2017-03-08
[24]
웹인용
Blondie: The Curse of Blondie
http://www.popmatter[...]
2017-03-08
[25]
웹인용
Stylus Magazine review
http://www.stylusmag[...]
2021-11-09
[26]
웹인용
Robert Christgau: CG: Blondie
http://www.robertchr[...]
2017-03-08
[27]
잡지
Blondie - The Curse Of Blondie
http://www.uncut.co.[...]
2012-09-22
[28]
웹인용
The Curse Of Blondie
https://www.rollings[...]
2017-03-08
[29]
웹사이트
Slant Magazine review
http://www.slantma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