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네다 노부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네다 노부토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해설가이다. 히로시마 공업고등학교와 주오 대학을 졸업하고, 1980년 닛산 자동차 축구부에 입단하여 1991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했다. 1977년 일본 대표팀에 발탁되어 58경기에서 6골을 기록했으며, 1983년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은퇴 후에는 축구 해설가로 활동하며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스가마타 데쓰오
스가마타 데쓰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하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23경기에 출전했고,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80년과 1982년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는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박성화
박성화는 K리그 우승과 MVP 수상, 국가대표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프로팀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AFC 챔피언스리그 2연패 등의 성과를 냈으나 논란도 있었던 인물이다. -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박성화
박성화는 K리그 우승과 MVP 수상, 국가대표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프로팀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AFC 챔피언스리그 2연패 등의 성과를 냈으나 논란도 있었던 인물이다. - 197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허정무
허정무는 대한민국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활동하며, 선수 시절에는 미드필더로 활약하고 국가대표로 104경기 30골을 기록했으며, 지도자로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두 차례 역임하며 2010년 FIFA 월드컵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 히로시마현 출신 축구 선수 - 기무라 다카히로
기무라 다카히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천황배 결승 진출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여러 팀에서 코치 및 감독을 역임하며 유소년 육성과 팀 성적 향상에 기여했다. - 히로시마현 출신 축구 선수 - 모리시게 마사토
모리시게 마사토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오이타 트리니타와 FC 도쿄에서 수비수 및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J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5회 선정, U-19, U-20, U-23 대표팀과 일본 A대표팀에서 활동,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우승 및 2014 FIFA 월드컵 출전, A매치 41경기 2골 기록 등의 업적을 남겼다.
가네다 노부토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전체 이름 | 가네다 노부토시 |
출생일 | 1958년 2월 16일 |
출생지 | 히로시마현 후추정 |
신장 | 168cm |
포지션 | 공격수,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히로시마현립 히로시마 공업 고등학교 (1973–1975) |
대학 클럽 | 주오 대학 (1976–1979) |
클럽 | 닛산 자동차 (1980–1991) |
출장 및 득점 | 157경기 21골 |
국가대표 경력 | |
청소년 국가대표 | 일본 유스 (1976-1977) |
청소년 국가대표 출장 및 득점 | 9경기 1골 |
국가대표 | 일본 (1977–1984) |
국가대표 출장 및 득점 | 58경기 6골 |
일본 사커 리그 | 우승 (1988/89) 우승 (1989/90) 준우승 (1983) 준우승 (1984) 준우승 (1990/91) |
JSL컵 | 우승 (1988) 우승 (1989) 우승 (1990) 준우승 (1983) 준우승 (1985) 준우승 (1986) |
천황배 | 우승 (1983) 우승 (1985) 우승 (1988) 우승 (1989) 준우승 (1990) |
2. 선수 시절
가네다 노부토시는 1958년 2월 16일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정(현 후추시)에서 태어났다. 히로시마 공업고등학교와 주오 대학을 졸업하고, 1980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5]
중학교 시절에는 소프트볼 선수였으나, 삭발이 싫어 축구로 전향했다.[5] 주 1회 방송되는 『미쓰비시 다이아몬드 축구』를 보며 세계적인 선수들의 플레이를 동경했고, 비디오가 없던 시절이라 텔레비전 방송을 보며 다음 날 아침 근처 운동장에서 상상하며 공을 찼다고 한다.[5] 후나모토 고지, 오노 다케시 등에게 축구를 배우기도 했다.[5]
고등학교 시절에는 마쓰다 테루유키 감독의 지도를 받으며 드리블 실력을 키웠다.[8] 1975년 제54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고, 대회 우수 선수로 선정되어 유스 대표로 선발되었다.[5]
주오 대학 2학년 때인 1977년 6월 15일 한일 정기전에서 가마모토 구니시게의 어시스트를 받아 일본 대표팀 데뷔골을 기록했다.[11] 19세 119일의 나이로 기록한 이 골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는 일본 대표팀 A매치 최연소 득점 기록이다.[12][13] 대학 3학년 때는 분데스리가 1. FC 쾰른으로부터 영입 제안을 받기도 했다.
"킨타 댄스"라고 불린 독특한 페인트 발놀림과 스피드를 활용한 드리블이 강점이었으며,[9][15] 일본 축구 역사상 최고의 테크니션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4][18][19]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예선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둔 후, 26세의 젊은 나이에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5][16][22]
2. 1. 클럽 경력
가네다 노부토시는 1980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1년 은퇴할 때까지 한 팀에서만 활동하며, 프로 통산 157경기 21골을 기록했다. 일본 사커 리그 2회 우승(1988-89, 1989-90) 및 3회 준우승, JSL컵 3회 우승 및 3회 준우승, 일왕배 4회 우승(1983, 1985, 1988, 1989) 및 1회 준우승에 기여했으며, 1983년에는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기도 했다.[5]1983년 일본 축구 리그(JSL) 후기부터 가네다는 포워드로 기용되기 시작했는데,[16] 이는 제63회 천황배에서 팀의 첫 전국 타이틀 획득으로 이어졌다.[16] 1980년대 후반, 가네다는 부상에서 회복하여 팀의 2년 연속 3관왕(천황배, 일본 축구 리그, JSL 컵)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23]
가네다는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 출범 당시 프로 계약을 거부하고 아마추어 선수로 남았다.[24]
클럽 성적 | 리그 | 컵 | 리그 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일본 | 리그 | 천황배 | JSL 컵 | 합계 | |||||||
1980 | 닛산 자동차 | JSL 디비전 1 | 18 | 1 | 18 | 1 | |||||
1981 | JSL 디비전 2 | 18 | 2 | 18 | 2 | ||||||
1982 | JSL 디비전 1 | 18 | 2 | 18 | 2 | ||||||
1983 | 18 | 3 | 18 | 3 | |||||||
1984 | 15 | 3 | 15 | 3 | |||||||
1985/86 | 4 | 0 | 4 | 0 | |||||||
1986/87 | 21 | 4 | 21 | 4 | |||||||
1987/88 | 16 | 1 | 16 | 1 | |||||||
1988/89 | 6 | 0 | 6 | 0 | |||||||
1989/90 | 19 | 5 | 0 | 0 | 19 | 5 | |||||
1990/91 | 4 | 0 | 1 | 0 | 5 | 0 | |||||
합계 | 157 | 21 | 0 | 0 | 1 | 0 | 158 | 21 |
2. 2. 국가대표팀 경력
가네다 노부토시는 1977년 주오 대학 재학 중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일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일본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연소 A매치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4] 이 골은 19세 119일의 나이로 기록되었으며, 40년 이상 지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12][13]이후 1978년과 1982년 두 차례 아시안 게임에 출전했다. 1982년 대회에서는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으나, 8강에서 이라크에 0-1로 패하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1984년까지 A매치 통산 58경기 6골의 기록을 남기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
년도 | 경기 | 골 |
---|---|---|
1977 | 1 | 1 |
1978 | 14 | 0 |
1979 | 3 | 0 |
1980 | 12 | 2 |
1981 | 6 | 0 |
1982 | 8 | 0 |
1983 | 8 | 2 |
1984 | 6 | 1 |
통산 | 58 | 6 |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77년 6월 15일 | 서울 | ●1-2 | 니노미야 히로시 | 한일 정기전 | ||
2. | 1978년 5월 23일 | 아이치현 | 나고야 시 미즈호 공원 럭비장 | ○3-1 | 재팬컵 | ||
3. | 1978년 7월 13일 | 쿠알라룸푸르 | △0-0 | 머데카 대회 | |||
4. | 1978년 7월 15일 | 쿠알라룸푸르 | ●1-2 | 머데카 대회 | |||
5. | 1978년 7월 17일 | 쿠알라룸푸르 | ○3-2 | 머데카 대회 | |||
6. | 1978년 7월 19일 | 쿠알라룸푸르 | ●0-4 | 머데카 대회 | |||
7. | 1978년 7월 21일 | 쿠알라룸푸르 | ●1-4 | 머데카 대회 | |||
8. | 1978년 7월 23일 | 쿠알라룸푸르 | ●1-2 | 머데카 대회 | |||
9. | 1978년 7월 26일 | 쿠알라룸푸르 | ○4-0 | 머데카 대회 | |||
10. | 1978년 11월 19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4 | 국제 친선 경기 | ||
11. | 1978년 11월 23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4 | 국제 친선 경기 | ||
12. | 1978년 11월 26일 | 오사카부 | 나가이 육상 경기장 | ●0-3 | 국제 친선 경기 | ||
13. | 1978년 12월 11일 | 방콕 | ●0-2 | 아시안 게임 | |||
14. | 1978년 12월 13일 | 방콕 | ○4-0 | 아시안 게임 | |||
15. | 1978년 12월 15일 | 방콕 | ●1-3 | 아시안 게임 | |||
16. | 1979년 5월 31일 | 도쿄도 |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4-0 | 시모무라 사치오 | 재팬컵 | |
17. | 1979년 6월 16일 | 서울 | ●1-4 | 한일 정기전 | |||
18. | 1979년 8월 23일 | 평양 | △0-0 | 국제 친선 경기 | |||
19. | 1980년 3월 22일 | 쿠알라룸푸르 | ●1-3 | 올림픽 예선 | |||
20. | 1980년 3월 24일 | 쿠알라룸푸르 | ○10-0 | 올림픽 예선 | |||
21. | 1980년 3월 28일 | 쿠알라룸푸르 | ○2-0 | 올림픽 예선 | |||
22. | 1980년 3월 30일 | 쿠알라룸푸르 | △1-1 | 올림픽 예선 | |||
23. | 1980년 4월 2일 | 쿠알라룸푸르 | ○2-1 | 올림픽 예선 | |||
24. | 1980년 6월 9일 | 광저우 | ○3-1 | 와타나베 타다시 | 광저우 국제 축구 대회 | ||
25. | 1980년 6월 11일 | 광저우 | ●0-1 | 광저우 국제 축구 대회 | |||
26. | 1980년 6월 18일 | 광저우 | ○2-0 | 광저우 국제 축구 대회 | |||
27. | 1980년 12월 22일 | 홍콩 | ○1-0 | 가와부치 사부로 | 월드컵 예선 | ||
28. | 1980년 12월 26일 | 홍콩 | ●0-1 | 월드컵 예선 | |||
29. | 1980년 12월 28일 | 홍콩 | ○3-0 | 월드컵 예선 | |||
30. | 1980년 12월 30일 | 홍콩 | ●0-1(연장) | 월드컵 예선 | |||
31. | 1981년 2월 8일 | 쿠안탄 | ●0-1 | 국제 친선 경기 | |||
32. | 1981년 2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1-1 | 국제 친선 경기 | |||
33. | 1981년 2월 17일 | 싱가포르 | ○1-0 | 국제 친선 경기 | |||
34. | 1981년 2월 24일 | 인도네시아 | ●0-2 | 국제 친선 경기 | |||
35. | 1981년 3월 8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0-1 | 한일 정기전 | ||
36. | 1981년 6월 2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시 오미야 공원 축구장 | △0-0 | 모리 타카지 | 재팬컵 | |
37. | 1982년 3월 21일 | 서울 | ●0-3 | 한일 정기전 | |||
38. | 1982년 6월 2일 | 히로시마현 | 히로시마현 종합 그라운드 메인 스타디움 | ○2-0 | 재팬컵 | ||
39. | 1982년 7월 15일 | 스체아바 | ●0-4 | 국제 친선 경기 | |||
40. | 1982년 7월 18일 | 부쿠레슈티 | ●1-3 | 국제 친선 경기 | |||
41. | 1982년 11월 21일 | 뉴델리 | ○1-0 | 아시안 게임 | |||
42. | 1982년 11월 23일 | 뉴델리 | ○3-1 | 아시안 게임 | |||
43. | 1982년 11월 25일 | 뉴델리 | ○2-1 | 아시안 게임 | |||
44. | 1982년 11월 28일 | 뉴델리 | ●0-1(연장) | 아시안 게임 | |||
45. | 1983년 3월 6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1 | 한일 정기전 | ||
46. | 1983년 6월 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0 | 재팬컵 | ||
47. | 1983년 9월 4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7-0 | 올림픽 예선 | ||
48. | 1983년 9월 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10-1 | 올림픽 예선 | ||
49. | 1983년 9월 15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2-0 | 올림픽 예선 | ||
50. | 1983년 9월 20일 | 타이베이 | △1-1 | 올림픽 예선 | |||
51. | 1983년 9월 25일 | 오클랜드 | ●1-3 | 올림픽 예선 | |||
52. | 1983년 10월 7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0-1 | 올림픽 예선 | ||
53. | 1984년 3월 6일 | 반다르스리브가완 | ○7-1 | 국제 친선 경기 | |||
54. | 1984년 4월 15일 | 싱가포르 | ●2-5 | 올림픽 예선 | |||
55. | 1984년 4월 18일 | 싱가포르 | ●1-2 | 올림픽 예선 | |||
56. | 1984년 4월 21일 | 싱가포르 | ●1-2 | 올림픽 예선 | |||
57. | 1984년 4월 26일 | 싱가포르 | ●1-2 | 올림픽 예선 | |||
58. | 1984년 5월 31일 | 사이타마현 | 사이타마시 오미야 공원 축구장 | ○1-0 | 재팬컵 |
1991년, J리그 탄생을 2년 앞두고 가네다는 현역에서 은퇴했다. 현역 시절에는 닛산 자동차의 인사부에서 10년간 근무했고, 은퇴 후에는 총무부에서 2년 반 동안 샐러리맨 생활을 했다.[5][22] 송영 담당, 주주총회 담당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1993년 J리그 개막을 앞두고 축구 관련 업무 의뢰가 늘면서, 닛산에 근무하며 NHK, TBS, TV 도쿄의 축구 해설자를 맡아 일본 최초의 프로 축구 해설자가 되었다.[26] 당시부터 유일하게 이어지는 축구 장수 프로그램 『슈퍼 사커』(당시 『속보 J리그』)에서도 프로그램 초기에 비토 다케시와 함께 J리그 발족 당시의 명물 해설자 중 한 명으로 활약했다.[15][27][28] 1993년 닛산을 퇴사하고, 자신이 사장을 맡는 퓨처마를 설립하여 독립했다.
가네다 노부토시는 1977년부터 1984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총 58경기에 출전해 6골을 기록했다. 주오 대학 재학 중이던 1977년 대한민국과의 한일 정기전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일본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연소 A매치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12][13]
3. 은퇴 이후
이후 1995년까지 일본 축구 협회의 강화 위원회(현 기술 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도하의 비극 이후 회의에서 한스 오프트 일본 대표팀 감독의 경험 부족을 지적하며 세르지오 에치고와 함께 오프트 해임을 강하게 주장했다. 1995년 10월 카모 감독 계약 갱신 문제 때도, 카토 히사시, 타지마 코조, 이마니시 카즈오 등과 함께 카모 해임에 나섰다.[15] 강화 위원회는 대표 감독을 "선정한다"는 역할이 명문화되어 있었음에도, 간부회가 이 결론을 거부하고 카모 유임을 결정했다. 이러한 대응으로 인해, 가네다 등 강화 위원회 멤버는 전원 사임하고 해산했다.[29][30]
이후에는 축구 해설자로 활약하며 축구 지도 및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 골프에도 빠져 잡지에 연재를 할 정도의 실력이다. 2000년 AFC 아시안컵 결승전(일본 vs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결승골을 넣은 모치즈키 시게요시에게 "잘했어! 모치!"라고 친근하게 칭찬했다. 축구 해설자로서 비교적 인지도가 높고 인기가 있는 편이다.[31]
어린 시절부터 해외 원정이 잦았고, 해외 스타 선수들을 동경하며 축구를 시작했기에, TBS의 UEFA 유로 2008 해설도 맡았다.[32] 2010년 9월에는, 프로 야구의 일본 프로 야구 명구회를 본떠 새로 발족한 일본 축구 명척회의 설립 발기인 및 회장으로 취임했다.[6][33]
현역 시절부터 경기 후 라커룸에서 담배를 피우는 골초로 알려졌고[15], 후배인 기무라 카즈시에게 오코노미야키를 만들게 하는 등 심부름을 시키거나[5][15], 후지 텔레비전 721에서 방송되었던 『채널 키타노 eX』에 출연했을 때는 술을 마시며 하고 싶은 말을 다 하는 등 호방한 인물이기도 하다. 츠나미 사토시는 처음 일본 대표팀 합숙에 불려 가네다의 방에 갔을 때, 가네다가 화투를 하고 있어서 "이것이 대표의 실태인가..."라고 컬처 쇼크를 받았다고 저서에 썼다.[34] "본격적으로 지도자가 되면?"이라는 권유에 "뭘 해도 선수 시절의 성취감은 없어. 선수를 그만두고부터는 나는 그냥 살아있는 것뿐. 살아있는 시체야"라고 자학적으로 이야기하기도 한다.[35]
가네다 노부토시는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해설을 담당했다.프로그램명 방송사 J-LEAGUE WIDE TBS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 TBS, 후지 TV 2010 FIFA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 TBS 2010 아시안 게임 축구 TBS, NHK 2014 FIFA 브라질 월드컵 TBS 2018 FIFA 러시아 월드컵 분카 방송 선데이 모닝 TBS 아르헨티나 축구 중계 J SPORTS 풋볼 해체 신서 히스토리 채널
4. 개인 기록
# 년월일 개최지 대전국 스코어 결과 경기 개요 1 1977년 6월 15일 대한민국, 서울 대한민국 1-2 패배 한일 정기전 2 1980년 3월 2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転送 10-0 승리 모스크바 올림픽 예선 3 1980년 6월 18일 중국, 광저우 홍콩 2-0 승리 광저우 국제 대회 4 1983년 6월 7일 일본, 도쿄 시리아 1-0 승리 재팬컵 5 1983년 9월 7일 일본, 도쿄 #転送 10-1 승리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예선 6 1984년 3월 6일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브루나이 7-1 승리 친선 경기 4. 1. 클럽 기록
가네다 노부토시는 1980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하여 1991년 은퇴할 때까지 한 팀에서만 활동했다. 프로 통산 157경기에서 21골을 기록했다. 일본 사커 리그 2회 우승(1988-89, 1989-90) 및 3회 준우승, JSL컵 3회 우승 및 3회 준우승, 일왕배 4회 우승(1983, 1985, 1988, 1989) 및 1회 준우승에 기여했으며, 1983년에는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클럽 성적 | 리그 | 천황배 | JSL 컵 | 합계 | ||||||
---|---|---|---|---|---|---|---|---|---|---|
시즌 | 클럽 | 리그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1980 | 닛산 자동차 | JSL 디비전 1 | 18 | 1 | 1 | 1 | 2 | 0 | 21 | 2 |
1981 | JSL 디비전 2 | 18 | 2 | 2 | 1 | 2 | 0 | 22 | 3 | |
1982 | JSL 디비전 1 | 18 | 2 | 2 | 0 | 0 | 0 | 22 | 2 | |
1983 | 18 | 3 | 5 | 8 | 3 | 0 | 26 | 11 | ||
1984 | 15 | 3 | 4 | 1 | 0 | 0 | 19 | 4 | ||
1985/86 | 4 | 0 | 4 | 0 | 4 | 1 | 12 | 1 | ||
1986/87 | 21 | 4 | 4 | 0 | 0 | 0 | 25 | 4 | ||
1987/88 | 16 | 1 | 3 | 0 | 1 | 0 | 20 | 1 | ||
1988/89 | 6 | 0 | 2 | 0 | 4 | 0 | 12 | 0 | ||
1989/90 | 19 | 5 | 5 | 1 | 0 | 0 | 24 | 6 | ||
1990/91 | 4 | 0 | 0 | 0 | 1 | 0 | 5 | 0 | ||
합계 | 157 | 21 | 17 | 2 | 15 | 1 | 191 | 24 |
4. 2. 국가대표팀 기록
일본 | ||
---|---|---|
연도 | 출전 | 골 |
1977 | 1 | 1 |
1978 | 14 | 0 |
1979 | 3 | 0 |
1980 | 12 | 2 |
1981 | 6 | 0 |
1982 | 8 | 0 |
1983 | 8 | 2 |
1984 | 6 | 1 |
합계 | 58 | 6 |
가네다는 주오 대학 재학 중이던 1977년 대한민국과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하며 일본 국가대표팀 역사상 최연소 A매치 득점 기록을 경신했다.[12][13] 이후 1978년 아시안 게임과 1982년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여 1982년 대회에서 8강 진출에 기여했으나, 8강에서 이라크에 0-1로 패하며 메달권에서 멀어졌다. 1984년 A매치 통산 58경기 6골의 기록을 남기고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3]
5. 수상 경력
5. 1. 클럽
가네다 노부토시는 1980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하여 1991년 은퇴할 때까지 한 팀에서만 활동하였다. 프로 통산 157경기 21골을 기록하며 일본 사커 리그 2회 우승 및 3회 준우승, JSL컵 3회 우승 및 3회 준우승, 일왕배 4회 우승 및 1회 준우승에 기여하였고, 1983년에는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8]주오 대학 졸업 후 1980년 닛산 자동차에 입단한 가네다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2시즌 연속으로 일본 사커 리그, JSL 컵, 천황배에서 일본의 3대 주요 타이틀을 모두 석권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8] 1991년에 은퇴할 때까지 리그에서 157경기에 출전하여 21골을 기록했고, 1983년에는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8]
히로시마 공업고등학교 시절부터 뛰어난 실력을 보였던 가네다는, 주오 대학을 거쳐 닛산 자동차에 입단했다. 당시 닛산은 일본 축구 리그에서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하고 2부로 강등된 시기였지만, 가네다와 기무라 가즈시 등 유능한 선수들의 합류로 닛산은 황금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5][15][16][17]
1983년 일본 축구 리그 (JSL) 후기, 가네다는 오른쪽 윙으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팀의 제63회 천황배 우승에 크게 공헌하였다.[16] "킨타"라는 애칭과 독특한 페인트 발놀림인 "킨타 댄스"로 불리며, 일본 축구 역사상 최고의 테크니션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9][14][15][18][19]
1985년 여름 치골 피로 골절과 내전근 부상으로 잠시 주춤했지만,[16] 1980년대 후반 다시 기량을 회복하여 1988년~1989년 닛산의 2년 연속 3관왕(천황배, 일본 축구 리그, JSL 컵) 등, 닛산의 국내 타이틀 7관왕 획득에 기여하였다.[23]
가네다는 선수로서 프로 계약을 맺는 것을 거부하고 아마추어 선수로 남았다.[24]
5. 2. 개인
현립 히로시마 공업고등학교(통칭 현공)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1969년 제1회 FIFA 코칭 스쿨에서 실기 1위를 차지하고 후에 JFA 전임 코치도 맡았던 마쓰다 테루유키에게 철저한 지도를 받으며 드리블 실력을 갈고 닦았다[8]。1975년 고교 선수권에서는 우승 후보로 거론되었지만 4강에 그쳤다[5]。고등학교 졸업 후 주오 대학에 진학하여, 2학년 때 일본 대표로 선출, 1977년 6월 15일 한일 정기전에서 가마모토 구니시게의 어시스트로 대표팀 첫 골을 기록했다[11]。19세 119일로 기록한 이 골은, 40년 이상이 지난 현재에도 깨지지 않은 일본 대표 국제 A매치 최연소 골이다[12][13]。
대학 졸업 후 1980년, 닛산 자동차(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모체)에 입단했다. 닛산 입사 이유는 겐지 게이타의 샐러리맨 소설을 매우 좋아했고, 한 기업으로서 좋은 회사, 또한 본사가 긴자에 있고 여자 사원도 미인이 많다는 평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5]。
애칭은 성에서 따온 "킨타"[5]이며, 팔자걸음 기미의 독특한 페인트 발놀림은 "킨타 댄스"라고 불렸다[9][15]。주간 축구 다이제스트는, <일본인 드리블러 열전 명수의 계보>라는 기획에서, "일본인 드리블러의 계보를 더듬어 가려면, 가네다 요시토시를 출발점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라고 논하고 있다[14]。
1977년 니노미야 히로시 감독 아래에서 일본 대표팀에 첫 선발되어,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예선까지 미드필더를 이끌었다. 가네다, 기무라 가즈시 콤비는 1980년대 일본 축구의 희망이었고[9][21], 두 사람의 콤비로 한 시대를 구축했다[9]。 로스 올림픽 예선에서 탈락한 뒤, 26세의 젊은 나이에 대표팀을 은퇴했다[5][16][22]。
J리그가 출범했지만, 가네다는 선수로서 프로가 되는 것을 완강히 거부했다. J리그가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거나, 또는 대표 선수에게 전혀 보수도 없는 가운데, 회사에서 일을 한 후, 축구를 계속한 많은 동료들의 스토익한 가치관을 관철했다고도 한다[24]。
가네다 노부토시의 A매치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 | 년월일 | 개최지 | 대전국 | 스코어 | 결과 | 경기 개요 |
---|---|---|---|---|---|---|
1 | 1977년 6월 15일 | 대한민국, 서울 | 대한민국 | 1-2 | 패배 | 한일 정기전 |
2 | 1980년 3월 24일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필리핀 | 10-0 | 승리 | 모스크바 올림픽 예선 |
3 | 1980년 6월 18일 | 중국, 광저우 | 홍콩 | 2-0 | 승리 | 광저우 국제 대회 |
4 | 1983년 6월 7일 | 일본, 도쿄 | 시리아 | 1-0 | 승리 | 재팬컵 |
5 | 1983년 9월 7일 | 일본, 도쿄 | 필리핀 | 10-1 | 승리 |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예선 |
6 | 1984년 3월 6일 |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 | 브루나이 | 7-1 | 승리 | 친선 경기 |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서적
日本サッカーユース代表の誇り-アンダーを紐解く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3]
뉴스
金田 喜稔
http://www.jfootball[...]
[4]
간행물
日本代表公式記録集The Yearbook of JFA 2011
日本サッカー協会編
[5]
뉴스
元祖・天才ドリブラー、金田喜稔が明かす今ではあり得ないアマチュア時代の飯【サッカーとメシの回顧録】- メシ通
https://www.hotpeppe[...]
2018-09-06
[6]
웹사이트
日本サッカー名蹴会 | ニュース | 2010.10.06 「日本サッカー名蹴会 発足記念記者会見」開催レポート
http://www.meishukai[...]
[7]
잡지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1-06
[8]
잡지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1-06
[9]
문서
sm201310
[10]
문서
smsm20110426
[11]
서적
日本サッカー史・資料篇
双葉社
2007-01
[12]
뉴스
日刊スポーツ
2008-10-10
[13]
웹사이트
異端の天才 金田喜稔の「超常識」(前編) -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http://www.footballc[...]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12-12-20
[14]
잡지
週刊サッカーダイジェスト
2010-08-17
[15]
뉴스
東京スポーツ
2008-08-08
[16]
문서
sm201310
[17]
잡지
モダンサッカーへの挑戦
講談社
1994
[18]
잡지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1-06
[19]
웹사이트
出版芸術社/サイドアタッカー 〝キンタ流〟突破の極意
http://www.spng.jp/s[...]
[20]
웹사이트
時事ドットコム:サッカー今むかし - 時事通信社セルジオさん、金田さん、風間さんのデビュー戦
http://www.jiji.com/[...]
[21]
서적
財団法人 日本サッカー協会75年史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6
[22]
문서
批評56
[23]
문서
批評56
[24]
잡지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1-20
[25]
문서
批評56
[26]
웹사이트
金田喜稔プロフィール 講演依頼.com|講演会の講師紹介
https://www.kouenira[...]
[27]
잡지
週刊サッカーダイジェスト
2007-02-20
[28]
웹사이트
2002ワールドカップインタビュー
http://www.wwonekore[...]
[29]
잡지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2006-11-21
[30]
서적
キンタのサッカーで遊ぼう
朝日ソノラマ
2002-02
[31]
웹사이트
南アフリカW杯は、この解説者でTV観戦したい!:言わせろ!ナンバー
http://number.bunshu[...]
[32]
웹사이트
ベッケンバウアーに壊されたサッカーのセオリー 金田喜稔が語るユーロの記憶
Yahoo! JAPAN
2008-06-07
[33]
웹사이트
日本サッカー名蹴会・金田会長「先輩の思いや経験を伝える」 - スポーツナビ・2010年9月27日
http://sportsnavi.ya[...]
[34]
서적
日本代表に捧ぐ
ザ・マサダ
1998-03
[35]
잡지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8-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