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노 나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노 나오키는 일본의 중국 철학자이자 중국 문학 연구자로, 1868년 구마모토에서 태어나 1947년에 사망했다. 도쿄 제국대학에서 한학을 전공하고, 교토 제국대학 교수를 역임하며 중국 철학, 문학, 어학을 가르쳤다. 둔황 문서 연구를 통해 중국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고증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교토학파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 철학사》, 《양한 학술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현립 세이세이고 고등학교 동문 - 기하라 미노루 (1969년)
기하라 미노루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일본 중의원 의원으로서, 구마모토현 제1구를 지역구로 두고 있으며, 제2차 기시다 제2차 개조 내각에서 방위대신을 역임했고, 과거 아베 신조 및 스가 요시히데 내각에서 국가안전보장 담당 총리 보좌관을 지낸 친대만 성향의 정치인이다. - 가이세이 고등학교 동문 - 가타오카 도시아키
가타오카 도시아키는 일본 극좌 운동가이자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늑대" 소속원으로, 미쓰비시중공업 폭파 사건 등 연쇄 기업 폭파 사건의 주요 실행자이며, 현재 사형 확정 후 도쿄 구치소에 수감 중인 인물이다. - 가이세이 고등학교 동문 - 오자와 사에키
오자와 사에키는 이와테현 출신의 정치인으로, 가난한 농가에서 변호사가 된 후 자유당 및 자유민주당 소속으로 중의원 의원을 10선 역임하며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운수상, 우정상 겸 전기통신상, 건설상 등을 역임했고 중선거구제 도입을 주장했으며, 그의 장남은 오자와 이치로이다.
가노 나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가노 나오키 |
자 | 자온(子温) |
호 | 군산(君山), 반농인(半農人) |
출생일 | 1868년 2월 11일 |
출생지 | 히고국(현 구마모토현) |
사망일 | 1947년 12월 13일 |
시대 | 메이지 시대 ~ 쇼와 시대 |
연구 분야 | 중국 문학, 중국 철학, 돈황학 |
연구 기관 | 교토 제국대학 |
다른 지도 교사 | 시마다 코손, 네모토 쓰메아키라, 다케조에 신이치로 |
주요 지도 학생 | 다케우치 요시오 아오키 마사루 고지마 유마 혼다 시게유키 하시모토 메구루 구라시 다케시로 요시카와 코지로 미야자키 이치사다 |
칭호 | 교토 제국대학 명예 교수 |
주요 업적 | 고증학 중시의 교토 대학 중국학의 학풍 확립 돈황학의 선구적 연구 |
영향을 받은 인물 | 나 신위 왕국유 에두아르 샤반 폴 펠리오 |
주요 수상 경력 | 종5위(1912년) 문화 훈장(1944년) |
2. 생애
가노 나오키는 1868년 구마모토에서 태어나 1895년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한학과를 졸업했다. 대학 졸업 후 시바세이소쿠 중학교, 도쿄외국어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다 1900년 문부성 유학생으로 청나라 베이징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러나 의화단 사건으로 인해 3개월간 일본 공사관에 머물렀고, 이듬해 상하이로 유학하여 라젠위, 나이토 고난 등과 교류하며 서양의 중국학(시놀로지)을 접했다.[1]
1906년 교토제국대학 문과대학 교수로 부임하여 중국 철학, 문학, 어학을 가르쳤다. 1924년까지 중국철학사를 강의했고, 아오키 마사루, 요시카와 코지로 등 중국 문학자와 중국 학자를 양성했다. 1910년에는 둔황 문서 조사를 위해 베이징을 방문했고, 1912년부터 유럽 유학을 통해 프랑스에서 샤반, 펠리오 등과 교류하며 문헌학적 방법을 흡수했다.
1928년 퇴직 후, 1944년 문화훈장을 받았으며, 1947년 교토시 다나카오이초의 자택에서 사망했다. 묘소는 곤카이코묘지에 있다. 1925년 제국학사원 회원[1]으로 선임되었다. 핫토리 우노키치와 함께 의화단 사건 배상금으로 운영된 동방 문화 사업에 관여하여, 1926년 동방 문화 학원 교토 연구소(현 교토 대학 인문과학연구소) 초대 소장에 취임, 1935년까지 재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68년에 구마모토에서 태어났다. 1879년 제제이코 고등학교(구 도심 학사)에 입학하여, 1892년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한학과를 졸업했다. 도쿄제국대학 재학 중 시마다 코손에게 고증학을 배웠다.[1] 졸업 후 시바세이소쿠 중학교, 도쿄외국어학교 교사로 재직했다.2. 2. 청나라 유학 및 의화단 사건
1900년 문부성 유학생으로 청나라 베이징에 유학했으나, 의화단 사건에 휘말려 3개월간 일본 공사관에 갇혀 있었다.[1] 이듬해인 1901년 상하이로 유학하여 라젠위, 나이토 고난 등과 교류하고, 서양의 중국학(시놀로지)과 접촉했다. 강남(江南) 일대를 주유하며 청나라 학풍을 관찰하고, 장지동 등과 회견했다.[1]2. 3. 교토제국대학 교수 시절
1906년(메이지 39년) 교토제국대학 문과대학 교수로 취임하여 중국 철학, 중국 문학, 중국 어학을 가르쳤다. 아오키 마사루, 요시카와 코지로 등 중국 문학자와 중국 학자를 지도 육성했을 뿐만 아니라, 훗날 구 구마모토번호소카와가 당주인 호소카와 모리사다도 가르쳤다. 1910년(메이지 43년) 둔황 문서 조사를 위해 나이토 코난, 오가와 타쿠지, 토미오카 겐조, 하마다 코사쿠 등과 함께 베이징으로 갔다.1912년(메이지 45년)부터 유럽 유학을 떠나 프랑스에서 시놀로지의 대가 샤반이나 펠리오 등과 교류하며 당시 최첨단의 문헌학적 방법을 흡수했고, 프랑스로 가져간 둔황 문서(둔황학)를 열람, 연구했다.
2. 4. 퇴임 이후
1928년 교토제국대학을 정년 퇴임했다. 1944년 문화훈장을 받았고, 1947년 12월 13일에 병으로 교토시 다나카오이초(田中大堰町)의 자택에서 사망했다.3. 학문적 업적 및 연구 방법
가노 나오키는 고증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교토학파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둔황학의 선구자였으며, 중국 민간 문학 연구에도 힘썼다.[1]
3. 1. 연구 방법론
가노 나오키는 고증학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이후 교토 대학의 중국학(교토학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1] 그는 둔황학의 선구적인 연구자 중 한 명으로, 중국 민간 문학 연구에도 힘썼다.[1]4. 사상 및 평가
시바 료타로의 『이 나라의 모습』이나 『춘등잡화』에 따르면, 가노 나오키는 학생 시절의 호소카와 모리사다를 가르칠 때 한문 해석에 일일이 출처를 밝히도록 지도했다.[1] 그는 주자학을 비판하고 고증학이나 소라이학을 존중했다. 훗날 임종 직전 호소카와가 "왜 일본이 이런 어리석은 패배를 했습니까?"라고 질문하자, "(주자학에 기초한) 미토학 때문이다"라고 답할 정도였다.
한편 고지마 유마에 따르면, 가노 나오키는 송학(주자학) 학자들의 기풍을 좋아했다고 한다.[1]
5. 저서
- 《중국 철학사》 (이와나미 서점, 1953년, 여러 번 복간. 주문형 인쇄판 2012년)
- 《양한 학술고》 (지쿠마 서방, 1964년, 복간 1978년, 1988년)
- 《위진 학술고》 (지쿠마 서방, 1968년, 복간 1978년, 1988년)
- 《지나 문학사 상고부터 육조까지》 (미스즈 서방, 1970년, 복간 1980년, 1993년, 해설 요시카와 고지로)
- 《지나 학문 엽서》 (미스즈 서방, 1973년, 해설 요시카와 고지로 - 원본(고분도, 1927년)을 대폭 증정)
- 《논어 맹자 연구》 (미스즈 서방, 1977년, 해설 요시카와 고지로)
- 《한문 연구법》 (미스즈 서방, 1979년, 복간 1989년 / 헤이본샤〈도요 문고〉2018년 - 고카츠 류이치 보정 · 해설)
- 《독서찬여》 (미스즈 서방, 1980년, 해설 가노 나오사다 - 유저(고분도, 1947년)를 개정)
- 《어진강록》 (미스즈 서방, 1984년, 신장 복간 2005년, 해설 미야자키 시테이 - 경학을 축으로 하는 쇼와 천황에게의 진강)
- 《청나라의 제도와 문학》 (미스즈 서방, 1984년, 해설 미야자키 시테이)
- 《지나 소설 희곡사》 (미스즈 서방, 1992년)
- 《춘추 연구》 (미스즈 서방, 1994년, 해설 시마다 겐지)
6. 가족
적손 가노 나오사다는 동양사학자(선진~육조 시대의 중국사)이다. 『중국철학사』 외에 가노 나오키의 저작 편찬에 참여했다.[4]
7. 기념 논집 및 회상기
제자들의 좌담회 회상으로, 대상은 시라토리 쿠라키치, 나이토 코난 등 6명. 편자는 당시 동방학회 회장.
참조
[1]
서적
京大東洋学の百年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02-05
[2]
간행물
官報第7640号「叙任及辞令」
1908-12-12
[3]
간행물
官報第126号「叙任及辞令」
1912-12-29
[4]
논문
東光 第五号 狩野直喜先生永逝記念
弘文堂書房
1948
[5]
논문
第39号 特集 京都学派とその周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