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지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지동은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다른 이름으로는 Chang Chih-tung, 샤오다(孝達) 등이 있다. 1837년 출생하여 1863년 진사, 1880년대 산서 순무, 양광총독, 호광총독을 역임하며 부국강병과 식산흥업에 힘썼다. 러시아와의 일리 조약에서 불평등 조약에 반대하고, 청불전쟁, 청일 전쟁에서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1890년 다예철광 개발, 자강학당 설립, 자강군 창설 등 근대화 노력을 기울였으며, '권학편'을 통해 중체서용을 주장하며 개혁을 시도했다. 1900년 의화단 운동 때 동남호보를 맺고, 1901년 교육 개혁을 상소하여 과거제 폐지와 근대 교육 정비에 기여했다. 1909년 사망 후 문양(文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그는 군사 및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전통 가치를 중시하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참예정무대신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참예정무대신 - 펑궈장
    펑궈장은 청나라 군대에서 시작하여 위안스카이 밑에서 경력을 쌓고 신해혁명 진압에 기여, 직례총독을 거쳐 위안스카이 사후 부총통 및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역임했으나, 군벌 간 권력 다툼과 정치적 혼란 속에 퇴임 후 사망한 중국 북양군벌의 지휘관이자 정치인이다.
  • 강학회 관련자 - 황준헌
    황준헌은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자 시인, 개혁가로, 조선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친 《조선책략》을 김홍집에게 전달하고, 화교 권익 보호에 힘썼으며, 일본 메이지 유신 연구서인 《일본국지》를 저술하여 중국 개혁 운동에 기여했고, 신파시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강학회 관련자 - 쉬스창
    쉬스창은 청나라 말 문관으로 시작하여 중화민국 국무총리와 대총통을 역임했으며, 군벌 간의 세력 다툼 속에서 조정 역할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예술 활동에 전념했다.
장지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지동
관직
국무대신1907년 - 1909년
대학사 체인각대학사1907년 - 1909년
협판대학사1907년 - 1907년
호광총독1904년 - 1907년
호광총독1898년 - 1902년
호광총독1896년 - 1898년
양강총독1902년 - 1903년 (대리)
양강총독1894년 - 1896년 (대리)
양광총독1884년 - 1889년
출생
출생일1837년 9월 2일
출생지청나라 구이저우성 싱이부
사망
사망일1909년 10월 4일
사망지청나라 베이징
개인 정보
직업정치가
자녀10명
친척장지완 (사촌), 장옌칭 (아들), 장런리 (아들)

2. 다른 이름

장지동은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오래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Chang Chih-tung'''이었다. 그의 자(字)는 '''샤오다''' (孝達|효달중국어) 또는 '''샹타오''' (香濤|향도중국어)였다. 그의 아호는 '''샹옌''' (香岩|향암중국어), '''후궁''' (壺公|호공중국어), '''우징 주스''' (無競居士|무경거사중국어) 그리고 '''바오빙''' (抱冰|포빙중국어)이었다. 청나라 정부가 그에게 내린 시호는 '''원샹''' (文襄|문양중국어)이었다.

3. 생애

1837년(도광 17년) 직례(현재의 허베이성 남피)에서 태어나 구이저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으며, 1852년(함풍 2년) 15세의 나이로 향시에 합격했다. 1863년(동치 2년) 26세에 진사(탐화)로, 다음 해 1864년 한림원 편수, 문역각 교리를 역임했다.

1880년(광서 6년) 서태후광서제를 옹립할 때 오가독의 죽음을 통한 간언에도 서태후를 지지하여 등용되었으며, 1881년(광서 7년) 시독, 시강학사, 이듬해 내각학사를 역임했다. 1880년대 산서순무, 양광총독, 호광총독으로 승진하여 우한을 거점으로 부국강병식산흥업에 힘썼다.

1880년 일리 지방을 둘러싼 러시아 제국과의 협상에서 불평등 조약을 맺은 숭후의 엄벌을 주장했다. 청불전쟁에서 풍자재를 기용하고, 청일 전쟁에서 당경숭대만민주국을 지원하며 일본에 저항했지만, 패전 후 유화적인 자세를 보였다.

1890년 대야철광 개발을 독일과 함께 추진하고, 1893년 자강학당(무한대학)을 창립, 1894년 자강군을 설립하고 외국 차관으로 철도 부설을 추진하는 등 외국 자본과 연계한 국내 개발에 힘썼다. 호북성, 호남성 제품을 외국에 수출하고 화폐를 개주, 독자적 지폐 발행으로 한구 중심 경제권을 만들었다.

변법운동 전후 이토 히로부미한구에서 회담, 점진주의에 뜻을 같이하고 야하타 제철소 관련 계약을 맺었다. 권학편에서 일본을 본받아 서양 학문을 취할 것을 주장했다.

1898년 변법 운동 때 권학편에서 ‘중체서용’ 입장으로 급진적 개혁을 비판했다. 무술정변 이후 의화단 운동 때 당재상 등 자립군 반란을 진압하고, 성선회, 장젠을 통해 유곤일동남호보[36]를 맺었다. 1901년 유곤일과 ‘강초회주삼절’ 상소로 변법 조칙을 반포하게 했다. (청말신정)

1904년 상소에서 교육 개혁을 주장, 정부가 〈주정학당장정〉을 반포, 1905년 과거 폐지, 경사대학당(베이징 대학) 중심 근대 교육 정비로 이어졌다.

1909년(선통 원년) 72세로 사망, 문양(文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저서로 《권학편》, 《광아당집》, 《장문양공전집》 등이 있다.[37]

3. 1. 초기 생애

1837년(도광 17년), 직례(현재의 허베이성 남피)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구이저우에서 잠시 살았다. 1852년(함풍 2년), 15세의 나이로 향시에 합격했다. 1863년(동치 2년), 26세에 진사 시험에서 탐화(3등)로 급제했다. 1864년(동치 3년), 한림원 편수, 문역각 교리 등을 역임했다.[37]

3. 2. 관료 생활과 양무운동

1880년(광서 6년), 서태후광서제를 옹립하는 과정에서 서태후를 지지하여 정치적으로 성장했다.[36] 1881년(광서 7년) 시독(侍讀), 시강학사(侍講學士)가 되었고, 1882년(광서 8년)에는 내각학사(內閣學士)를 역임했다.[36] 1880년대에는 산서순무, 양광총독, 호광총독 등을 역임하며 우한을 중심으로 부국강병식산흥업(殖産興業)을 위한 양무운동을 추진했다.[36]

러시아 제국과의 일리 조약(Treaty of Livadia) 체결 과정에서 불평등 조약에 반대하며 전권대사 숭후의 처벌을 주장했다.[36] 그는 "러시아는 요구를 하면서 매우 탐욕스럽고 무례하게 여겨져야 하고, 충허우는 이를 받아들인 데 대해 극도로 어리석고 터무니없게 여겨져야 합니다... 만약 우리가 조약의 변경을 주장한다면,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국가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3]

청불전쟁(1884-1885)과 청일 전쟁(1894-1895)에서 강경한 주장을 펼쳤으나, 패전 후에는 대외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다.[36] 특히, 청일전쟁에서 장지동은 톈진 인근 유럽 세력의 지원을 옹호하고, 일본군이 압록강을 건너자 무기 구매와 유럽 열강과의 동맹을 주장했다. 또한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른 대만 할양에 강하게 반대하며, 영국으로부터의 차관을 통해 대만을 방어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5][6][7]

1890년(광서 16년), 대야철광(大冶鐵鑛) 개발을 독일과 함께 추진했다.[30] 1893년(광서 19년), 자강학당(自强學堂, 현 우한 대학)을 설립했다.[30] 1894년(광서 20년), 자강군(自强軍)을 창설하고, 외국 차관을 도입하여 철도 부설을 추진하는 등 외국 자본과 연계한 국내 개발을 추진했다.[30] 후베이성(湖北省)과 후난성(湖南省)의 산물을 외국에 수출하고, 화폐를 개주(改鑄)하고 독자적인 지폐를 발행하여 한커우(漢口)를 중심으로 한 경제권을 만들었다.[30]

3. 3. 변법자강운동과 그 이후

1898년(광서 24년), 변법자강운동에 대해 이해를 표하면서도, 저서 《권학편》을 통해 '중체서용'의 입장에서 급진적인 개혁을 경계했다.[36] 이토 히로부미와 회담하고, 일본에서 코크스를 수입하고 야하타 제철소에 필요한 철광석을 일본에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했다.[31]

1900년(광서 26년), 의화단 운동 때에는 탕재상 등 자립군의 반란을 진압하고, 유곤일 등과 함께 동남호보 조약을 체결했다.[36] 1901년(광서 27년), 유곤일과 함께 '강초회주삼절(江楚會奏三折)'이라는 상소를 올려 변법의 조칙을 반포하게 했다(광서신정).[36]

1909년(선통 원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문양(文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37]

4. 군사 개혁

1885년 청불 전쟁에서 중국이 패배한 후, 장지동은 서구 열강에 필적하는 현대적인 군대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황제에게 올리는 상소를 통해 이를 위한 자신의 의지를 표명했다.[2] 장지동은 전통적인 중국 군대의 약점을 서구 군대와 비교하여 파악했는데, 서구 군대는 더 뛰어난 화력, 기동성, 개인 전투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장지동은 광동 육군 학당(광동 해군 및 육군 장교 학당)과 광동 승리군(廣勝軍)을 창설하고, 독일 장교를 교관으로 초빙하여 군사 훈련을 강화했다. 그는 신체적 입학 기준을 높게 설정하고, 새로 훈련된 부대를 "핵심"으로 삼아 훈련 단위를 부대별로 전달했다. 또한 체용(體用) 원칙에 따라 광동 육군 학당에서 중국 전통 학문과 서구 군사 학문을 융합했다.[2]

난징 부임 시절에는 독일 훈련 부대를 초청하여 현지 주둔군을 현대적인 군대로 훈련시켰다.[13] 우창에서는 공병, 기술병, 기병, 경찰, 포병, 보병 등 현대적인 부대를 훈련시키고 장비를 갖추게 했다. 그의 지휘 아래 있던 병력 중 2만 명은 외국 장교에 의해 직접 훈련을 받았으며, 우창에 육군 학당을 설립하여 미래 세대의 군인을 양성했다. 장지동은 독일 마우저 소총과 기타 현대 장비로 군대를 무장시켰다. 외국 관찰자들은 훈련이 완료되었을 때 우창 주둔지에 주둔한 병력이 당시 유럽 군대와 동등하다고 보고했다.[15]

5. 교육 개혁

장지동은 교육 개혁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23] 1898년 3월, 그는 《권학편(勸學篇)》을 출판하여 교육 개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23] 그는 "중학위체, 서학위용"(中學爲體,西學爲用)이라는 구절로 요약되는,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를 유지하면서 서양의 학문을 수용하는 비교적 보수적인 개혁 방식을 주장했다.[23]

《권학편》에서 장지동은 불교도교 사찰을 활용하여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사찰의 30%를 유지하고 유교화를 도입하여 두 종교가 존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장지동의 교육 개혁은 종교 기관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23]

청나라 말 또 다른 개혁가인 강유위는 이와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사찰을 활용하여 근대 교육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강유위는 장지동보다 더 급진적인 종교 파괴를 주장했다. 장지동은 강유위의 학문적 비전은 지지했지만, 종교 유교에 대한 제안은 거부했다.[24]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장지동의 개혁을 근대와 중국의 기존 사회 구조를 조화시키려는 시도로 평가한다.[23]

1901년, 장지동은 양광총독이었던 류쿤이의 뒤를 이어 양강총독이 되었고, 난징으로 이동하여 현대 난징 대학의 기반을 다졌다. 그는 류쿤이, 위광타오와 함께 산장사범학당(三江師範學堂, 현 난징 대학)을 설립했다. 장지동은 일본의 교육 제도와 원칙을 옹호했으며, 학당 설립 전에 나가오카 모리요시(長岡護美)와의 서신에서 일본인 교사 12명을 채용할 계획을 발표했다.[25]

6. 평가

장지동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한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장지동은 청나라 말기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추진한 선구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군사, 교육,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대화를 추진하여 중국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우창 지역을 중심으로 한 그의 개혁은 중국 근대화의 중요한 거점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2][15]

반면, 부정적인 측면에서 장지동은 근대화를 추구하면서도 전통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여 진보적인 시각에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는 중체서용(中體西用)이라는 구호를 통해 서양의 기술은 수용하되,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와 체제는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또한, 신해혁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혁명적인 움직임을 진압하고 군주제를 옹호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6. 1. 긍정적 평가

장지동은 청나라 말기,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적인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부국강병을 위한 개혁을 추진한 선구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군사, 교육,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대화를 추진하여 중국의 발전에 기여했다.[2] 특히 우창 지역을 중심으로 한 그의 개혁은 중국 근대화의 중요한 거점을 마련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15]

장지동은 청불 전쟁에서 중국이 패배한 후, 황제에게 올리는 상소를 통해 서방 열강에 필적하는 현대적인 군대를 건설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2] 그는 반성을 통해 전통적인 중국 군대의 약점을 서방 군대와 비교하여 파악했는데, 서방 군대는 더 뛰어난 화력, 기동성, 개인 전투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독일 장교를 교관으로 초빙하고, 광동 육군 학당(廣東陸軍學堂)을 설립하여 신식 군대를 양성했다.[2]

또한, 장지동은 중국 전통의 가치를 강조하고 서구의 기술 도입을 실용적인 용도로만 간주하는 자신의 지도 원리인 ''체용''(體用) 하에 광동 육군 학당에서 중국 전통 학문과 서구 군사 학문을 융합했다.[2] 그는 중국의 방어를 위해 산업화를 추구하며 영국에서 철강 제련 공장을 주문했다.[11]

난징 지사로 재직하면서는 독일 훈련 부대의 장교들을 초청하여 현지 주둔군을 현대적인 군대로 훈련시켰다.[13] 우창으로 이동한 후에는 호광 지역의 군대를 현대화하기 위해 난징에서의 경험을 활용했다.[13] 그는 우창에서 공병, 기술병, 기병, 경찰, 포병 및 보병의 현대적인 부대를 효과적으로 훈련시키고 장비를 갖추게 했다. 외국 관찰자들은 훈련이 완료되었을 때 우창 주둔지에 주둔한 병력이 당시 유럽 군대와 동등하다고 보고했다.[15]

교육 분야에서도 장지동은 1898년 3월, 교육 개혁에 대한 문제를 다룬 저서 《권학편(勸學篇)》을 출판했다.[23] 그는 "중학위체, 서학위용"(中學為體,西學為用)이라는 구절로 요약되는 비교적 보수적인 개혁 방식을 고수했다. 그는 불교도교 사찰을 희생하여 새로운 학교를 설립하는 개혁 방식을 제기했다.[23] 1901년에는 난징으로 이동하여 현대 난징 대학의 기반을 다졌다.[25]

의화단 운동 당시 장지동은 상당한 규모의 현대화된 군대를 지휘하는 다른 일부 지방 총독들과 함께 중앙 정부의 8개국 연합에 대한 선전포고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다. 장지동은 협상 과정에서 외국인들에게 중앙 정부를 돕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고 확신했다.[16][17]

6. 2. 부정적 평가

장지동은 근대화를 추구하면서도 전통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여, 진보적인 시각에서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는 중체서용(中體西用)이라는 구호를 통해 서양의 기술은 수용하되, 중국의 전통적인 가치와 체제는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中學為體,西學為用|중학위체, 서학위용중국어[23]

장지동은 신해혁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혁명적인 움직임을 진압하는 데 가담했고, 민주주의보다는 군주제를 옹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청일 전쟁에서 패배한 후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대만을 일본에 할양하는 것에 반대했지만,[5][6]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의 발전을 도모하려 한 점은 친일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는 대만 할양을 막기 위해 영국으로부터 차관을 들여와 영국 해군이 대만을 방어하도록 하고, 대만의 광산 채굴권을 영국에 넘겨주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7]

1901년 양강총독이 된 장지동은 난징으로 이동하여 현대 난징 대학의 기반을 다졌다. 그는 일본의 교육 제도와 원칙을 옹호했다.[25]

7. 저서


  • 《권학편》
  • 《광아당집》
  • 《書目答問》 - 장서 목록. 사부분류에 "총서부"를 더한 선구[32]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19
[2] 논문 Reappraising Zhang Zhidong: Forgotten Continuities During China's Self-strengthening, 1884-1901
[3]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논문 Taiwan and Modern China https://oxfordre.com[...] 2019-05-23
[6] 논문 Another perspective on the 1898 reform: interpreting the Zhang Zhidong Archives https://www.tandfonl[...] 2014-07-03
[7] 웹사이트 Editorial: Beijing has forgotten its history - Taipei Times https://www.taipeiti[...] 2003-10-16
[8] 논문 Japanese Studies of Post-Opium War China: 1983 https://www.jstor.or[...] 1987
[9] 웹사이트 "Key Texts" In Modern Chinese Political Thought Conference {{!}} Department of History https://history.ucon[...] 2019-12-17
[10] 논문 The longer abolition of the Chines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1900s–1910s) https://www.cambridg[...] 2022-05-24
[11]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2-21
[12] 서적 Late Ch'ing, 1800-191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문서 Bonavia 30-31
[1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2-21
[15] 문서 Bonavia 31-33
[16] 서적 Rise of the Chinese Military Pow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12-08
[17]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12-01
[18]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 서적 Inheritance within Rupture: Culture and Scholarship in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BRILL 2015-01-30
[20] 문서 Bonavia 33
[21] 논문 Reappraising Zhang Zhidong: Forgotten Continuities During China's Self-Strengthening, 1884-1901 https://brill.com/vi[...] 2017-11-10
[22] 논문 Another perspective on the 1898 reform: interpreting the Zhang Zhidong Archives
[23] 논문 1898: The Beginning of the End for Chinese Relig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Civilizing the Chinese, Competing with the West: Study Societies in Late Qing China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校史沿革 https://webplus.nju.[...]
[26] 논문 The Boxer Rebellion: The Struggle for Power, Influence and Territory https://papers.ssrn.[...]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2012-02-17
[27] 논문 Challenging the dominant stories about the Boxer Rebellion: Chinese Minister Wu Ting-Fang's narrative https://www.tandfonl[...] 2008-10-01
[28] 서적 China's Only Hope; an Appeal General Books 2013-09
[29] 문서 河村、P598 - P599、山田、P1158 - P1159。
[30] 문서 河村、P599、山田、P1159、岡本、P237 - P239。
[31] 문서 河村、P599、並木、P31、P165 - P166、P246、P256、P300 - P308、P314 - P315、P319、平野、P320 - P324、P327、瀧井、P260 - P274。
[32] 서적 初学者のための中国古典文献入門 筑摩書房
[33] 웹사이트 唐闸工业遗存:中国近代工业忠实的记录者 http://www.chinadail[...] 2013-09-17
[34] 뉴스 辜鸿铭用国学改变西方偏见:俄国皇子认错 http://money.163.com[...] 2014-09-01
[35] 웹사이트 张之洞“中体西用”观并非意味着保守 http://www.people.co[...] 2010-10-16
[36] 문서 청나라 말기 의화단의 난이 일어났을 때 남쪽의 각 성이 중앙 정부의 명령에 불순종하여 외국과의 개전을 거부한 사건이다.
[37] 뉴스 督鄂18年,张之洞推動第一次中部崛起 http://www.xinhuanet[...] xinhuanet.com 2018-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