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르다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르다호는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호수로, 로마 시대에는 베나쿠스로 알려졌다. 게르만어 기원의 지명으로 중세 시대부터 가르다 호수로 불렸으며, "경계의 장소" 또는 "안전의 장소"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지형적으로는 빙퇴석 계곡의 형태를 띠며, 알프스 산맥과 포강 평원에 걸쳐 있다. 다양한 기후 조건과 생물 다양성을 보이며, 카르피오네를 비롯한 고유종이 서식한다.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중요한 정착지였고, 중세 시대에는 롬바르드족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 나폴레옹 시대를 거쳐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다가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이탈리아에 편입되었다. 주변 도시로는 데센차노델가르다, 리바델가르다 등이 있으며, 경제는 관광 산업에 크게 의존한다. 페리, 철도, 버스, 고속도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호수 - 코모호
    코모호는 이탈리아 북부에 있는 Y자 모양의 호수로, 라리오라고도 불리며, 알프스 산맥과 인접해 있고 관광지로 유명하다.
  • 이탈리아의 호수 - 트라시메노호
    트라시메노호는 이탈리아 움브리아주에 있는 호수로, 지질학적 특징, 기후, 역사적 중요성, 그리고 자연 공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가르다호
지도
기본 정보
현지 이름이탈리아어: Lago di Garda
베네토어: Ƚago de Garda
롬바르디아어: Lach de Garda
(Lago) Benaco (이탈리아어)
가르다호 위성 이미지
센티넬-2 위성 이미지
위치이탈리아
유입사르카강
유출민초강
유역 면적2,350 km²
길이51.6 km
16.7 km
면적369.98 km²
최대 깊이346 m
평균 깊이136 m
수량50.35 km³
저수 시간26.8 년
해안선 길이158.4 km
표고65 m
5개 (가르다섬, 이솔라 산 비아조 포함)
지리
위치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주, 베네토 주, 알프스산맥
특징빙하호
환경
보호 구역발도산
아다멜로-브렌타 국립공원
알토 가르다 브레시아노 주립공원
브렌타돌로미티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레드로 알프스와 유디카리아
기타
도시관련 문서 참조

2. 어원

로마 시대에 이 호수는 ''베나쿠스''로 알려졌으며, 일부 사람들은 호수를 의인화한 신 베나쿠스를 숭배했고, 때로는 넵투누스 신앙과 연관 짓기도 했다.[1] 오늘날 이 호수는 중세 시대부터 증명된 게르만어 기원의 지명인 가르다 호수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동명의 마을에서 유래했다.[1] ''가르다''라는 이름은 "경계의 장소", "관찰의 장소" 또는 "안전의 장소"를 의미하는 게르만어 단어 ''warda''에서 유래되었다.[1]

호수의 고전적인 지명인 ''베나쿠스 라쿠스'' (''베나코'')는 켈트족 기원이며, "뿔이 있는"을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bennach''와 유사한 ''bennacus''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용어는 호수의 많은 곶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2. 1. 명칭의 기원과 변화

로마 시대에 이 호수는 '베나쿠스'로 알려졌으며, 일부 사람들은 호수를 의인화한 신 베나쿠스를 숭배했고, 때로는 넵투누스 신앙과 연관 짓기도 했다. 오늘날 이 호수는 가르다 호수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중세 시대부터 증명된 게르만어 기원의 지명으로, 호수의 베로나 해안에 있는 동명의 마을에서 유래했다. 이 마을은 가르도네 리비에라를 비롯한 호수의 또 다른 유명 지역 및 가르돌라, 가르돈치노, 가르도니, 과르돌라, 레 가르데와 같이 덜 알려진 지역과 함께 6세기부터 8세기까지의 게르만족, 특히 롬바르드족의 존재를 증명한다. '가르다'라는 이름은 "경계의 장소", "관찰의 장소" 또는 "안전의 장소"를 의미하는 게르만어 단어 ''warda''에서 유래되었다.[1]

호수의 고전적인 지명인 '베나쿠스 라쿠스'('베나코')는 거의 확실하게 켈트족 기원이며, 따라서 로마화 이전의 것으로, "뿔이 있는"을 의미하는 아일랜드어 ''bennach''와 유사한 ''bennacus''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이 용어는 호수의 많은 곶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3. 지리

가르다호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지역이다. '''카르피오네'''(''carpione del Garda''[6][7] 또는 ''Lake Garda carpione''[8])라고도 불리는 ''Salmo carpio''는 가르다호에만 서식하는 희귀한 연어과 물고기이다. 이 물고기는 다른 지역으로 이식되었지만 모두 실패했고,[6] 가르다호 내 개체수도 급격히 감소하여 심각한 위기(IUCN 3.1)에 처해 있다.[7][8] 과도한 어획, 오염, Coregonus 및 기타 연어과와 같은 외래종과의 경쟁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9]

가르다호 송어는 짝짓기 시기가 아닐 때는 은색을 띠며 몸과 머리에 검은 반점이 거의 없지만, 짝짓기 시기가 되면 일부 수컷은 어두운 얼룩덜룩한 몸 색깔을 띤다. 최대 50cm까지 자라며, 주로 100m에서 200m 깊이에서 서식한다. 여름에는 동물성 플랑크톤과 바닥에 사는 갑각류를 먹고, 2~3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1~2년마다 짝짓기를 하며, 수중 샘 근처 50m에서 300m 깊이에서 산란한다. 최대 수명은 5년이다.[6]

가르다호 주변은 지중해성 기후 덕분에 올리브 나무, 포도, 레몬 나무, 용설란 등 다양한 식물이 자라는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특히 겨울이 온화한 미기후 덕분에 봄에는 앵초, 붓꽃, 제비꽃, 붉은 백합 등 야생화가 피고, 여름에는 다양한 종류의 야생 난초가 핀다. 보호 구역 내에는 토끼, 작은 야생 포유류, 물새, 맹금류 등이 서식하며, 연못과 도랑에는 잉어, 텐치, 뱀장어 등이 살고 있다. 또한 소, 말 등 가축 무리가 언덕 풍경에 목가적인 분위기를 더한다.

3. 1. 지형 및 수문

몬테 발도에서 바라본 가르다 호수


가르다 호수 남부의 전형적인 모습인 빙퇴석 언덕


호수의 북쪽 부분은 알프스 산맥 내부의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해 있으며, 남쪽 부분은 상부 포강 평원 지역을 차지한다. 이 형태는 아마도 구석기 시대 빙하의 작용에 의해 형성된 전형적인 빙퇴석 계곡의 형태를 띤다. 오늘날 빙하 작용의 흔적이 분명히 나타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빙하는 5~6백만 년 전에 하천 침식에 의해 형성된 기존의 함몰 지형을 점유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가르다 호수의 특징은 호수 표면에 비해 좁은 수문(2290km2)이다. 호수의 길이는 52km이고 유역의 길이는 95km이며, 각각의 폭은 16km와 42km이다. 베나첸세 유역의 동쪽 분수령은 호수 축과 평행한 방향을 가지며, 서쪽 분수령은 더 구불구불한 코스를 갖는다. 유역 내 주요 봉우리는 프레사넬라(3556m)와 아다멜로(3554m)이다. 형태학적으로 가르다 수문 유역은 네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약 200km2의 평야, 약 370km2의 호수 표면, 약 500km2의 서쪽 부분, 약 1040km2의 동쪽 부분.

가르다 호수의 남쪽, 브레시아, 만토바, 베로나 사이에는 거대한 빙퇴석 원형 극장이 발달해 있다. 가르다 빙하의 운송 및 저장 작용 덕분에 생긴 작은 평평한 지역이 사이에 있는 언덕 서클이 연이어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 습지이기도 하다. 이 빙퇴석 퇴적물은 귄츠, 민델, 리스, 뷔름 빙하기 동안 형성되었다. 가장 오래된 귄츠와 민델 두 빙하기에는 매우 제한적인 빙퇴석 퇴적물이 기인하며, 외측 빙퇴석 서클은 리스 빙하기에, 내측 서클은 뷔름 빙하기에 기인한다. 언덕의 지형은 완만하고 섬세한 선을 가지며, 가장 높은 지점에서는 언덕과 산을 연결하는 관계뿐만 아니라 호수 남부를 포용하는 듯한 언덕의 원형 극장 모양을 인지할 수 있다.

가르다 호수의 주요 지류는 사르카 강이며, 폰알레 강(레드로 호에서 공급됨), Varone (Fluss)|바론de(바론 폭포 경유) 및 양쪽 산비탈에서 흘러오는 다양한 시내가 있다. 유일한 출구는 민치오 강(79m)이다. 이 분할은 시르미오네와 푼타 산 비질리오 사이의 수중 단층의 존재로 인해 형성되며, 이는 두 지역의 물 사이의 균질화를 방해하는 거의 자연적인 장벽이다.

아디제 강의 수위가 과도하면 모리-토르볼 터널을 통해 호수로 물이 우회된다.

3. 2. 지질

가르다호 지역은 이탈리아에서 지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 중 하나로 여겨진다. 가르다 지역을 강타한 가장 오래된 지진은 서기 243년(또는 245년)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진은 매우 파괴적이어서 오늘날 토스코라노 마데르노가 위치한 베나코 도시가 갑자기 사라졌다. 이 도시의 소멸은 토스코라노 위의 산이 갈라지고 산사태가 발생하여 산으로 둘러싸인 작은 호수가 범람하면서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가 물에 잠겼기 때문일 것이다.[1]

그 외에도 크고 작은 지진이 주기적으로 발생했다. 793년에는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특히 발도 지역에서 큰 재앙을 초래했다. 1457년에는 살루 위의 산이 낮아졌다. 1703년에는 많은 집이 무너지고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1810년에는 특히 말체시네를 강타한 지진으로 물이 흐려지고, 마을 광장에 길이 200m, 폭 18cm의 균열이 생겼다. 1836년에는 지진으로 몬테 발도 최북단에 위치한 몬테 토메 산에서 산사태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강한 물줄기가 뿜어져 나왔다.[1]

1866년에는 발도 지역에서 비교적 긴 지진 활동 기간이 시작되었고, 강도가 다양한 지진, 흔들림 및 기타 사소한 현상이 발생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은 1892년 1월 5일에 발생한 지진으로, 가르다 지역 전체를 엄청난 폭력으로 뒤흔들어 굴뚝과 벽이 무너졌다.[1]

최근에는 다른 지진이 살루와 그 주변 지역을 강타했다. 특히 1901년 10월 31일의 지진은 건물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히고 일부 붕괴와 지반 균열을 일으켰으며, 2004년의 또 다른 지진은 일부 건물에 피해를 입혔다.[1]

3. 3. 섬

가르다호에는 수많은 작은 섬과 5개의 주요 섬이 있으며, 그중 가장 큰 섬은 가르다 섬이다. 남쪽 근처에는 산 비아조 섬(토끼 섬, Isola dei Conigli)이 있다. 이 두 섬은 모두 호수 서쪽에 있는 산 펠리체 델 베나코 앞바다에 있다. 다른 세 개의 주요 섬은 이솔라 델 올리보(Isola dell'Olivo), 이솔라 디 소뇨(Isola di Sogno), 이솔라 디 트리멜로네(Isola di Trimelone)이며, 모두 동쪽 측면 근처 북쪽에 있다.

3. 4. 기후

가르다 호수의 풍향


특히 온화한 기후는 올리브 나무, 파라솔 소나무, 지중해 사이프러스, 중국 부채 야자 및 카나리아 대추야자를 포함한 일부 지중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레몬 및 귤과 같은 일부 내한성 감귤 나무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는 이 위도(북위 46°)에서 매우 드물다.[2] 고대에는 카툴루스와 같은 시인들이 바람에 의해 활기를 띠는 온화한 기후의 "라쿠스 베나쿠스"에 대해 썼다. 호수는 포 계곡을 향해 남북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며, 호수의 많은 전형적인 바람은 고도 온도 차이의 결과이다. 이 때문에 아침에는 산에서 평원으로 내려오고 오후에는 산으로 돌아가는 바람이 생성된다. 호수 분지에서 형성된 병목 현상은 바람의 타이밍에 영향을 미치며, 그중 많은 수가 정기적으로 매일 발생한다. 바람은 모두 이름이 있으며, 대부분 지역 이탈리아 방언으로 되어 있어 하나의 바람이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7.38.813.417.422.826.729.428.723.817.811.98.1
평균 기온 (°C)4.55.59.513.218.221.924.524.019.714.79.05.4
평균 최저 기온 (°C)1.62.25.69.013.517.119.519.215.711.66.22.7
강수량 (mm)7767868610695901158912010668
강수일 (≥ 1.0 mm)76891110786896
자료 출처 1: 이탈리아 환경 보호 및 연구 고등 연구소[3]
자료 출처 2: Enea-Casaccia (강수량)[4] Climi e viaggi (강수일)[5]


3. 5. 동식물

가르다호는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다. '''카르피오네''' (''carpione del Garda''[6][7] 또는 ''Lake Garda carpione''[8])라고도 알려진 ''Salmo carpio''는 가르다호에 고유종으로 서식하는 희귀한 연어과 물고기이다. 이 물고기는 이탈리아와 다른 지역의 여러 호수에 도입되었지만 모두 실패했다.[6] 가르다호의 개체수는 급격히 감소하여 심각한 위기 (IUCN 3.1)로 간주된다.[7][8] 주요 위협 요인은 과도한 어획, 오염, 그리고 Coregonus 및 기타 연어과와 같은 외래종과의 경쟁일 수 있다.[9]

짝짓기 시즌이 아닌 성어 가르다호 호수의 송어는 은색을 띠며 몸에 검은 반점이 거의 없고 머리에는 거의 없다. 짝짓기 시즌 동안 일부 수컷은 어두운 얼룩덜룩한 몸 색깔을 띤다. 가르다호 호수의 송어는 최대 50cm 길이까지 자란다. 이들은 주로 100m에서 200m 깊이에서 산다. 여름에는 동물성 플랑크톤과 바닥에 사는 갑각류를 먹는다. 수컷과 암컷은 2~3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짝짓기는 1~2년마다 이루어진다. 산란은 수중 샘 근처 50m에서 300m 깊이에서 이루어진다. 최대 수명은 5년이다.[6]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가르다호 주변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의 전형적인 식생, 즉 올리브 나무, 포도, 레몬 나무, 용설란 및 기타 식물이 번성하는 뛰어난 자연 가치를 지닌 환경이다. 이는 가르다 분지가 만들어내는 미기후 덕분이며, 이로 인해 겨울이 특히 온화하다. 봄에는 앵초, 붓꽃, 제비꽃 및 붉은 백합과 같은 야생화가 피어나고, 여름에는 다양한 종류의 야생 난초가 핀다. 보호 구역 덕분에 토끼와 작은 야생 포유류, 물새와 맹금류가 생존하며, 연못과 도랑에는 잉어, 텐치, 뱀장어가 서식한다. 소, 말 및 기타 가축 무리는 언덕이 많은 풍경에 목가적인 모습을 부여한다.

4. 역사

가르다호 주변에서 발견된 인류의 흔적은 중기 구석기 시대와 관련이 있지만, 낮은 고도에서는 빙하 작용으로 인해 흔적이 사라져 특정 고도 이상에서만 발견된다. 상 구석기 시대의 야영지 흔적과 신석기 시대의 사각 입 항아리 문화와 접촉했던 흔적도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수많은 호상 가옥 집단이 생겨났다가 철기 시대에 버려졌고, 레티와 베네티족의 만남의 장소였다. 에트루리아인과 체노마니족의 존재도 확인된다.

로마인과 체노마니 간의 융합은 기원전 225년경 시작되었고, 기원전 2세기에서 1세기 사이에 로마화가 이루어졌다. 기원전 89년에는 라틴 도시의 권리가 부여되었고, 40년 후에는 브릭시아베로나에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서기 1세기에는 ''비아 갈리카''와 ''비아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등 많은 도로가 건설되었고, ''파구스 베나켄세스''와 ''파구스 클라우디엔세스''라는 두 개의 ''파구스''가 설립되었다. 268년에는 베나쿠스 호수 전투가 벌어져 로마 제국 군대가 알레마니를 격파했다. 로마의 존재는 정착지, 별장 (카툴루스 동굴 등), 켄투리아티오 유적, 성소 유적, 묘비 및 비문 등으로 증명된다.

시르미오네의 카툴루스 동굴


단테는 그의 《신곡》에서 중세 시대의 가르다호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1]

Suso in Italia bella giace un laco, a piè de l'Alpe che serra Lamagna sovra Tiralli, c'ha nome Benaco.|아름다운 이탈리아 위에 호수가 놓여 있고, 알프스 산기슭에 독일을 막고 있다. 티롤 위에, 베나코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it

로마 제국 붕괴 후, 롬바르드족이 정착하여 가르다호와 민치오의 수로, 아디제 계곡을 통제했다. 롬바르드족의 지배 동안 지역의 기독교화가 완료되었고, 최초의 행정적 재조직이 이루어졌다. 호수는 브레시아, 베로나, 트렌토의 세 롬바르드 공작령 사이의 경계에 있었다.[1]

825년에는 ''Fines Gardenses''라는 실체가 나타났고, 1000년 이후에는 하인리히 2세에 의해 가르다 백작령이 설립되었다. 11세기부터 호수 주변의 도시들은 더 큰 자율성을 가지게 되었고, 많은 중심지가 자유 공동체가 되었다.[1]

13세기에 스칼리제라 가문이 호수의 동쪽 해안을 정복하고, 시르미오네, 말체시네, 리바에 성을 건설하고, 라치세와 토리 델 베나코의 항만 구조를 강화하는 등 수많은 방어 시설을 건설했다. 또한 ''세라글리오''라는 대규모 방어 시스템을 건설했다.[1]

말체시네의 스칼리제르 성


시르미오네 스칼리제르 성


1387년 안토니오 델라 스칼라가 패배한 후, 가르다 지역 전체가 비스콘티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1405년 초 동쪽 해안은 베네치아 공화국에, 서쪽 해안은 구엘프당과 기벨린당 간의 갈등을 겪었다. 1426년 비스콘티 가문은 브레시아와 호수의 서쪽 해안을 잃었고, 이는 베네치아에 넘어갔다. 34개의 베나첸세 지방 자치 단체는 광범위한 자치를 획득했다.[10]

1438년 베네치아 공화국밀라노 공국 간의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고, ''Galeas per montes''라는 사건이 있었다. 이 함대는 밀라노 함대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리바 델 가르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10]

1508년 캉브레 동맹이 결성되어 베네치아는 영토를 잃었지만, 1512년 회복했다. 1516년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이탈리아에 왔고, 호수는 다시 독일의 손으로 넘어갔다.[10]

1796년 나폴레옹 전쟁에 휘말려 프랑스군이 호수로 진격하여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페스키에라를 정복했다. 1797년 프랑스는 만토바를 점령했고, 베네치아 공화국은 중립을 유지했다. 캄포포르미오 조약으로 남서부 해안은 프랑스, 북동부 해안은 오스트리아에 넘어갔다. 1799년 전쟁은 계속되었고, 호수는 프랑스 손으로 돌아갔다. 호수는 치살피나 공화국, 이탈리아 공화국, 이탈리아 왕국으로 바뀌었으며, 항상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10]

181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최종 패배 이후, 빈 회의에서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을 창설하여 가르다 지역 전체가 오스트리아의 손으로 돌아갔다.[10]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피에몬테 군대가 호수로 진격했고, 살로는 오스트리아에 반란을 일으켰다. 오스트리아 군대는 민시오 강으로 후퇴했고, 쿠스토자 전투(1848)에서 피에몬테가 패배한 후, 전쟁 전의 "현상 유지"가 회복되었다.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고, 알프스 사냥꾼은 살로에 진입했다. 솔페리노 전투와 산 마르티노 전투에서 프랑스-사보이 군대가 승리했고, 빌라프란카 휴전으로 가르다는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사이의 국경이 되었다.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동안 가리발디는 다시 살로로 돌아와 트렌티노를 침공했다. 오스트리아는 가르다 호에서의 해군 작전 (1866)으로 가르냐노를 반복적으로 폭격했다. 1866년 베네토는 이탈리아 왕국 (1861–1946)에 넘겨졌고, 호수의 북부 지역은 여전히 오스트리아의 통제하에 남았다.

이탈리아인 승전 기념관(비토리알레 데글리 이탈리아니)의 항공 뷰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르다 호수의 마을들은 여러 차례 폭격을 받았다. 1915년 7월 23일, 리바 델 가르다가 공격을 받았다. 호수의 증기선들은 이탈리아 군에 의해 징발되어 군함으로 재장비되었다. 1918년 리바는 다시 폭격을 받았다. 전쟁이 끝나면서 트렌티노도 이탈리아의 손에 넘어갔다.

두 전쟁 사이 기간에 시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는 가르도네 리비에라에 정착하여 "이탈리아인 승전 기념관(비토리알레 데글리 이탈리아니)"을 건설했다.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탄생 후, 독일 사령부는 리모네에, 베니토 무솔리니의 사령부는 가르냐노에 자리 잡았다. 국방부, 외무부, 대중 문화부, 언론 기관들은 살로에 자리 잡았다. 무솔리니는 가르다 호수 안클라베의 가로등에 매달렸다.[11]

파사노에는 독일 대사관, 가르도네에는 일본 대사관, 내무부와 공화 파시스트 당 (PFR)의 본부는 마데르노에 위치했다. 1945년 4월 호수는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고, 이탈리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4. 1. 선사 시대

호수 주변에서 발견된 인류의 흔적은 중기 구석기 시대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석기 도구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낮은 고도에서는 빙하 작용으로 인해 인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모든 단서가 사라졌기 때문에 특정 고도 이상에서만 발견된다. 상 구석기 시대의 야영지 흔적이 일부 발견되었으며, 특히 발도 산과 스티보 산 경사면에서 발견되었다. 신석기 시대에는 호수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사각 입 항아리 문화와 접촉했는데, 이는 아르코 근처에서 발견된 이 시대의 몇몇 무덤에 부장된 물건으로 입증된다.

4. 2. 청동기 및 철기 시대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선사 시대 인류의 존재를 보여주는 가장 큰 증거는 이 시기에 수많은 호상 가옥 집단이 하부 호수에 생겨났다가 철기 시대에 더 전략적인 지점을 선호하면서 버려졌다는 것이다. 가르다호는 레티와 베네티족의 만남의 장소였으며, 특히 가르다의 묘지에서 그들의 존재가 증명된다. 또한 이 지역에서 교역을 했던 에트루리아인의 존재도 확인된다. 기원전 6세기경에 브레시아와 호수 사이 지역에 정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체노마니족의 존재도 가능성이 있으며, 이들은 주로 롬바르디아 지명에 흔적을 남겼다.

4. 3. 로마 시대

로마인과 가르다 지역을 지배했던 체노마니 간의 융합은 기원전 225년경 체노마니족, 베네티족, 로마인 간의 동맹 조약 체결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로마화는 기원전 2세기에서 1세기 사이에 이루어졌다. 기원전 89년 로마 집정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스트라보의 의지에 따라 가르다 지역에 라틴 도시의 권리가 부여되었고, 40년 후에는 브릭시아(그 시골 지역은 베나코 호수의 서쪽과 북쪽 기슭을 포함했다)와 베로나(동쪽 해안을 포함)에 마침내 로마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서기 1세기에는 베로나에서 밀라노로 연결되는 ''비아 갈리카''(고대 ''아릴리카''인 페스키에라 델 가르다를 경유)와 평원을 레시아 고개, 그리고 최북단 영토와 연결하는 ''비아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를 비롯한 많은 도로가 건설되었으며, 아디제 계곡과 가르다를 연결하는 몇 개의 작은 도로도 건설되었다. 또한 두 개의 ''파구스''가 설립되었는데, 브레시아에는 ''파구스 베나켄세스''가, 베로나에는 ''파구스 클라우디엔세스''가 있었다.

서기 268년에는 미래의 황제 클라우디우스 고티쿠스가 지휘하는 로마 제국 군대와 알레마니의 게르만 연합 간의 베나쿠스 호수 전투가 벌어졌다. 로마인들이 거둔 압도적인 승리로 인해 알레마니는 전투에서 심각한 손실을 입고 북부 이탈리아에서 추방되었다.

로마의 존재는 정착지, 별장 (특히 유명한 카툴루스 동굴), 오늘날까지 볼 수 있는 켄투리아티오 유적, 성소의 유적, 묘비 및 비문 증거로 널리 증명된다.

4. 4. 중세 시대

단테는 그의 《신곡》에서 중세 시대의 가르다호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1]

Suso in Italia bella giace un laco, a piè de l'Alpe che serra Lamagna sovra Tiralli, c'ha nome Benaco.|아름다운 이탈리아 위에 호수가 놓여 있고, 알프스 산기슭에 독일을 막고 있다. 티롤 위에, 베나코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it

로마 제국 붕괴 후, 가르다 지역은 여러 게르만 민족이 통과했지만, 오랜 이주 끝에 정착한 최초의 민족은 롬바르드족이었다. 롬바르드족의 흔적은 주로 남부 및 동부 해안을 따라 존재하는데, 이는 가르다호와 민치오의 수로, 아디제 계곡을 모두 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중요성 때문이었다. 롬바르드족의 지배 동안, 이전 세기에 트렌토의 비길리우스와 베로나의 제노에 의해 시작된 지역의 기독교화가 완료되었고, 최초의 행정적 재조직이 이루어졌다. 호수는 브레시아, 베로나, 트렌토의 세 강력한 롬바르드 공작령 사이의 경계에 있었다.[1]

825년, 독자적인 사법 행정을 위한 자체 관리자를 가진 실체인 ''Fines Gardenses''의 존재를 증명하는 최초의 문서들이 나타났으며, 1000년 이후에는 하인리히 2세에 의해 가르다 백작령이 설립되었다. 11세기부터 호수 주변의 도시들은 브레시아, 베로나, 트렌토와 같은 주요 영향력 중심지와 비교하여 차별화된 정책을 개발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더 큰 자율성은 많은 중심지가 자유 공동체가 되는 것을 의미했다. 이들은 내륙 국가와 비교하여 편안한 경제적 조건과 강한 사회적 인식,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1]

그러나 13세기에 스칼리제라 가문이 설립되어 곧 호수의 동쪽 해안을 정복했다. 스칼리제라는 시르미오네, 말체시네, 리바에 성을 건설하고, 라치세와 토리 델 베나코의 항만 구조를 강화하는 등 수많은 방어 시설을 건설했다. 또한 이탈리아에서 유일한 대규모 방어 시스템인 ''세라글리오''를 건설했는데, 칸그란데 2세가 1355년에 완성한 이 요새 시스템에는 폰티 술 민치오와 몬잠바노에 있는 고립된 성, 발레조 술 민치오 요새에서 시작하여 노가롤레 로카까지 이어지는 방어벽으로 연결된 성과 탑이 포함되었다. 세라글리오는 19세기 중반까지 거의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가 부분적으로 해체되었다.[1]

4. 5. 근세 초기

1387년, 안토니오 델라 스칼라가 패배한 후, 가르다 지역 전체가 비스콘티 가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405년 초에 동쪽 해안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손에 넘어갔고, 서쪽 해안은 구엘프당과 기벨린당 간의 갈등으로 고통받았다. 1426년 비스콘티 가문은 브레시아와 호수의 서쪽 해안을 잃었고, 이는 베네치아의 손으로 넘어갔다. 베네치아 공화국의 깃발 아래 모인 34개의 베나첸세 지방 자치 단체는 광범위한 자치를 획득했다.[10]

1438년, 베네치아 공화국밀라노 공국 간의 투쟁으로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예외적인 사건인 ''Galeas per montes''는 6척의 갤리선과 25척의 배로 구성된 함대가 2,000마리의 황소에 의해 몬테 발도 산기슭을 통과한 사건으로 기억된다. 이 함대는 아디제강을 항해하여 로베레토에 거의 도달했고, 그곳에서 로피오 호수 계곡을 통해 육로로 가르다 호수로 운송되었다. 이 함대는 밀라노 함대에 대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리바 델 가르다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 전투 이후 도시가 항복했다.[10]

1508년에는 캉브레 동맹이 세레니시마에 대항하여 결성되었다. 베네치아는 살로와 파덴게를 포함한 본토 영토의 성을 강화하고, 여러 갤리선을 호수로 보냈으며, 가르다 호수에서 직접 새로운 갤리선을 건조했다. 전쟁 중 베네치아는 영토의 일부를 잃었지만, 1512년에 다시 회복했다. 1516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막시밀리안 1세 황제가 이탈리아에 왔고, 호수는 다시 독일의 손으로 넘어가 세레니시마가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10]

1796년, 세레니시마의 영토는 나폴레옹 전쟁에 휘말렸다. 5월 말에 프랑스군은 호수로 진격하여 보르게토 술 민치오에서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페스키에라를 정복했다. 7월 말에 프랑스군은 패배하여 살로 너머로 후퇴해야 했고, 이후 살로는 오스트리아군이 점령했다. 가르다 호수 전장에서 적들 사이에 수많은 충돌이 일어났다. 1797년 프랑스는 만토바를 점령했고, 호수 위의 브레시아 계곡과 도시들은 나폴레옹군에 대항하여 봉기했지만, 베네치아 공화국은 중립을 유지하며 지원을 보내지 않았다. 반면에 베로나 사람들은 프랑스가 점령한 지역에 대항하여 자율적으로 원정을 조직했지만, 패배하여 베로나로 후퇴했고, 4월 17일 베로나에서 "파스케 베로네시"라는 반 프랑스 봉기가 시작되었다. 10월 17일 캄포포르미오 조약이 체결되었다. 남서부 해안은 프랑스에게, 북동부 해안은 오스트리아에게 넘어갔다. 1799년 전쟁은 다음 해까지 계속되었고, 호수는 프랑스 손으로 돌아갔다. 호수는 치살피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이탈리아 공화국으로, 다시 이탈리아 왕국으로 바뀌었으며, 항상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다.[10]

1815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최종 패배 이후, 빈 회의에서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가르다 지역 전체가 오스트리아의 손으로 돌아갔다.[10]

4. 6. 근대 후기 및 현대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피에몬테 군대가 호수로 느리게 진격하기 시작했다. 피에몬테 군대의 접근 소식에 살로는 오스트리아에 반란을 일으켰고, 여러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으며 오스트리아 휘장이 파괴되었다. 이 사건 동안 리바 델 가르다와 베로나 쪽의 여러 마을에서도 봉기가 일어났다. 오스트리아 군대는 피에몬테 군대의 진격으로 인해 민시오 강으로 후퇴해야 했고, 4월 4일 오스트리아는 로나토와 데센자노에서 쫓겨났으며, 피에몬테의 페스키에라 정복 시도는 실패했다. 쿠스토자 전투(1848)에서 피에몬테가 패배한 후, 전쟁 전의 "현상 유지"가 회복되었다. 1859년에는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 6월 18일 알프스 사냥꾼은 살로에 진입하여 주세페 가리발디가 몇몇 보트를 이용하여 호수를 건너 베네토로 진격을 계속하려 했지만, 새로운 명령으로 인해 군대를 브레시아 계곡으로 이동시킬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군대는 살로를 떠나기 전에 오스트리아 증기선을 침몰시켰다. 얼마 지나지 않아 프랑스-사보이 군대가 솔페리노 전투와 산 마르티노 전투에서 승리했고, 페스키에라가 포위되었다. 빌라프란카 휴전으로 전쟁이 종식되었고, 가르다는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사이의 국경이 되었다.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동안 가리발디는 다시 살로로 돌아와 거기에서 트렌티노를 침공했다. 한편 오스트리아는 가르다 호에서의 해군 작전 (1866)으로 가르냐노를 반복적으로 폭격하고 지배력을 행사하려 했다. 굴욕적인 이탈리아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1866년 베네토는 마침내 이탈리아 왕국 (1861–1946)에 넘겨졌고, 호수의 북부 지역은 여전히 오스트리아의 통제하에 남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르다 호수의 마을들은 여러 차례 폭격을 받았다. 1915년 7월 23일, 리바 델 가르다가 공격을 받으면서 이 지역에서 첫 번째 공중 폭격이 발생했다. 호수의 증기선들은 이탈리아 군에 의해 징발되었고 군함으로 재장비되었다. 이듬해에는 몇몇 대포와 포병대가 설치되었지만, 1916년 2월 20일 리바는 다시 공격을 받았다. 다음 날 오스트리아 비행기 3대가 데센자노를 폭격했고, 2월 27일에는 나고와 토르볼레에 폭탄이 떨어졌다. 1918년 리바는 다시 폭격을 받았다. 이후 리모네와 다시 리바가 표적이 되었지만, 전쟁이 끝나면서 트렌티노도 이탈리아의 손에 넘어갔다.

두 전쟁 사이 기간에 시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는 가르도네 리비에라에 정착했으며, 그곳에 그의 저택이자 현재 박물관인 "이탈리아인 승전 기념관(비토리알레 데글리 이탈리아니)"이 나중에 건설될 것이다.

1943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의 사건들은 호수 지역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독일의 괴뢰국이자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잔여 국가)이 탄생한 후, 독일 사령부는 리모네에, 10월 10일에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사령부가 가르냐노에 자리 잡았다. 국방부는 데센자노에, 외무부, 대중 문화부, 그리고 언론 기관들은 새로 태어난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수도가 된 살로에 자리 잡았다. 결국 무솔리니는 가르다 호수 안클라베의 가로등에 매달렸다.[11]

파사노에는 독일 대사관이, 가르도네에는 일본 대사관이 위치했으며, 내무부와 공화 파시스트 당 (PFR)의 본부는 마데르노에 자리 잡았다. 호수의 상부 지역도 "베르마흐트"에 의해 군사적으로 점령되었다. 1945년 4월 호수는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고, 이후 이탈리아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수상 경력의 다큐멘터리 영화 잃어버린 산악인은 전쟁의 마지막 날에 가르다 호수 북부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5. 신화와 전설

그리스-로마 신화에 따르면, 민키우스는 베나쿠스 호의 자식이었다.[12]

고대 게르만 영웅 설화에서 가르다는 오르니트의 고향이었다.

6. 주변 도시

(브레시아도)베네토
(베로나도)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
(트렌토 자치현)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



7. 경제

가르다호의 경제는 주로 관광에 의존하고 있다.[13] 20세기 후반에는 가르다랜드를 비롯한 여러 공원이 건설되면서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형성되었다.[14] 스포츠 관광도 발달하였는데, 리바, 토르볼레, 캄피오네는 요트, 윈드서핑, 카이트보딩으로 유명하며, 첸토미글리아 레가타도 매년 열린다.

7. 1. 관광 산업

가르다호의 경제는 주로 관광 산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13] 로마 시대, 특히 초기 제정 시대부터 호숫가에는 통치 계급을 위한 활동인 ''오티움''에 전념하는 웅장한 별장들이 있었다. 특히 시르미오네는 유황 샘이 있어 온천을 이용할 수 있는 특권적인 장소였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호수는 귀족 별장으로 다시 채워졌다.

하지만 현대적 의미의 관광은 19세기 말부터 발전했으며, 여전히 호수의 북서부 지역에 거의 독점적으로 관련된 엘리트 관광이었다. 최초의 관광지 중 하나는 최초의 작은 호텔이 건설된 가르도네 리비에라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확장되어, 호화로운 그랜드 호텔 가르도네 리비에라를 구성하는 건물 중 하나가 되었다. 그 근처에는 다른 작은 호텔과 별장이 천천히 생겨났고, 시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가 비토리알레 델리 이탈리아니를 이곳에 건설한 후, 그 장소의 명성은 더욱 커졌다.

베로나 해안에는 1930년대경, 현재의 ''스트라다 가르다사나 오리엔탈레''가 호숫가를 따라 건설되면서 관광이 훨씬 늦게 도착했다. 관광객의 유입과 함께 "호숫가 산책로"가 계획되었다. 1950년대부터 관광은 일종의 변형을 겪었다. 장기 체류 관광과 함께 주말이나 몇 시간 동안의 짧은 방문인 "단기 관광"이 이루어졌다. 전자는 다양한 지역에서 온 관광객(이탈리아인 외에도 많은 독일인, 프랑스인, 스위스인 및 네덜란드인)이 휴가를 호수에서 보내고 싶어 함으로써 공급되는 반면, 후자는 호수에서 멀지 않은 곳에 살면서 몇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는 사람들로 공급된다. 두 가지 유형의 관광은 모두 영토와 인구 밀집 지역의 조직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켰다.

또한, 20세기 후반에는 일련의 공원이 건설되면서 가르다 호수를 따라 진정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형성되었다.[14] 가장 중요한 것은 수많은 관광 명소를 보유한 이탈리아 최대의 테마파크인 가르다랜드이다.

가르다랜드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방문객이 찾는 테마파크이다.


가르다 호수는 스포츠 관광의 인기 있는 목적지이기도 하다. 리바, 토르볼레, 캄피오네는 요트, 윈드서핑 및 카이트보딩을 즐기는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바람으로 유명하다. 첸토미글리아 레가타도 매년 이곳에서 열린다.

8. 교통

가르다호는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018년에 개통된 ''Ciclopista del Garda''는 리모네에서 리바까지 이어지는 자전거와 보행자를 위한 공유 도로이다.

8. 1. 페리

호수에서 운행 중인 페리


나비가지오네 라기에서 선박 운송을 제공한다. 매일 페리 서비스가 가르다호 동쪽과 서쪽 해안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이 서비스는 데센차노 델 가르다에서 리바 델 가르다까지 페스키에라 델 가르다, 살ò 및 말체시네를 경유하여 운행된다.

8. 2. 철도

이 지역은 밀라노-베네치아 철도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데센차노-시르미오네역과 페스키에라역이 있다.

8. 3. 버스

버스는 페리 서비스보다 더 빠른 대안이다. 동쪽 해안에서는 ATV(베로나 교통 회사)가 베로나가르다 사이를 오가는 최소 5개의 버스 노선을 매일 운행하며, 이 중 한 노선은 리바 델 가르다까지 연장된다. 트렌티노 교통은 리바 델 가르다와 로베레토 또는 트렌토 사이를 매일 버스로 운행한다. 서쪽 해안에서는 SAIA(브레시아 모빌리타)가 데센차노 델 가르다, 살로, 가르냐노와 브레시아 사이를 정기적으로 버스로 운행한다.

시르미오네에서 브레시아로 향하는 버스

8. 4. 고속도로

-- 브레시아-몬티키아리228.8413.5BS----주차 구역 "캄파뇰라"232.2409.1BS----데센차노243.9397.4BS--
휴게소 "몬테 알토"244.6396.7BS----시르미오네251.3390.0BS----페스키에라258.8382.5VR----카스텔누오보 델 가르다 (건설 중)
-- 국도 450 아피266.3375.0VR----주차 구역 "발 디 소나"268.4372.9VR----솜마캄파냐
-- 베로나-빌라프란카270.4370.9VR--휴게소 "몬테 발도"271.7369.6VR--
-- A22 고속도로275.3366.0VR--



A22 모데나 – 브레네로
유형출구↓km↓↑km↑유럽 고속도로
-- A4 고속도로86228VR--
--베로나
-- 베로나-빌라프란카
88226VR--
휴게소 "가르다"104210VR--
--아피–가르다 호수 남쪽108206VR--
휴게소 "아디제"128186VR--
--알라–아비오135179TN--
--로베레토 남쪽–가르다 호수 북쪽147167TN--


8. 5. 도로

가르다호는 호수 전체를 따라 이어지는 다음과 같은 도로망을 통해 연결된다.

참조

[1] 웹사이트 Origine del toponimo Garda http://www.lagodigar[...] 2011-02-12
[2] 서적 Lake Como, Lake Lugano, Lake Maggiore, Lake Garda – The Italian Lakes https://books.google[...] Hunter Publishing, Inc 2011
[3] 웹사이트 Valori climatici normali di temperatura e precipitazione in Italia https://www.isprambi[...] Istituto Superiore per la Protezione e la Ricerca Ambientale 2024-11-26
[4] 웹사이트 Climate data for Salò, Lake Garda http://clisun.casacc[...] Enea-Casaccia 2024-11-26
[5] 웹사이트 Clima - Lago Garda (Veneto) https://www.climievi[...] Climi e viaggi 2024-11-26
[6] FishBase carpio
[7] 간행물 "''Salmo carpio''" https://www.iucnredl[...] IUCN 2023-05-03
[8] 논문 Biology of carpione, ''Salmo carpio'' L., an endemic species of Lake Garda (Italy) 1990-11
[9] 웹사이트 Salmonidae up 10 kg >> Salmo carpio http://www.fishing-w[...] 2016-11-28
[10] 서적 La guerra d'acqua dolce. Navi e conflitti medievali nell'Italia settentrionale https://www.academia[...] Clueb 2023-04-26
[11] 서적 Europe in the Era of Two World Wars: From Militarism and Genocide to Civil Society 1900-195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문서 Virgil, Aeneid, 10.163 https://www.poetryin[...]
[13] 웹사이트 Lake Garda Resorts http://www.lakegarda[...] 2016-09-28
[14] 웹사이트 Explore Lake Garda, Italy https://www.explorel[...] 2024-11-13
[15] 웹사이트 Ledro Alps and Judicaria Biosphere Reserve, Italy https://en.unesco.or[...] 2022-04
[16] 문서 멸종위기종으로 구별 http://www.iucnredl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