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사마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사마번은 가마쿠라 시대부터 가사마 씨가 지배하던 지역으로, 이후 여러 번주가 교체되며 에도 시대를 거쳤다. 1601년 마쓰다이라 야스시게가 3만 석 규모로 번을 세웠으나, 이후 오가사와라 씨, 마쓰다이라 야스나가, 나가이 나오카쓰, 아사노 씨 등을 거쳐 이노우에 씨가 번주가 되었다. 1747년 마키노 사다미치가 번주가 된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마키노 씨가 통치했으며, 가사마야키와 검술이 발달했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참여했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카와 오가사와라씨 - 이누야마성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위치한 이누야마성은 기소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의 평산성으로, 가장 오래된 천수각을 가진 국보이자 백제성이라는 별칭을 가진 성으로, 오다 히로치카가 쌓은 도리데에서 시작되어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나루세 가문이 다스리다 현재는 공익재단에서 관리하며 일본 100명성 및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미카와 오가사와라씨 - 사쿠라번
    사쿠라번은 다케다 노부요시가 시작하여 도이 도시카쓰가 사쿠라성을 축성하고 호리타 가문이 노중을 배출했으며 홋타 마사요시가 쇄국 정책 종식을 주장하다 폐번치현으로 폐지된 번이다.
  • 나가오카번 (에치고국) - 요이타번
    요이타번은 에도 시대 에치고국에 존재했던 번으로, 마키노 씨가 다스리다가 이이 씨로 교체되어 메이지 유신을 맞이했고, 보신 전쟁 이후 폐번치현을 거쳐 니가타현에 편입되었다.
  • 나가오카번 (에치고국) - 고모로번
    고모로번은 센고쿠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에 걸쳐 시나노국 고모로 지역을 다스린 번으로, 센고쿠 히데히사 이후 마쓰다이라, 아오야마, 사카이, 니시오, 마키노 가문 등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특히 마키노 가문이 1702년부터 폐번치현까지 안정적으로 번정을 운영했다.
가사마번
개요
이름가사마 번 (笠間藩)
로마자 표기Kasama-han
국가도쿠가와 막부 시대의 일본
위치현재의 이바라키현 일부
역사
성립1601년
폐지1871년
시대에도 시대
통치
정치 체제다이묘 영지
거성가사마 성

2. 역사

가사마성은 원래 가마쿠라 시대부터 이 지역을 다스린 가사마 씨의 거점이었다. 그러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오다와라 정벌에서 오다와라 호조를 지원한 죄로 가사마 씨는 멸망했고, 그들의 영지는 우쓰노미야 씨에게, 그 후 1598년에는 가모 히데유키에게 주어졌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1601년 마쓰다이라 야스시게는 이전 영지인 기사이번에서 3만 고쿠로 승진하여 새로 창설된 가사마 번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몇 년 후인 1608년 시노야마 번으로 전봉되었다. 그는 가사마에서 재정 부실로 인해 1년도 채 안 되어 면직된 오가사와라 요시쓰구로 교체되었다.

1612년 가사마는 후시미 성의 전 성주였던 마쓰다이라 야스나가에 의해 부활했다. 그는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1616년 다카사키 번으로 승진할 때까지 이 영지를 소유했다. 1622년까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장 오래된 가신 중 한 명인 나가이 나오카쓰로 교체되었다.

그 후 가사마는 아사노 나가시게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그의 아들인 아사노 나가노가 1645년 아코 번으로 전봉될 때까지 지배했다. 1645년부터 1692년까지는 이노우에 씨의 방계가, 1692년부터 1702년까지는 혼조 마쓰다이라 씨가 지배했다. 이노우에 씨1702년 가사마로 돌아와 1747년까지 3대에 걸쳐 통치했다.

1747년 교토쇼시다이이자 휴가국 나베오카 번의 다이묘였던 마키노 사다미치가 가사마로 전봉되었고, 그의 후손들은 메이지 유신까지 이 영지를 소유했다. 마키노 씨 아래에서 이 번은 도자기의 일종인 가사마야키와 특히 ''지겐류''와 ''유신일도류''를 비롯한 많은 일본 검술 학교로 유명해졌다. 이 번은 또한 쇼군 행정부 내에서 그들이 맡았던 수많은 관직 때문에 마키노 영주들의 지출이 매우 컸기 때문에 새로운 쌀 경작지를 개척하고 수확량을 늘리기 위한 비료 개발에도 힘썼다.

분세이 시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번에는 360 가구의 사무라이가 가사마 성에 거주하고 있었고, 이는 348 가구의 평민 가구에 비해 많은 수치였다.[1]

2. 1. 가사마씨 시대 (가마쿠라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가마쿠라 시대 초기부터 가사마씨가 가사마 지역을 소유했다.[4] 1590년 오다와라 정벌 때, 18대 가사마 쓰나이에가 종가인 우쓰노미야씨에게 반기를 들었다.[4] 그 전투 후 우쓰노미야씨에게 공격받아 가사마씨는 멸망했다.[4] 통설에서는 가사마씨가 고호조씨와 결탁했기 때문에 우쓰노미야씨에게 공격받았다고 알려져 있지만, 가사마 쓰나이에가 우쓰노미야씨를 따라 오다와라 정벌에 참가한 기록이 존재하므로, 다른 이유라고 생각된다.[4]

2. 2. 에도 시대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1601년 마쓰다이라 야스시게무사시 기사이번에서 3만 석으로 입봉하여 가사마번을 세웠다. 1608년 야스시게가 단바사사야마번으로 옮겨간 후, 오가사와라 요시쓰구가 시모사사쿠라번에서 들어왔으나, 요리의 급료 횡령 및 가신화 문제로 해임되었다.[4]

그 후 가사마번은 잠시 막부령이 되었다가, 1612년 마쓰다이라 야스나가가 시모사 고가번에서 입봉하였다. 1616년 야스나가가 고즈케다카사키번으로 이봉되자, 나가이 나오카쓰가 들어왔다. 1622년 나오카쓰는 고가번으로 이봉되었고, 히타치 마카베번의 영주였던 아사노 나가시게가 마카베 영지를 합쳐 입봉했다. 1645년 그의 아들 나가나오 때 하리마아코번으로 이봉했다.

아사노 가문의 뒤를 이어 이노우에 마사토시도토미요코스카번에서 입봉했다. 1692년 그의 아들 마사토미노구조(하치만)번으로 이봉되었고, 혼조 무네스케가 시모쓰케아시카가번에서 입봉했다. 1702년 그의 아들 스케토시 때 도토미 하마마쓰번으로 이봉했고, 이노우에 마사미네가 히타치 시모다테번에서 들어왔다. 1747년, 3대째 이노우에 마사쓰네무쓰이와키다이라번으로 이봉했다. 휴가노베오카번에서 마키노 사다미치가 들어왔다. 이후 가사마번은 에치고나가오카번의 지번으로서 마키노 가문의 영유로 고정되어 메이지 유신을 맞이하게 된다.

산업면에서는 번주 마키노 사다요시의 보호 정책으로 가사마야키 발전의 초석이 다져졌다.

번주가 대대로 검술을 장려하여, 유신일도류와 지겐류를 주로 두 개의 주요 유파로 삼았다. 그 결과, 소규모 번이었지만 검술이 융성하여 "검은 서쪽의 야나가와(지쿠고야나가와번), 동쪽의 가사마"로 그 용맹함이 알려지게 되었다. "감히 미토에 뒤지지 않는다"라는 상투적인 표현이 있어, 이웃의 미토번을 라이벌시했다. 막부 말기에는 "미토의 용감함으로도 가사마를 격파하는 것은 곤란하다"라고 말해, 여러 번의 유력 검객도 한 번은 가사마의 땅을 밟았다고 한다.

막부 요직에 취임하는 경우가 많았던 마키노 가문은 그 때문에 만성적인 재정난에 시달렸다. 이는 표고 8만 석에 비해 실제 수확량이 따르지 않았던 것이 근본 원인이었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신전 개발이나 비료 개선 등으로 여러 번에서는 표고를 크게 상회하는 수확이 있었지만, 가사마번은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보신 전쟁에서는 관군에 속해 무쓰 아이즈번 공격에 참여한 것으로 상전록을 받아, 본번인 에치고 나가오카번과는 다른 행보를 보였다.

2. 3. 보신 전쟁과 메이지 유신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속해 아이즈번 공격에 참여했다.[1]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으로 가사마번은 폐지되었다.

3. 역대 번주

#이름재임 기간가문비고
1마쓰다이라 야스시게1601년 ~ 1608년마쓰이 마쓰다이라 가문기사이 번에서 전봉, 시노야마 번으로 전봉
2오가사와라 요시쓰구1608년 ~ 1609년오가사와라 씨재정 문제로 1년 만에 면직[1]
1609년 ~ 1612년에도 막부막부령
3마쓰다이라 야스나가1612년 ~ 1616년도다 마쓰다이라 가문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다카사키 번으로 승진[1]
4나가이 나오카쓰1617년 ~ 1622년나가이 씨고쿠다카 32,000석에서 52,000석으로 증가[1]
5아사노 나가시게1622년 ~ 1632년아사노 씨
6아사노 나가나오1632년 ~ 1645년아사노 씨아코 번으로 전봉
7이노우에 마사토시1645년 ~ 1675년이노우에 씨
8이노우에 마사토1669년 ~ 1692년이노우에 씨
9혼조 무네스케1692년 ~ 1699년혼조 씨
10혼조 스케토시1699년 ~ 1702년혼조 씨
11이노우에 마사미네1702년 ~ 1722년이노우에 씨재봉
12이노우에 마사유키1722년 ~ 1737년이노우에 씨
13이노우에 마사쓰네1737년 ~ 1747년이노우에 씨
14마키노 사다미치1747년 ~ 1749년마키노 씨노베오카 번에서 전봉
15마키노 사다나가1749년 ~ 1796년마키노 씨
16마키노 사다하루1792년 ~ 1817년마키노 씨
17마키노 사다모토1817년 ~ 1828년마키노 씨
18마키노 사다카쓰1828년 ~ 1840년마키노 씨
19마키노 사다노리1840년 ~ 1841년마키노 씨
20마키노 사다히사1841년 ~ 1850년마키노 씨
21마키노 사다나오1851년 ~ 1868년마키노 씨
22마키노 사다야스1868년 ~ 1871년마키노 씨폐번치현으로 가사마 번 폐지



1747년 마키노 사다미치휴가국 노베오카 번에서 가사마 번으로 전봉된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마키노 씨가 가사마 번을 다스렸다. 마키노 씨는 마키노 도자기 생산과 지겐류, 유이신-잇토리류 등 검술 학교로 번을 발전시켰다. 또한 보신 전쟁에서는 황실군 편에 서서 아이즈 전투에 참여했다.[1]

3. 1. 마쓰이 마쓰다이라 가문

'''마쓰이마쓰다이라씨''' (譜代|후다이일본어) 1601-1608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石高|석고일본어
1마쓰다이라 야스시게|ja|松平 康重한국어1601년 ~ 1608년周防守|스오노카미일본어従四位下|종4위하일본어30,000곡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마쓰다이라 야스시게는 이전 영지인 기사이 번에서 3만 곡으로 승진하여 1601년 새로 창설된 가사마번을 받았다.[1] 그러나 그는 몇 년 후인 1608년 단바국의 시노야마 번으로 전봉되었다.[1]

3. 2. 오가사와라 가문

오가사와라 요시쓰구小笠原吉次|오가사와라 요시쓰구일본어 재위 1608년 ~ 1609년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石高|석고일본어
1오가사와라 요시쓰구|小笠原 吉次|오가사와라 요시쓰구일본어1608년 ~ 1609년和泉守|이즈미노카미일본어従五位下|종5위하일본어30,000고쿠



가사마에서 재정 부실로 인해 1년도 채 안 되어 면직되었다.[1]

3. 3. 도다 마쓰다이라 가문

마쓰다이라 야스나가(松平康長일본어)는 1612년부터 1616년까지 가사마번을 다스렸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었던 그는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다카사키번으로 승진하였다.[1] 마쓰다이라 야스나가의 관위는 종4위하 ''탄고노카미''(丹後守)였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다다-마쓰다이라 씨 (후다이) 1612-1616
1마쓰다이라 야스나가1612년 ~ 1616년탄고노카미 (丹後守)종4위하 (従四位下)30,000


3. 4. 나가이 가문

永井直勝|나가이 나오카쓰일본어 재위 1617년 ~ 1622년

나가이 나오카쓰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오랜 가신 중 한 명으로, 1617년부터 1622년까지 가사마번을 다스렸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가사마번의 고쿠다카(石高)는 32,000석에서 52,000석으로 증가했다.[1]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나가이 가문 (후다이) 1617년 ~ 1622년
1나가이 나오카쓰| 永井 直勝일본어1617년 ~ 1622년우콘노타이후 (右近大夫)종5위하 (従五位下)32,000 → 52,000


3. 5. 아사노 가문

아사노 나가시게(1622년~1632년)

아사노 나가나오(1632년~1645년)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石高)
1아사노 나가시게|浅野長重일본어1622년-1632년우네메노카미 (采女正)종4위하 (従四位下)53000곡
2아사노 나가나오|浅野長直일본어1632년-1645년다쿠미노카미 (内匠頭)종5위하 (従五位下)53000곡


3. 6. 이노우에 가문

이노우에 마사토시(1645년 ~ 1675년)와 이노우에 마사토(1669년 ~ 1692년)는 가사마번을 다스린 이노우에 씨 가문의 번주들이다.

이노우에 마사토시는 1645년부터 1675년까지 가사마번을 통치했으며, 관위는 ''가와치노카미''(河内守)이고 조정 관직은 종5위하(従五位下)였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번의 고쿠다카(石高)는 50,000석이었다.[1]

이노우에 마사토는 1669년부터 1692년까지 가사마번을 통치했으며, 관위는 ''나카쓰카사노쇼유''(中務少輔)이고 조정 관직은 종5위하(従五位下)였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에도 번의 고쿠다카는 50,000석이었다.[1]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石高)
1이노우에 마사토시|井上正利일본어1645년 ~ 1675년가와치노카미(河内守)종5위하(従五位下)50,000
2이노우에 마사토|井上正任일본어1669년 ~ 1692년나카쓰카사노쇼유(中務少輔)종5위하(従五位下)50,000


3. 7. 혼조 가문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혼조 씨 (후다이) 1692년-1702년
1혼조 무네스케1692년-1699년이바노카미 (因幡守)종4위하 (従四位下)40,000석
2혼조 스케토시1699년-1702년호키노카미 (伯耆守)종4위하 (従四位下)40,000석


3. 8. 이노우에 가문 (재봉)

이노우에 마사미네(재위 1702년 ~ 1722년), 이노우에 마사유키(재위 1722년 ~ 1737년), 이노우에 마사쓰네(재위 1737년 ~ 1747년)[1]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井上正岑|이노우에 마사미네일본어1702년 ~ 1722년河内守|가와치노카미일본어侍従|지주일본어50000곡 -> 60000곡
2井上正之|이노우에 마사유키일본어1722년 ~ 1737년河内守|가와치노카미일본어60000곡
3井上正経|이노우에 마사쓰네일본어1737년 ~ 1747년河内守|가와치노카미일본어侍従|지주일본어60000곡


3. 9. 마키노 가문

1747년 교토 쇼시다이이자 휴가국 노베오카 번의 다이묘였던 마키노 사다미치가 가사마로 전봉되었고, 그의 후손들은 메이지 유신까지 이 영지를 소유했다.[1] 마키노 씨 아래에서 이 번은 도자기의 일종인 마키노 도자기와 특히 ''지겐류''와 ''유이신-잇토리류''를 비롯한 많은 일본 검술 학교로 유명해졌다.[1] 이 번은 또한 쇼군 행정부 내에서 그들이 맡았던 수많은 관직 때문에 마키노 영주들의 지출이 매우 컸기 때문에 새로운 쌀 경작지를 개척하고 수확량을 늘리기 위한 비료 개발에도 힘썼다.[1] 이 번은 보신 전쟁 동안 황실군 편에 섰고 아이즈 전투에 참여했다.[1]

마키노 가문은 후다이 다이묘로 8만 석을 다스렸다. 1747년부터 1871년 폐번치현까지 가사마 번을 통치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조정 관직고쿠다카
1마키노 사다미치|牧野 貞通일본어1747년 ~ 1749년빈고노카미 (備後守); 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80,000석
2마키노 사다나가|牧野 貞長일본어1749년 ~ 1796년빈고노카미 (備後守); 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80,000석
3마키노 사다하루|牧野 貞喜일본어1792년 ~ 1817년엣추노카미 (越中守)종5위하 (従五位下)80,000석
4마키노 사다모토|牧野 貞幹일본어1817년 ~ 1828년엣추노카미 (越中守)종5위하 (従五位下)80,000석
5마키노 사다카쓰|牧野 貞一일본어1828년 ~ 1840년엣추노카미 (越中守)종5위하 (従五位下)80,000석
6마키노 사다노리|牧野 貞勝일본어1840년 ~ 1841년--80,000석
7마키노 사다히사|牧野 貞久일본어1841년 ~ 1850년엣추노카미 (越中守)종5위하 (従五位下)80,000석
8마키노 사다나오|牧野 貞直일본어1851년 ~ 1868년엣추노카미 (越中守)종4위하 (従四位下)80,000석
9마키노 사다야스|牧野 貞寧일본어1868년 ~ 1871년-종5위하 (従五位下)80,000석



1719년 13세의 나이로 가문을 상속한 휴가 노베오카 번주 마키노 사다미치는 주자번, 사사 봉행,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하고 1740년에 히타치 가사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영지의 내고는 표고보다 수천 석 정도 적은 경우가 많았다. 막부 말기의 수확고를 내고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나가오카 번의 내고는 표고의 2배에 가깝지만, 가사마 번은 종가인 에치고 나가오카 번의 약 6할 정도였지만, 표고는 나가오카 번을 약 6,000석 상회했다.

변방의 노베오카에서 에도에 비교적 가까운 가사마 번으로 이봉에 성공한 사다미치는 아들 2명(타다노리, 타다토시)를 나가오카 번에 양자로 보냈다. 차대 사다나가(貞長)는 사실 마키노 타다치카의 타다노리 적자 인정 후에 태어난 친아들로, 처음에는 마키노 성을 허락받지 못하고 마키노 타다히로를 막부에 친동생으로 신고한 뒤 나가오카 번주로 삼았다.[6]

4. 경제 및 산업

笠間焼일본어마키노 가문 통치 시기에 발전의 초석이 다져졌다.[1] 에도 시대 후기에는 새로운 논밭을 개발하고 비료 사용을 개선하여 수확량을 늘리고자 노력하였다.[1]

5. 문화

번주들이 검술을 장려하여 유신일도류와 지겐류를 중심으로 여러 일본 검술 유파가 번성했다.[1] "검은 서쪽의 야나가와, 동쪽의 가사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검술이 융성했다.[1] 미토번을 라이벌시하는 풍조가 있었다.

6. 메이지 유신 이후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으로 가사마번은 폐지되었다.[2][3] 가사마번의 영지는 히타치국, 무쓰국 등에 걸쳐 있었다.

히타치국
이바라키군 84개 촌
마카베군 28개 촌



무쓰국 (이와키국)
이시카와군 5개 촌 (이 중 3개 촌은 시라카와현에 편입)
다무라군 14개 촌
이와사키군 12개 촌
이와키군 30개 촌



구 가사마 번주가는 화족에 포함되어 자작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do daimyo.net http://www1.parkcity[...] 2007-10-25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4] 서적 戦国大名宇都宮氏と家中 岩田書院 2014
[5] 문서 寛政譜及び「続藩翰譜」、牧野家公式記録『御家譜』で貞通子、『御附録』で忠周実子とある。少なくとも1982年に済海寺旧越後長岡藩主家牧野家墓所の悠久山への改葬が行われるが、鈴木公雄を団長とする済海寺遺跡調査団による緊急遺骨調査では人類学、骨学上は『御附録』説が真実である可能性が高いとしている。
[6] 보고서 港区三田済海寺 長岡藩主牧野家墓所発掘調査報告書 東京都港区教育委員会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