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상 입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상 입자는 실제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양자장론의 섭동 이론에서 발생하는 개념이다. 이들은 에너지-운동량 관계를 정확히 따르지 않으며, 실험에서 직접 관측되지 않고 반응의 중간 과정에서 생성 소멸한다. 가상 입자는 쿨롱 힘, 강한 핵력, 약한 핵력 등 다양한 물리 현상에서 가상 광자, 글루온, W 및 Z 보손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파인만 다이어그램으로 표현된다. 또한, 진공 상태에서 나타나는 진공 요동의 일종으로, 카시미르 효과와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가상 입자는 짧은 시간 동안 존재하며 쌍생성, 언루 효과, 진공 붕괴 등과 관련이 있으며, 실제 입자와 달리 에너지-운동량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자장론 - 페르미-디랙 통계
    페르미-디랙 통계는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는 페르미 입자의 통계적 분포를 설명하는 양자 통계로, 금속 내 전자 현상 등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페르미 입자가 특정 에너지 준위를 점유할 확률을 나타낸다.
  • 양자장론 - 양자 색역학
    양자 색역학은 색 전하를 국소 대칭으로 정의한 SU(3) 게이지 군의 비아벨 게이지 이론으로, 쿼크와 글루온을 기본 입자로 하여 쿼크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며, 점근적 자유성과 색 가둠의 특징을 가지는 이론이다.
  • 물리학 개념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물리학 개념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가상 입자
개요
이름가상 입자
영어Virtual particle
설명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수명이 짧은 입자
관련 개념양자 요동
상세 내용
등장 배경양자장론
설명중간 상태에서 나타나는 입자로, 실제 입자와 달리 질량-에너지 관계를 만족하지 못함.
보존되는 양자수는 보존함.
특징직접 관측 불가
계산 과정에서만 존재
예시입자-반입자 쌍의 생성 및 소멸
전자의 자체 에너지
해석파인만 도형에서 내부선으로 표현됨.
에너지-시간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존재 가능.
현실성 논란가상 입자의 현실성에 대한 다양한 해석 존재

2. 성질

가상 입자는 양자장론의 섭동 이론에서 나타나는 개념이다. 섭동 이론에서는 실제 입자 간의 상호작용(힘)을 가상 입자의 교환으로 계산한다.[5] 이러한 계산은 주로 파인만 다이어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다이어그램에서 가상 입자는 내부선으로 표현된다. 파인만 다이어그램의 상호작용 꼭짓점에서는 운동량과 에너지가 보존된다.[5]

가상 입자는 에너지-운동량 관계를 정확히 따르지 않으며, 운동 에너지는 음수가 될 수도 있다.[6] 이는 ''오프 질량 쉘''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5] 가상 입자가 존재할 확률 진폭은 상쇄 간섭으로 인해 상쇄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 광자는 질량이 없어 두 개의 편광 상태만 갖지만, 가상 광자는 질량을 가지므로 세 개의 편광 상태를 갖는다.

양자 터널링은 가상 입자 교환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7] 가상 입자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범위는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질량이 큰 가상 입자는 더 제한된 범위를 갖는다.[8]

가상 입자는 산란 행렬의 지수로 나타나지 않으며, 관찰 가능한 입출력으로도 나타나지 않는다.

3. 여러가지 현상

가상 입자는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서 나타난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전자기력:
  • 전하 사이의 쿨롱 힘(정전기력): 가상 광자의 교환으로 발생한다. 광자는 질량이 없으므로 쿨롱 힘은 무한한 범위를 갖지만, 가상 광자가 존재할 수 있는 시간은 무한하지 않다.
  • 자기 쌍극자 사이의 자기장: 역시 가상 광자의 교환으로 발생하며, 자기력 또한 역제곱 법칙을 따른다.
  • 전자기 유도: 변화하는 (전기)자기장을 통해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이다.
  • 강한 핵력: 쿼크 사이의 강한 핵력은 가상 글루온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 이 힘의 잔류는 파이 중간자로 중간자와 같은 가상 중간자를 통해 핵에서 중성자와 양성자를 묶어준다.
  • 약한 핵력: 가상 W 및 Z 보손의 교환으로 발생한다.
  • 기타 현상:
  • 자발적 방출: 들뜬 원자나 핵이 붕괴하며 광자를 방출하는 현상으로, 전자기장의 양자화로 설명된다.
  • 카시미르 효과: 양자화된 전자기장의 바닥 상태가 전하를 띠지 않는 금속판 사이에 인력을 유발하는 현상이다.
  • 반 데르 발스 힘: 두 원자 사이의 카시미르 효과와 부분적으로 관련 있다.
  • 진공 편극: 쌍 생성 또는 진공의 붕괴를 포함하며, 입자-반입자 쌍(예: 전자-양전자)이 자발적으로 생성되는 현상이다.
  • 람 시프트: 원자 에너지 준위 위치가 미세하게 이동하는 현상이다.
  • 자유 공간의 임피던스: 전기장 세기와 자기장 세기 사이의 비율을 정의한다.
  • 안테나 근거리장: 안테나 근처에서 가상 광자는 자기 유도 및 전기 쌍극자 효과에 기여하며, 이는 실제 광자와 섞여 전자기파의 세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현상들은 고체 물리학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반도체에서는 전도대의 전자, 가전자대의 , 결정 격자의 포논이 각각 장 이론의 전자, 양전자, 광자 역할을 대신한다.

4. 파인만 다이어그램

파인만 다이어그램은 산란 진폭 계산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파인만 다이어그램에서 실제 입자는 실선, 가상 입자는 점선 또는 물결선으로 표현된다.[5]

입자 교환 산란도


위 그림에서 실선은 실제 입자(운동량 p1 등)에 해당하고, 점선은 운동량 ''k''를 전달하는 가상 입자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실선이 전자기력을 통해 상호 작용하는 전자에 해당한다면, 점선은 가상 광자의 교환에 해당한다. 상호 작용하는 핵자의 경우, 점선은 가상 파이온이 된다. 강력을 통해 상호 작용하는 쿼크의 경우, 점선은 가상 글루온이 된다.

페르미온 전파자가 있는 1-루프 다이어그램


가상 입자는 위와 같이 중간자 또는 벡터 보존일 수 있으며, 페르미온일 수도 있다. 그러나 양자수를 보존하기 위해 페르미온 교환과 관련된 대부분의 간단한 다이어그램은 금지된다. 오른쪽 그림은 허용된 다이어그램인 1-루프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실선은 페르미온 전파자에 해당하고, 물결선은 보존에 해당한다.

5. 진공

엄밀한 의미에서 입자는 입자 소멸 연산자 ''a''와 입자 생성 연산자 ''a'' (때로는 통칭하여 사다리 연산자라고 함)를 사용하여 입자 수 연산자 ''a''''a''의 고유 상태로 간주된다. 많은 경우, 입자 수 연산자는 시스템의 해밀토니안과 교환하지 않는다. 이는 공간 영역 내 입자 수가 잘 정의된 양이 아니라 다른 양자 관측 가능량과 마찬가지로 확률 분포로 표현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자는 확실히 존재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진공 에너지의 ''가상 입자'' 또는 ''진공 요동''이라고 부른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시간-에너지 불확정성 원리가 진공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12]

진공에서 가상 입자의 "존재"에 대한 중요한 예는 카시미르 효과이다.[13] 여기에서, 이 효과에 대한 설명은 진공 내 모든 가상 입자의 총 에너지를 합산해야 한다. 따라서 가상 입자 자체는 실험실에서 직접 관찰할 수 없지만, 관찰 가능한 효과를 남긴다. 즉, 그들의 영점 에너지는 적절하게 배치된 금속판 또는 유전체에 작용하는 힘을 발생시킨다.[14] 한편, 카시미르 효과는 상대론적 반 데르 발스 힘으로 해석될 수 있다.[15]

6. 쌍생성

가상 입자는 흔히 모든 종류의 기본 입자반입자 쌍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쌍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존재하며 서로 소멸한다. 하지만 외부 에너지를 사용하여 쌍을 분리하면 소멸을 막고 실제 입자가 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두 가지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가속 좌표계에서 가상 입자는 가속하는 관찰자에게 실제 입자로 보일 수 있는데, 이것을 언루 효과라고 한다. 간단히 말해, 정지 좌표계의 진공은 가속하는 관찰자에게 실제 입자의 따뜻한 기체열역학적 평형을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

또 다른 예는 매우 강한 전기장 내에서의 쌍생성으로, 때로는 진공 붕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원자핵이 융합되어 전하가 약 140보다 큰 핵을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형성하는 경우(즉, 미세 구조 상수의 역수보다 큰 경우. 이는 무차원량이다) 전기장의 세기는 진공 또는 디랙 바다에서 양전자-전자 쌍을 생성하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이때 전자는 핵에 끌려 양전하를 소멸시킨다. 이러한 쌍 생성 진폭은 1951년 줄리안 슈윙거에 의해 처음 계산되었다.

7. 실제 입자와의 비교

실제 입자는 에너지-운동량 관계를 따르지만, 가상 입자는 이 관계를 정확하게 따르지 않는다.[5][6] 가상 입자의 운동 에너지는 속도와 일반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며, 음수가 될 수도 있다.[6] 이러한 특성은 ''오프 질량 쉘''이라는 용어로 표현된다.[5]

실제 광자는 질량이 없고 두 개의 편광 상태만 가지는 반면, 가상 광자는 질량을 가지는 것처럼 작용하여 세 개의 편광 상태를 가진다. 가상 입자가 존재할 확률 진폭은 더 긴 거리와 시간에서 상쇄 간섭에 의해 상쇄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양자 터널링은 가상 입자 교환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7] 에너지와 시간을 공액 변수로 간주하는 불확정성 원리에 의해 가상 입자가 전달하는 힘의 범위가 제한되며, 질량이 큰 가상 입자일수록 그 범위는 더 제한된다.[8]

물리학 방정식의 일반적인 수학적 표기법에서는 가상 입자와 실제 입자를 명시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가상 입자가 포함된 과정의 진폭은 가상 입자가 없는 과정의 진폭과 간섭하지만, 실제 입자의 경우 존재와 비존재 상태는 서로 일관성을 잃고 더 이상 간섭하지 않는다.

양자장론에서 실제 입자는 근본적인 양자장의 감지 가능한 여기(excitation)로 간주된다. 반면 가상 입자는 근본적인 장의 여기로 간주되지만, 감지 가능한 입자가 아닌 힘으로만 나타난다. 가상 입자는 계산 과정에 나타나지만 단일 입자로는 감지되지 않는 "임시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산란 행렬의 지수로 나타나지 않으며, 이는 모델링되는 물리적 과정에서 관찰 가능한 입력 및 출력으로 나타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제 입자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가상 입자의 수명보다 훨씬 길다. 전자기 방사는 방출기와 흡수기 사이를 광년 동안 이동할 수 있는 실제 광자로 구성되지만, (쿨롱) 정전기력은 가상 광자 교환의 결과로 나타나는 비교적 짧은 거리의 힘이다.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Elementary Particles John Wiley & Sons
[2] 서적 An Introduction to Quantum Field Theory Westview Press
[3] 서적 Quantum Field Theory John Wiley & Sons
[4] 논문 Are virtual particles less real? http://philsci-archi[...] 2019
[5] 서적 Modern particle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 서적 A brief history of time Bantam Books 1998
[7] 서적 The new quantum universe Cambridge Univ. Press 2004
[8] 서적 Superstrings and other things : a guide to physics CRC Press/Taylor & Francis 2010
[9] 뉴스 Ephemeral vacuum particles induce speed-of-light fluctuations https://phys.org/new[...] 2017-07-24
[10] 논문 On virtual phonons, photons, and electrons
[11] 논문 Evanescent modes are virtual photons
[12] 서적 A radically modern approach to introductory physics: volume 2: four forces http://kestrel.nmt.e[...] New Mexico Tech Press 2012
[13] 논문 A vacuum can yield flashes of light http://www.nature.co[...] 2015-08-02
[14] 논문 The Casimir effect: a force from nothing 2002-09
[15] 논문 Casimir effect and the quantum vacuum 2005-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