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거 (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거는 후한 시대 흉노의 선우이다. 178년 우현왕이 되었고, 179년 장수에 의해 선우로 옹립되었다. 184년 황건적의 난 때 한나라를 지원했으며, 187년 장순의 반란에 영제의 명으로 유우를 따라 좌현왕에게 원병을 보냈다. 그러나 흉노 백성들이 잦은 병력 동원을 두려워하여 188년 반란을 일으켜 살해했다. 이후 아들 어부라가 선우가 되었으나, 수복골도후가 옹립되기도 했다. 강거의 이름은 흉노 강거종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년 사망 - 루키우스 안티스티우스 부루스
- 188년 사망 - 법진
후한 시대의 은둔 학자 법진은 부풍 미현 출신으로, 전법장의 후손이며, 박식함으로 명성을 떨치고 여러 관직 제안을 거절한 채 은둔하며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다. - 흉노의 선우 - 호한야선우
호한야선우는 흉노의 선우로서, 흉노 분열기에 한나라에 귀순하여 지원을 받아 흉노를 통일하고 한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통해 흉노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 흉노의 선우 - 어부라
어부라는 후한 말 남흉노의 선우로, 흉노족 내분으로 낙양에 망명하여 용병으로 활동하다 195년 사망했으며, 그의 손자 유연은 한조를 건국했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유
위유는 후한 말 유우의 동조연으로, 유우가 공손찬을 공격하려 할 때 만류했으며 이민족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을 건의했으나 193년에 병사한 인물이다. - 중국 삼국 시대 사람 - 위자 (삼국지)
위자는 후한 말 장막의 부장으로, 조조를 알아보고 동탁 토벌을 지원했으며, 서영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강거 (후한) | |
---|---|
기본 정보 | |
직함 | 선우 |
재위 기간 | 기원후 179년경 – 188년 |
이전 | 호정 |
이후 | 어부라오 |
아버지 | 강족 (키얀) 모계 부족 출신 |
2. 생애
광화 원년(178년), 호징이 선우로 즉위하자, 강거는 흉노의 우현왕이 되었다. 광화 2년(179년), 선우 호징이 사흉노중랑장 장수에게 살해당하자, 장수는 강거를 선우로 옹립하였다.
중평 원년(184년),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자, 강거는 우현왕 어부라에게 군사를 이끌게 하여 후한을 지원했다. 중평 4년(187년), 중산상 장순이 오환, 선비와 함께 반란을 일으키자, 영제의 명령에 따라 유주목 유우를 지원하기 위해 좌현왕에게 병력을 주어 파견하였다.
그러나 남흉노 사람들은 강거가 계속 병력을 동원하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결국 중평 5년(188년) 3월, 우부의 해락은 휴도 각호의 백마동 등 10만여 명과 함께 반란을 일으켜 강거를 살해했다.
강거가 죽은 후, 그의 아들인 우현왕 어부라가 선우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남흉노 백성들은 흉노 귀족인 수복부 출신의 골도후 수복골도후를 옹립하였다.
2. 1. 한나라와의 관계
광화 원년(178년), 호징이 선우로 즉위하였고, 강거는 우현왕이 되었다. 광화 2년(179년), 남흉노중랑장(使匈奴中郞將) 장수가 호징을 죽이고 강거를 선우에 임명하였다.[1]광화 7년(184년),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자 강거는 우현왕 어부라에게 군사를 이끌게 하여 반란군 진압을 도왔다.[2]
중평 4년(187년), 전 중산상 장순이 오환·선비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강거는 영제의 명령으로 유주목 유우를 따랐고, 좌현왕에게 병력을 주어 구원하게 하였다.[3]
그러나 남흉노 사람들은 강거가 계속 병력을 동원하는 것을 두려워하였고, 이듬해(188년)에 반란을 일으켜 강거를 죽였다.[4]
강거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인 어부라가 선우로 즉위하였으나, 남흉노의 국인들은 따로 수복골도후(須卜骨都侯)를 추대하였다.[5]
2. 2. 남흉노 내부 반란과 죽음
광화 2년(179년), 남흉노 선우 호징이 사흉노중랑장 장수에게 살해당하자, 장수는 강거를 선우로 옹립하였다.[1]중평 4년(187년), 전 중산상 장순이 오환·선비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1] 강거는 영제의 명령으로 유주목 유우를 따랐고, 좌현왕에게 병력을 주어 구원하게 하였다.[1]
그러나 남흉노 사람들은 강거가 계속 병력을 동원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이듬해(188년)에 반란을 일으켜 강거를 죽였다.[1]
강거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인 어부라가 선우로 즉위하였으나,[1] 남흉노의 국인들은 따로 수복골도후(須卜骨都侯)를 추대하였다.[1]
3. 강거의 이름에 대한 논란
강거라는 이름은 『진서』 사이지 북적흉노 조에 기재된 남흉노 19개 종족 중 하나인 강거종과 같은 이름이다. 오카자키 후미오의 『위진남북조통사』에서는 남선우의 계통(묵돌로부터 이어지는 허련제부)과 강거로부터 시작되는 계통(전조의 유씨)은 다르다고 보고 있다. 허련제부는 대대로 선우를 선출해 온 남흉노의 도각종에 속하지만, 『후한서』에서 차뉴 선우(재위: 140년) 이후의 계통이 이어져 있는지가 불분명하므로, 어쩌면 강거 선우는 도각종의 선우가 아니라 강거종에서 나온 선우일지도 모른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우치다 긴푸의 『북아시아사 연구』에서는 『진서』 이구전과 『진양추』, 『위서』 위조전 등의 사료에 전조의 유씨가 도각종이라는 기술이 있으며, 오히려 강거라는 이름은 그 출생 시에 도각종이 강거종에 대해 행한 토벌정복, 혹은 강거종(갈족의 전신)이 귀순한 기념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보았다.
참조
[1]
서적
Hou Han Shu
https://ctext.org/ho[...]
[2]
서적
"Materials on the history of nomadic peoples in China. 3rd – 5th cc. AD. Issue 2. Jie"
Moscow, Oriental Literature
1990
[3]
서적
新唐書
[4]
서적
北史
[5]
서적
晋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