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개천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개천절은 대한민국과 북한의 국경일로, 고조선 건국 신화를 기념하는 날이다.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것으로 여겨지는 기원전 2333년을 기념하며,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음력 10월 3일을 국경일로 제정했다. 1949년 양력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10월 3일에 기념하며,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불꽃놀이가 열리고 마니산 참성단에서 제례가 거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월 3일 - 독일 통일의 날
    독일 통일의 날은 1990년 10월 3일 독일의 재통일을 기념하는 날이자 법정 공휴일로, 과거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서독, 동독이 각기 다른 날짜를 통일 또는 건국 기념일로 지정했으나 통일 후 최종적으로 10월 3일로 결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대한민국의 국기 게양일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 대한민국의 국경일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대한민국의 국경일 -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매년 10월 9일에 기념하며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알리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린다.
개천절
개천절 정보
단군이 세운 참성단
공식 명칭개천절
다른 이름국조개천일
기념 대상고조선 건국 신화
날짜10월 3일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로마자 표기Gaecheonjeol
한글개천절
한자開天節
문자적 의미하늘이 열린 날
관련 정보
관련 행사동맹
영고
무천
계음

2. 역사

개천절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옛 문헌에는 단군의 즉위일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함경도 등지에서는 음력 10월 3일에 단군 탄신을 기념하는 '향산제'라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15]

1909년 나철대종교를 다시 열면서, 음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여 기념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 단군은 조선 민족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음력 10월 3일을 경축일로 삼았다.[17]

1948년 대한민국 건국 후, 1949년에 개천절은 양력 10월 3일로 변경되었고, 국경일로 제정되었다.[13][14]

이영훈은 한국 민족주의와 개천절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9]

2. 1. 기원

예로부터 함경도 지방 등에서는 음력 10월 3일에 단군 탄신일을 축하하는 ‘향산제(香山祭)’라는 이름의 제사를 올리는 풍습이 존재하였으며, 여기서 개천절의 날짜가 기원하였다.[15]

1909년 1월 15일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호를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음력 10월 3일 행사를 거행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는 일제의 압박을 받고 있는 한민족의 민족정신을 기르는데 기여하였다.[17]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에서는 이때부터 음력 10월 3일을 건국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겨레'''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7][11]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도 이어져 1948년 9월 25일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단군기원(檀君紀元)을 국가의 공식 연호로 법제화하였다.[12] 이후 1949년 10월 1일에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양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3][14][17] 개천절은 원래 음력이므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음력으로 지내왔는데, 1949년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 심의회'의 심의결과 음, 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음력을 양력으로 바꾸어 거행하게 되었다.[15]

한편으로 대종교 측에서는 '''개천'''의 본래의 뜻이 단군의 건국일이 아니라 환웅이 천신(天神)인 환인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이화세계의 대업을 시작한 BC 2457년(上元 甲子年)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고 있다.[16] 환웅이 기원전 2457년 10월 3일에 하늘에서 내려와 인간과 함께 살기 시작한 날이 개천(開天)이다.[3]

1909년, 개천절이 국경일로 제정되었다.[4] 처음에는 음력 10월 3일이었으나, 1949년부터는 양력 10월 3일로 고정되었다. 개천절은 기원후 13세기 이후에 기록된 단군신화에 기반하여, 단군이 즉위하여 단군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념하고 하늘에 감사하는 날로 여겨진다. 즉위년은 자료에 따라 일정하지 않지만, 중국 전설상의 황제 요(堯)의 재위를 기준으로 기원전 2333년으로 계산하는 것이 현대 한국에서는 일반적이다. 다만, “개천절”이 환웅이 기원전 2457년에 백두산의 신단수에 내려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새로운 민족주의적 주장도 일부 존재한다.

2. 2. 대종교와 개천절

예로부터 함경도 지방 등에서는 음력 10월 3일에 단군 탄신일을 축하하는 ‘향산제(香山祭)’라는 이름의 제사를 올리는 풍습이 존재하였으며, 여기서 개천절의 날짜가 기원하였다.[15]

1909년 1월 15일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호를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음력 10월 3일 행사를 거행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는 일제의 압박을 받고 있는 한민족의 민족정신을 기르는데 기여하였다.[17]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에서는 이때부터 음력 10월 3일을 건국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겨레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7][11]

한편으로 대종교 측에서는 개천의 본래의 뜻이 단군의 건국일이 아니라 환웅이 천신(天神)인 환인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대업을 시작한 BC 2457년(上元 甲子年)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고 있다.[16]

2. 3.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개천절

1909년 1월 15일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호를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음력 10월 3일 행사를 거행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는 일제의 압박을 받고 있는 한민족의 민족정신을 기르는데 기여하였다.[17]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에서는 이때부터 음력 10월 3일을 건국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겨레'''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7][11]

2. 4.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후, 임시 정부는 음력 10월 3일을 건국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민족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1][17]

1948년 9월 25일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는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단기를 국가의 공식 연호로 법제화하였다.[12] 이후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양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3][14][17]

한편, 대종교 측에서는 '''개천'''의 본래의 뜻이 단군의 건국일이 아니라 환웅환인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대업을 시작한 기원전 2457년(上元 甲子年)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고 있다.[16]

이영훈은 한국 민족주의와 개천절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9]

2. 4. 1. 음력에서 양력으로 변경

예로부터 함경도 지방 등에서는 음력 10월 3일에 단군 탄신일을 축하하는 ‘향산제(香山祭)’라는 이름의 제사를 올리는 풍습이 존재하였으며, 여기서 개천절의 날짜가 기원하였다.[15]

1909년 1월 15일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호를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음력 10월 3일 행사를 거행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는 일제의 압박을 받고 있는 한민족의 민족정신을 기르는데 기여하였다.[17]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에서는 이때부터 음력 10월 3일을 건국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겨레'''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7][11]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도 이어져 1948년 9월 25일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단군기원(檀君紀元)을 국가의 공식 연호로 법제화하였다.[12] 이후 1949년 10월 1일에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양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3][14][17] 개천절은 원래 음력이므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음력으로 지내왔는데, 1949년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 심의회'의 심의결과 음, 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음력을 양력으로 바꾸어 거행하게 되었다.[15]

2. 5. 개천절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관점

예로부터 함경도 지방 등에서는 음력 10월 3일에 단군 탄신일을 축하하는 ‘향산제(香山祭)’라는 이름의 제사를 올리는 풍습이 있었으며, 여기서 개천절의 날짜가 기원하였다.[15]

1909년 1월 15일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다시 문호를 열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음력 10월 3일 행사를 거행하였다. 이와 같은 행사는 일제의 압박을 받고 있는 한민족의 민족정신을 기르는데 기여하였다.[17]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임시 정부에서는 이때부터 음력 10월 3일을 건국기념일로 제정하였다. 이는 당시 단군을 '''한겨레'''의 시조로, 고조선을 한민족 최초의 국가로 보는 보편화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7][11]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도 이어져 1948년 9월 25일 '연호에 관한 법률'에서 단기를 국가의 공식 연호로 법제화하였다.[12] 이후 1949년 10월 1일에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양력 10월 3일을 개천절로 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3][14][17] 개천절은 원래 음력이므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음력으로 지내왔는데, 1949년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 심의회'의 심의결과 음, 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음력을 양력으로 바꾸어 거행하게 되었다.[15]

한편으로 대종교 측에서는 '''개천'''의 본래의 뜻이 단군의 건국일이 아니라 환웅이 천신(天神)인 환인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 신단수(神壇樹)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BC 2457년(上元 甲子年) 음력 10월 3일을 뜻한다고 보고 있다.[16]

개천절은 기원후 13세기 이후에 기록된 단군신화에 기반하여, 단군이 즉위하여 단군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념하고 하늘에 감사하는 날로 여겨진다. 즉위년은 자료에 따라 일정하지 않지만, 중국 전설상의 황제 요(堯)의 재위를 기준으로 기원전 2333년으로 계산하는 것이 현대 한국에서는 일반적이다. 다만, “개천절”이 환웅이 기원전 2457년에 백두산의 신단수에 내려왔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새로운 민족주의적 주장도 일부 존재한다.

이영훈은 한국 민족주의와 개천절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9]

3. 관련 풍습

개천절이라고 이름 붙이기 이전부터 한민족은 10월을 상달(上月)이라 부르며 제천행사를 치렀다. 개천의 핵심은 제천의식이다. 이 날은 하늘 앞에 자신을 돌아보고 홍익인간(弘益人間), 이화세계(理化世界)라는 고조선의 시조 단군의 뜻을 다시 상기하였다.

이러한 제천의식은 고조선 멸망 후,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영고(迎鼓), 동예무천(舞天), 마한변한의 계음(契飮) 등의 행사로 계승되었으며, 고려조선에서도 단군신앙을 이어나갔다. 개천절은 나라의 가장 큰 축제의 날로 이 날은 다함께 천제를 지낸 후, 함께 어울려 먹고 마시며 춤을 추고 놀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제천 의식은 본래 축제날과 같은 흥겨운 날이기도 하다.

4. 개천절 노래

개천절 노래는 대종교에서 부르던 노래였으나, 개천절이 국경일로 지정되면서 지금과 같이 바뀌었다. 정인보가 작사하고 김성태가 작곡하였다.[7][8]

4. 1. 가사

정인보가 작사하고, 김성태가 작곡하였다. 원래 대종교 신도들이 부르던 노래였으나, 개천절이 국경일로 지정된 후 가사가 현재와 같이 바뀌었다.[7]

가사는 다음과 같다.[8]

'''1절'''

우리가 물이라면 새암이 있고 우리가 나무라면 뿌리가 있다. 이 나라 한 아버님은 단군이시니 이 나라 한 아버님은 단군이시니

'''2절'''

백두산 높은 터에 부자요 부부 성인의 자취 따라 하늘이 텄다. 이날이 시월 상달에 초사홀이니 이날이 시월 상달에 초사홀이니

'''3절'''

오래다 멀다 해도 줄기는 하나 다시 필 단쪽잎에 삼천리 곱다 잘 받아 빛내오리다 맹세하노니 잘 받아 빛내오리다 맹세하노니

5. 현대 사회와 개천절

개천절은 10월 3일 대한민국북한의 국경일로,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는 날이다. '개천절'이라는 단어는 인류에게 광범위한 이익을 가져다주고 이성으로 세계를 다스리는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국경일은 국가와 정체성 발전에 중요한 인물이나 사건을 기리는 경향이 있으며, 대다수 시민이 공유하는 가치와 전통을 반영한다.

5. 1. 기념 행사

개천절은 10월 3일 대한민국북한의 국경일이다. 기원전 2333년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는 날로, 전통적으로 한국 민족의 건국일로 여겨져 왔다. 북한에서는 공휴일은 아니지만, 단군릉에서 매년 기념식이 거행된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당시, 임시정부는 음력 10월 3일을 국경일로 제정하였다. 1949년 음력을 양력으로 변경하였는데, 10월 3일 기록이 귀중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대종교 신도들이 부르던 노래도 있는데, 개천절이 국경일이 된 후 가사가 바뀌어 현재와 같이 불리고 있다.

이 날은 대규모 불꽃놀이로 축하된다. 서울에서는 매년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열리며, 많은 사람들이 모여 불꽃놀이를 관람한다. 매년 이 날에는 단군을 기리는 제례가 마니산 정상의 참성단에서 거행된다. 이 제단은 단군이 세웠다고 전해지며, 한국 역사상 고대 왕들이 즐겨 찾던 전설적인 제사 장소이다.

5. 2. 불꽃놀이

개천절에는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매년 불꽃놀이가 열리며, 많은 사람들이 모여 이를 관람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영어 > Collection > Folk story > Korean Seasonal Customs and Sub-Divisions of the Seasons in the Twelve Months of the Lunar Calendar > January https://www.nfm.go.k[...]
[2] 웹사이트 Dangun https://www.worldhis[...]
[3] 백과사전 개천절(Gaecheonjeol) http://terms.naver.c[...]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4] 백과사전 개천절(Gaecheonjeol) http://100.naver.com[...] Doosan Encyclopedia
[5] 뉴스 [황규인의 잡학사전]이씨 조선보다 먼저라 고조선이 아니라고? https://news.naver.c[...] 2019-04-26
[6] 서적 대종교요람 DAEJONG unified department 1983
[7] 웹사이트 개천절 https://encykorea.ak[...]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1-02-07
[8] 뉴스 국경일 노래 아시나요? 개천절 노래를 맞춰보세요 https://news.joins.c[...] 2018-10-03
[9] 서적 大韓民国の物語 文藝春秋 2009-02
[10] 웹사이트 행정안전부 국경일 목록 http://www.mois.go.k[...]
[11] 간행물
[12] 법률
[13] 법률 국경일에관한법률 1949-10-01
[14] 법률 국경일에관한법률 2014-12-30
[15] 뉴스 http://m.news.naver.[...]
[16] 서적 『대종교요감』(대종교총본사간, 1983), 『대종교중과육십년사』(대종교총본사간, 1971)
[17] 백과사전 개천절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문화·민속[...]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7-1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