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통일의 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통일의 날(Tag der Deutschen Einheit)은 1990년 10월 3일 동독이 서독에 흡수 통합되어 독일이 재통일된 것을 기념하는 독일의 국경일이다. 1871년 독일 통일 이후 국가 공휴일이 없었고, 1954년부터 1990년까지 서독에서는 6월 17일을 '독일 통일의 날'로 기념했다. 동독에서는 1949년 건국 기념일을 10월 7일에 공화국 기념일로 기념했다. 1990년 10월 3일, 동독 인민 의회는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의 효력을 동독 지역에도 적용한다고 선언하고, 통일 조약에 따라 10월 3일을 독일 통일의 날로 지정했다. 독일 통일의 날에는 매년 기념 행사와 시민 축제가 열리며, 연방 상원 의장국인 주에서 주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월 3일 - 개천절
개천절은 대한민국과 북한의 국경일로, 단군이 고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념하며, 대종교에서는 환웅이 하늘을 연 날로 여겨 다양한 행사가 열리지만 단군신화의 역사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독일의 공휴일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독일의 공휴일 - 성 스테파노 축일
성 스테파노 축일은 기독교 최초의 순교자인 성 스테파노를 기리는 날로, 12월 26일에 기념되며, 지역마다 다양한 이름과 풍습을 가지고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공휴일로 지정되어 기념한다.
독일 통일의 날 | |
---|---|
기본 정보 | |
![]() | |
기념일 | 10월 3일 |
종류 | 국경일 |
의의 | 1990년 10월 3일의 독일 재통일을 기념 |
날짜 정보 | |
날짜 | 2025년 10월 3일 |
빈도 | 매년 |
역사적 배경 | |
중요 사건 | 독일 재통일 |
2. 역사적 배경
독일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날짜를 자국의 국가 정체성과 통일과 연관시켜 왔다.
2. 1. 제2제국 (1871년 ~ 1918년)
1871년 독일 통일 이후에도 통일된 국가 공휴일은 없었다. 그러나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의 결정적인 승리를 기념하는 세당의 날(Sedantag)이 매년 9월 2일에 비공식적으로 기념되었다.[5]1872년 제국 건국 전, 국가 공휴일에 대한 요구와 함께 세 가지 제안이 있었으나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 1873년까지 세당의 날은 1월 18일 또는 프랑크푸르트 조약이 체결된 5월 10일로 옮겨졌다. 세당의 날은 대학교와 많은 독일 도시에서 기념되었고, 프로이센의 일부 주 문화부 장관들은 세당의 날을 학교의 공식 축제로 결정했다. 많은 제안에 따라 1월 18일 황제 선포일이 기념일로 지정될 예정이었으나, 빌헬름 1세 황제는 "이 날은 또한 최초의 프로이센 국왕 대관식이 거행된 날이며, 통일된 독일 공휴일의 그림자에 가려져서는 안 된다."라며 반대했다.[6]
세당 기념일은 군사적 요소가 크기 때문에 민간인의 축일로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측면도 있었다. 이 때문에 라인-베스트팔렌 현에서는 9월 2일 전날 밤에 종을 울리고 횃불을 피우며 애국적인 노래를 부르는 등, 일부에서는 아우크스부르크 평화제와 같은 "독일다운" 축제와 퍼레이드를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2. 2. 바이마르 공화국 (1919년 ~ 1933년)
1919년 7월 31일, 바이마르 국민 의회에서 바이마르 헌법이 최종 승인되었다. "민주주의 탄생의 시간"을 기념하기 위해 8월 11일이 헌법 제정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당시 독일 대통령 프리드리히 에베르트가 이 날 헌법에 서명했기 때문이다.[1][2]2. 3. 나치 독일 (1933년 ~ 1945년)
1933년 나치당은 권력 장악 직후 5월 1일을 독일 제국의 국경일로 지정했다.[7] 5월 1일은 1890년부터 노동 운동의 날로 기념되었고, 발푸르기스의 밤을 기념하는 전통도 있었다. 나치는 5월 1일을 국경일로 제정한 바로 다음 날인 5월 2일에 노동조합을 금지하고 그들의 건물을 나치 운동의 사무실로 사용했다. 1939년 3월 1일, 히틀러는 1923년 실패한 맥주홀 폭동의 날인 11월 9일을 "운동 기념일"로 선포했다.2. 4. 분단 시대 (1949년 ~ 1990년)
1953년 동독 봉기를 기념하기 위해 서독에서는 1954년부터 1990년까지 6월 17일을 "독일 통일의 날"(Tag der deutschen Einheitde, deutschen의 d는 소문자)이라는 공식 공휴일로 지정했다.[8][16] 1963년부터 서독 대통령은 이 날을 "독일 국민의 국가 추모일"로 선포했다.[9] 그러나 196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두 독일이 다시 통일될 것이라는 희망이 사라지자, 이 날은 민족 통일을 생각하는 날보다는 휴일이자 휴식의 날이 되었다.[9] 1990년에는 "독일 통일의 날"이 두 번 기념되었는데, 6월 17일과 10월 3일이었다.[10]한편, 동독에서는 1949년 10월 7일 건국을 선언했기 때문에 10월 7일을 공화국 기념일(Tag der Republikde)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삼았다.[18] 이 날에는 카를 마르크스 대로에서 국가인민군의 군사 퍼레이드 등이 열렸다. 건국 40주년이 되는 1989년 10월 7일 직후에 사회주의 통일당에 의한 일당 독재 체제가 끝나고, 다음 해 10월 7일 이전에 서독으로 흡수되었기 때문에 1989년 10월 7일이 마지막 "공화국 날"이 되었다.
3. 독일 재통일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이 서독에 흡수 통합되는 형태로 독일 재통일이 이루어졌다. 동독 인민의회는 1990년 10월 3일부터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서독 헌법)의 효력이 동독 지역에도 적용된다고 선언했다.[12]
당초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가 일어난 11월 9일을 통일의 날로 지정하려 했으나, 이 날은 뮌헨 폭동(1923년)과 수정의 밤(1938년) 등 역사적으로 민감한 사건들이 일어난 날이어서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재통일 독일이 성립된 10월 3일을 국민의 휴일로 정했다.
국법학상, 독일 재통일은 동독이 독일 연방 공화국 기본법의 효력 하에 편입된 것이다. 이러한 헌법적 절차를 통해 재통일은 동독 시민들과 자유 선거로 선출된 인민 의회의 바람대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3. 1. 통일의 날 결정 과정
동독 인민의회는 동독의 경제적, 정치적 붕괴가 임박했음을 예상하고 10월 3일을 통일의 날로 결정했다. 10월 2일에는 헬싱키 회담이 예정되어 있었고, 이 자리에서 외무 장관들은 2+4 회담의 결과를 통보받을 예정이었다.[19]7월 초, 양 독일 정부는 10월 14일에 동독 지방 선거를, 12월 2일에는 전국에서 연방 의회 선거를 치르기로 일정을 결정했다.[20]
8월 22일, 로타어 드 메지에르 동독 총리는 인민의회 특별 회기에서 통일 날짜를 결정하는 논의를 시작했다. 격렬한 논쟁 끝에 8월 23일 오전 2시 30분, 인민의회 의장 사비네 베르크만-포흘은 다음과 같이 결과를 발표했다.[21]
"인민의회는 기본법 제23조에 따라 1990년 10월 3일부터 효력이 발생하는 독일 연방 공화국 헌법에 대한 동독의 가입을 결정한다. 사건 번호 201에 대해 363표가 나왔다. 무효표는 없었다. 294명의 의원이 '찬성' 투표를 했다. (기민/민주 연합, DSU, FDP, 일부 SPD에서 큰 박수가 터져 나왔고, 의원들은 자리에 일어섰다.) 62명의 의원은 '반대' 투표를 했고, 7명은 기권했다. 이것은 역사적인 사건이다. 신사 숙녀 여러분, 우리는 쉬운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오늘 우리는 동독 시민들의 투표권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다했다. 이 결과가 정당의 경계를 넘어 합의를 통해 가능하게 된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그레고어 기지 SED-PDS 의장은 이에 감동하여 "의장님! 의회는 1990년 10월 3일부터 독일 민주 공화국의 몰락을 결정했습니다."라고 개인적인 성명을 발표했다.[12] 이 성명에 대해 기민/민주 연합, DSU, SPD에서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21][22]
3. 2. 통일 이후
1990년 10월 3일 독일 재통일 후, 통일 조약 제2조에 따라 10월 3일 "독일 통일의 날"(''Tag der Deutschen Einheit'', Deutschen의 D가 대문자)은 독일 연방 공화국의 법정 공휴일이 되었다.[19] 연방 차원의 국민 공휴일은 이 독일 통일의 날뿐이며, 그 외의 공휴일은 연방주별로 정해진다.베를린 연방 외무성에 전시되어 있다
2004년 11월 3일, 게르하르트 슈뢰더 연방 총리는 경제적인 이유로 "독일 통일의 날"을 일요일에 기념할 것을 제안했다. 즉, 10월 3일 대신 10월 첫 번째 일요일에 국가 재통일을 기념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제안은 호르스트 쾰러 연방 대통령과 볼프강 티어제 분데스탁 의장을 포함한 많은 측에서 비판을 받았다.[13] 제기된 문제점으로는, 노동 시간 증가에 대한 불만을 불러일으켜 민족 기념일의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와, 10월 첫 번째 일요일로 고정하면 동독의 국경일(10월 7일)과 겹칠 수 있어 재통일이 아닌 독일 분단을 기념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점 등이 있었다. 결국 이 아이디어는 짧지만 격렬한 논쟁 끝에 폐기되었다.[13]
4. 기념 행사
독일 통일의 날은 매년 기념 행사와 시민 축제(Bürgerfestde)로 기념된다.
이 축제는 해당 연도에 연방 상원 의장국인 독일 주에서 주최하며, 일반적으로 주도가 그 역할을 맡는다. 쾨니히슈타인 협약에 따라 순서가 결정된다.[14]
연방 수도 베를린에서는 주로 브란덴부르크 문과 6월 17일 거리 주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주도와 다른 도시에서도 종종 추가 축제가 열린다. 또한, 전통적으로 10월 첫째 일요일까지 열리는 뮌헨의 옥토버페스트 맥주 축제는 해당 일요일이 10월 1일 또는 2일에 해당하는 경우 10월 3일까지 열린다. 개최 도시의 축제에는 항상 축제와 불꽃놀이가 포함된다.
1999년 독일 통일의 날 축하 행사 때 비스바덴에서 짚펠분트(Zipfelbund, 콤파스 연맹)가 공식화되었다. 짚펠분트는 독일의 4개의 주요 방위점[15]에 위치한 4개의 지역 사회로 구성된다. 북쪽의 리스트 (질트 섬), 서쪽의 젤프칸트, 남쪽의 오버스트도르프, 동쪽의 괴를리츠가 그 구성원이다. 이들은 독일의 현대 국경을 대표하기 위해 매년 해당 연례 축제에 함께 참여한다.
방향 | 지역 사회 | 주 |
---|---|---|
북 | List auf Sylt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서 | 젤프칸트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동 | 괴를리츠 | 작센주 |
남 | 오버스트도르프 | 바이에른주 |
1997년부터 모스크 협회는 독일 통일의 날에 무슬림이 독일 사회의 참가자라는 자기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열린 모스크의 날(Tag der offenen Moschee)"을 개최하고 있다.
4. 1. 기념 행사 개최 도시
독일 통일의 날 기념 행사는 쾨니히슈타인 협약에 따라 각 주에서 돌아가며 개최된다. 이 협약에 따르면, 매년 연방 상원 의장 주의 주도에서 기념 행사와 시민 축제(Bürgerfestde)가 열린다.[14]예외적으로 2011년에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주도 뒤셀도르프 대신 구 서독의 수도였던 본에서, 2015년에는 헤센주의 주도 비스바덴 대신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었다. 본과 프랑크푸르트는 모두 독일 정치사에서 중요한 도시이다.[14] (본은 서독의 전 수도였고, 프랑크푸르트는 1848-49년 프랑크푸르트 국민의회가 열린 곳이다.)
개최 도시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도시 | 주 |
---|---|---|
1990 | 베를린 | 베를린 |
1991 | 함부르크 | 함부르크 |
1992 | 슈베린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1993 | 자르브뤼켄 | 자르란트주 |
1994 | 브레멘 | 브레멘 |
1995 | 뒤셀도르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1996 | 뮌헨 | 바이에른주 |
1997 | 슈투트가르트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1998 | 하노버 | 니더작센주 |
1999 | 비스바덴 | 헤센주 |
2000 | 드레스덴 | 작센주 |
2001 | 마인츠 | 라인란트팔츠주 |
2002 | 베를린 | 베를린 |
2003 | 마그데부르크 | 작센안할트주 |
2004 | 에르푸르트 | 튀링겐주 |
2005 | 포츠담 | 브란덴부르크주 |
2006 | 킬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2007 | 슈베린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2008 | 함부르크 | 함부르크 |
2009 | 자르브뤼켄 | 자르란트주 |
2010 | 브레멘 | 브레멘 |
2011 | 본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2012 | 뮌헨 | 바이에른주 |
2013 | 슈투트가르트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2014 | 하노버 | 니더작센주 |
2015 | 프랑크푸르트 | 헤센주 |
2016 | 드레스덴 | 작센주 |
2017 | 마인츠 | 라인란트팔츠주 |
2018 | 베를린 | 베를린 |
2019 | 킬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2020 | 포츠담 | 브란덴부르크주 |
2021 | 할레 | 작센안할트주 |
2022 | 에르푸르트 | 튀링겐주 |
2023 | 함부르크 | 함부르크 |
2024 | 슈베린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
참조
[1]
웹사이트
www.buzer.de – Article 3 of the Treaty of German reunification ("Einigungsvertrag")
http://www.buzer.de/[...]
[2]
웹사이트
Germans mark decade of unity
http://news.bbc.co.u[...]
BBC
2024-08-16
[3]
서적
European Civil War Films: Memory, Conflict, and Nostalgia
[4]
뉴스
Schicksalstag der Deutschen
http://www.dw.de/sch[...]
Deutsche Welle (dw.de)
2004-11-09
[5]
서적
Nationalfeiertage in Deutschland 1871 bis 1945
Peter Lang, Frankfurt am Main u. a.
[6]
서적
Preußen im deutschen Kaiserreich 1871–1918. Führungsmacht des Reiches und Aufgehen im Reich
Verlag Walter de Gruyter
[7]
웹사이트
www.verfassungen.de – German holidays act from 27 February 1937 ("Gesetz über die Feiertage")
https://web.archive.[...]
2014-10-03
[8]
웹사이트
www.17juli1953.de – Law paragraph establishing July 3rd, 1953, as the "Day of German Unity" in West Germany.
http://www.17juni53.[...]
[9]
뉴스
Der 17. Juni: Tag der deutschen Zwietracht - SPIEGEL ONLINE - einestages
http://www.spiegel.d[...]
2015-10-03
[10]
웹사이트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 Presidential proclamation about July 3rd.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www.verfassungen.de – East German law on introducing the holidays "Day of Liberation" and "Day of the Republic" (1950) ("Gesetz über die Einführung der Feiertage "Tag der Befreiung" und "Tag der Republik"").
https://web.archive.[...]
2014-10-03
[12]
웹사이트
Die Nacht, in der der Beitritt beschlossen wurde
http://www.bundestag[...]
Bundestag
[13]
뉴스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 October 3rd stays holiday – Schröder: "Dishonest debate" ("3. Oktober bleibt Feiertag – Schröder: „Verlogene Debatte“)
https://www.faz.net/[...]
[14]
웹사이트
www.wahlrecht.de – Wahl des Bundesratspräsidenten & Königsteiner Vereinbarung
http://www.wahlrecht[...]
[15]
웹사이트
Impressum (Zipfelbund)
http://www.zipfelbun[...]
[16]
웹사이트
Gesetz über den Tag der deutschen Einheit, BGBl. 1953 I, S. 778
http://www.17juni53.[...]
17Juni53.de
2009-09-27
[17]
웹사이트
Proklamation des Bundesprasidenten Heinrich Lubke vom 11. Juni 1963 (BGBl. 1963 I, S. 397)
http://www.bmi.bund.[...]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2009-09-27
[18]
웹사이트
Gesetz über die Einführung der Feiertage "Tag der Befreiung" und "Tag der Republik"
http://www.verfassun[...]
www.verfassungen.de
2009-09-27
[19]
웹사이트
EinigVtr Art 2
http://bundesrecht.j[...]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2009-09-27
[20]
웹사이트
Chronik - Juli 1990
http://www.chronik-d[...]
Chronik der Mauer
2009-09-27
[21]
웹사이트
Der Beitrittsbeschluß der DDR-Volkskammer
http://www.stephanei[...]
Stephan Eisel Wedsite
2009-09-27
[22]
웹사이트
DzD 1497-1498 Nr. 397 Schreiben der Volkskammerpräsidentin Bergmann-Pohl an Bundeskanzler Kohl Berlin, 25. August 1990
http://www.2plus4.de[...]
Chronik 2 plus 4 Vertrag
2009-09-27
[23]
웹사이트
Wahl des Bundesratspräsidenten - Turnus der Bundesländer
http://www.wahlrecht[...]
Wahlrecht.de
2009-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