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옥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 옥산성은 거제면 계룡산 수정봉 정상부를 둘러싼 테뫼식 산성으로, 수정봉성이라고도 불린다. 1873년 거제부사 송희승이 8개월 만에 완공했으나, 주민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어 파직되었다. 둘레 778m, 높이 4.7m, 폭 3m이며, 자연석을 다듬어 타원형으로 쌓았고, 동서남북 네 곳에 성문을 두었다. 남쪽과 서쪽 성문은 'ㄱ'자형 옹성으로 보호되며, 옥산성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한국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3년 완공된 건축물 - 케새란타
케새란타는 헬싱키에 위치한 핀란드 총리의 공식 관저로, 1873년 개인 별장으로 건설되어 총독의 여름 별장으로 사용되다 1919년부터 총리 관저가 되었으며, 여름철에는 비공식 저녁 회의 장소로도 활용된다. - 1873년 완공된 건축물 - 상주 조공제
상주 조공제는 정기룡 장군의 매복 전술이자 조병노 목사가 축조한 제방을 의미하며, 농업 발전 기여와 함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 거제시의 문화유산 - 거제 해금강
거제 해금강은 빼어난 경관으로 '바다의 금강산'이라 불리며 세 개의 바위섬이 맞닿아 이루어진 곳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층과 십자동굴이 유명하여 명승 제2호로 지정되었다. - 거제시의 문화유산 - 거제 구영등성
거제 구영등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있는 조선시대 석성으로, 왜구 침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으며, 영등포진이 이동하면서 구영등성으로 불리게 되었고, 현재는 성벽이 훼손되었지만 조선 전기 읍성 축조 방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자료이다. - 경상남도의 기념물 - 통도사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불보사찰로, 석가모니불의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과 불상 없는 대웅전, 그리고 다수의 국보와 보물을 보유한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이다. - 경상남도의 기념물 -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약 1억 년 전 백악기 시대에 두 발로 걷는 초식 공룡 20여 마리가 남긴 400여 개의 발자국 화석으로, 공룡의 종류, 크기, 행동 양식, 사회적 행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지만 해수 침식과 훼손으로 보존 대책이 시급하다.
거제 옥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거제 옥산성 |
원어 이름 | 巨濟 玉山城 |
![]() | |
지정 유형 | 경상남도 기념물 |
지정 번호 | 10 |
지정일 | 1974년 2월 16일 |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면 동상리 산28번지 |
면적 | 일원 |
2. 역사
조선 고종 10년(1873년), 거제부사 송희승이 읍성 축조를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독자적으로 수정봉 정상에 산성을 쌓았다. 이 성은 '수정봉성'이라고도 불리며, 높이 4.7m, 둘레 778.5m 규모이다. 축성 과정에서의 문제로 송희승은 파직되었으며, 이후 축성 기록이 없어 옥산성은 사실상 조선의 마지막 산성으로 여겨진다.[2] 성 안에는 동·서·남·북 4개의 문터와 우물이 있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2. 1. 송희승과 옥산성 축조
1873년(고종 10년), 당시 거제부사였던 송희승은 조정에 거제 지역의 행정, 경제, 군사 중심지에 읍성을 쌓자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조정은 이미 세 차례나 읍터를 옮겨 백성의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이를 허가하지 않았다.이에 송희승은 조정의 허가 없이 독자적으로 옥산성이 위치한 수정봉에 성을 쌓기로 결정하였다. 성문 밖 큰 암벽에는 '옥산금성(玉山金城)'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성 안 동쪽에는 축성 내력을 기록한 비석이 남아있다.[2] 이 비석의 내용에 따르면, 송희승은 주민들을 강제로 동원하고 돈을 거두어 8개월 만에 성을 완성시켰다. 완성된 성에는 군기와 군량을 비축하여 해안 방어의 거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그러나 송희승은 성을 쌓는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무리한 부담을 주고 임금의 명령을 어겼다는 이유로 결국 파직되었다.[2] 이러한 옥산성 축조 과정은 중앙 정부의 통제와 지방관의 재량, 그리고 백성들의 부담 문제가 얽혀 있었던 당시 조선 후기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3. 구조
거제 옥산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읍 동산리 수정봉 정상부를 빙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으로, '수정봉성'이라고도 부른다.[2] 성벽은 직경 40cm에서 80cm 정도 크기의 자연석을 다듬어 산 능선의 굴곡을 따라 타원형으로 쌓아 올렸다.[2] 성의 둘레는 778m, 높이는 4.7m, 폭은 3m이다.[2]
성문은 동, 서, 남, 북 네 곳에 설치되었다.[2] 특히 적과 직접 마주하게 되는 남쪽과 서쪽 성문은 입구를 'ㄱ'자형으로 꺾어 들어오도록 옹성 구조를 갖추어 방어력을 높였다.[2] 성 안에는 우물을 비롯하여 누각, 무기고, 연못 등의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 옥산성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한국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2]
4. 평가
옥산성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조선 시대 산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2] 또한, 이후 다른 산성의 축성 기록이 없어 사실상 조선의 마지막 산성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참조
[1]
간행물
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http://210.104.249.3[...]
경상남도지사
2018-12-20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3]
보고서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 1185번지 일원 내 梁山 架山里遺蹟 Ⅴ. 고찰
https://www.cha.go.k[...]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15-09-01
[3]
보고서
양산석산지구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http://www.feaci.or.[...]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6-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