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그 하켄슈미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그 하켄슈미트는 에스토니아 출신의 프로 레슬러로, 1877년에 태어나 1968년에 사망했다. 그는 '러시안 라이언'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1905년 초대 세계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에 올랐다. 하켄슈미트는 강력한 체격과 그레코로만 레슬링 기술을 바탕으로 1900년대 초 프로 레슬링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프랭크 고치와의 라이벌 관계는 프로 레슬링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은퇴 후에는 철학, 체육, 저술 활동을 펼쳤다. 하켄슈미트는 다양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2016년에는 WWE 명예의 전당 레거시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남자 역도 선수 - 알프레드 네울란드
알프레드 네울란드는 에스토니아 발가 출신의 역도 선수이며, 14세에 역도를 시작했다.
게오르그 하켄슈미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게오르그 카를 율리우스 하켄슈미트 |
출생일 | 1877년 8월 1일 |
사망일 | 1968년 2월 19일 |
출생지 | 도르파트, 리보니아 현, 러시아 제국 (현재의 에스토니아 타르투) |
사망지 | 런던, 잉글랜드 |
신장 | 175cm |
체중 | 100kg |
링네임 | 조지 하켄슈미트 |
별칭 | 러시아의 사자 |
레슬링 정보 | |
트레이너 | 페르디난트 그룬, 게오르그 루리히 |
데뷔 | 1898년 |
은퇴 | 1911년 |
스포츠 경력 | |
종목 | 역도, 그레코로만 레슬링 |
역도 세계 선수권 대회 | 대회: 세계 선수권 대회 1898년 빈 동메달 (10개 종목) |
유럽 레슬링 선수권 대회 |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1898년 빈 금메달 (오픈 체급) |
2. 초기 생애
게오르그 하켄슈미트는 1877년 8월 1일 러시아 제국 에스토니아 타르투(당시 도르파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발트 독일인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하켄슈미트(1847년 출생[10])였고, 어머니는 에스토니아인[7][8]이자 스웨덴계 에스토니아인 혈통인 이다 루이즈 요한슨이었다.[9] 그에게는 남동생 브루노와 여동생 앨리스가 있었다. 하켄슈미트는 훗날 부모님은 특별히 건장한 체격이 아니었지만, 외할아버지는 매우 크고 힘이 센 사람이었다고 언급했다. 그의 할아버지인 크리스티안 필리프 하켄슈미트는 프로이센 출신의 염색공이었으며, 1845년에 아내와 함께 러시아 제국 시민권을 취득했고, 1881년 또는 1882년경에 사망했다.[10]
어린 시절부터 하켄슈미트는 지역 실업 학교(Dorpater Realschule)에서 체육관 시설을 이용하며 체력 단련에 힘썼다. 그는 ''고로드키'', 사이클링, 체조, 수영, 달리기, 도약, 역도 등 다양한 운동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2] 그의 엄청난 힘은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는데, 작은 말을 땅에서 들어 올리거나 한 손으로 약 125.19kg를 머리 위로 들어 올릴 정도였다. 또한 레슬러의 브릿지 자세에서 약 151.95kg 무게의 바벨을 바닥에서 가슴까지 끌어올린 뒤, 목으로 몸을 지탱하며 머리 위로 들어 올릴 수도 있었다. 그는 역도에서 여러 기록을 세웠으며, 당시 세계에서 가장 힘세고 신체적으로 잘 발달된 사람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11]
1895년 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탈린(당시 레발)에 있는 대규모 엔지니어링 공장에서 대장장이 견습생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시립 운동 및 사이클링 클럽에 가입하여 사이클링 대회에서 상을 받기도 했으며, 레슬링과 역도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의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은 1896년에 찾아왔다. 당시 에스토니아 출신의 유명 그레코로만 레슬링 선수이자 스트롱맨이었던 게오르그 루리치가 자신의 작은 극단을 이끌고 탈린을 방문하여 공개적으로 도전자를 모집했다. 하켄슈미트는 이 도전에 응했으나 패배했다. 이듬해인 1897년에는 독일 레슬러 프리츠 코니에츠코가 탈린을 방문했을 때 다시 도전하여 이전보다 나은 결과를 얻었다.
3. 프로 레슬링 경력
1898년 초, 공장에서 손을 다친 하켄슈미트는 니콜라이 2세 황제의 시의였던 블라디슬라프 크라예프스키 박사를 만났다. 크라예프스키 박사는 하켄슈미트의 뛰어난 체격을 알아보고 그에게 프로레슬러가 될 것을 권유하며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초청했다. 크라예프스키는 하켄슈미트가 세계에서 가장 강한 사람이 될 잠재력이 있다고 믿었다.[2]
부모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하켄슈미트는 1898년 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 크라예프스키의 지도를 받으며 훈련을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러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프랑스 레슬러 폴 퐁스를 꺾었다. 이후 리가에서 가명으로 활동하며 경험을 쌓았고, 힘은 강했지만 아직 레슬링 기술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 1898년 여름, 빈에서 열린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했고,[12] 함께 열린 유럽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는 그레코로만 스타일 오픈 체급에서 우승했다.[13]
1899년 잠시 군 복무를 마친 후, 같은 해 5월 알렉산더 폰 슈멜링을 꺾고 러시아 챔피언에 올랐다. 9월에는 팔 부상에도 불구하고 파리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러시안 라이언(Russian Lion)'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부상이 악화되어 중도에 귀국해야 했다.[2]
1900년 7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40일간의 레슬링 토너먼트에 참가하며 러시아에서 프로레슬러로 정식 데뷔했다. 이 대회에서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챔피언 타이틀을 모두 획득했다. 켐니츠 토너먼트에서는 루리히와 처음 만났으나, 루리히는 하켄슈미트와의 대결을 피했다.[2]
1901년 스승 크라예프스키 박사가 세상을 떠났다. 같은 해 11월, 카지노 드 파리에서 열린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130명의 경쟁자를 제치고 우승하여 금메달 2개와 3,000 프랑을 받았다.[2][11]
이후 하켄슈미트는 유럽 각지를 돌며 연승 행진을 이어갔다. 1903년에는 C. B. 코크란의 매니지먼트 아래 영국으로 건너가 당시 유행하던 캐치-애즈-캐치-캔 스타일로 전향했다. 그는 영국 최고의 레슬러들을 차례로 꺾으며 엄청난 인기를 얻었고, 프로레슬링의 흥행을 이끄는 슈퍼스타가 되었다. 잘생긴 외모와 강력한 힘, 그리고 7개 국어를 구사하는 지적인 면모까지 갖춘 그는 대중적인 우상으로 떠올랐다. 당시 미국의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내가 미국 대통령이 아니라면, 조지 하켄슈미트가 되고 싶다"고 말할 정도였다.[14]
영국 순회 중 지역 강자 톰 캐논, 톰 코너스 등을 꺾었고, 1904년 1월에는 '끔찍한 터크인' 아흐메드 마드랄리를 단 2분 만에 제압했다. 같은 해 7월 2일, 로열 앨버트 홀에서 그레코로만 규칙으로 미국 헤비급 챔피언 톰 젠킨스와 맞붙어 두 번의 폴을 따내며 승리했다. 1905년에는 호주를 순회하며 콘월 레슬링 챔피언 델리 넬슨을 꺾었다.[15]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캐치 레슬링 규칙으로 젠킨스와 재대결을 펼쳐 다시 한번 승리했다. 이 승리로 하켄슈미트는 초대 세계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으로 공식 인정받게 되었다.
1905년 10월 28일,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의 이복스 스타디움에서 16,000명의 관중 앞에서 스코틀랜드 챔피언 알렉산더 먼로를 꺾었다. 먼로는 하켄슈미트보다 5.5kg 더 무거웠다. 이후 마드랄리와 캐치 레슬링 규칙으로 재경기를 가져 다시 승리하며 실력을 증명했다.[2]
이후 미국에서 아이오와 출신의 새로운 도전자 프랭크 고치와 만나게 되면서 그의 경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16][17]
하켄슈미트는 1911년에 프로레슬링에서 은퇴했으며, 이후 육체 단련과 철학에 관한 여러 책을 저술했다. 그는 1967년 영국에서 사망했다. 프로레슬러로서 활동 기간은 약 15년으로 비교적 짧았지만, 초대 통합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는 등 프로레슬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2016년 4월 2일, WWE 명예의 전당 레거시 부문에 헌액되었다.[53]
3. 1. 프랭크 고치와의 대립
레슬링 역사가 마이크 채프먼은 "모든 스포츠 역사에서 개인 간의 라이벌 관계가 그 스포츠 자체만큼 커진 경우는 손에 꼽을 정도"라며, 복싱의 설리번–코벳, 뎀프시–터니, 루이스–빌리 콘, 알리–조 프레이저와 같은 대결처럼 레슬링에서는 고치–하켄슈미트의 대립이 전설적이라고 평가했다.[18]
1905년 톰 젠킨스를 꺾고 세계 헤비급 챔피언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던 하켄슈미트는 1908년 4월 3일 시카고의 덱스터 파크 파빌리온에서 미국의 챔피언 프랭크 고치와 대결하기 전까지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 그러나 하켄슈미트는 고치와 미국 레슬링 전반에 대한 경멸감을 드러내며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하지 않았다. 그는 시카고 애슬레틱 클럽에서의 공개 훈련을 거부하고 호텔 방에서 시간을 보내거나 미시간 호숫가를 산책하는 등 훈련을 게을리했다. 이로 인해 지구력이 떨어졌는데, 이는 이전 경기들이 너무 빨리 끝나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최고의 상태였던 고치를 상대로는 결정적인 약점이 되었다.[19]
고치는 빠른 속도, 뛰어난 방어력, 그리고 거친 전술을 사용하여 하켄슈미트의 체력을 소진시킨 후 공격을 퍼부었다. 두 선수는 2시간 넘게 선 채로 경기를 벌였고, 고치는 하켄슈미트의 뒤를 잡아 넘어뜨리려 시도하며 계속 압박했다. 고치는 링을 휘젓고 다니며 엄지손가락으로 찌르거나 머리로 들이받는 등의 반칙성 플레이를 했고, 이로 인해 하켄슈미트의 몸은 피투성이가 되었다. 심지어 고치가 하켄슈미트의 코를 주먹으로 가격하는 일도 있었다.[20] 하켄슈미트는 고치의 반칙에 대해 레퍼리에게 항의하고, 고치의 몸에 과도하게 발라진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샤워를 요구했으나 레퍼리는 이를 무시하며 경기 전에 문제를 제기했어야 한다고 답했다. 경기는 2시간 이상 지속되었고, 결국 하켄슈미트는 로프에 몰렸다. 고치는 하켄슈미트를 넘어뜨린 후 약 3분간 압박하며 자신의 특기인 발가락 관절기(toe hold)를 시도했다. 하켄슈미트는 이 기술을 피하기 위해 훈련했고 실제로 방어에는 성공했지만, 이 과정에서 마지막 남은 힘마저 소진했다. 결국 하켄슈미트는 경기 포기를 선언하며 "고치 씨에게 세계 챔피언십을 양도합니다"라고 말하고 그의 손을 들어주었다. 두 선수는 두 번째 경기를 위해 탈의실로 향했으나, 하켄슈미트는 링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했고 레퍼리는 고치를 최종 승자로 선언했다.[21][22] 경기 직후 하켄슈미트는 고치를 "내가 만난 사람 중 최고의 인물"이라 칭하며 자신의 근육 상태와 발 문제로 이길 수 없음을 깨달아 경기를 포기했다고 설명했지만, 이후 입장을 바꿔 고치에게 반칙을 당했고 미국에서 불리한 판정을 받았다며 유럽에서의 재대결을 요구했다.[23] 이 경기는 고치 측의 심판 매수설과 하켄슈미트가 제기한 오일 사용 문제 등으로 인해 논란의 여지를 남겼으며[54], 세계 헤비급 왕좌와 아메리카 왕좌가 통합되는 역사적 의미를 가졌지만 여전히 의혹은 풀리지 않고 있다.
1908년 경기 이후 하켄슈미트는 무릎 부상(1907년 발병) 치료와 재활에 힘썼고, 오직 프랭크 고치와의 재대결에만 관심을 보였다.[2] 마침내 1911년 9월 4일, 시카고에 새로 개장한 코미스키 파크에서 하켄슈미트와 고치의 재대결이 성사되었다. 이 경기는 약 3만 명의 관중과 8.7만달러라는 기록적인 입장 수입을 올리며 큰 관심을 모았다. 하지만 이 재대결은 프로 레슬링 역사상 가장 논란이 많은 경기 중 하나로 꼽힌다. 하켄슈미트가 경기 전 훈련 중 주요 파트너였던 롤러(Dr. Roller)와의 스파링 과정에서 무릎 부상을 당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수년 후, 프로 레슬러 애드 산텔은 루 테즈에게 고치의 후원자들이 자신에게 5천달러를 지불하고 하켄슈미트의 훈련을 방해하며 사고처럼 보이도록 부상을 입히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24] 그러나 하켄슈미트 본인은 부상이 스파링 파트너 롤러의 실수로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롤러가 하켄슈미트를 다운시키려다 그의 오른발이 하켄슈미트의 오른쪽 무릎(1904년 '주부 무릎' 진단을 받고 1907년에 악화되었던 부위)을 가격했다는 것이다.[25] 애드 산텔의 이름은 하켄슈미트나 롤러가 밝힌 당시 훈련 파트너 명단(아메리쿠스(거스 숀라인), 야코부스 코흐, 블라덱 즈비슈코, 롤러 박사)에는 언급되지 않았다.[25]
부상의 심각성에 대해 롤러 박사와 에드 스미스 심판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고, 하켄슈미트 자신도 경기 전날 "내 생명을 걸고 레슬링을 할 준비가 되었다"며 "컨디션에 만족하고 결과에 자신있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실제 경기에서 고치는 하켄슈미트의 부상당한 무릎을 집요하게 공격하며 그의 약점을 파고들었다. 결국 하켄슈미트는 고치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며 단 20분 만에 스트레이트 폴(straight falls)로 패배했다. 고치는 자신의 특기인 발가락 관절기로 경기를 마무리 지었고, 하켄슈미트는 패배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26][27][55] 이 무릎 부상이 고치 측의 계획된 공작이었다는 의혹은 여전히 남아있다.[55]
4. 은퇴와 말년
프랭크 고치와의 두 번째 패배 이후, 하켄슈미트는 영국으로 돌아와 이듬해 6월 스타니슬라우스 즈비슈코와의 경기를 준비했다. 하지만 훈련 중 오른쪽 무릎에 심한 통증을 느껴 걷기조차 어려워졌다. 수술이 필요했지만, 하켄슈미트는 이 시점에서 프로 레슬링에서 은퇴하고 철학, 체육, 정원 가꾸기 등 다른 관심사를 추구하기로 결정했다.[28]
은퇴 후 하켄슈미트는 역도 분야의 선구자로 활동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딴 핵 스쿼트 운동을 고안했으며, 벤치 프레스와 같이 현대 훈련에서 널리 사용되는 여러 리프트를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선수 시절 세운 수많은 역도 기록은 이후 수십 년 동안 다른 선수들에 의해 갱신되었다.
하켄슈미트는 7개 국어를 구사하는 박식한 인물이었으며,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연도 | 제목 | 비고 |
---|---|---|
1909 | 《레슬링의 완전한 과학》 (The Complete Science of Wrestlingeng) | |
1935 | 《인간과 마음과 정신에 대한 우주의 적대》 (Man and Cosmic Antagonism to Mind and Spiriteng) | 독일 제국의 전쟁 포로로 수용되었을 때 구상한 개인적인 철학[29] |
1937 | 《건강과 자기》 (Fitness and Your Selfeng) | |
1937 | 《의식과 성격: 실체, 개성, 인격, 무실체의 참된 정의》 (Consciousness and Character: True Definitions of Entity, Individuality, Personality, Nonentityeng) | |
1941 | 《건강과 신체적 적합성을 유지하는 방법》 (The Way to Live in Health and Physical Fitnesseng) | |
미상 | 《세 가지 기억과 망각: 그것들이 무엇이며 인간의 삶에서 그들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Three Memories and Forgetfulness: What They Are and What Their True Significance is in Human Lifeeng) |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아내와 함께 독일 제국 당국에 의해 베를린에 억류되었다. 그의 형이자 레슬러였던 브루노 역시 독일에서 체포되어 억류 중 사망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프랑스 남부에 있는 자택에서 아내와 함께 지냈다.[10] 그는 1939년에 프랑스 귀화 시민이 되었고, 1946년에는 영국 국적을 얻었다. 이후 프랑스인 아내 레이첼과 함께 런던 사우스 노우드에서 살았다.
말년에는 귀족원 의원들에게 체육을 가르쳤고, 존 그리멕이 우승한 1948년 런던 미스터 유니버스 쇼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20] 또한 마술사 해리 후디니[33],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34]와 친구 관계를 유지했다. 과거의 경쟁자였던 톰 젠킨스에 대해서도 존경심을 표했다. 1939년, 당시 웨스트포인트의 미국 육군사관학교 레슬링 코치였던 젠킨스를 방문하여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하켄슈미트는 젠킨스와 서로 칭찬했지만, 프랭크 고치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고치의 반칙과 자신의 무릎 부상을 패배의 원인으로 설명했다.[35] 1961년 7월, 유리 블라소프가 런던 토너먼트에서 우승하고 세계 신기록을 세우자, 하켄슈미트는 직접 메달을 수여하고 헌정 문구가 적힌 자신의 사진을 선물했다.[36]
1968년 2월 19일, 하켄슈미트는 런던 교외 덜위치의 세인트 프랜시스 병원에서 8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0][31] 그는 웨스트 노우드 묘지에서 화장되었으며, 기념 명판에는 '조지 하켄슈미트'로 기록되어 있다.[32]
사후인 2016년 4월 2일, WWE 명예의 전당 레거시 부문에 헌액되었다.[53]
5. 선수로서의 특징 및 스타일
게오르그 하켄슈미트는 동시대 선수들과 비교하여 압도적인 파워를 자랑하는 파이터였다.[11] 그의 엄청난 근력은 어린 시절부터 두드러졌으며,[2] 역도에서 여러 기록을 세우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하고 신체적으로 잘 발달된 남성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11] 초기에는 레슬링 기술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강력한 힘으로 이를 충분히 보완했다.[2]
하켄슈미트의 1905년 알렉산더 먼로와의 경기를 기준으로 한 신체 치수는 다음과 같다.
항목 | 치수 |
---|---|
나이 | 28세 |
체중 | 약 92.53kg |
키 | 5피트 9½인치 (약 177cm) |
리치 | 약 190.50cm |
이두근 | 약 48.26cm |
팔뚝 | 약 39.37cm |
목 | 약 55.88cm |
가슴 | 약 132.08cm |
허리 | 약 86.36cm |
허벅지 | 약 67.95cm |
종아리 | 약 45.72cm |
그는 당시 레슬링의 주류 스타일이었던, 속도, 민첩성, 링 운영 능력보다는 근력을 강조하고 허리 위 기술만 허용하는 느리고 육중한 그레코로만 레슬링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육중한 체격은 이러한 스타일에 잘 맞았다. 그러나 이후 영국에서 활동하며 캐치 레슬링 스타일에도 성공적으로 적응했으며, 점차 이 스타일을 선호하게 되었다.[15] 그는 톰 젠킨스와의 재경기에서 캐치 레슬링 규칙으로 승리하며 초대 세계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으로 인정받았다.
하켄슈미트는 타고난 쇼맨이었지만, 동시에 정직하고 솔직하며 진지한 성격이었다. 그는 상대를 빠르게 제압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매니저 C. B. 코크란은 더 많은 관객을 유치하기 위해 그에게 경기를 길게 끌고 쇼맨십을 발휘하도록 설득해야 했다. 이는 경기가 조작되었다는 의미는 아니며, 그의 경기는 기본적으로 정정당당하게 진행되었다. 그는 프랭크 고치를 포함한 다른 많은 프로 레슬러들과 달리 링 위에서 비열하거나 불필요하게 거친 행동을 하지 않았으며, 정정당당한 스포츠맨십을 중시하고 상대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 데이비드 젠틀은 하켄슈미트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완전한 인식을 가지고, 모든 전투의 달인처럼 마초이즘이나 외부적인 공격성이 필요 없다는 것을 알았던, 차분함, 자신감, 내면의 평화의 전형"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지적인 면모도 갖추어 7개 국어를 구사했으며 작가, 연설가, 철학자로도 활동했다. 미국의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내가 미국 대통령이 아니라면, 나는 조지 하켄슈미트가 되고 싶다"라고 말하기도 했다.[14]
그러나 하켄슈미트에게는 몇 가지 약점도 지적되었다. 뛰어난 상대를 만났을 때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평가가 있었으며, 프랭크 고치는 첫 경기 후 "러시아인이 하는 모든 동작은 그가 너무 천천히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주듯이 미리 나에게 알렸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우울증을 앓았고 쉽게 화를 내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고치와의 두 차례 경기에서는 정신력 부족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08년 경기 후 심판 에드 스미스는 하켄슈미트가 사실상 포기했다고 평가했으며, 1911년 재경기 후 한 신문은 "스포츠계의 속어로, 하켄슈미트는 비겁하다... 그의 입장이 위험해지자 그는 포기했다"고 보도했다. 그의 세컨드였던 벤자민 롤러 박사 역시 하켄슈미트의 정신력 부족을 지적하며 "정신력은 사람이 주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베어 허그
- 하프 넬슨
6. 유산 및 평가
게오르그 하켄슈미트가 활동했던 시기는 프로레슬링의 황금기로 불린다. 당시 프로레슬링 경기는 실제 경쟁으로 여겨졌으며, 레슬링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 중 하나였다. 특히 하켄슈미트의 쇼맨십은 영국에서 프로레슬링을 최고 인기 스포츠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그와 프랭크 고치는 함께 프로레슬링을 세계적으로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다.[47] 앤드류 말노스키는 "하켄슈미트-고치 경기는 당시 프로레슬링의 정점이었으며 미디어, 팬, 유명인사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고 평가했다.[47] 마크 팔머 역시 "게오르그 하켄슈미트와 프랭크 고치는 20세기 초의 주요 스포츠 슈퍼스타였다"며, "그들의 역사적인 경기는 전 세계 헤드라인을 장식했으며, 오늘날의 월드컵과 같은 수준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고, 20세기 초 미국에서 조직적인 아마추어 레슬링을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고 지적했다.[48]
하켄슈미트는 이미 보디빌딩 분야에서 명성이 높았고, 영국에서는 무적의 선수로 여겨졌다. 그는 신체 문화계의 아이콘이자 전설적인 보디빌더, 건강 애호가로서 대중의 시선을 계속 받았다. 그는 건강과 피트니스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강연하고 글을 썼으며, 그의 저서 중 가장 유명한 ''The Way To Live''는 고전으로 평가받는다.[20] 하지만 그가 오늘날까지 기억되는 데에는 프랭크 고치에게 두 번 패배한 경험 또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치와의 경기는 당시 주류였던 그레코로만 레슬링보다 캐치 레슬링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이는 오늘날 학교, 클럽, 올림픽 등에서 널리 행해지는 레슬링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다.
하켄슈미트는 강력한 체격과 뛰어난 힘을 바탕으로 약 3,000번의 프로레슬링 경기에서 단 두 번만 패배했다. 그는 타고난 쇼맨이었으며, 정직하고 진지한 태도로 상대를 빠르게 제압하는 스타일이었다. 그의 매니저 C. B. Cochran은 그에게 경기를 길게 끌고 쇼맨십을 발휘하도록 설득하여 더 많은 계약과 매진을 이끌어냈다. 이는 경기가 조작되었다는 의미는 아니며, 그의 경기는 전시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정당당하게 치러졌다. 그는 프랭크 고치와 달리 링 위에서 비열하거나 불필요하게 거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평가받는다. 데이비드 젠틀은 하켄슈미트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완전한 인식을 가지고, 모든 전투의 달인처럼 마초이즘이나 외부적인 공격성이 필요 없다는 것을 알았던, 차분함, 자신감, 내면의 평화의 전형"이라고 묘사했다.
그러나 하켄슈미트에게는 몇 가지 약점도 지적된다. 그는 뛰어난 상대를 만나면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렸으며, 프랭크 고치는 첫 경기 후 "러시아인이 하는 모든 동작은 그가 너무 천천히 생각한다는 것을 보여주듯이 미리 나에게 알렸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우울증과 쉽게 화를 내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고치와의 첫 경기를 위한 훈련 과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치와의 두 경기 모두에서 정신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1908년 경기 후 심판 에드 스미스는 하켄슈미트가 냉정하게 포기했다고 평가했으며,[17] 1911년 재경기 후 한 신문은 그가 위험한 상황에서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그의 세컨드였던 벤자민 롤러 박사 역시 하켄슈미트의 정신력 부족을 지적하며 "정신력은 사람이 주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켄슈미트는 프로레슬링 역사상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초대 통일 세계 헤비급 챔피언'''이라는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경기는 근대 프로레슬링의 전환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텍사스주 오스틴의 H.J. 루처 스타크 신체 문화 및 스포츠 센터는 하켄슈미트가 수십 년간 소유했던 스크랩북의 디지털 버전을 보유하고 있다.[49] 또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69년부터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는 그레코로만 레슬링 국제 게오르그 하켄슈미트 기념 대회가 열리고 있다. 2016년 4월 2일에는 WWE 명예의 전당 레거시 부문에 헌액되었다.[53]
7. 주요 타이틀 경력
- 1898년 유럽 레슬링 선수권 대회 - 그레코로만 오픈웨이트 1위[13]
- 1899년 5월 19일 러시아 챔피언십 우승 (vs 알렉산더 폰 슈멜링)[2]
- 1899년 유러피언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십 우승
- 1899년 오픈 인비테이셔널 토너먼트 우승
- 1900년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챔피언십 우승[2]
- 1901년 11월 세계 헤비급 왕좌 (유럽판) 인정
- 1901년 11월 30일 카지노 드 파리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우승 (유러피언 월드 그레코로만 헤비급 토너먼트)[2][11]
- 1904년 1월 30일 세계 그레코로만 챔피언 인정 (vs 아흐메드 마드라리)
- 1905년 5월 4일 '''초대 세계 헤비급 레슬링 챔피언''' 인정 (vs 톰 젠킨스)
- 프랑스 그레코로만 헤비급 챔피언십 (1회)[50]
- 유럽 그레코로만 헤비급 챔피언십 (1회)
8. 한국과의 관계 (추가)
게오르그 하켄슈미트가 주로 활동했던 1900년대 초반은 대한제국 말기에서 일제강점기 초기에 해당한다. 당시 한국은 서구 스포츠 문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하켄슈미트와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기는 어려웠다.
다만 그의 활동은 당시 국제 정세 속 스포츠 교류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특히 1900년대 초에 일본의 제22대 오제키 다치야마 미네에몬과의 이종격투기 경기가 예정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인해 무산된 사건은[56] 당시 동아시아의 불안정한 정세와 국제 스포츠 교류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제국주의 시대의 영향 아래 스포츠 교류 역시 순탄치 않았음을 시사한다.
참조
[1]
뉴스
Power Slam
SW Publishing
1999-01-01
[2]
서적
The Path to Strength and Health
Popov Brothers
[3]
웹사이트
Kõige kuulsam eestlane
http://ajakirisport.[...]
2019-04-22
[4]
웹사이트
Hackenschmidt, Georg
https://www.esbl.ee/[...]
2019-04-22
[5]
서적
The Scribner Encyclopedia of American Lives
Simon and Schuster
[6]
웹사이트
Hackenschmidt's Great Strength Due To Work
https://classicwrest[...]
2015-08-30
[7]
뉴스
Üks eesti jõukangelane
https://dea.digar.ee[...]
2019-04-22
[8]
웹사이트
Georg Hackenschmidt. "Valitseda elu"
https://www.ohtuleht[...]
2019-04-22
[9]
웹사이트
Hackenschmidt Genealogy Network
https://web.archive.[...]
2010-12-14
[10]
서적
George Hackenschmidt
Eesti raamat
[11]
문서
Chapman
[12]
웹사이트
World Weightlifting Championships 1891 - 1992
https://sport-record[...]
2023-12-14
[13]
웹사이트
unoffical European Championship
https://whatsmat.uww[...]
2023-12-14
[14]
문서
Chapman
[15]
간행물
Cornish Wrestling
The Bendigo Independent (Vic)
1905-02-06
[16]
문서
Fleischer
[17]
문서
Kent
[18]
문서
Chapman
[19]
문서
Chapman
[20]
웹사이트
George Hackenschmidt
http://www.sandowplu[...]
[21]
문서
Fleischer
[22]
문서
Chapman
[23]
문서
Chapman
[24]
서적
Hooker, The Authentic Wrestler's Adventures Inside the Bizarre World of Professional Wrestling
Wrestling Channel Press
[25]
문서
Fleischer
[26]
문서
Fleischer
[27]
문서
Chapman
[28]
서적
The Way to Live
[29]
서적
Sporting London: A Race Through Time
[30]
뉴스
Hackenschmidt Dies, Old-Time Mat Star 91
Boston Globe
1968-02-20
[31]
웹사이트
GEORGE HACKENSCHMIDT: THE RUSSIAN LION. PART TWO
https://web.archive.[...]
2011-08-29
[32]
문서
A self-guided walk around West Norwood Cemetery
https://www.discover[...]
[33]
웹사이트
Houdini Defeats Hackenschmidt' and other revelations
http://www.wildabout[...]
[34]
서적
Georg Hackenschmidt
Tallinn
[35]
문서
Chapman
[36]
서적
Spravedlivost ́sily
https://www.worldcat[...]
Lenizdat
1989
[37]
서적
The Secrets of a Showman
W. Heinemann
1925
[38]
서적
Fits & Starts: Collected Pieces
Michael Joseph
1979
[39]
서적
Life After Death: The Art of the Obituary
Melbourne University Press
2006
[40]
서적
Obituaries from the Times
Newspaper Archive Developments Limited
1961
[41]
문서
Fleischer
[42]
문서
Kent
[43]
문서
Fleischer
[44]
문서
Fleischer
[45]
문서
Chapman
[46]
문서
Chapman
[47]
웹사이트
George Hackenschmidt
http://www.pwhf.org/[...]
Professional Wrestling Hall of Fame and Museum
[48]
웹사이트
InterMat Rewind: Gotch vs. Hackenschmidt
http://intermatwrest[...]
Intermat
2011-08-30
[49]
웹사이트
We Give You... The Hackenschmidt Scrapbook
http://www.starkcent[...]
2011-07-18
[50]
웹사이트
French Heavyweight Title
http://www.wrestling[...]
Puroresu Dojo
2009-04-23
[51]
웹사이트
Induction Weekend 2022 | Pro Wrestling Hall of Fame
https://www.prowrest[...]
[52]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to the 2016 WWE Hall of Fame Legacy inductees
http://www.wwe.com/s[...]
WWE
2016-11-20
[53]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to the 2016 WWE Hall of Fame Legacy inductees
http://www.wwe.com/s[...]
WWE.com
2016-04-03
[54]
웹사이트
프로レス世界史年表1908年
http://members.jcom.[...]
[55]
웹사이트
プロレス世界史年表1911年
http://members.jcom.[...]
[56]
뉴스
【大相撲豪傑列伝】(8)20世紀最強の人類 太刀山峰右衛門
産経新聞
200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