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트리아 아우스트랄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트리아 아우스트랄리스는 최대 60cm까지 자라는 칠성장어의 일종으로, 턱이 없고 흡반을 가지고 있다. 유충은 담수에서 약 4년 동안 생활하며 변태를 거쳐 바다로 이동하여 다른 물고기에 기생한다. 성체는 번식을 위해 담수로 돌아오며, 산란 후 죽는다. 남반구의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칠레,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발견되며, 바다새, 가마우지, 대형 어류 등에 의해 포식된다. 뉴질랜드 마오리족에게 전통적인 식재료였으며, 수질 저하가 개체 수 감소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성장어목 - 모르다키아속
모르다키아속은 칠성장어강 칠성장어목에 속하는 칠성장어의 한 속으로, 3종이 있으며, 각 종은 서식지와 생활 방식에 차이를 보인다. - 뉴질랜드의 물고기 - 레트로핀나과
레트로핀나과는 바다빙어목에 속하는 어류 과로, 레트로핀나속을 포함한 3개의 속으로 구성되며 바다빙어과, 뱅어과, 은어과와 계통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 뉴질랜드의 물고기 - 갈락시아스과
갈락시아스과는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는 약 50종의 어류로 이루어진 과로, 원극기류에 속하거나 신진골어류의 자매군으로 간주되며, 외래종 유입과 기후 변화로 인해 보존 노력이 요구된다. - 1851년 기재된 물고기 - 표범폐어
표범폐어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표범 무늬가 있는 길쭉한 몸, 아가미와 폐를 통한 호흡, 수컷의 둥지 번식이 특징인 폐어의 일종이다. - 1851년 기재된 물고기 - 미늘전갱이
미늘전갱이는 전갱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어류로, 인도양과 서부 태평양의 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최대 30cm까지 성장하고, 작은 물고기 등을 먹는 육식성 어류이다.
게오트리아 아우스트랄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Geotria australis |
명명자 | J. E. Gray, 1851 |
한국어 이름 | 후쿠로야쓰메 (일본어) 게오트리아 아우스트랄리스 |
마오리어 이름 | 피하라우 코로코로 |
보존 상태 | 자료 부족 ((DD)) |
IUCN 3.1 참고 | IUCN Red List |
분류학적 정보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상강 | 무악상강 (Agnatha) |
강 | 두갑강 (Cephalaspidomorphi) 또는 칠성장어강 |
목 | 칠성장어목 (Petromyzontiformes) |
과 | 후쿠로야쓰메과 (Geotriidae) 또는 게오트리아과 |
속 | 후쿠로야쓰메속 (Geotria) 또는 게오트리아속 |
동의어 | |
속명 동의어 | Chilopterus Philippi 1858 Dionisia Lahille 1915 (Landau Chabaud, Miltgen & Baccam 1980 아님) Exomegas Gill 1883 (Burmeister 1868 아님) Macrophthalmia Plate 1897 Neomordacia Castelnau 1872 Thysanochilus Troschel 1857 (Butler 1878, Falc. 1839 아님) Velasia Gray 1853 Yarra Castelnau 1872 (Krapp-Schickel 2000 아님) |
종명 동의어 | Velasia chilensis Gray 1851 Thysanochilus valdivianus Philippi 1857 Ammocoetes caeruleus Philippi 1858 Chilopterus caeruleus (Philippi 1857) Ammocoetes landbecki Philippi 1858 Chilopterus landbecki (Philippi 1857) Exomegas macrostomus (Burmeister 1868) Petromyzon fonki Philippi 1865 Petromyzon macrostomus Burmeister 1868 Yarra singularis Castelnau 1872 Neomordacia howittii Castelnau 1872 Geotria allporti Günther 1872 Velasia stenostomus Ogilby 1896 Macrophthalmia chilensis Plate 1897 Geotria macrostoma f. gallegensis Smitt 1901 Geotria macrostoma gallegensis (Smitt 1901) Geotria gallegensis (Smitt 1901) Geotria saccifera Regan 1911 Dionisia patagonica Lahille 1915 |
기타 정보 | |
영명 | pouched lamprey wide-mouthed lamprey |
2. 형태
''게오트리아 아우스트랄리스''(G. australis)는 다른 칠성장어와 마찬가지로 얇고 뱀장어와 같은 몸체를 가지고 있으며, 최대 60cm까지 자란다.[7] 등 뒤쪽에는 낮고 2개의 등지느러미가 있다. 다른 칠성장어와 마찬가지로 턱이 없고 흡반만 있다. 갓 잡은 성체 칠성장어의 피부는 인상적인 은색을 띠지만, 민물에 일정 기간 있으면 빌리베르딘 침착으로 인해 곧 갈색으로 변한다.[8] 성체의 눈은 비교적 작고 머리 옆쪽에 위치한다. 완전히 성숙하면 수컷은 눈 아래에 헐렁한 주머니가 생기는데, 이는 알을 마사지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9] 북반구 종의 경우, 번식기에 수컷이 둥지를 만들기 위해 돌을 모으는 데 주머니를 사용한다는 제안도 있었다.[10]
담수 자어는 약 4년 동안 담수에 머물다가 6개월 동안 변태를 거친다.[11] 변태 과정에서 눈이 큰 대안구기(macropthalmia)로 발달하며, 뇌의 시각 영역이 크게 증가한다.[12] 이후 파란색과 녹색 줄무늬를 띤 은색으로 변하며,[8] 바다로 이동한다.
3. 생태
성체는 다른 물고기에 기생하며 일부 생애를 바다에서 보낸다. 물고기의 아가미나 측면에 부착하여 조직을 갉아 먹는다. 성적으로 성숙하기 위해 최대 18개월을 보내며 번식을 위해 담수로 돌아온다. 산란 후 최대 105일 동안 알을 보호하며 부모의 보살핌을 제공한다.[13]
3. 1. 생활사
게오트리아 아우스트랄리스는 담수에서 유생 단계를 거쳐 성체가 되면 바다로 이동하여 다른 물고기에 기생한다. 성체는 최대 18개월 동안 바다에서 지내다가 번식을 위해 다시 담수로 돌아온다. 산란 후에는 최대 105일 동안 알을 보호하며 부모의 보살핌을 제공한다.[13] 바다에 있을 때 축적된 빌리베르딘은 간으로 이동하고, 체색이 갈색으로 변함에 따라 간은 녹색으로 변화한다.[15] 강으로 돌아온 지 18개월 이내인 11~12월에 번식하고 바로 죽는다.[15]
3. 1. 1. 담수 유생 단계
담수 자어 또는 생애 주기의 유충 단계는 대부분의 생애 동안 칙칙한 갈색을 띤다. 자어는 약 4년 동안 담수에 머물다가 6개월 동안의 변태를 거치며,[11] 파란색과 녹색 줄무늬를 띤 은색으로 변한다.[8] 이 시점에서 그들은 하류로 바다로 이동한다.
부화는 1월이며, 몸길이는 9.63mm이다.[15] 암모시테스유생은 칙칙한 갈색이며, 성장은 상당히 느려 0.068mm/일이다.[15] 변태까지 4년을 강에서 보내며 10cm 정도가 된다. 6개월에 걸쳐 변태하며, 강으로 내려가는 시기는 1~5월이다. 2개의 청록색 줄무늬가 있는 선명한 은색으로 변하며, 다른 물고기에 기생한다. 청록색 줄무늬는 빌리베르딘의 축적에 의한 것이다.[15]
3. 1. 2. 변태 단계
담수 자어 또는 생애 주기의 유충 단계는 대부분의 생애 동안 칙칙한 갈색을 띤다. 자어는 약 4년 동안 담수에 머물다가 6개월 동안 변태를 거치며,[11] 파란색과 녹색 줄무늬를 띤 은색으로 변한다.[8] 주머니입 칠성장어의 중추 신경계는 변태 과정에서 눈이 큰 대안구기(macropthalmia)로 발달하며, 뇌의 시각 영역의 부피가 특히 크게 증가한다.[12] 이 시점에서 그들은 하류로 바다로 이동한다.
암모시테스유생은 칙칙한 갈색이며, 성장은 상당히 느려 하루 0.068mm이다.[15] 변태까지 4년을 강에서 보내며 10cm 정도가 된다. 6개월에 걸쳐 변태하며, 강으로 내려가는 시기는 1~5월이다. 2개의 청록색 줄무늬가 있는 선명한 은색으로 변하며, 다른 물고기에 기생한다. 청록색 줄무늬는 빌리베르딘의 축적에 의한 것이다.[15]
3. 1. 3. 해양 성체 단계
성체는 다른 물고기에 기생하며 바다에서 일부 생애를 보낸다. 물고기의 아가미나 측면에 부착하여 아래 조직을 갉아 먹는다.[13] 성적으로 성숙하기 위해 최대 18개월을 바다에서 보낸 후, 번식을 위해 담수로 돌아온다. 산란 후 최대 105일 동안 살면서 알 덩어리를 감싸 부모의 보살핌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13]
부화는 1월이며, 몸길이는 9.63mm이다.[15] 암모시테스 유생은 칙칙한 갈색이며, 성장은 상당히 느려 0.068mm/일이다.[15] 변태까지 4년을 강에서 보내며 몸길이는 10cm 정도가 된다. 6개월에 걸쳐 변태하며, 강으로 내려가는 시기는 1~5월이다. 2개의 청록색 줄무늬가 있는 선명한 은색으로 변하며, 다른 물고기에 기생한다. 청록색 줄무늬는 빌리베르딘의 축적에 의한 것이다.[15] 바다에서 번식을 위해 강으로 돌아오지만, 이때 빌리베르딘은 간으로 이동하고, 체색이 갈색으로 변함에 따라 간이 녹색으로 변화한다.[15] 강으로 돌아온 지 18개월 이내인 11~12월에 번식하고 바로 죽는다.[15]
3. 1. 4. 담수 산란 단계
자어 또는 생애 주기의 유충 단계에서는 대부분 칙칙한 갈색을 띤다. 자어는 약 4년 동안 담수에 머물다가 6개월 동안 변태를 거친다.[11] 부화는 1월이며, 몸길이는 9.63mm이다.[15] 암모시테스유생은 칙칙한 갈색이며, 성장은 상당히 느려 0.068mm/일[15]이다. 변태까지 4년을 강에서 보내며 10cm 정도가 된다. 변태 후에는 파란색과 녹색 줄무늬를 띤 은색으로 변하며,[8] 2개의 청록색 줄무늬가 있는 선명한 은색으로 변한다. 이 시점에서 그들은 하류로 바다로 이동한다. 청록색 줄무늬는 빌리베르딘의 축적에 의한 것이다.[15]
4. 분포
남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와 남서부, 뉴질랜드, 칠레, 아르헨티나 등에서 발견된다.[6] 뉴질랜드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꼼치 종이다.[14]
5. 위협 요인
바다새, 가마우지, 대형 어류, 해양 포유류가 칠성장어를 잡아먹는다.[6] 칠성장어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은 저지대 수로의 수질 저하로 추정된다.[6]
6. 역사
주머니칠성장어는 뉴질랜드 마오리족의 전통적인 진미이다. 칠성장어를 잡는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폭포를 거슬러 올라가는 칠성장어를 방해하여 포획하거나, 더 큰 강에 어살을 설치하여 히나키 (엮은 덫)로 유도하는 utu piharaumi를 사용하는 것이 있었다. 환가누이 강에 설치된 일부 utu piharaumi는 길이가 15m 이상이었다.[14] 19세기 중반 뉴질랜드에서 주머니칠성장어는 널리 발견되었으며, 유럽 정착민들은 유럽에서 칠성장어 파이가 진미로 여겨진 역사로 인해 이를 음식으로 받아들였다.[14]
참조
[1]
간행물
Geotria australis
2024-08-07
[2]
웹사이트
Geotriidae
http://www.fishbase.[...]
2017-05-18
[3]
웹사이트
Geotriidae
http://deeplyfish.co[...]
2017-05-18
[4]
웹사이트
piharau – Te Aka Māori Dictionary
https://www.maoridic[...]
2023-08-24
[5]
웹사이트
korokoro – Te Aka Māori Dictionary
https://www.maoridic[...]
2022-06-22
[6]
서적
The fishes of New Zealand
Te Papa Press
[7]
웹사이트
Pouched Lamprey Geotria australis
http://www.fishesofa[...]
2014-10-07
[8]
논문
Epidermal pigmentation and liver coloration in the southern hemisphere lamprey, Geotria austral is Gray
1983
[9]
논문
First observations of spawning nests in the pouched lamprey ( Geotria australis )
http://www.nrcresear[...]
2017-10
[10]
논문
The gular pouch in northern hemisphere parasitic lampreys (Petromyzontidae)
[11]
웹사이트
Geotria australis: Pouched lamprey
http://www.fishbase.[...]
Fishbase
2013-12-15
[12]
논문
Ontogenetic shifts in brain scaling reflect behavioral changes in the life cycle of the pouched lamprey Geotria australis
2015
[13]
논문
First observations of spawning nests in the pouched lamprey Geotria australis
[14]
문서
Q114871191
[15]
웹사이트
Pouch use
http://www.ingentaco[...]
[16]
논문
Epidermal pigmentation and liver coloration in the southern hemisphere lamprey, Geotria australis Gray
[17]
논문
Distribution, growth and transformation timing of larval Geotria australis in New Zealand
[18]
FishBase 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