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건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건주의는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개신교 내에서 일어난 신앙 운동으로, 경건한 생활을 강조하며 개인의 신앙과 실천을 중요하게 여겼다. 독일 루터교 목사 필리프 슈페너가 시작하여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를 거치며 발전했다. 경건주의는 루터교 정통주의의 교리 중심적인 경향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었으며, 성경 연구, 평신도의 역할 강조, 금욕적인 생활 등을 강조했다.
경건주의는 경건한 생활을 강조하는 경건주의 서적에서 등장하였고, 경건주의자에 대한 개념도 경건주의 계열의 서적을 통해 나타났다.[39] 경건주의는 단순한 이론 연구가 아니라, 개신교도의 경건한 생활을 형성하고 이루기 위한 실제적인 생활 운동이자 사회적인 기독교 운동이었다.[39] 즉, 기독교인의 경건하고 올바른 생활과 가치관에 대한 운동이었고, 실제적인 생활을 개선하는 과정을 포함했다.[40]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서방교회는 개신교와 천주교로 분열되었고, 이는 유럽 사회 전체의 대립으로 이어졌다. 17세기에 이르러 개신교와 천주교는 완전히 교파로 분리되어 각자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형국이 되었다.[41] 서방교회의 분열은 유럽 사회의 혼란을 야기했고, 종교적 소속은 사회, 경제적 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 성향에 따라 개신교도와 천주교도의 상인협회가 따로 설립되기도 하고, 교파 차이로 인해 같은 지역 내에서도 사회적 교류가 단절되기도 했다.[41]
경건주의 루터교 신자들은 예배와 별도로 비밀 예배에서 만나 서로 경건을 격려한다.[11] 이들은 진정한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죄와의 내적 갈등을 겪고, 그리스도 중심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로 결정하는 시점이 있다고 믿는다.[11] 또한, 거룩한 삶을 살고 성화를 추구하라는 성경적 명령을 따르는 것을 강조한다.[12]
요한 아른트는 《참된 기독교》라는 저서로 널리 알려졌다. 하인리히 뮐러는 세례반, 설교단, 고해소, 제단을 "루터교회의 네 개의 벙어리 우상"이라고 묘사했다. 요한 발렌틴 안드레아는 헤센 방백의 궁정 채플린이었고, 슈피우스는 성경을 설교단에 복원하려 했으며, 로스토크 출신의 테오필 그로스게바우어는 "시온의 파수꾼의 경고의 외침"을 외쳤다.
경건주의는 독일, 스칸디나비아, 남서 독일 등 유럽 각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며, 급진적 경건주의, 감리교, 미국 종교 등 다양한 종교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머튼 가설과 같이 과학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정치적으로는 미국과 영국의 정당 지지 성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반지성주의, 율법주의, 주관주의적인 경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2. 경건주의 용어
1670년 슈페너는 "'''콜레기아 피에타티스'''"(「경건한 자들의 모임」)라는 이름으로 집회를 자택에서 시작하여, 주 2회 모여 기도하고 성경을 읽었다. "경건주의"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했다. 1675년에 저술한 문서 『'''피아 데시데리아'''』(「경건한 소원」)에서 슈페너는 신자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교회에 참여할 것을 제창했다.
3. 경건주의 발생 시대적 배경
개신교 내부에서도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으로 교회의 정통성을 강조하며, 설교와 선교도 기독교인의 태도와 실천보다는 교리 인정에 중점을 두게 되었다. 점차 개신교는 정통을 강조하는 교리 중심이 되어갔다. 이러한 개신교의 제도 중심화, 교리 중심화가 신앙의 실천, 변화의 경험을 막는 것에 대한 반성이 나타났다. 이 반성은 독일 개신교회인 루터교회 내부에서 경건주의로 발생하여 점차 전 유럽과 영국, 미주의 개신교회들로 퍼져갔다.[41]
4. 경건주의의 신념
5. 경건주의의 역사
필리프 슈페너는 경건주의 운동의 창시자로, 1635년 1월 13일 알자스의 라폴츠바일러에서 태어났다. 그는 독일 루터교 내에서 도덕적, 종교적 개혁의 필요성을 확신했다.[41] 스트라스부르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제네바에서 유학하며 장 드 라바디 등의 설교와 경건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
1666년, 프랑크푸르트에서 목회를 시작한 슈페너는 복음주의 루터교 내의 기독교 생활이 루터교 정통주의에 대한 열정으로 희생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collegia pietatis" (경건 모임)을 열어 신약 성경 구절을 해설하고, 종교 문제에 대한 대화를 나누었다.[41]
1675년, 슈페너는 『피아 데시데리아』(진정한 복음주의 교회의 개혁을 위한 간절한 소망)를 출판하여 "경건주의자"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 슈페너는 이 책에서 교회의 생명을 회복하는 여섯 가지 방법을 제안했다.[41]번호 내용 1 사적인 모임에서 성경을 연구 ("교회 안의 작은 교회") 2 평신도가 교회의 영적 운영에 참여 3 기독교에 대한 지식과 실천 4 이단자와 불신자를 동정심으로 대함 5 대학교 신학 교육에서 경건 생활에 비중 6 믿음을 심는 설교
이 책은 독일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41]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는 슈페너의 후계자로, 할레에 고아원을 설립하고 성경 해설 강의를 했다. 니콜라우스 루드비히 친젠도르프 백작은 모라비아 교회 부흥과 개신교 선교에 기여했다. 바르톨로메우스 치겐발크는 인도 최초의 경건주의 선교사였다.
국가 공인 교회 권위자들은 경건주의 교리를 사회적 위험으로 간주하여 의심했다. 경건주의는 "과도한 복음주의적 열정을 불러일으켜 공공의 안녕을 해치거나, 도덕적 의무를 모호하게 만드는 신비주의"로 여겨졌다.[17] 일부 경건주의자들은 이단 혐의로 브베이에서 추방되거나[18] 종교 회의에 소환되기도 했다.[18]
경건주의는 18세기 중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며 계몽주의 시대를 준비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독일의 성경 연구를 부흥시키고 종교를 마음과 삶의 문제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3] 교회 내 평신도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강조점을 두었다는 평가도 있다.
19세기 중반,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는 스칸디나비아에서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 신학 부흥을 주도했다. 이는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스웨덴 교회 등 여러 교단에서 칭송받고 있다.[3][20]
R. J. 홀링데일은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여러 주제가 니체의 어린 시절 루터교 경건주의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니체의 아버지 칼 루드비히 니체는 경건주의 운동을 지지했던 루터교 목사였다.[23]
1900년에 설립된 루터교 형제 교회는 개인적인 회심 경험을 강조하는 경건주의 루터교 신학을 고수한다.[5][24]
5. 1. 선구자
야코프 뵈메와 같은 기독교 신비주의자들 외에도, 요한 아른트는 그의 저서 《참된 기독교》로 널리 알려지고 호평을 받았다. 하인리히 뮐러는 세례반, 설교단, 고해소, 제단을 "루터교회의 네 개의 벙어리 우상"이라고 묘사했다. 요한 발렌틴 안드레아는 헤센 방백의 궁정 채플린이었고, 슈피우스는 성경을 설교단에 복원하려 했으며, 로스토크 출신의 테오필 그로스게바우어는 그의 저서를 통해 "시온의 파수꾼의 경고의 외침"을 외쳤다.
5. 2. 경건주의의 시작
필리프 슈페너는 경건주의 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1635년 1월 13일, 현재 프랑스에 속하는 알자스의 라폴츠바일러에서 태어난 슈페너는 독일 루터교 내에서 도덕적, 종교적 개혁의 필요성을 확신했다.[41] 그는 스트라스부르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제네바에서 유학하며 장 드 라바디 등의 설교와 경건성에 큰 영향을 받았다.
1666년, 프랑크푸르트에서 목회를 시작한 슈페너는 복음주의 루터교 내의 기독교 생활이 루터교 정통주의에 대한 열정으로 희생되고 있다는 깊은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집에서 "collegia pietatis" (경건 모임)을 열어 자신의 설교를 반복하고, 신약 성경 구절을 해설했으며, 참석자들에게 종교 문제에 대한 대화에 참여하도록 유도했다.[41]
1675년, 슈페너는 『피아 데시데리아』(진정한 복음주의 교회의 개혁을 위한 간절한 소망)를 출판했는데, 이 제목에서 "경건주의자"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 이 책에서 슈페너는 교회의 생명을 회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섯 가지 제안을 했다.[41]번호 내용 1 사적인 모임에서 성경을 진지하고 철저하게 연구하는 것 (ecclesiolae in ecclesia, "교회 안의 작은 교회") 2 기독교 사제직은 보편적이므로 평신도가 교회의 영적 운영에 참여해야 한다. 3 기독교에 대한 지식은 그것의 필수적인 표지이자 보충물로서의 실천을 수반해야 한다. 4 이단자들과 불신자들에 대한 단순히 교훈적이고 종종 격렬한 공격 대신, 그들을 동정심을 가지고 친절하게 대하는 것. 5 대학교의 신학 교육을 재조직하여 경건 생활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것. 6 설교 방식을 바꾸는 것, 즉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수사법 대신, 믿음이 영혼이고 그 결과가 삶의 열매인 기독교를 내면 또는 새 사람에게 심는 것.
이 작품은 독일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루터교 정통주의 신학자들과 목사들이 불쾌감을 느낀 반면, 다른 많은 목사들은 슈페너의 제안을 즉시 받아들였다.[41]
5. 3. 초기 지도자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는 슈페너의 실질적인 후계자로, 할레에 고아원을 설립하고 실용적이고 헌신적인 성격의 성경 해설 강의를 시작했다. 니콜라우스 루드비히 친젠도르프 백작은 모라비아 교회의 부흥과 개신교 선교 설립에 기여했다. 바르톨로메우스 치겐발크는 인도 최초의 경건주의 선교사였다.
5. 4. 정착 교회의 반응
국가가 인정한 교회 내의 권위자들은 경건주의 교리를 의심했는데, 이는 종종 사회적 위험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경건주의는 "과도한 복음주의적 열정을 불러일으켜 공공의 안녕을 해치거나, 도덕적 의무를 모호하게 만들 정도로 모호한 신비주의를 조장하는 것처럼 보였다. 종교적 감정을 거의 그 자체로 목적으로 숭상하는 운동"이었다.[17] 일부 경건주의자들은 이단 혐의로 브베이에서 추방되거나[18] 지역 종교 회의에 소환되기도 했다.[18] 마찬가지로, 경건주의는 새로운 미디어와 형식을 통해 정통성에 도전했다. 정기 간행물은 이전의 풍자 시와 단일 논문보다 중요해졌고, 전통적인 변론은 정통 학문을 옹호하는 대신 새로운 지식을 얻으려는 경쟁적인 토론으로 대체되었다.[19]
5. 5. 찬송가
경건주의는 찬송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는 제거되어야할 템플릿 이므로 제거한다.
5. 6. 후기 역사
경건주의는 18세기 중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경건주의의 개인주의는 계몽주의 시대를 준비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독일의 성경 연구를 부흥시키고 종교를 마음과 삶의 문제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교회 내 평신도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강조점을 두었다는 평가도 있다. 루돌프 솜은 "그것은 종교 개혁으로 시작된 교회 운동의 마지막 큰 물결이었다. 그것은 종교 개혁으로 창조된 개신교의 완성된 형태이자 최종 형태였다."라고 주장했다. 반면, 디트리히 본회퍼는 경건주의를 기독교를 구원하려는 마지막 시도로 묘사했지만, 그 목표를 비성경적이라고 비판했다.
경건주의는 1817년 프로이센에서 복음주의 연합 교회 창설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센 국왕은 프로이센의 루터교회와 개혁 교회가 연합하도록 명령했으며, 이 연합 운동은 1800년대에 많은 독일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경건주의는 신앙 고백 신학에 대한 느슨한 태도를 가지고 있어 교회가 연합할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독일 개신교 두 분파의 통일은 구 루터교인들의 분열을 촉발했다. 많은 루터교인들은 자유 교회를 형성하거나 미국과 호주로 이주하여 미주리 시노드의 루터교회와 호주 루터교회를 형성했다.
19세기 중반,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는 스칸디나비아에서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 신학으로 알려지게 된 경건주의 부흥을 주도했다. 이는 오늘날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회뿐만 아니라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와 스웨덴 교회와 같은 주류 루터교회 내 여러 교단에서도 칭송받고 있다.[3][20] 라에스타디우스는 추종자들에게 루터교 정체성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고, 그 결과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인들은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의 일부로 남았으며, 일부는 주교로 성임되었다.[21] 미국에서는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회가 형성되었다.[21] 이들은 유아 세례와 성찬에서의 그리스도의 실제 임재에 대한 고전적인 루터교 신학을 고수하며, 고백을 매우 강조한다.[22]
R. J. 홀링데일은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여러 주제가 니체의 어린 시절 루터교 경건주의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니체의 아버지 칼 루드비히 니체는 경건주의 운동을 지지했던 루터교 목사였다.[23]
1900년에 설립된 루터교 형제 교회는 개인적인 회심 경험을 강조하는 경건주의 루터교 신학을 고수한다.[5][24]
6. 국가별 경건주의
경건주의는 18세기 중반에 독자적인 운동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계몽주의(Aufklärung) 시대를 준비하는 데 기여했으며, 독일의 성경 연구 부흥과 종교를 단순한 지성이 아닌 마음과 삶의 문제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교회 내 평신도의 역할에 새로운 강조점을 두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루돌프 솜(Rudolf Sohm)은 경건주의를 종교 개혁으로 시작된 교회 운동의 마지막 큰 물결이자, 종교 개혁으로 창조된 개신교의 완성된 형태라고 평가했다. 반면, 독일 고백 교회의 디트리히 본회퍼는 경건주의를 종교로서 기독교를 구원하려는 마지막 시도로 묘사하며, 사람에게 "원하는 경건"을 만들어내는 것을 비성경적이라고 비판했다.
경건주의는 1817년 프로이센에서 복음주의 연합 교회 창설에 주요한 영향을 주었다. 프로이센 국왕은 프로이센의 루터교회와 개혁 교회가 연합하도록 명령했으며, 이 연합 운동은 1800년대에 많은 독일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경건주의는 신앙 고백 신학에 대한 느슨한 태도를 가지고 있어 교회가 연합할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일은 구 루터교인들의 분열을 야기했다. 구 루터교인들은 자유 교회를 형성하거나 미국과 호주로 이주하여 미주리 시노드의 루터교회와 호주 루터교회를 형성했다. 연합 운동에 동의한 많은 미국 이민자들은 독일 복음주의 루터교 및 개혁교회를 형성했고, 나중에 북미 복음주의 시노드로 통합되었으며, 현재는 그리스도의 연합 교회의 일부가 되었다.
19세기 중반,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는 스칸디나비아에서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 신학으로 알려지게 된 경건주의 부흥을 주도했다.[3][20] 사미족 여성을 만난 후 회심을 경험한 라에스타디우스는 북유럽 국가의 가장 외딴 지역의 소외된 집단에 에너지를 집중하며 루터교 경건주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켰다.[21] 그는 추종자들에게 루터교 정체성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고, 그 결과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인들은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의 일부로 남았으며, 일부는 주교로 성임되었다.[21] 미국에서는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회가 형성되었다.[21] 이들은 루터교 성례전을 지키며 유아 세례와 성찬에서의 그리스도의 실제 임재에 대한 고전적인 루터교 신학을 고수하고, 고백을 매우 강조한다.[22] 또한, 텔레비전 시청, 영화 관람, 춤, 카드 게임, 알코올 음료 섭취 등을 금지하고 피임을 피하며, 일반적으로 4명에서 10명의 자녀를 둔다.[22] 여름 부흥 예배를 통해 많은 젊은이들이 미래의 배우자를 찾기도 한다.
R. J. 홀링데일은 프리드리히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여러 주제(특히 ''아모르 파티'')가 니체의 어린 시절 루터교 경건주의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니체의 아버지 칼 루드비히 니체는 경건주의 운동을 지지했던 루터교 목사였다.[23]
1900년에 설립된 루터교 형제 교회는 개인적인 회심 경험을 강조하는 경건주의 루터교 신학을 고수한다.[5][24]
6. 1. 독일

경건주의는 18세기에 사라지지 않고, 미국 Deutscher Evangelischer Kirchenverein des Westensde(서부 독일 복음주의 교회 협회, 미주리주 그래보이스, 이후 북미 독일 복음주의 시노드, 더 나아가 복음주의 개혁 교회, 그리스도 연합 교회의 전신)에서 살아있고 활발하게 활동했다. 1901년부터 1914년까지 교회의 회장은 야코프 피스터(Jakob Pister)라는 경건주의자였다.[13] 1957년 그리스도 연합 교회가 창설될 당시에도 경건주의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21세기에도 경건주의는 독일 복음주의 교회 내의 여러 단체에서 살아있다. 이러한 단체들은 Landeskirchliche Gemeinschaftende(지역 교회 공동체)라고 불리며, 19세기 후반기에 소위 Gemeinschaftsbewegungde(공동체 운동)에서 등장했다.
19세기는 신 루터교라고 알려진 교리적 루터교의 부흥을 목격했다. 이 운동은 루터교인들의 정체성을 폭넓은 기독교 공동체 내의 구별된 그룹으로 재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콘코르디아 신조를 루터교 교리의 핵심 원천으로 새롭게 강조했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된 것은 영국에서 앵글로-가톨릭교의 성장과 맥을 같이하는 전통적인 교리와 전례에 대한 새로운 강조였다.[14]
6. 2. 스칸디나비아
덴마크에서 경건주의 루터교는 1703년에 인기를 얻었다.[15] 그곳에서 신도들은 "기도와 성경 읽기를 위해 모이는" 비밀 예배로 조직되었다.[15]요한 아른트, 필리프 야콥 슈페너,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의 저술이 인기를 얻은 후, 1600년대에 경건주의 루터교가 스웨덴에 들어왔다.[16] 경건주의 루터교는 경건주의 루터교 실천을 장려한 에르키 벤젤리우스 대주교의 후원을 받았다.[16]
레스타디우스 루터교는 경건주의 루터교의 한 형태로, 19세기에 스웨덴 교회의 사제인 라르스 레비 라스타디우스가 부흥 운동을 이끈 스칸디나비아에서 계속 번성하고 있다.[3]
6. 3. 남서독일 (뷔르템베르크)
17세기 초, 뷔르템베르크 왕국 지역은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 30년 전쟁, 특히 1634년의 뇌르틀링겐 전투 이후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빈곤과의 싸움과 일상생활 재건 과정에서 루터파적 해석이 도움이 되었다.제1세대 경건주의자들은 교회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맡았다. 요한 안드레아스 호흐스테터(1637년 - 1720년)는 튀빙겐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교회와 사회의 불합리를 비판하고 신앙 교육 개혁에 힘썼다. 그의 아들 안드레아스 아담 호흐스테터는 루터교 정통주의와 경건주의의 조정을 위해 노력했다.
1730년대가 되자 뷔르템베르크의 경건주의 운동은 급진적인 경향을 띠며, 오락, 유흥, 춤 등을 비난했다.

요한 알브레히트 벵겔(1687년 - 1752년)은 성서주의적, 구원사적인 신학으로 뷔르템베르크의 많은 목사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제자 필립 프리드리히 힐러, 예레미아스 프리드리히 로이스 등도 뷔르템베르크 목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프리드리히 크리스토프 엣팅거와 필립 마테우스 한도 뷔르템베르크 경건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1743년, 경건주의자들의 비밀 집회가 정식 승인을 받았다.
19세기에는 경건주의자들에 의한 베사라비아, 크림 반도 등으로의 이민이 시작되었다.
경건주의자들은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주 교회 내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여전히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뷔르템베르크 복음주의 주 교회 내에서 경건주의자와 비경건주의자 간의 긴장이 존재한다.
7. 경건주의 루터교 교단
경건주의는 노르웨이 교회와 같은 기존의 루터교 교파에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경건주의 루터교인들이 이 교파에 남아 있었지만, 다른 경건주의 루터교인들은 자체 교단도 설립했다.[3][21] 라르스 레비 라에스타디우스는 19세기 중반,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 신학으로 알려지게 된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경건주의 부흥 운동을 이끌었다. 이 신학은 오늘날 라에스타디우스 루터교회와 핀란드 복음 루터교회와 같은 다른 주류 루터교회 내의 여러 회중들에 의해 지켜지고 있다.[3][21] 한스 닐센 호게가 이끈 노르웨이의 경건주의 루터교 운동에서 아이엘슨 시노드와 자유 루터교 회중 연합이 등장했다.[4] 1900년에 루터교 형제 교회가 설립되었으며, 개인적인 회심 경험을 강조하는 경건주의 루터교 신학을 따른다.[5]
8. 범교파적 영향
경건주의는 모라비아주의와 함께 18세기 영국에서 존 웨슬리와 그가 이끈 감리교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존 웨슬리는 친첸도르프, 페터 뵐러 등의 모라비아 교도와 프랑케를 중심으로 한 할레 경건주의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영향은 현대 미국 감리교, 특히 성결 운동에 동조하는 이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경건주의는 또한 많은 독일 이민자들이 펜실베이니아, 뉴욕 등지에 정착하면서 미국 종교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 영향은 복음주의의 특정 부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복음주의는 경건주의, 장로교, 청교도주의가 융합하여 생겨났으며, 각 계통의 특징을 흡수했다.
8. 1. 급진적 경건주의
급진적 경건주의는 거룩한 삶에 관한 특정 가르침을 강조하기 위해 교파적인 루터교와의 관계를 끊기로 결정한 기독교 교회를 지칭한다. 급진적 경건주의 운동에 속하는 교회는 다음과 같다.[25][26][27][28][29]교회 |
---|
메노나이트 형제 교회 |
참된 영감의 공동체(영감주의자) |
침례교 총회 |
국제 자유 복음주의 교회 연합 회원 (예: 복음주의 언약 교회 및 복음주의 자유 교회) |
템플러 |
리버 형제단(그리스도 형제 교회, 갈보리 홀리니스 교회, 구 질서 리버 형제단 및 연합 시온 교회 포함) |
슈바르제나우 형제단(구 형제 독일 침례교, 덩커드 형제 교회와 같은 보수 그룹, 형제 교회와 같은 주류 그룹 포함) |
8. 2. 감리교에 대한 영향
모라비아주의와 마찬가지로, 경건주의는 18세기 영국에서 존 웨슬리와 감리교 운동을 시작한 다른 사람들에게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존 웨슬리는 모라비아 교도 (예: 친첸도르프, 페터 뵐러)와 프랑케 및 할레 경건주의와 관련된 경건주의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경건주의의 영향은 현대 미국 감리교인, 특히 성결 운동에 동조하는 사람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감리교를 일으킨 존 웨슬리는 1735년에 미국의 조지아로 가는 도중 모라비안 형제단과 알게 되어 모라비아파 경건주의의 감화를 받았지만, 후에 모라비아파가 교리를 가볍게 여기는 편향이 있었기 때문에 결별하게 되었다.[3]8. 3. 미국 종교에 대한 영향
경건주의는 미국 종교에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독일 이민자들이 펜실베이니아, 뉴욕 및 기타 지역에 정착했다. 그 영향은 복음주의의 특정 부문에서 추적할 수 있다. 발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복음주의 자체는 본질적으로 북미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경건주의, 장로교, 청교도주의의 잔재가 합류하여 생겨났기 때문이다. 복음주의는 각 계통에서 특유의 특징을 흡수했다. 예를 들어, 경건주의자들의 따뜻한 영성, 장로교의 교리적 정밀성, 청교도들의 개인주의적 자기 성찰 등이다. 북미의 상황 자체가 근본주의, 신복음주의, 성결 운동, 오순절주의, 은사주의 운동,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히스패닉계 복음주의의 다양한 형태와 같이 복음주의의 다양한 발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존 웨슬리는 1735년 미국의 조지아로 가는 도중 모라비안 형제단과 알게 되어 모라비아파 경건주의의 감화를 받았지만, 후에 모라비아파가 교리를 가볍게 여기는 편향이 있었기 때문에 결별했다.[3]
9. 과학에 대한 영향
로버트 K. 머튼이 제안한 머튼 가설은 초기 실험 과학의 본질에 대한 논쟁이다. 막스 베버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경제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프로테스탄트 윤리를 주장한 것과 유사하게, 머튼은 프로테스탄트 경건주의의 부상과 초기 실험 과학 사이의 유사한 긍정적 상관 관계를 주장했다.[31] 머튼 가설은 지속적인 논쟁을 낳았다.[32]
10. 미국과 영국의 정당 투표에 대한 영향
미국에서 리처드 L. 매코믹은 "19세기에 경건주의 또는 복음주의 신앙을 가진 유권자들은 휘그당과 나중에는 공화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말한다.[33] 폴 클레프너는 "집단의 전망이 경건주의적일수록 당파적 제휴가 더욱 강하게 공화당적이었다"고 일반화한다.[33] 매코믹은 종교적 가치와 정치의 핵심 연결고리가 "복음주의자와 경건주의자들이 '손을 뻗어 세상을 죄로부터 정화하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한다.[34] 경건주의는 스칸디나비아 루터교도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얻었고, 북부 감리교, 북부 침례교, 회중교, 장로교, 그리스도의 제자회, 그리고 일부 소규모 단체와 같은 미국의 다른 교파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들 대다수는 북부 주에 기반을 두었으며, 남부의 일부 집단은 민주당을 지지했다.[35]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영국에서, 감리교, 침례교, 회중 교회와 같은 비국교도 개신교 교파들은 자유당의 기반을 형성했다.[36] 데이비드 헴프턴은 "자유당은 감리교의 정치적 충성도의 주요 수혜자였다"고 말한다.[37]
11. 비판
프란시스 쉐퍼는 저서 기독교 선언에서 경건주의가 플라톤적 영성, 즉 세계를 영적인 면과 물질적인 면으로 이등분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였다. 쉐퍼는 경건주의가 인간 존재의 총체적인 측면을 갖지 못하며, 기독교의 지성적인 면을 간과하여 개인적인 삶과 전체 문화에 비극을 가져왔다고 주장하였다.[42]
종교 개혁으로 시작된 루터주의는 17세기 무렵 교리 해석이나 설교를 듣는 수동적인 입장에 머물렀다. 정통주의의 이러한 경향에 대항한 것이 슈페너였으며, 그는 일반 신자들의 적극적인 역할과 금욕적인 생활을 강조했다. 1675년 저술한 『'''피아 데시데리아'''』(「경건한 소원」)에서 슈페너는 루터파의 쇠퇴 이유를 들고, 개혁안으로 집회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더 나아가 교리적인 논쟁은 최대한 피하고, 루터의 "만인 제사장" 사상을 살리기 위해 신자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교회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루터파 정통주의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심정을 중시하는 경건주의가 반지성주의·주관주의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또한 칭의보다 금욕적인 "재생"에 중점을 두는 신학적 입장은 본래의 루터주의와 이질적이라는 점도 비판의 이유였다.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는 '''"진실한 사랑의 한 방울은 지식의 대해보다 소중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프랑케 사후 경건주의 운동은 점차 쇠퇴했다. 쇠퇴 이유로는 경건주의가 편협한 율법주의와 반지성적인 교육 방침을 고수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다. 회심 체험을 극단적으로 중시하고, 반지성주의적이며, 금욕적인 율법주의로 타락할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경건주의는 성경 중심의 신앙생활과 신자들의 역할 강조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는다.
참조
[1]
서적
Christian Churches of America: Origins and Beliefs
Brigham Young University Press
1976
[2]
웹사이트
Piet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3]
서적
They Chose Minnesota: A Survey of the State's Ethnic Groups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981-01-01
[4]
서적
Fortress Introduction to Lutheranism
https://archive.org/[...]
Fortress Press
1994
[5]
서적
The New Deal at the Grass Roots: Programs for the People in Otter Tail County, Minnesota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Press
1988
[6]
웹사이트
Tumsa, Gudina
https://dacb.org/sto[...]
1929–1979
[7]
서적
Lutherans in America: A New History
Augsburg Fortress Publishers
2015
[8]
웹사이트
Definition of pietism
https://www.merriam-[...]
[9]
웹사이트
Pietism
https://www.dictiona[...]
[10]
웹사이트
pietism
https://www.lexico.c[...]
[11]
웹사이트
Piety vs. Pietism
https://witness.lcms[...]
Lutheran Church–Missouri Synod
2018-03-15
[12]
서적
Scandinavian Pietists: Spiritual Writings from 19th-Century Norway, Denmark, Sweden, and Finland
Paulist Press
[13]
문서
[14]
간행물
The Triumph of Confessionalism in Nineteenth-Century German Lutheran Missions
http://www.lsfmissio[...]
[15]
웹사이트
Warm Winds From the South: The Spread of Pietism to Scandinavian Lutherans
http://www.blts.edu/[...]
Bethany Lutheran Theological Seminary
[16]
서적
The Pietist Impulse in Christianity
Casemate Publishers
2012-10-25
[17]
서적
Jean-Jacques: The Early Life and Work of Jean-Jacques Rousseau, 1712–175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서적
Jean-Jacques Rousseau: Restless Genius
Mariner Books
[19]
서적
Pietismus und Aufklärung: theologische Polemik und die Kommunikationsreform der Wissenschaft am Ende des 17. Jahrhunderts
Vandenhoeck & Ruprecht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wede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09-17
[21]
서적
Religion and Immigration: Migrant Faiths in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Wiley
2014-10-16
[22]
서적
Encyclopedia of Martin Luther and the Reform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7-08-31
[23]
서적
Thus Spoke Zarathustr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74-02-28
[24]
서적
Lutherans Today: American Lutheran Ident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Wm. B. Eerdmans Publishing
2003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German Pietism: Protestant Renewal at the Dawn of Modern Europe
JHU Press
2013
[26]
서적
Religion in American lif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27]
서적
Pilgrims on the Silk Road: A Muslim-Christian Encounter in Khiva
Walter Ratliff
2010
[28]
서적
Rethinking Christ and Culture: A Post-Christendom Perspective
Brazos Press
2007
[29]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ABC-CLIO
2010
[30]
서적
The Encyclopedia of Evangelicalism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The Party Period and Public Policy
https://books.google[...]
Oxford UP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Britain in the 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Nelson Thornes
[37]
서적
Religion and Political Culture in Britain and Ireland: From the Glorious Revolution to the Decline of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1996-01-26
[38]
사전
경건주의
https://terms.naver.[...]
맑스사전
[39]
논문
계몽과 경건의 변증법: 18세기 독일 사상의 지형도
2018
[40]
서적
경건주의 신학과 신학자들
기독교문서선교회
[41]
서적
종교개혁의 역사
기독교문서선교회
[42]
서적
A Christian manifesto
https://www.worldcat[...]
Crossway Books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